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765B1 -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765B1
KR102120765B1 KR1020140017129A KR20140017129A KR102120765B1 KR 102120765 B1 KR102120765 B1 KR 102120765B1 KR 1020140017129 A KR1020140017129 A KR 1020140017129A KR 20140017129 A KR20140017129 A KR 20140017129A KR 102120765 B1 KR102120765 B1 KR 10212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late
support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114A (ko
Inventor
양두희
박헌건
김지철
양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7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는, 내 포장재 및 상기 내 포장재의 주변을 감싸는 외 포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 포장재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감싸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측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INTEGRATED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운반시 충격 등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과 같은 충격 흡수 부재가 담긴 포장 박스에 포장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는 여러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조각이 포장 박스 내부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 후면, 상/하면, 측면, 모서리 등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는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재 사용시 전자 디바이스의 각 위치에 다시 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포장 박스에서 충격 흡수 부재를 꺼낸 후 상당한 시일이 지난 경우에는 일부 조각이 분실될 우려도 크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면서도 조립 및 재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포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 포장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면서도 조립 및 재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는, 내 포장재 및 상기 내 포장재의 주변을 감싸는 외 포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 포장재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감싸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측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에 제1 충격 흡수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측부 하우징을 두 개 준비하는 단계와, 판 형상의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두 개의 측부 하우징을 배치하는 단계(상기 두 개의 측부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어 있음)와,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 포장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면서도 조립 및 재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포장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일체형 포장재는 내 포장재 및 상기 내 포장재의 주변을 감싸는 외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내 포장재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내 포장재의 제작 방법 및 내 포장재와 외 포장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 포장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내 포장재를 포장재이라 칭하며, 외 포장재와 함께 설명하는 경우에만 내 포장재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재(100)는 지지부(130), 상기 지지부(130)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 하우징(120) 및 상기 지지부(130)의 하면을 감싸는 하부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지지부(130)는 제1 플레이트(13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일 수 있고, 지지부(130)는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30)의 하부에 하부 하우징(110)이 배치된다. 일례로, 지지부(130)는 평평한 판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30)는 하부 하우징(11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지지부(130) 중 상기 제2 플레이트(132)의 일면이 하부 하우징(11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측부에 측부 하우징(120)이 배치된다. 측부 하우징(120)은 지지부(130)의 양 측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측부 하우징(120)의 하부에도 하부 하우징(110)이 배치된다. 측부 하우징(120)의 하부면이 하부 하우징(11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30)와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빈 공간(190)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31)의 제1면의 일부가 상기 측부 하우징(120)과 접하고,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과 상기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빈 공간(190)이 존재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상기 빈 공간(190)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33, 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133, 134)는 제1 플레이트(131)의 일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31)의 일면에 인접한 제2 플레이트(132)의 일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 부재(133, 134)가 배치된 지지부(130)의 부분과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상기 빈 공간(190)이 존재할 수 있다.
측부 하우징(120)은 수평 단면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내부 공간에 지지부(130)의 양 측부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포장재(100)는, 지지부(130)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그리고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4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41)는 지지부(130)의 제1 플레이트(13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충격 흡수 부재(141)는 지지부(130)의 제2 플레이트(132)와는 접하고 지지부(130)의 제1 플레이트(131)와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41)와 제1 플레이트(131)의 사이에도 빈 공간(190)이 존재하며, 상기 빈 공간(190)의 폭은 지지부(130)의 제1 플레이트(131)와 측부 하우징(120) 사이의 빈 공간(190)의 폭과 동일할 수도 있다.
포장재(100)는, 지지부(130)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그리고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는 지지부(130)의 제1 플레이트(130)의 일면과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33)가 부착되지 않은 제1 플레이트(13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는 제1 플레이트(130)의 제1 플레이트(130)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 충격 흡수 부재(141)는 제1 플레이트(130)의 상기 제1면과 반대쪽인 제2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충격 흡수 부재(141)의 폭이 제3 충격 흡수 부재(151)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포장재(100)는, 지지부(130)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지지부(130)의 제1 플레이트(13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충격 흡수 부재(1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4 충격 흡수 부재(142)는 내 포장재(100)의 다른 어느 구성과도 부착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4 충격 흡수 부재(142)와 지지부(130)의 사이에도 빈 공간(190)이 존재한다.
포장재(100)는, 지지부(130) 및 측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5 충격 흡수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5 충격 흡수 부재(160)는, 네 포장재(100)의 다른 어느 구성과도 부착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측부 하우징(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들(121, 12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 측부 하우징(120) 및 하부 하우징(110)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은 서로 부착 및 고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30)의 하면과 측부 하우징(120)의 하면이 각각 하부 하우징(110)에 부착되고, 지지부(130)의 후면 일부가 측부 하우징(12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130), 측부 하우징(120) 및 하부 하우징(110)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일부 구성이 분실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구성 부품들을 다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지지부(130)와 측부 하우징(120) 사이의 빈 공간(190)에 피 포장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측부 하우징(120)의 재료 또는 하부 하우징(110)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30)는 측부 하우징(120) 또는 하부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보다 강도가 클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30)는 EPS(스티로폼)를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부 하우징(120) 또는 하부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는 EPE(발포폴리에틸렌)를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 부재 내지 제5 흡수 부재(133, 134, 141, 151, 160) 역시 EPE(발포폴리에틸렌)를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130)는 피 포장물을 단단히 지지하여 피 포장물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 측부 하우징(120), 하부 하우징(110) 및 제1 충격 흡수 부재 내지 제5 흡수 부재(133, 134, 141, 151, 16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하여 피 포장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 포장재(100)는 외 포장재(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외 포장재(20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방향을 따라 제1 플레이트(131)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제2 플레이트(132)를 배치하여 지지부(130)의 골격을 형성한다. 일례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이며, 지지부(130)의 골격은 ㄴ자 형상을 갖는다.
그 후,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31)의 일면에 제1 충격 흡수 부재(133)를 부착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31)의 일면과 인접한 제2 플레이트(132)의 일면에도 제1 충격 흡수 부재(134)를 부착하여 지지부(130)를 제작한다. 즉, ㄴ자 형상의 지지부(130)의 골격의 내측면들에 제1 충격 흡수 부재(133, 134)를 각각 부착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추후 일체형 포장재의 사용 과정에서, ㄴ자 형상의 지지부(130)의 내측면의 공간(190)에 피 포장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을 준비한다. 측부 하우징(120) 각각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측부 하우징(120)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내부에 빈 공간(190)이 형성된다.
일례로, 판 형상의 부재들(121, 122)을 연결하여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측부 하우징(120)을 제작할 수 있다.
측부 하우징(120)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최단 폭(W2)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130)의 측면 폭(W1)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30)를 제작한 후 측부 하우징(120)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부 하우징(120)을 제작한 후 지지부(130)를 제작할 수도 있고, 측부 하우징(120)과 지지부(130)를 동시에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하부 하우징(110)을 준비하고, 측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의 사이에 빈 공간(190)이 형성되도록, 도 6의 측부 하우징(120)을 하부 하우징(110) 상에 배치한다. 하부 하우징(110) 상의 양 측부에 측부 하우징(120) 각각을 배치한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그리고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제2 충격 흡수 부재(141)와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를 배치한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41)와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는 하부 하우징(11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41)는 하부 하우징(110) 상에서 전방 쪽에 배치되고, 제3 충격 흡수 부재(151)는 하부 하우징(110) 상에서 후방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그리고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도 5의 지지부(130)를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 하우징(120)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최단 폭(W2)이 지지부(130)의 측면 폭(W1)과 대응되므로, 측부 하우징(120)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빈 공간(190) 내부에 지지부(130)의 양 측부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제1 플레이트(132)의 일면이 측부 하우징(120)의 내측면과 접하고 제1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면의 반대쪽인 다른 일면이 측부 하우징(12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 포장재(200)를 준비한다. 도 9의 (a)는 외 포장재(200)의 전면 전개도이고, 도 9의 (b)는 외 포장재(200)의 후면 전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고하여, 외 포장재(200)를 접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외 포장재(200)의 내부 공간(210)에 내 포장재(100)를 삽입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내 포장재(100)를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내 포장재(100)의 측부 하우징(120)의 외벽 또는 내 포장재(100)의 하부 하우징(110)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가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외 포장재(200)를 박스 형태로 만들기 전에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에 내 포장재(100)를 부착시킨 후, 외 포장재(200)를 박스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외 포장재(200)의 내측면 중에서, 내 포장재(100)의 두 개의 측부 하우징(120)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4 충격 흡수 부재(142)를 부착한다.
그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외 포장재(200)의 상부 덮개들(211, 212)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제5 충격 흡수 부재(160)를 부착한다. 상부 덮개들(211, 212)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5 충격 흡수 부재(160)는, 내 포장재(100)의 측부 하우징(120) 및 지지부(130) 상에 위치할 것이다.
그리고, 외 포장재(200)의 상부 덮개들(21, 212) 및 하부 덮개들(미도시)을 모두 닫고 열리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을 완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 포장재에 의하면, 피 포장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동시에, 내 포장재의 구성 부품들이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 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고 보관이 용이하며 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포장재에 의하면, 내 포장재가 외 포장재의 내측면에 고정되므로, 내 포장재와 외 포장재의 분실 우려가 없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내 포장재
200: 외 포장재

Claims (15)

  1. 내 포장재 및 상기 내 포장재의 주변을 감싸는 외 포장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내 포장재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갖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의 하면 및 상기 측부 하우징의 하면을 감싸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을 형성하는, 일체형 포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일체형 포장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빈 공간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하우징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일체형 포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내 포장재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측부 하우징과 접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다른 일부와 상기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는, 일체형 포장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 포장재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3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면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3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일체형 포장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 포장재는 상기 외 포장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일체형 포장재.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 포장재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외 포장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4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 포장재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 포장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5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포장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포장재.
  14.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인접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에 제1 충격 흡수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측부 하우징을 두 개 준비하는 단계;
    판 형상의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두 개의 측부 하우징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부 하우징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를 배치하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둘러 싸인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하우징 각각의 ㄷ자 형상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일체형 포장재의 제작 방법.
KR1020140017129A 2014-02-14 2014-02-14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12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29A KR102120765B1 (ko) 2014-02-14 2014-02-14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29A KR102120765B1 (ko) 2014-02-14 2014-02-14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14A KR20150096114A (ko) 2015-08-24
KR102120765B1 true KR102120765B1 (ko) 2020-06-09

Family

ID=5405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29A KR102120765B1 (ko) 2014-02-14 2014-02-14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7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711A (ko) * 2007-12-28 200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14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484B2 (en) Package member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US8978891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packing display device
CN103043321B (zh) 组装式包装箱
US20160272412A1 (en)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for display panel
KR20210106400A (ko) 컨테이너
JP2016113212A (ja) 包装箱
US8708145B2 (en) Package cushioning structure for module
US8833581B2 (en) Packaging box and stop wall of packaging box
KR200409775Y1 (ko) 포장용 완충재
KR20110008397U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JP6270308B2 (ja) 断熱箱体
KR102120765B1 (ko) 일체형 포장재 및 이의 제작 방법
US20140332432A1 (en) Packag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Glass
KR20110068030A (ko) 포장 구조물
US9114928B2 (en) Jointed liquid crystal glass panel package box
JP6478155B2 (ja) 梱包材
JP6119675B2 (ja) 梱包材
JP3139554U (ja) 個装箱
JP2010149909A (ja) コンテナ用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コンテナ
KR200458066Y1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JP6258902B2 (ja) 収納ラック
KR20120003647U (ko) 휴대폰 포장상자
CN103434755A (zh) 缓冲包装单元及缓冲包装箱
JP2016169040A (ja) 梱包装置
CN219619777U (zh) 一种包装结构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