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152B1 -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152B1
KR101797152B1 KR1020160113021A KR20160113021A KR101797152B1 KR 101797152 B1 KR101797152 B1 KR 101797152B1 KR 1020160113021 A KR1020160113021 A KR 1020160113021A KR 20160113021 A KR20160113021 A KR 20160113021A KR 101797152 B1 KR101797152 B1 KR 10179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drilling
fixture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1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152B1/ko
Priority to PCT/KR2016/012962 priority patent/WO20180438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드릴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되되 상기 대상자별로 분류되어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전송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플래닝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하는 플래닝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수정정보 및 승인정보 입력에 따라 재설정 및 승인되는 제1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되는 제2단계;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위치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되되, 상기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에 따라 드릴장치의 사용순서 및 삽입깊이를 안내하는 프로토콜 리포트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드릴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고 픽스츄어를 식립한 후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결합하는 과정으로 구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형성하는 과정은 시술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경험자에게도 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특히, 천공을 형성하는 공정과정은 잇몸 제거, 치조골 위치 설정, 평탄화, 초기홀 형성 및 확장, 나사산 형성 등 다양한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별로 상이한 직경과 형상을 가진 드릴장치 및 드릴보조장치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각 공정단계별로 가이드홀의 위치, 치조골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드릴장치 및 드릴보조장치를 선택하고, 각 공정단계에 적합한 깊이로 드릴링을 수행하는데 혼란이 유발되었으며 공정의 정밀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공정단계에 사용되는 드릴장치가 사용자의 기억 내지는 경험에 따라 선택되므로 실수나 혼란에 의해 드릴장치의 사용순서가 뒤바뀌는 경우가 많았으며, 형성된 천공이 픽스츄어와 정확하게 매칭되지 못해 골융착이 더뎌 지거나 골융착 후 픽스츄어가 틀어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938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드릴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되되 상기 대상자별로 분류되어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전송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플래닝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하는 플래닝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수정정보 및 승인정보 입력에 따라 재설정 및 승인되는 제1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되는 제2단계;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위치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되되, 상기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에 따라 드릴장치의 사용순서 및 삽입깊이를 안내하는 프로토콜 리포트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를 통해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한 공정진행시 단계별로 드릴장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므로 각 단계에 적합한 드릴장치가 혼란 없이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드릴장치 이미지와 함께 삽입깊이를 비롯한 공정 전반에 대한 정보가 안내되므로 드릴장치를 이용한 공정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대상위치의 복수 선택시, 복수의 대상위치에 중복 적용되는 드릴장치에 동등한 사용순서가 부여되도록 드릴링가이드정보가 합산 및 재정렬되어, 기표시된 하나의 드릴장치 이미지가 중복 적용되는 모든 대상위치 및 삽입깊이 등이 안내된 후 후속 드릴장치 이미지가 전환 표시되므로 드릴장치의 교체 횟수가 최소화되어 드릴링 공정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복수의 구분이미지가 나열되어 표시되되, 구분이미지의 터치시 턴오버 방식으로 이미지화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요약되어 표시되므로 공정과정의 확인이 요구되는 대상자의 플래닝데이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플래닝데이터의 선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플래닝데이터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수정정보의 입력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승인된 플래닝데이터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용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플래닝데이터의 선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플래닝데이터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수정정보의 입력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에서 승인된 플래닝데이터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용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은 이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되도록 대상자의 플래닝데이터가 설정 및 승인된다(s100). 상세히,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가 대상자정보와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제조자 서버(200)로 전송된다(s10).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0), 송수신부(11), 제1입력부(14), 제2입력부(15), 명령처리부(12)를 포함하는 패드, 노트북, 데스크탑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부(11)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상기 제조자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부(11)를 통해 3차원 이미지가 상기 제조자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1)를 통해 구분이미지, 요약이미지, 치열궁 이미지, 프로토콜 리포트 등이 수신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 저장부(1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명령처리부(12)는 상기 제1입력부(14)에 입력된 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11)가 각종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부(13)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제2입력부(15)에 입력된 전환명령에 따라 저장부(13)에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조자 서버(200)는 외부자가 접속할 수 없거나 외부자의 접속시 내부자료를 조회할 수 없는 폐쇄형으로 구비되며, 기등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ID와 비밀번호 등으로 상기 제조자 서버(200)에 대한 접속이 승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상기 제조자 서버(200)와 접속되면, 복수의 대상자에 대해 리스트화된 구분이미지(2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되는 대상자선택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1입력부(14)를 통해 상기 구분이미지(20)를 선택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제조자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부(14)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전면에 구비된 터치패널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구분이미지(20)를 터치하여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신규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추가 입력하여 3차원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며, 신규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가 입력되면 분류코드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류코드별로 대상자정보 및 3차원 이미지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조자 서버에 복수의 3차원 이미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3차원 이미지가 각 대상자에 따라 분류되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자정보는 대상자의 성명, 이미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류코드는 복수의 대상자에 대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부여된 번호 내지 문자의 조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 서버에 3차원 이미지가 전송되면(s10),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접속된 상기 플래닝 단말기를 통해 플래닝데이터가 설정되어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저장된다(s20).
이때, 상기 플래닝데이터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이미지는 CT 촬영 이미지, 오랄스캔 이미지, 또는 CT 촬영 이미지 및 오랄스캔 이미지의 정합을 통해 획득된 3차원 통합 이미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CT 촬영장치를 통해 CT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조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래닝 단말기는 CT 촬영 이미지를 후술될 일련의 처리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CT 촬영 이미지와 함께 오랄스캐너를 통해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를 제조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래닝 단말기는 CT 촬영 이미지 및 오랄스캔 이미지를 정합하여 3차원 통합 이미지를 획득한 후 후술될 일련의 처리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차원 이미지가 CT 촬영 이미지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조자 서버로 전송된 3차원 이미지에는 제조자 서버 혹은 플래닝 단말기의 전문가 그룹을 통한 해부학적 분석에 따라 하악 치조의 신경, 상악동 및 전치부 절치공 형상, 골밀도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골형상 정보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이미지에 포함된 치조골의 골량, 골밀도, 형상 및 상기 3차원 이미지에 표시된 신경 및 골형상 정보를 통해 대상위치,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위치는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서 치과 임플란트가 요구되는 부분으로, 하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대상위치, 대상위치에 적합한 픽스츄어의 규격(직경, 길이), 3차원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를 안내하는 정보인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천공을 형성하는 공정단계는 잇몸 제거, 치조골 평탄화, 포인트홀 형성, 초기홀 형성, 초기홀 확장, 확장홀 정리, 나사산 형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는 각 공정단계별로 사용되는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구분정보와, 각 드릴장치가 사용될 대상위치에 대한 대상위치정보, 각 드릴장치에 대한 대상위치에서의 삽입깊이를 나타내는 삽입깊이정보, 각 드릴장치 간의 선후 사용순서를 나타내는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는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천공의 형상, 위치, 치조골의 골량 등에 따라 상기 플래닝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래닝데이터는 하나의 대상자에 대한 것으로 복수의 대상위치별 식립정보와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는 하나의 대상위치에 관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립정보,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는 상기 3차원 이미지, 대상자정보와 함께 플래닝데이터로써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저장되되, 상기 플래닝데이터는 분류코드에 따라 대상자별로 구분되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된 3차원 이미지에 대한 플래닝데이터가 저장되면(s2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접속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플래닝데이터를 검토할 수 있다.
이때, 도 1b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된다(s30).
상세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복수의 대상자에 대한 플래닝데이터가 저장된 제조자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각 대상자에 대응되는 구분이미지(20)가 리스트화되어 출력되는 대상자선택모드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상기 구분이미지(20)는 플래닝데이터에 포함된 대상자정보에 따라 대상자의 성명, 분류코드, 이미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이미지(20)에는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1), 플래닝확인버튼(22), 안내시작버튼(23) 등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 등의 플래닝데이터의 설정이 완료된 구분이미지(20)에는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1), 플래닝확인버튼(22) 등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플래닝데이터의 검토가 완료된 구분이미지(20)에는 플래닝확인버튼(22), 안내시작버튼(23)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입력부(14)를 통해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1) 내지 플래닝확인버튼(22)을 터치하여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 등의 설정이 미완료된 구분이미지(20)에는 플래닝확인버튼(22), 안내시작버튼(23)이 선택될 수 없도록 비활성화된다.
이때, 상기 구분이미지(20)가 가선택, 즉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구분이미지(20)의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1)이 선택되면, 상기 구분이미지(20)가 턴오버되어 상기 플래닝데이터의 요약이미지(20a)가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분이미지(20)가 가선택되면, 상기 가선택된 구분이미지(20)에 대응되는 플래닝데이터로부터 치열궁 이미지(25)와 검토뷰이미지(30)가 추출된다.
이때, 상기 치열궁 이미지(25)는 대상위치가 표시된 대상자의 치아의 배열을 나타낸 평면 이미지이고, 상기 검토뷰이미지(30)는 하나의 픽스츄어 3차원 위치를 기준으로 한 복수의 단면 이미지로 구비되며, 상기 치열궁 이미지(25) 및 상기 검토뷰이미지(30)는 상기 플래닝데이터 내에 기설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검토뷰이미지(30)는 대상위치가 복수개인 경우 대상위치별 복수 세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대표 대상위치에 대한 하나의 검토뷰이미지(30) 세트가 요약이미지(20a)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치열궁 이미지(25) 및 상기 검토뷰이미지(30)가 상기 구분이미지(20)의 면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 변환되어 상기 요약이미지(20a)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요약이미지(20a)의 상단에는 대상자정보 중 일부(성명)가 표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요약이미지(20a)가 표시된 상태에서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4)이 재선택되면 상기 요약이미지(20a)가 턴오버되어 상기 구분이미지(20)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구분이미지(20)의 플래닝확인버튼(22)이 선택되면, 상기 플래닝데이터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수정정보 및 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플래닝확인모드가 활성화된다(s30).
상세히, 상기 플래닝확인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 및 타측이 기설정된 비율로 구획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구획된 일측에 상기 구분이미지(20)와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대상위치(25a,25b)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25)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치열궁 이미지(25)의 하부에 수정요청버튼(26)과 승인버튼(27)이 선택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구획된 타측 상단에는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드릴링가이드정보, 대상자의 과거시술내역이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탭버튼(28a,28b,28c)이 구비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프로토콜탭(28b)이 선택되면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이미지로 변환된 로드맵 리포트(50)가 출력되며, 도 3c와 같이, 히스토리탭(28c)이 선택되면 대상자의 과거시술내역이 히스토리이미지(60)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히스토리이미지(60)에는 각 시술의 플래닝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과거정보확인버튼(6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래닝탭(28a)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구획된 타측에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검토뷰이미지(30a,30b,30c,30d),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0) 등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래닝데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의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에 픽스츄어의 3차원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검토단면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각 검토단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검토뷰이미지(30a,30b,30c,30d)와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1,42)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검토뷰이미지(30a,30b,30c,30d) 및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1,42)는 상기 각 대상위치(25a,25b)별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토뷰이미지(30a,30b,30c,30d)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이미지화된 픽스츄어 이미지(31)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 이미지(31)는 상기 픽스츄어의 규격에 대응되는 외형의 외곽선 타입으로 구비되어 픽스츄어 및 치조골/잇몸/신경 등과 관계가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제1검토뷰이미지(30a)는 상기 픽스츄어의 축선을 기준으로 한 구순방향 단면으로 검토단면이 설정되며, 제1검토뷰이미지(30a)를 통해 복수의 픽스츄어 간 위치관계, 중첩 여부 또는 대합치아 간 저작면과 픽스츄어의 배치방향 등이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검토뷰이미지(30b)는 상기 픽스츄어의 반경방향 단면, 즉 저작면과 평행한 검토단면이 설정되며, 제2검토뷰이미지(30b)를 통해 치열궁 상에서 픽스츄어의 위치가 검토될 수 있다.
또한, 제3검토뷰이미지(30c)는 상기 픽스츄어의 축선을 기준으로 한 치열궁의 경사방향 단면으로 검토단면이 설정되며, 제3검토뷰이미지(30c)를 통해 픽스츄어 및 픽스츄어에 인접한 잔존치아/픽스츄어에 인접한 다른 픽스츄어 간의 영향관계가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검토뷰이미지(30d)는 상기 픽스츄어의 축선을 기준으로 한 치열궁의 폭방향 단면으로 검토단면이 설정되며, 제4검토뷰이미지(30d)를 통해 픽스츄어를 지지할 수 있는 픽스츄어의 전/후 방향 잔여 치조골의 골밀도 및 골량이 검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0)는 픽스츄어의 외형 이미지(41)와, 픽스츄어의 대상위치, 품번, 길이, 직경에 대한 텍스트이미지(42)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제3, 제4검토뷰이미지(30b,30c,30d)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수정정보입력모드가 활성화되어 상기 식립정보에 대한 수정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대상위치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각 검토뷰이미지 세트별로 수정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정정보입력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 제3, 제4검토뷰이미지(30b,30c,30d)에 위치조절버튼(32)과 각도조절버튼(33)이 활성화되고, 상기 각 검토뷰이미지(30b,30c,30d)에 가상 배치된 픽스츄어 이미지(31a,31b)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먼저, 상기 각 검토뷰이미지(30b,30c,30d)에 상기 플래닝데이터에 기설정된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제1픽스츄어 이미지(31a)가 제1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2픽스츄어 이미지(31b)가 상기 제1픽스츄어 이미지(31a)와 중첩되는 위치에 제2색으로 표시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여기서, 상기 각 픽스츄어 이미지(31a,31b)가 제1색 및 제2색으로 표시된다는 의미는, 상기 각 픽스츄어 이미지(31a,31b)가 시각적으로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제1색이 녹색, 제2색이 적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색이 점선, 제2색이 실선 등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버튼(32) 및 상기 각도조절버튼(33)을 선택되거나, 상기 제2픽스츄어 이미지(31b)가 드래그되어 이동되며 수정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검토뷰이미지(30b,30c,30d)의 하부에는 상기 제1픽스츄어 이미지(31a)로부터 상기 제2픽스츄어 이미지(31b)까지의 3차원 위치 변화량이 산출되어 표시(34)된다.
이때, 상기 각 검토뷰이미지(30b,30c,30d)의 3차원 위치 변화량은 각 검토단면의 좌표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이처럼, 각 검토뷰이미지에 표시된 픽스츄어 이미지를 드래그하거나 위치조절버튼, 각도조절버튼을 선택하는 등과 같은 이미지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수정정보가 손쉽게 입력될 수 있으면서도 각 검토단면의 X, Y 좌표계를 중심으로 식립정보 및 수정정보 간의 편차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므로 플래닝데이터에 대한 수정과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토뷰이미지(30b,30c,30d) 중 하나의 제2픽스츄어 이미지(31b)가 이동되어 수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3차원 위치 변화량이 상기 각 검토단면의 좌표계에 대응되도록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검토뷰이미지(30b,30c,30d) 중 수정정보가 입력된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의 제2픽스츄어 이미지(31b)가 상기 변환된 3차원 위치 변화량에 따라 연동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검토뷰이미지(30b)의 X, Y 좌표계는 픽스츄어의 반경방향 단면에서 설정되며, 제3검토뷰이미지(30c)의 X, Y 좌표계는 상기 픽스츄어의 축선 위치의 치열궁 경사방향 단면에서 설정되고, 제4검토뷰이미지(30d)의 X, Y 좌표계는 상기 픽스츄어의 축선 위치의 치열궁 폭방향 단면에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제2검토뷰이미지(30b)의 X, Y 변화량은 상기 제3검토뷰이미지(30c) 및 제4검토뷰이미지(30d)의 X 변화량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검토뷰이미지(30c) 및 제4검토뷰이미지(30d)의 Y 변화량은 상호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구강내부 및 픽스츄어의 3차원 정보가 각 검토단면을 따라 2차원의 검토뷰이미지로 출력되어 픽스츄어의 적합성이 손쉽게 검토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검토뷰이미지에 입력된 수정정보가 각 이미지의 좌표계로 변환되어 자동으로 다른 검토뷰이미지에 연동되어 반영될 수 있으므로 플래닝데이터의 검토 및 수정과정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1,42)가 선택되면, 복수의 픽스츄어가 종류 및 규격별로 이미지 변환되어 리스트화된 픽스츄어 리스트(43)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 리스트(43)에 표시된 픽스츄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규격, 직경, 길이 등이 재설정될 수 있으며, 재설정된 픽스츄어는 상기 검토뷰이미지(30a,30b,30c,30d) 및 상기 픽스츄어의 상세정보이미지(40)에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의 3차원 위치 및 규격이 재설정되면,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재설정되며 상기 프로토콜탭(28b)의 선택시 출력되는 로드맵 리포트(5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토뷰이미지(30) 하부의 메모입력창(35)을 통해 드릴링가이드정보의 검토내역이나 수정정보의 반영시 요청사항이 추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래닝탭(28a), 프로토콜탭(28b), 히스토리탭(28c)에 대한 검토 및 수정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수정요청버튼(26)을 선택하여 수정정보입력모드를 통해 입력된 수정정보가 상기 플래닝데이터에 설정되어 상기 제조자 서버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승인버튼(27)은 수정정보의 입력시 비활성화되며, 별도의 수정정보 입력이 없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승인버튼(27)이 선택되면 승인정보가 상기 플래닝데이터에 설정되어 상기 제조자 서버로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입력부(14)를 통해 각종 버튼을 선택하여 수정정보, 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정정보가 입력되면(s30), 상기 입력된 수정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 단말기에 의해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재설정된다(s40).
그리고,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재설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제조자 서버에 접속되고, 구분이미지(20)를 통해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되며, 상기 플래닝확인모드를 통해 플래닝데이터가 검토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정정보의 입력 및 플래닝데이터의 재설정 과정은 상기 플래닝데이터에 승인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데이터에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승인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정보가 설정된다(s50).
이때, 상기 설정된 제조정보를 기반으로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되어 픽스츄어 등의 보철물과 함께 상기 클라인트 단말기측 주소지로 배송된다(s60).
한편,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승인되어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정보 설정이 완료되면(s5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승인된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s200).
즉, 도 2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접속되면, 제조자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대상자 및 플래닝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구분이미지가 리스트화되어 출력되는 대상자선택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때, 상기 출력된 복수의 구분이미지 중 플래닝데이터가 승인되어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 및 배송된 구분이미지에는 플래닝확인버튼(22) 및 안내시작버튼(23)이 활성화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제1입력부(14)를 통해 구분이미지(20)의 요약정보표시전환버튼(21)이 선택되면 구분이미지가 턴오버되어, 구분이미지에 대응되는 플래닝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치열궁 이미지(25) 및 검토뷰이미지(30)가 축소 변환되어 요약이미지(20a)로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조자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복수의 구분이미지가 나열되어 표시되되, 구분이미지의 터치시 턴오버 방식으로 이미지화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요약되어 표시되므로 공정과정의 확인이 요구되는 대상자의 플래닝데이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플래닝확인버튼(22)이 선택되면, 플래닝확인모드가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등을 재검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안내시작버튼(23)이 선택되면, 안내모드가 활성화된다.
상세히, 상기 안내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 및 타측이 기설정된 비율로 구획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구획된 일측에 상기 구분이미지(20)와 키트안내이미지(70a)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타측에 제1검토뷰이미지(30a) 및 안내요약정보(70b)가 출력되며, 상기 안내요약정보(70b)는 대상위치별로 픽스츄어의 품번, 규격, 드릴링 깊이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이미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제2입력부(15)를 통해 전환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구획된 타측에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위치(25a,25b)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25)가 출력된다(s300).
여기서, 상기 제2입력부(15)는 상기 명령처리부(12)와 유무선 신호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입력부(15)는 바닥과 같은 사용자의 발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패달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로 패달장치를 밟으면 전환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터치패널을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각종 안내 이미지가 손쉽게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내모드에서 상기 치열궁 이미지(25)가 출력되면, 상기 각 대상위치별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매칭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열궁 이미지(25)의 측부에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태그이미지(70c,70d)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이미지(70c,70d)는 픽스츄어의 규격에 따른 외형이미지와, 픽스츄어의 직경, 길이, 삽입깊이를 안내하는 텍스트이미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이미지(70c,70d)나 상기 치열궁 이미지(25)를 통해 대상위치(25a,25b)가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픽스츄어의 식립정보에 대한 외형 이미지 및 각종 문자 정보를 간략하게 안내하는 태그이미지가 치열궁 이미지에 표시되므로 드릴장치의 사용과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위치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입력부(14)인 터치패널을 터치 입력하여 하나 내지 복수의 대상위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대상위치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2입력부(15)인 패달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전환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된다.
즉, 상기 플래닝데이터는 하나의 대상자에 대한 복수의 대상위치별 식립정보와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플래닝데이터로부터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한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는 상기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의 공정별로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구분정보, 각 드릴장치가 사용될 대상위치를 나타내는 대상위치정보, 대상위치에서의 삽입깊이를 나타낸 삽입깊이정보, 각 드릴장치의 선후 사용순서를 나타내는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삽입깊이정보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에 각 대상위치별로 구비된 가이드홀에 대해 변환됨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홀의 표면으로부터 각 드릴장치가 삽입되는 깊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도 3b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타측에 상기 선택된 각 대상위치별 드릴장치의 사용순서를 안내하는 로드맵 리포트(50a,50b)가 출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로드맵 리포트(50a,50b)는 하나의 대상위치에 대한 드릴장치의 사용순서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로드맵 리포트(50a,50b)는 상기 각 드릴장치의 구분정보로부터 추출된 드릴장치 이미지가 사용순서에 따라 나열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맵 리포토(50a,50b)에는 상기 각 드릴장치 이미지의 상부를 따라 상기 구분정보로부터 추출된 품번이 텍스트이미지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천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모든 드릴장치 및 각 드릴장치의 사용순서가 한눈에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어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에 따라 드릴장치의 사용순서 및 삽입깊이를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프로토콜 리포트(8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출력된다(s400).
즉, 상기 로드맵 리포트(50a,50b)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전환명령이 입력되고, 프로토콜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세히, 프로토콜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구획이 제거되고, 디스플레이부(100) 전체를 통해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80)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80)의 상부에는 각 공정단계에 사용되는 드릴장치 이미지(81)가 표시되되, 드릴장치 이미지(81)의 하부에 각 드릴장치의 삽입깊이를 나타내는 깊이안내이미지(82)가 표시된다.
또한, 드릴장치 이미지(81)의 측부에 드릴장치의 회전속도, 명칭, 품번, 공정시간을 안내하는 공정안내이미지(83)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80)의 하부에는 치열궁 이미지(25), 드릴장치가 적용되는 대상위치를 나타내는 대상위치안내이미지(86), 드릴장치가 적용되는 공정단계의 개요를 나타내는 공정개요이미지(85), 검토뷰 이미지(30b,30c,30d)를 포함하는 공정참조이미지(80b)가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드릴장치 이미지(81)는 상기 패달장치를 통한 전환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되면 각 공정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강조 표시된다.
즉,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80)의 상부에 복수의 드릴장치 이미지(81)가 나열되어 표시되되, 현재 공정단계에 대응되는 드릴장치 이미지(81)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선행 공정단계 혹은 후속 공정단계의 드릴장치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확대되거나 점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릴장치 이미지(81)가 전환되면, 상기 공정안내이미지(83)에 역시 현재 공정단계에 대응되도록 전환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를 통해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한 각 공정진행시 단계별로 드릴장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며 각 단계에 적합한 드릴장치가 혼란 없이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전환 표시되는 각 드릴장치 이미지와 함께 삽입깊이를 비롯한 공정 전반에 대한 정보가 안내되므로 드릴장치를 이용한 공정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위치가 복수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모든 대상위치에 대해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가 합산되되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 중 복수에 중복 적용되는 드릴장치에 동등한 사용순서가 부여되어 안내되도록 재정렬된다.
예를 들어, 제1대상위치 및 제2대상위치가 선택된 경우, 제1대상위치에 대한 제1드릴링가이드정보와 제2드릴링가이드정보가 합산될 수 있다.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 사용순서정보
제1드릴링가이드정보


티슈펀치 37번 치아 10mm 1
본플레이트닝드릴 37번 치아 10.5mm 2
5mm 타공드릴 37번 치아 10mm 3
10mm 타공드릴 37번 치아 10mm 4
제2드릴링가이드정보


티슈펀치 36번 치아 11mm 1
본플레이트닝드릴 36번 치아 11.5mm 2
10mm타공드릴 36번 치아 11mm 3
15mm타공드릴 36번 치아 11mm 4
상기 표 1은 제1대상위치 및 제2대상위치에 대한 드릴링가이드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대상위치에 대한 제1드릴링가이드정보는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5mm 타공드릴, 10mm 타공드릴이 순차적으로 사용된다는 사용순서정보와, 각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명칭, 종류, 이미지 등의 구분정보와, 각 드릴장치가 제1대상위치인 37번 치아에 사용된다는 대상위치정보와, 각 드릴장치의 삽입깊이정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대상위치에 대한 제2드릴링가이드정보는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10mm 타공드릴, 15mm 타공드릴이 순차적으로 사용된다는 사용순서정보와, 각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명칭, 종류, 이미지 등의 구분정보와, 각 드릴장치가 제2대상위치인 36번 치아에 사용된다는 대상위치정보와, 각 드릴장치의 삽입깊이정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드릴링가이드정보로부터 드릴장치의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매칭된 복수의 드릴장치정보가 추출되어 합산된다.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
제1드릴장치정보 티슈펀치 37번 치아 10mm
제2드릴장치정보 본플레이트닝드릴 37번 치아 10.5mm
제3드릴장치정보 5mm타공드릴 37번 치아 10mm
제4드릴장치정보 10mm타공드릴 37번 치아 10mm
제5드릴장치정보 티슈펀치 36번 치아 11mm
제6드릴장치정보 본플레이트닝드릴 36번 치아 11.5mm
제7드릴장치정보 10mm타공드릴 36번 치아 11mm
제8드릴장치정보 15mm타공드릴 36번 치아 11mm
상기 표 2는 제1대상위치 및 제2대상위치에 대한 드릴링가이드정보로부터 추출된 드릴장치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드릴링가이드정보로부터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5mm타공드릴, 10mm타공드릴 각각에 대한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추출되어 매칭된 제1, 제2, 제3, 제4드릴장치정보가 추출된다.
그리고, 제2드릴링가이드정보로부터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10mm타공드릴, 15mm타공드릴 각각에 대한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추출되어 매칭된 제5, 제6, 제7, 제8드릴장치정보가 추출된다.
이때, 추출된 8개의 드릴장치정보가 합산되고, 상기 구분정보가 상호 동일한 드릴장치정보가 연속적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합산된 복수의 드릴장치정보가 구분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준공정테이블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사용순서가 재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공정테이블은 모든 드릴장치의 구분정보를 천공 형성 공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구비되며, 모든 드릴장치는 천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타공드릴 등 일반적인 천공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전체 드릴을 의미하며, 보조슬리브와 같은 보조도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즉, 상기 각 드릴장치정보의 구분정보를 상기 기준공정테이블에 매칭하여 동일한 구분정보를 갖는 드릴장치정보가 연속 배열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공정테이블은 5mm의 타공드릴은 6mm의 타공드릴보다 우선하여 사용되고, 티슈펀치 및 본플레이트닝드릴은 타공드릴에 우선하여 사용된다는 정보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추출된 8개 드릴장치정보는 상기 기준공정테이블에 따라 티슈펀치, 본플레이트닝드릴, 5mm 타공드릴, 10mm타공드릴, 15mm타공드릴 순으로 재정렬될 수 있다.
즉, 티슈펀치에 대한 제1, 제5드릴장치정보, 본플레이트닝드릴에 대한 제2, 제6드릴장치정보, 5mm 타공드릴에 대한 제3드릴장치정보, 10mm 타공드릴에 대한 제4, 제7드릴장치정보, 15mm 타공드릴에 대한 제8드릴장치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사용순서가 재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설정된 사용순서에 따라 상기 각 드릴장치정보의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이미지로 변환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된다.
즉, 상기 구분정보는 드릴장치 이미지(81)로 변환되고, 상기 대상위치정보는 대상위치안내이미지(86)로 변환되며, 상기 삽입깊이정보는 깊이안내이미지(82)로 변환되어 프로토콜 리포트(80) 내에 기설정된 위치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패달장치 등의 제2입력부(1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입력된 전환명령에 따라 각 사용순서에 대응되는 드릴장치정보가 순차적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순서에 대응되는 드릴장치 이미지(81)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선행 사용순서 혹은 후속 사용순서의 드릴장치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확대/점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단계별로 사용되는 드릴장치 이미지가 상기 프로토콜 리포트(80)에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되, 복수의 대상위치에 중복 사용되는 드릴장치에 대해서는 드릴장치 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공정안내이미지(83) 및 공정참조이미지(80b) 등이 각 대상위치 및 삽입깊이에 대응되도록 전환되어 안내된다.
즉, 공정단계별로 드릴장치 이미지가 표시되되, 기표시된 하나의 드릴장치 이미지가 중복 적용되는 모든 대상위치 및 대상위치별 삽입깊이 등이 안내된 후 후속 드릴장치 이미지가 전환 표시되므로 공정진행시 드릴장치의 교체 횟수가 최소화되어 드릴장치를 이용한 천공 형성 공정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기 10: 디스플레이부
20: 구분이미지 30: 검토뷰이미지
40: 상세정보이미지 50: 로드맵 리포트
60: 히스토리이미지 80: 프로토콜 리포트

Claims (10)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되되 상기 대상자별로 분류되어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전송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조사 서버에 접속된 플래닝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및 드릴링가이드정보를 포함하는 플래닝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수정정보 및 승인정보 입력에 따라 재설정 및 승인되는 제1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되는 제2단계;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위치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대상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드릴링가이드정보가 추출되되, 상기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에 따라 드릴장치의 사용순서 및 삽입깊이를 안내하는 프로토콜 리포트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대상위치의 복수 선택시, 상기 선택된 모든 대상위치에 대해 추출된 드릴링가이드정보가 합산되되 상기 선택된 대상위치 중 복수에 중복 적용되는 드릴장치에 동등한 사용순서가 부여되도록 재정렬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각 드릴링가이드정보로부터 드릴장치의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매칭된 복수의 드릴장치정보가 추출되어 합산되는 단계와,
    상기 구분정보가 상호 동일한 드릴장치정보가 연속적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합산된 복수의 드릴장치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공정테이블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사용순서가 재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기준공정테이블은 모든 드릴장치의 구분정보를 천공 형성 공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재설정된 사용순서에 따라 상기 각 드릴장치정보의 구분정보, 대상위치정보, 삽입깊이정보가 이미지로 변환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입력된 전환명령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사용순서에 대응되는 드릴장치정보가 순차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는 구분이미지가 리스트화되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구분이미지의 가선택시 상기 구분이미지가 턴오버되어 상기 플래닝데이터의 요약이미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가선택된 구분이미지에 대응되는 플래닝데이터로부터 상기 치열궁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상기 픽스츄어의 3차원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된 복수의 검토단면을 따라 표시되는 복수의 검토뷰이미지가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치열궁 이미지 및 검토뷰이미지가 상기 구분이미지의 면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 변환되어 상기 요약이미지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상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닝데이터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플래닝데이터의 3차원 이미지에 상기 픽스츄어의 3차원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검토단면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각 검토단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검토뷰이미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각 검토뷰이미지에는 상기 플래닝데이터의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제1픽스츄어 이미지가 제1색으로 표시되되, 상기 수정정보에 대응되는 제2픽스츄어 이미지가 제2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픽스츄어 이미지 및 상기 제2픽스츄어 이미지 간의 3차원 위치 변화량이 산출되어 표시되며,
    상기 검토뷰이미지 중 하나에 상기 수정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산출된 3차원 위치 변화량이 상기 각 검토단면의 좌표계에 대응되도록 변환되어 상기 검토뷰이미지 중 하나를 제외한 다른 나머지에 상기 제2픽스츄어 이미지가 연동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13021A 2016-09-02 2016-09-02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KR10179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21A KR101797152B1 (ko) 2016-09-02 2016-09-02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PCT/KR2016/012962 WO2018043816A1 (ko) 2016-09-02 2016-11-11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제공방법 및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제공용 클라이언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21A KR101797152B1 (ko) 2016-09-02 2016-09-02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152B1 true KR101797152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21A KR101797152B1 (ko) 2016-09-02 2016-09-02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585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임솔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48711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773B1 (ko)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KR101632377B1 (ko)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77B1 (ko)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544773B1 (ko)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585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임솔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22587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21268B1 (ko) 2018-04-20 2020-06-10 주식회사 임솔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28870B1 (ko) 2018-04-20 2020-07-01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48711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KR102406324B1 (ko) * 2020-06-01 2022-06-0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162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手術ガイドを用いた施術案内情報の提供方法
KR101797154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101726706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2442720B1 (ko) 치아 보철 제조를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24096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영상 정합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정합 방법
CN211484515U (zh) 移动链接植入体诊断系统
KR102121268B1 (ko) 서버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제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97152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방법
KR102417565B1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KR102314891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WO2014201968A1 (zh) 牙科手机辅助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839784B1 (ko)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1810035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표시시스템
KR102419010B1 (ko)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시술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방법
ES2965923T3 (es) Sistema de soporte para la fabricación de restauraciones dentales y sistema de restauración dental
KR20110105964A (ko)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천공 술식을 시뮬레이트 하는 장치 및 시뮬레이트 하는 방법
KR102406324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EP3267934B1 (en) Scanning edentulous patients
WO2018043816A1 (ko)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제공방법 및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 안내자료 제공용 클라이언트 단말기
EP2368498A1 (en) Method for deriving shape information of a person's dentition
KR102197309B1 (ko)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94109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01298B1 (ko) 구강의 교정 정보 표시 시스템
KR10192898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24054010A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