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268B1 -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268B1
KR102121268B1 KR1020190046118A KR20190046118A KR102121268B1 KR 102121268 B1 KR102121268 B1 KR 102121268B1 KR 1020190046118 A KR1020190046118 A KR 1020190046118A KR 20190046118 A KR20190046118 A KR 20190046118A KR 102121268 B1 KR102121268 B1 KR 10212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erminal
guide
management server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585A (ko
Inventor
이지해
허다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솔
Publication of KR2019012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3Production methods using stereolithograph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구강 내 3차원 이미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하는 치과 단말,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한 플래너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설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계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플래너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피시술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IMPLANT PLACING GUIDE USING SERVER}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성 가이드 트레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 가이드를 제작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작업을 포함하는데,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제대로 식립하기 위하여 흔히 가이드 스텐트 또는 서지컬 가이드라고 불리는 안내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술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 스텐트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73192호(선행문헌 1, 발명의 명칭: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텐트의 제조방법, 공고일: 2014.12.16.), 한국등록특허 제10-1554157호(선행문헌 2,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스텐트 제조방법, 공고일: 2015.09.21.) 등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선행문헌 2에 기재된 가이드 스텐트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 1]이 본 명세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가이드 스텐트 제조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과에서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CT 촬영을 통해 구강 내부(구강 내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며, 오랄 스캔을 통해 3차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의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 오랄 스캔은 시술자가 스캐너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강 내부를 따라 스캔해야 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왜곡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나, CT 촬영으로는 구강 내의 단단한 조직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어서 피시술자의 잇몸이나 치아의 치관 형상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렇게 얻어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3차원 이미지와 외부형상 이미지는 각 이미지에 포함된 치아의 특징이나 마커를 기준으로 영상 정합되며, 영상 정합을 통해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가 생성된다(s2). 시술자는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계획을 수립하며(s3),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가이드 홀이 형성된 스텐트 몸체를 제조한다(s4).
일반적으로 첫 번째 단계(s1)에서 마지막 단계(s4)까지는 약 2~3일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는 각 단계가 모두 하나의 주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가이드 스텐트의 제조는 임플란트 시술자(치과 의사)에 의해 이루어지기 보다는 정밀 가공 설비를 보유한 가이드 스텐트 제조 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스텐트 제조 업체가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 또는 임플란트 시술 계획을 수립하여 가이드 스텐트를 제조하고 시술자가 가이드 스텐트를 배송받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설사 치과가 3D 프린터와 같은 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3D 프린팅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는 바, 피시술자는 비용과 시간 상의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오랄 스캔을 통해 획득되는 외부형상 이미지는 왜곡이 불가피하므로, 영상 정합을 통해 만들어지는 가이드 스텐트가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에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스텐트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성 트레이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제작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참여하는 각 수행 주체가 용이하게 수익을 창출하고, 수익 분배가 형평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설계 및 수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내부 3차원 이미지와 외부형상 이미지를 정합하지 않고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 없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딱 맞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3차원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하는 치과 단말,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설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계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플래너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피시술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참여하는 각 수행 주체가 용이하게 수익을 창출하고, 수익 분배가 형평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설계 및 수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부 3차원 이미지와 외부형상 이미지를 정합하지 않고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이 가능하여, 오차 없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딱 맞는 가이드를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텐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공기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은 치과 단말(40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서버(100)(이하, '관리 서버(100)'라 함), 플래너 단말(200)을 포함하며, 설계 검토용 단말(30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기(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치과 단말(400)은 치과에 구비되는 단말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이 웹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웹에 접속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치과 단말(400)은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3차원 이미지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100)로부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트레이는 치아의 본을 뜨는 인상용 트레이(Impression Tray)와 그 형태는 유사할 수 있으나,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는 기성 가이드 트레이이며, 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와 정합시키는데 사용되며, ⅱ) 가이드 트레이의 종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고, ⅲ) 슬리브 장착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마커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트레이에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마커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마커는 세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일 수 있으며, 따라서 CT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3차원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다. 마커는 가이드 트레이에서 인상재를 수용하는 몸체의 편평한 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마커는 플래너 또는 시술자가 3차원 이미지에서 가이드 트레이를 식별하고, 3차원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정합하는 기준이 된다. 뿐만 아니라, 마커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식립될 위치, 깊이, 방향 등의 설계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시술자는 가이드 트레이에 인상재를 채우고, 트레이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자하는 부위에 끼운 상태에서 CT 촬영을 실시한다. CT 촬영을 통해 획득한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는 구강 내부 중 치관(잇몸 외부로 나타난 치아 상부측), 치근(치조골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잇몸 내에 가려진 치아 하부측), 치조골 등의 내부 조직의 정보를 포함하며, 가이드 트레이의 마커 이미지를 포함한다. 3차원 이미지는 잇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랄 스캔을 통해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와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오랄 스캔이 불필요하므로, 치과 단말(400)은 CT 촬영된 3차원 이미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현저하게 단축되며, 이는 시술 시간 및 비용 절감의 효과로 이어진다.
관리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을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로, 웹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치과 단말로부터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한 플래너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설계 요청 신호는 문자를 통해 발송되는 메시지(SMS)일 수 있으며 플래너 단말(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되는 푸시(push) 알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3차원 이미지 상에 임플란트 시술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정보로, 고정체의 크기, 고정체의 종류, 고정체 식립 위치, 고정체 식립 깊이, 골이식 여부, 상악동 이식술 여부, 잇몸 이식 여부, 사용 도구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플래너 단말(200), 설계 검토용 단말(300) 또는 치과 단말(400)에서 각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 파일(STL 파일 및/또는 PDF 파일)의 형태로 생성, 복제, 전송 및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10)은 플래너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래너 단말(200)은 임플란트 설계 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설계 자격 및 의사 자격을 모두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플래너 단말(200)은 관리 서버로부터 설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설계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3차원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10)은 설계 검토용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 검토용 단말(300)은 의사 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로, 플래너 단말(200)의 사용자가 임플란트 설계 자격과 의사 자격을 모두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에는 동 시스템(1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설계 검토용 단말(300)은 관리 서버로부터 검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검토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검토 결과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수락 신호의 전송은 사용자가 단말(200, 300)을 통해 표시된 메시지(SMS)의 일 링크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행위, 웹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표시된 수락 버튼 또는 링크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행위, 단말(200, 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수락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락 여부를 서버(100)에 전송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10)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기(5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공기(500)'라 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기(500)는 3차원 이미지를 전송한 치과에 구비되는 것으로, 관리 서버 또는 치과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하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이용하여 가이드 트레이의 종류에 대응되는 지그 및 가이드 홀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지그를 이용하여 가이드 트레이에 가이드 홀을 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은 가이드 홀의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를 포함한다. 가공용 파일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 상에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가이드 홀에는 메탈 소재의 슬리브가 장착될 수도 있고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장착되는 경우 가공용 파일에는 슬리브의 위치와 슬리브 장착으로 인해 삭제되는 영역의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가공기(500)를 구비한 경우, 시술자(치과 단말)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에 전송하면, 짧게는 수 분~ 길게는 1-2시간 내에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가공기(500)에 전송하고 -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이 가공기(500)로 바로 전송되는 경우 그마저도 불필요하다. - 피시술자의 인상이 채득된 가이드 트레이를 가공기(500)에 장착하면 가공기(500)가 기 생성된 가이드 트레이에 가이드 트레이와 가이드 홀의 위치, 필요한 지그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가이드 홀을 천공하기만 하면 되므로, 수 분 내에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는 인상재를 채운 뒤 피시술자의 치열 및 잇몸에 끼워 인상을 채득한 후 인상재를 경화시킨 것으로,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이므로 피시술자의 치열 및 잇몸에 오차없이 안착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수정이 불필요하고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은 가공기(500)(또는 밀링기)가 인식 가능한 것으로, 가공기 구동 프로그램인 CAM 프로그램에서 인식 가능한 NC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치과 단말, 플래너 단말, 관리 서버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도 3의 실시 예는 플래너 단말의 사용자가 임플란트 설계 자격과 의사 자격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경우의 일 예이다.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최종 확인(confirmation)은 의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플래너 단말의 사용자가 의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치과 단말은 본 발명의 가이드 트레이가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을 통해 얻어진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한다(S100). 이는, 치과 단말이 CT 촬영을 통해 획득한 3차원 이미지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치과 단말은 3차원 이미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로의 전송은 3차원 이미지의 업로드를 포함한다. 치과 단말에서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3차원 이미지에는 치과 단말의 식별 정보(치과 코드, 치과 이름, 시술자 명 등) 및 피시술자 정보(피시술자의 이름, 나이, 성별,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기타 개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S200), 즉, 3차원 이미지와 기타 정보가 업로드 되면,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00). 설계 요청 신호의 전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업로드 사실을 플래너 단말에 알리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래너 단말은 임플란트 설계 자격과 의사 자격을 보유한 플래너가 사용하는 단말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플래너들은 미리 플래너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 시에는 플래너 단말의 사용자 정보(플래너의 이름, 플래너가 보유한 자격, 플래너로 활동한 이력 등)을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플래너가 보유한 자격을 확인 후 플래너 별로 상이한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설계 자격만 보유한 플래너는 레벨 A, 임플란트 설계 자격과 의사 자격을 모두 보유한 플래너에게는 레벨 S를 부여하는 식이다. 즉, 플래너들은 보유하고 있는 기술에 따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 서버는 플래너의 보유 이력에 따라 플래너를 분류할 수 있으며, 치과 단말의 피드백(별점 또는 리뷰)에 따라 플래너를 분류할 수 있다.
플래너는 미리 등록한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단말에 관계없이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시간을 지정하여 설계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설계 요청 신호의 수신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플래너는 설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플래너가 플래너 단말에 상기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하면, 플래너 단말은 설계 요청 신호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400).
관리 서버는 설계 요청 신호의 수락이 수신되면,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하는 플래너 단말에 3차원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S500). 설계 요청 신호의 수락과 이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의 전송은 관리 서버와 플래너 간 계약의 성사를 의미하며, 단계 500은 플래너가 플래너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3차원 이미지 파일(CT 파일, dicom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동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플래너 단말로부터 설계 요청 신호의 수락을 수신한 경우,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플래너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하는 신호가 관리 서버에 도착한 순서를 기준으로 플래너 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기 등록된 플래너 정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설계 이력이 가장 적거나 가장 많은 플래너 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다. 플래너 단말을 선택하는 기준은 관리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의 플래너 단말을 선택할지, 복수의 플래너 단말을 선택할지 여부 또한 관리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한 플래너 단말은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생성한다(S600).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3차원 이미지 상에 임플란트 시술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정보로, 고정체의 크기, 고정체의 종류, 고정체 식립 위치, 고정체 식립 깊이, 골이식 여부, 상악동 이식술 여부, 잇몸 이식 여부, 사용 도구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의 크기, 고정체의 종류 등의 정보는 플래너 단말에 구비 또는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플래너 단말에 입력될 수 있으며, 플래너 단말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 파일(STL 파일 및/또는 PDF 파일)의 형태로 생성, 복제, 전송 및 저장될 수 있다.
플래너 단말은 생성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700). 임플란트 설계 정보의 관리 서버로의 전송은, 플래너 단말이 관리 서버에 대응하는 웹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임플란트 설계 정보(STL 파일 및/또는 PDF 파일)을 업로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리 서버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 플래너 단말의 분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플래너 단말이 임플란트 설계 자격과 의사 자격을 모두 보유한 플래너의 단말인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 서버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800).
단계 800은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가공기가 인식 가능한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작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800에서 관리 서버(100)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가공기(500)가 인식할 수 있는 NC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형식의 파일(예- CAD 파일, STL(Stereo Lithography) 파일)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예-NC 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관리 서버의 고유 권한일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웹 또는 클라우드 상에서만 실행되는 CA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관리 서버에 의해서만 가공기가 가공 가능한 형식의 파일로 변환되도록 임플란트 설계 정보 생성 시 암호화될 수 있다. 또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생성 가능한 파일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은 기 지정된 가공기에 의해서만 실행 가능한 형식을 갖는 파일일 수 있다.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관리 서버의 고유 권한으로 하는 것은, 관리 서버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또는 출력)하는 것을 기반으로 수익 모델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관리 서버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이 생성되면(S800), 해당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요청한 치과(단말) 또는 가공기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카드 정보 또는 계좌 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30). 만약 카드 정보 또는 계좌 정보가 등록된 치과인 경우, 해당 치과에 가이드 가공용 파일의 생성을 알려주고(S850), 가공용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S900). 단계 900은 치과 단말이 웹 서버(100)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파일 전송 후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용 파일 전송에 해당하는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S1000). 단계 1000은 단계 850 및 단계 900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단계 830에서의 판단 결과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요청한 치과의 결제 정보가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관리 서버(100)는 해당 치과 단말의 서버(100)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가 웹 서버인 경우, 결제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치과 단말의 웹 서버 접속을 차단하거나 권한을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관리 서버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치과 단말 또는 가공기로 전송하고(S90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의 출력 횟수 또는 전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횟수만큼 치과 단말에 설계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S1000).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실시 예로 서비스 금액의 청구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800 또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900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치과 단말로부터 비용 청구에 대응하는 서비스 금액이 입금되거나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단계 800 또는 단계 900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제 정보는 서버에 미리 등록된 결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치과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웹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는 결제 정보 수신을 위한 결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치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서비스 금액이 입금되면 기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임플란트 설계를 수행한 플래너 단말 1과 연계된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S1100)
실시 예 2: 치과 단말, 플래너 단말, 설계 검토용 단말, 관리 서버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단말(400), 플래너 단말(200), 설계 검토용 단말(300), 관리 서버(100)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플래너 단말은 임플란트 설계 자격만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이며, 설계 검토용 단말은 의사 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서 생략된 일부 단계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도 5 플래너 단말이 도 4의 플래너 단말 1인 것으로 가정)
임플란트 설계 자격만 보유한 플래너에 의해 생성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의 경우 의사 자격을 보유한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계 300에서의 설계 요청 신호 전송에 대응하여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한 플래너 단말이 임플란트 설계자격만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플래너의 단말이라면, 관리 서버는 도 5의 단계 710 내지 단계 760과 같이 생성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검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00부터 다시 설명하면, 관리 서버는 플래너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며,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설계 검토용 단말에 검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10). 검토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설계 검토용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검토 요청 신호 수락이 전송되면(S720), 관리 서버는 검토 요청 신호를 수락한 설계 검토용 단말에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30). 설계 검토용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720 내지 730은 도 4의 단계 300 내지 단계 400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검토 요청 신호의 수락 및 임플란트 설계 정보의 전송은 관리 서버와 설계 검토용 단말 간 계약 성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설계 검토용 단말은 관리 서버에 검토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740). 검토 결과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수정 의견 및 수정 사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졌다는 컨펌 의견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검토 결과를 확인하고(S750), 검토 결과에 수정 의견이 포함된 경우, 검토 결과를 플래너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S753).
수정 의견이 포함된 검토 결과를 수신한 플래너 단말은 검토 결과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나(S755), 관리 서버를 구비한 센터 내에 플래너가 존재하는 경우, 관리 서버는 내부적으로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또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기계 학습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가 자체적으로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다시 관리 서버로 전송되며(S760), 관리 서버는 이를 다시 설계 검토용 단말에 전달하여(S765), 수정이 불필요할 때까지 수정 및 검토가 반복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검토 결과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관리 서버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치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S770), 치과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승인받으면(S78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800). 참고로 단계 770 및 단계 780은 도 4의 실시 예에서도 단계 800 실행 전 적용 가능하다. 즉, 치과 단말에게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확인받은 후에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불필요한 파일 변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단계 730에서 설계 검토용 단말에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생성한 플래너 단말과 3차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공유 및 수정할 수 있는 원격 접속 주소와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계740 내지 단계 760 없이 플래너 단말과 설계 검토용 단말 간 실시간 수정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 접속 주소를 수신한 설계 검토용 단말은 플래너 단말에 원격 접속하여(S735),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공유 및 수정할 수 있다(S737). 이 경우, 관리 서버를 통해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주고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수정 및 컨펌 단계가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원격 접속을 통한 임플란트 설계 정보의 공유 및 수정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응용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원격 접속을 지원하는 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 예를 도시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시스템은 도 10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치과 단말이 수정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S790). 치과 단말이 수신한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단계 780과 같이 승인을 회신하는 것이 아닌 수정 요청을 회신하는 경우(S790), 관리 서버는 수정 요청을 플래너 단말에 전달하고(S793), 수정 요청이 반영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여 치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S797), 치과 단말로부터 승인을 수신할 때까지 단계 793 내지 단계 797을 반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의 실시 예에서도 도 4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기 전 또는 후에 서비스 금액을 치과 단말에 요청할 수 있으며(S1000), 플래너 단말과 연계된 계좌에 기 설정된 설계 비용을 송금하고, 설계 검토용 단말과 연계된 계좌에는 기 설정된 설계 검토 비용을 송금할 수 있다(S1100).
실시 예 3: 단말, 관리 서버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는 ⅰ) 관리 서버를 구비한 센터에서 임플란트 시술의 전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이 경우 단말은 센터 내에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 관리 서버는 센터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ⅱ) 치과 단말을 구비한 치과와 관리 서버를 구비한 센터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이 경우 단말은 치과 단말, 관리 서버는 센터에 구비된 서버(웹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의 일 예이다.
단말은 가이드 트레이가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0). 3차원 이미지의 획득은 CT 촬영 장치로부터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은 단말 사용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20).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는 단말과 연결된 입력 수단을 통해 3차원 이미지 상에 임플란트 시술 계획을 드로잉할 수도 있고, 고정체의 크기, 고정체의 종류, 고정체 식립 위치, 고정체 식립 깊이, 골이식 여부, 상악동 이식술 여부, 잇몸 이식 여부, 사용 도구 순서 등을 기재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STL 파일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CAD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STL 파일 및 시술 방법에 대해 기재된 PDF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임플란트 설계 정보가 입력되면,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따라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 상에 가이드 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홀의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30). 가이드 가공용 파일의 생성은 임플란트 설계 정보 파일인 STL 파일을 NC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일 변환은 웹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구동되는 CAM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웹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고, 파일이 변환되면 변환된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식으로 파일을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단말을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파일을 변환할 수도 있다.
생성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은 가공기로 전송되며(S40), 가공기는 수신된 가공용 파일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가공한다(S5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가공은 피시술자의 구강에 삽입되었던 가이드 트레이에 가이드 홀을 천공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며, 3D 프린팅이나 정교한 작업을 요하지 않아 가공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단계 50을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공기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에 포함된(3차원 이미지에 나타나는) 가이드 트레이의 마커 개수, 마커의 형태, 복수 개의 마커가 이루는 각도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 트레이를 식별할 수 있다(S51). 가이드 트레이는 그 용도 및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이드 트레이는 그 종류 별로 고유의 식별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유의 마커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즉, 3차원 이미지에 나타나는 마커의 개수, 형태, 복수 개의 마커가 이루는 각도 및 형상이 각 고유 식별 번호에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기는 가이드 트레이를 식별하면, 식별된 가이드 트레이에 대응되는 트레이 라이브러리 및 지그 라이브러리를 탐색할 수 있다(S53). 트레이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가이드 트레이의 외형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지그 라이브러리는 가이드 트레이 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공기 지그의 외형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가공기는 식별된 가이드 트레이에 매칭되는 지그를 이용하여 가이드 홀을 천공할 수 있다(S55).
이후 단말에서의 가공 내역은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S60), 관리 서버는 가공 내역을 기록하고(S70), 그에 따라 치과 단말에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S80). 그러나 단계 60에서 단계 80은 부가적인 것으로 생략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을 정리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CT 촬영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3차원 이미지 상에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3차원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트레이의 마커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에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정합시킨다.
전자 장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따라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 상에 가이드 홀의 위치를 표시하고, 가이드 홀의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한다. 전자 장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이용하여 가이드 트레이에 가이드 홀을 생성하며, 가이드 트레이는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장치는 가이드 홀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포함된 임플란트 고정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 상에 가이드 홀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이드 홀을 중심으로 지그 삽입을 위한 삭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의 생성 횟수에 대응하는 비용을 기 설정된 서버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서버(관리 서버)
200: 플래너 단말
300: 설계 검토용 단말
400: 치과 단말
500: 가공기

Claims (24)

  1.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서버가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구강 내 3차원 이미지를 치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a 단계;
    기 등록된 복수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b 단계;
    상기 복수의 플래너 단말 중 상기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한 제1 플래너 단말에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대해 상기 제1 플래너 단말과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간주하는 c 단계;
    상기 제1 플래너 단말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d 단계;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 상에 가이드 홀의 위치가 표시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e 단계;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상기 치과 단말 또는 치과에 구비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기에 전송하는 f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이미지에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정합시키는 단계;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 상에 가이드 홀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홀의 위치가 표시된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래너 단말이 임플란트 설계 자격만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이면,
    상기 d 단계 이후,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설계 검토용 단말에 검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토 요청 신호를 수락한 제1 설계 검토용 단말에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설계 검토용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검토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검토 결과를 상기 제1 플래너 단말에 재전송하거나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상기 치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e 단계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계 검토용 단말은 의사 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인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설계 검토용 단말에 상기 제1 플래너 단말과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공유 및 수정할 수 있는 원격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치과 단말 또는 상기 가공기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결제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상기 치과 단말 또는 상기 가공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상기 치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상기 치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수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정 요청을 상기 제1 플래너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래너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 요청이 반영된 제1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상기 치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고정체의 크기, 고정체의 종류, 고정체 식립 위치, 고정체 식립 깊이, 골이식 여부, 상악동 이식술 여부, 잇몸 이식 여부, 사용 도구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단말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e 단계 또는 상기 f 단계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금액에서 기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 플래너 단말과 연계된 계좌에 송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래너 단말과 연계된 계좌에 기 설정된 설계 비용을 송금하고, 상기 제1 설계 검토용 단말과 연계된 계좌에 기 설정된 설계 검토 비용을 송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STL(Stereo Lithography) 형식의 파일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관리 프로그램.
  16. 플래너 단말이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로부터 설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계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입력 받아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구강 내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와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너 단말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기 설정된 설계 금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너 단말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방법.
  18. 제16항 내지 제17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플래너 단말의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프로그램.
  19.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인상재가 채워진 가이드 트레이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CT 촬영된 구강 내 3차원 이미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하는 치과 단말;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면, 기 등록된 복수의 플래너 단말에 설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설계 요청 신호를 수락한 제1 플래너 단말에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대해 상기 제1 플래너 단말과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 플래너 단말로부터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생성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설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계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와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설계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플래너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형상이 인상되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는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검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검토 요청 신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설계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검토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설계 검토용 단말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전송한 치과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용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상기 가이드 홀을 천공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가공기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90046118A 2018-04-20 2019-04-19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21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78 2018-04-20
KR20180045978 2018-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585A KR20190122585A (ko) 2019-10-30
KR102121268B1 true KR102121268B1 (ko) 2020-06-10

Family

ID=684629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23A KR102121269B1 (ko) 2018-04-20 2019-04-19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6128A KR102128870B1 (ko) 2018-04-20 2019-04-19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6118A KR102121268B1 (ko) 2018-04-20 2019-04-19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23A KR102121269B1 (ko) 2018-04-20 2019-04-19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6128A KR102128870B1 (ko) 2018-04-20 2019-04-19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21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582A1 (ko) *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660171B2 (en) 2019-10-18 2023-05-30 Imsol Corp.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implant placing guide
KR102291698B1 (ko) 2020-04-17 2021-08-23 (주)더덴탈솔루션 신속한 보철치료를 위한 보철물 제작 장치와 방법, 그 보철물 제작을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03685A (ko) 2021-06-29 2023-01-06 한상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4125A1 (en) * 2014-04-07 2015-10-15 Instaguide Pty Ltd Dental implant guide formation system
KR101659323B1 (ko) 2015-03-03 2016-09-23 주식회사 디오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97152B1 (ko) 2016-09-02 2017-11-13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KR101797154B1 (ko) 2016-09-02 2017-12-12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101810035B1 (ko) 2016-11-28 2017-12-1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385A (ko) * 2009-04-24 2010-11-03 이태경 마커를 구비한 트레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이미지 매칭 방법
KR101473192B1 (ko) 2013-11-25 2014-12-16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KR101631256B1 (ko) 2015-03-09 2016-06-16 주식회사 디오 트레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제조방법
KR101706332B1 (ko) * 2015-07-28 2017-02-15 주식회사 디오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8936B1 (ko) 2017-06-16 2018-11-15 김종철 트레이 겸용 가이드 및 트레이 겸용 가이드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4125A1 (en) * 2014-04-07 2015-10-15 Instaguide Pty Ltd Dental implant guide formation system
KR101659323B1 (ko) 2015-03-03 2016-09-23 주식회사 디오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97152B1 (ko) 2016-09-02 2017-11-13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KR101797154B1 (ko) 2016-09-02 2017-12-12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101810035B1 (ko) 2016-11-28 2017-12-1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870B1 (ko) 2020-07-01
KR20190122586A (ko) 2019-10-30
KR20190122585A (ko) 2019-10-30
KR20190122587A (ko) 2019-10-30
KR102121269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268B1 (ko)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3278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sign, creation and installation of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CN112294467B (zh) 种植牙手术计划方法、装置及计算机程序
US2010010501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Implant Planning And Tooth Implant Kits
KR101277091B1 (ko) 통합 치과 공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9437A (ko) 치과용 제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제조 공정
US20110320217A1 (en) Preparation of dental implant surgery and prosthesis installation
US1193121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implant placing guide
KR102227252B1 (ko) 치과의 보철 치료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리 방법
KR102417565B1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KR101797154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JP7382582B2 (ja) 技工物自動設計システム
JP2021039528A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KR101559462B1 (ko)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60582A1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674894B (zh) 种植牙植入导件制作系统、方法及计算机程序
KR20230046389A (ko) implant환봉을 이용한 bite block 제작방법 및 STL파일 제작방법
JP2021039717A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CN111832091A (zh) 基于云平台的口腔修复产品医工交互个性化定制系统
KR2017010348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용 맞춤형 제조법
EP2377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and multi-site, interactive treatment simulation
KR101797152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KR100485308B1 (ko) 인터넷과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치아 모형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37350B2 (en) System and method of treatment for correcting tooth maloccl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