KR102121922B1 -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22B1
KR102121922B1 KR1020190092821A KR20190092821A KR102121922B1 KR 102121922 B1 KR102121922 B1 KR 102121922B1 KR 1020190092821 A KR1020190092821 A KR 1020190092821A KR 20190092821 A KR20190092821 A KR 20190092821A KR 102121922 B1 KR102121922 B1 KR 10212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bonding
wipes
usab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건우
Original Assignee
심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건우 filed Critical 심건우
Priority to KR102019009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22B1/ko
Priority to CN202090000783.2U priority patent/CN217137853U/zh
Priority to US17/631,428 priority patent/US20220279986A1/en
Priority to JP2022506033A priority patent/JP7346709B2/ja
Priority to PCT/KR2020/008422 priority patent/WO20210207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된 팩으로부터 한 장씩 뽑아서 먼지나 이물질 등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이 맞닿도록 원통형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단계; 권취된 상기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을 접합시키는 제1 접합단계; 원통형상의 상기 부직포 원단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티슈를 형성하는 재단단계; 상기 티슈가 상단만 개구된 봉투형상을 가지도록 하단에 개방된 부위를 접합하는 제2 접합단계; 봉투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기 티슈를 교번 적층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투입구가 형성된 포장팩 내에 투입하는 포장단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포장팩 내부로 물티슈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티슈를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및 상기 투입구를 접착 밀봉하고, 상기 포장팩 상면에 형성된 인출구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부착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et tissue available for disposable bag}
본 발명은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된 팩으로부터 한 장씩 뽑아서 먼지나 이물질 등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수분에 강한 원단 즉,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 등을 혼방하여 제조된 부직포 원단에 정제수(및 기타 첨가물)를 적셔 만든 것으로, 물티슈는 주로 다양한 오염물질을 닦을 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다수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포장용기(혹은 포장팩)의 내부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상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물티슈를 한 장씩 꺼내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간편함을 추구하는 문화와 위생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물티슈의 소비층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그에 따른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화장품을 지우는 클렌징 티슈, 청소용 물티슈, 환자용 물티슈 등 그 용도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단순 세정기능만을 갖춘 물티슈를 벗어나 향균 및 살균 기능, 보습 기능, 피부 보호 기능, 소취 기능, 해충기피기능 등을 부여한 기능성 물티슈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3409호는 향균, 세정, 보습, 소취 기능의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431487호는 해충기피기능을부여하는일회용물티슈제품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이처럼 물티슈는 사용이 편리하여 모든 일상생활 속에서 이용되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일회용으로 쉽게 뽑아 쓰며,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하여 사용 후에는 바로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버려진 물티슈는 악성 쓰레기로서, 배출되는 쓰레기 양도 물티슈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함께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409호(2014.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1487호(2004.05.03.)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나 이물질 등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한 후,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이 맞닿도록 원통형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단계; 권취된 상기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을 접합시키는 제1 접합단계; 원통형상의 상기 부직포 원단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티슈를 형성하는 재단단계; 상기 티슈가 상단만 개구된 봉투형상을 가지도록 하단에 개방된 부위를 접합하는 제2 접합단계; 봉투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기 티슈를 교번 적층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투입구가 형성된 포장팩 내에 투입하는 포장단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포장팩 내부로 물티슈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티슈를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및 상기 투입구를 접착 밀봉하고, 상기 포장팩 상면에 형성된 인출구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부착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단단계 또는 제2 접합단계 이후에, 상기 티슈의 상단부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로 절개하여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파지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먼지나 이물질 등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한 후,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봉투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비닐봉투 등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티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티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티슈가 일회용 봉투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티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은 크게 권취단계(S10), 제1 접합단계(S20), 재단단계(S30), 제2 접합단계(S40), 포장단계(S50), 침지단계(S60) 및 밀봉단계(S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단계(S10)는 롤 형태로 감겨있는 부직포 원단을 풀어냄과 동시에 상기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이 맞닿도록 원통형상으로 권취하는 단계로서, 상기 권취단계(S10)를 통해 후술할 봉투형상의 티슈(10) 내부에 수용공간 즉, 상기 티슈(10)를 먼지나 이물질 등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한 후,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부직포 원단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권취단계(S10)에서 권취된 상기 부직포 원단은 원통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폭방향 양단은 접합되어 측단접합부(12)를 형성한다(S20).
여기서, 접합이란 열접착, 고주파 융착, 초음파 접합 등을 통해 부직포 원단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재봉 방식의 결합과 구별되며, 바람직하게는 생산성과 단가경쟁력, 부직포 소재 등 합성수지 소재의 접합특성을 고려하여 초음파 접합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접합단계(S20)를 거쳐 원통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부직포 원단은 소정의 길이로 재단됨으로써 상기 티슈(10)가 형성된다(S30).
이때, 상기 티슈(10)는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접합단계(S40)를 거쳐 상기 티슈(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만 개구된 봉투형상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접합단계(S40)는 열접착, 고주파 융착 혹은 초음파 접합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티슈(10)의 하단에 개방된 부위를 접합함으로써 하단접합부(14)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상기 티슈(10) 봉투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단계(S40)를 통해 봉투형상로 형성된 상기 티슈(10)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교번 적층되어, 일측이 개방되어 투입구가 형성된 포장팩(미도시) 내에 투입됨으로써 통상의 물티슈의 형태로 포장된다(S50).
이때, 상기 포장팩(미도시)은 내면에 PE(Poly Ethylene), PET(Poly 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 Ethylene) 등의 합성수지재가 코팅된 종이재 혹은 비닐재로 형성되어 후술할 물티슈원액이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증발하지 않도록 방수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후, 개방된 상기 포장팩(미도시)의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포장팩(미도시) 내부로 물티슈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티슈를 침지시킨다(S60).
통상적으로 물티슈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오염된 대상 표면을 닦아내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기본적으로 높은 수분함유량과 우수한 세정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향균성 또한,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물티슈원액은 정제수, 계면활성제, 살균소독제, 피부보습제, 곰팡이 방지제, 향균제, 보존제 및 기타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지단계(S60)에서 상기 물티슈원액이 상기 티슈(10)에 충분히 적셔지면, 상기 포장팩(미도시)의 투입구를 접착 밀봉하고, 상기 포장팩(미도시) 상면 중앙에 형성된 인출구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미도시)를 부착한다(S70).
상기 덮개(미도시)는 상기 인출구를 덮어 밀봉시킴으로써, 상기 티슈(10)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해 물티슈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포장팩(미도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티슈, 상기 물티슈원액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미도시)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인출구 주변 상면에 부착되어 힌지개폐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미도시)를 일방향으로 힌지 회동시켜 개방하고 인출구로부터 상기 티슈(10)를 필요한 만큼 낱장씩 뽑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구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스티커(미도시)를 추가로 부착하여 상기 포장팩(미도시)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티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티슈가 일회용 봉투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단계(S30) 또는 제2 접합단계(S40) 이후에, 절개단계(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티슈(10)의 상단부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로 절개하여 파지부(18)를 형성하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슈(10)의 상단부 중앙을 소정의 길이로 절개하여 손가락이 끼울 수 있는 상기 파지부(1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티슈(10) 내부에 오염물 혹은 쓰레기 등을 담은 후, 상기 파지부(18)에 손가락을 끼우고 파지하여 폐기 가능한 장소 즉, 쓰레기통이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부(18)는 상기 티슈(10)를 오염물질을 닦는 용도로 사용할 때, 대상물의 표면의 요철 등에 걸려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길이를 갖는 직선의 형태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혹은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티슈
12 : 측단접합부
14 : 하단접합부
16 : 상단개구
18 : 파지부

Claims (2)

  1.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이 맞닿도록 원통형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단계;
    권취된 상기 부직포 원단의 폭방향 양단을 접합시키는 제1 접합단계;
    원통형상의 상기 부직포 원단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티슈를 형성하는 재단단계;
    상기 티슈가 상단만 개구된 봉투형상을 가지도록 하단에 개방된 부위를 접합하는 제2 접합단계;
    봉투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기 티슈를 교번 적층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투입구가 형성된 포장팩 내에 투입하는 포장단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포장팩 내부로 물티슈원액을 주입하여 상기 티슈를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및
    상기 투입구를 접착 밀봉하고, 상기 포장팩 상면에 형성된 인출구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부착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재단단계 또는 제2 접합단계 이후에, 상기 티슈의 상단부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로 절개하여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파지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90092821A 2019-07-31 2019-07-31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KR10212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21A KR102121922B1 (ko) 2019-07-31 2019-07-31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CN202090000783.2U CN217137853U (zh) 2019-07-31 2020-06-29 可用作一次性袋子的湿巾
US17/631,428 US20220279986A1 (en) 2019-07-31 2020-06-29 Wet tissue usable as disposable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2506033A JP7346709B2 (ja) 2019-07-31 2020-06-29 使い捨て袋として利用可能なウェットティ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2020/008422 WO2021020739A1 (ko) 2019-07-31 2020-06-29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21A KR102121922B1 (ko) 2019-07-31 2019-07-31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22B1 true KR102121922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21A KR102121922B1 (ko) 2019-07-31 2019-07-31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79986A1 (ko)
JP (1) JP7346709B2 (ko)
KR (1) KR102121922B1 (ko)
CN (1) CN217137853U (ko)
WO (1) WO20210207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39A1 (ko) * 2019-07-31 2021-02-04 심건우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9569A (ko) 2020-11-03 2022-05-10 박일수 물티슈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487B1 (ko) 1997-01-1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충기피기능을부여하는일회용물티슈제품
JP2013184029A (ja) * 2012-03-12 2013-09-19 Daio Paper Corp 汚れ拭きシート、汚れ拭きシート包装体、及び汚れ拭き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373409B1 (ko) 2011-09-09 2014-03-13 (주)공명파한지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KR200485804Y1 (ko) * 2017-10-25 2018-02-26 한경준 이중 패드형 물티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682U (ja) * 1991-03-23 1994-12-20 勝博 辻 ポケットテイッシュペーパー乃至携帯用テイッシュペーパー入れ袋の後面の使用済テイッシュペーパー入れ。
JP2003299593A (ja) * 2002-04-09 2003-10-21 Av Ovo: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
JP3129912U (ja) 2006-12-20 2007-03-08 株式会社ゼロ・インフィニティ 袋状ウェットティシュ
JP2014168692A (ja) 2014-03-31 2014-09-18 Daio Paper Corp 汚れ拭きシート及び汚れ拭きシートの製造方法
JP6525237B2 (ja) 2014-09-30 2019-06-05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ワイパー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8012849A1 (ko) * 2016-07-12 2018-01-18 심희영 세제를 함유한 부직포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200487696Y1 (ko) * 2018-07-31 2018-10-22 차상종 일회용봉투를 포함한 물티슈 케이스
KR102121922B1 (ko) * 2019-07-31 2020-06-11 심건우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487B1 (ko) 1997-01-1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충기피기능을부여하는일회용물티슈제품
KR101373409B1 (ko) 2011-09-09 2014-03-13 (주)공명파한지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JP2013184029A (ja) * 2012-03-12 2013-09-19 Daio Paper Corp 汚れ拭きシート、汚れ拭きシート包装体、及び汚れ拭き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485804Y1 (ko) * 2017-10-25 2018-02-26 한경준 이중 패드형 물티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39A1 (ko) * 2019-07-31 2021-02-04 심건우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9569A (ko) 2020-11-03 2022-05-10 박일수 물티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2686A (ja) 2022-10-06
WO2021020739A1 (ko) 2021-02-04
US20220279986A1 (en) 2022-09-08
JP7346709B2 (ja) 2023-09-19
CN217137853U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323B1 (ko) 습윤티슈용의 재밀봉 가능한 디스펜서-컨테이너
US6250829B1 (en) Lotion applicator and enclosure
US7988008B2 (en) Hermetic container
WO2014129394A1 (ja) パックシート包装体
MX2009002265A (es) Recipiente para antitranspirante de piston con vastago roscado.
US20080054011A1 (en) Package for wipes
JPH0645385B2 (ja) ウエツトテイツシュ包装体
KR102121922B1 (ko) 일회용 봉투로 이용가능한 물티슈 제조방법
JP6504643B2 (ja) パックシート包装体
AU2015284484B2 (en) A disposable fluid dispensing reservoir
JPH0126718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CA2443162C (en) Container suitable for dispensing wet wipes
CN110035959B (zh) 包装容器及其使用方法
JPH07291370A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3059633U (ja) 詰替用包装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ーパー
JP3064372U (ja) 詰替用包装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パ―
KR840002226B1 (ko) 재봉함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
JPH08104377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供給キット
JP2003061858A (ja) 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
KR102244703B1 (ko) 개봉이 용이한 부직포 팩
JP2001145582A (ja) 包装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ーパー
US20230072402A1 (en) Pet waste disposal bags
JP2676134B2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3075499U (ja) 詰替用包装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ー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