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291B1 -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291B1
KR102120291B1 KR1020180126858A KR20180126858A KR102120291B1 KR 102120291 B1 KR102120291 B1 KR 102120291B1 KR 1020180126858 A KR1020180126858 A KR 1020180126858A KR 20180126858 A KR20180126858 A KR 20180126858A KR 102120291 B1 KR102120291 B1 KR 10212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ied
weight
parts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842A (ko
Inventor
최민호
최왕고
Original Assignee
푸른산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산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푸른산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12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2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령을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2단계, 표고버섯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3단계,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복령, 상기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반죽물을 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제 5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oodles using poria cocos and shiitake Mushroom}
본 발명은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령과 표고버섯의 유효 성분이 다량 함유된 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령은 소나무를 벌채한 뒤 3∼10년이 지난 뒤 뿌리에서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으로 형체가 일정하지 않다. 표면은 암갈색이고, 내부는 회백색의 육질과립상으로 신선한 냄새가 감돈다. 껍질은 복령피라 하고, 균체가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싸고 자란 것은 복신, 내부의 색이 흰 것은 백복령, 붉은 것은 적복령이라 하여 모두 약으로 쓴다. 약성은 평범하며 맛이 달고 덤덤하다. 완만한 이뇨작용이 있어 소화기가 약하면서 전신에 부종이 있을 때에 효과가 뛰어나며, 신장염·방광염·요도염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거담작용이 있어서 가래가 많이 분비되고 호흡이 곤란한 증상인 만성기관지염과 기관지확장증에도 거담, 진해하는 약물과 배합하여 치료하고 있다. 이 밖에 건위작용이 있어서 위장 내에 수분이 과다하게 정체되어 복부가 팽만되고 구토를 일으키는 만성위장염에 쓰이며, 진정효과가 뛰어나서 신경의 흥분으로 인한 초조와 불안, 자주 놀라고 입이 마르며 식은 땀을 흘리는 증상에 안정제로 쓰인다.
이와 같이 복령은 다양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섭취가 제한적이고 활용방법이 적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1-0009457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령과 표고버섯의 유효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킨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은, 복령을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2단계, 표고버섯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3단계,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복령, 상기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반죽물을 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제 5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복령을 세척하고 물수건으로 상기 복령을 감싼 다음 25 내지 28℃의 온도와 70%의 습도에 48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껍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복령을 1 내지 2mm 두께로 썰어 48시간 동안 자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단계는 제 1차 건조, 제 2차 건조, 제 3차 건조, 제 4차 건조로 구성되되, 제 1차 건조는 햇빛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2차 건조는 4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3차 건조는 5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4차 건조는 55℃에서 10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반죽물은 상기 복령 3 중량부, 상기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복령과 표고버섯의 다양한 수요 창출로 재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키고, 복령과 표고버섯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은, 복령을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는 제 1단계(S1),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2단계(S2), 표고버섯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3단계(S3),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복령, 상기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S4), 상기 반죽물을 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제 5단계(S5),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하는 제 6단계(S6)로 구성된다.
먼저, 제 1단계(S1)에서 복령을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령을 세척하여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그 다음, 상기 복령 표면을 물수건으로 감싸고 25 내지 28℃의 온도와 70%의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껍질이 연해지도록 하여 껍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25℃ 미만에서 보관할 경우, 상기 복령의 껍질 여전히 단단해서 껍질을 벗기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성이 떨어지며, 28℃ 초과하여 보관할 경우, 상기 복령 내부까지 물러져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에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준비된 복령을 1 내지 2mm 두께로 썰여 48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48시간 미만으로 자연건조하는 경우, 복령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어려우며, 48시간 초과하여 건조하는 경우 상기 복령이 이미 완전히 건조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령을 일출 후 2시간 후부터 일몰 1시간 전까지 건조하고, 그 외 시간에는 건조된 공간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에서 표고버섯을 건조 및 분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고버섯을 제 1차 건조, 제 2차 건조, 제 3차 건조 그리고 제 4차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건조를 4차에 나누어 실시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높고, 버섯의 건조 과정에서 갈라지지 않고 변색되지 않아 최적의 상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차 건조는 햇빛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다. 여기서, 햇빛에 의해 상기 표고버섯 내에 비타민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 건조는 4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제 2차 건조가 40℃ 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4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고버섯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변색된다.
상기 제 3차 건조는 5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제 3차 건조가 50℃ 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5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고버섯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변색된다.
상기 제 4차 건조는 55℃에서 10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건조한다. 상기 제 4차 건조가 55℃ 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5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고버섯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변색된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에서 상기 복령,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령 3 중량부, 상기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하여 반죽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에서 상기 반죽물을 숙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죽물을 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반죽물을 24시간 미만으로 숙성하는 경우 숙성의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24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숙성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에서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에 대한 실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1) 관능평가 -1
본 발명에 의한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을 실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국수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국수의 맛, 색, 향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복령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복령을 세척하고 물수건으로 상기 복령을 감싸고 20℃와 7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복령을 세척하고 물수건으로 상기 복령을 감싸고 25℃와 7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복령을 세척하고 물수건으로 상기 복령을 감싸고 30℃와 7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1 8.50 8.40 8.50
실시예 1 8.00 7.80 7.50
실시예 2 8.60 8.60 8.70
실시예 3 6.50 6.30 6.30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2는 맛, 향, 색에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얻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복령의 껍질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 1의 경우에도 여전히 껍질을 제거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렸으며, 실시예 3의 경우 상기 복령 내부가 물러지고 변색되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실시예 2의 경우 맛, 향, 색이 우수한 국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관능평가 -2
본 발명에 의한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을 실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국수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국수의 맛, 색, 향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건조 및 분쇄된 복령 4 중량부,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숙성 및 제면하여 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건조 및 분쇄된 복령 3 중량부,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숙성 및 제면하여 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건조 및 분쇄된 복령 2 중량부,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숙성 및 제면하여 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건조 및 분쇄된 복령 3 중량부,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4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숙성 및 제면하여 국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본 발명에 의한 국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건조 및 분쇄된 복령 3 중량부,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2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숙성 및 제면하여 국수를 제조한다.
구분
실시예 4 6.00 6.60 6.20
실시예 5 8.80 8.70 8.80
실시예 6 6.30 6.50 7.10
실시예 7 6.50 6.40 6.10
실시예 8 7.10 7.00 6.80
상술한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7과 같이 복령과 표고버섯의 함량이 많은 경우, 국수의 찰기가 없어지고 면이 잘 끊어져 상품성이 떨어지며, 특히 실시예 7은 표고버섯의 향이 너무 강해 기호도가 떨어진다.
실시예 5의 경우 맛, 향 그리고 색에서 우수한 관능평가 점수를 얻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 복령 세척 및 껍질 제거 단계
S2 : 복령 건조 및 분쇄 단계
S3 : 표고버섯 건조 및 분쇄 단계
S4 : 반죽물 제조 단계
S5 : 반죽물 숙성 단계
S6 : 제면 단계

Claims (5)

  1. 복령을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준비된 복령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2단계;
    표고버섯을 건조 및 분쇄하는 제 3단계;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복령, 상기 건조 및 분쇄된 표고버섯, 밀가루, 소금,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반죽물을 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제 5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복령을 세척하고 물수건으로 상기 복령을 감싼 다음 25 내지 28℃의 온도와 70%의 습도에 48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껍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복령을 1 내지 2mm 두께로 썰어 48시간 동안 자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제 1차 건조, 제 2차 건조, 제 3차 건조, 제 4차 건조로 구성되되,
    제 1차 건조는 햇빛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2차 건조는 4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3차 건조는 5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고,
    제 4차 건조는 55℃에서 10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반죽물은 상기 복령 3 중량부, 상기 표고버섯 3 중량부, 밀가루 100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KR1020180126858A 2018-10-23 2018-10-23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KR10212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58A KR102120291B1 (ko) 2018-10-23 2018-10-23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58A KR102120291B1 (ko) 2018-10-23 2018-10-23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42A KR20200045842A (ko) 2020-05-06
KR102120291B1 true KR102120291B1 (ko) 2020-06-08

Family

ID=7073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58A KR102120291B1 (ko) 2018-10-23 2018-10-23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7B1 (ko)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36A (ja) * 2007-10-05 2009-04-30 Takehisa:Kk 椎茸粉末入り麺類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457A (ko) 1999-07-09 2001-02-05 김탁 복령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KR20010067704A (ko) * 2001-03-09 2001-07-13 지수옥 영양성분들의 그 기능성
KR20060103721A (ko) * 2005-03-28 2006-10-04 이종섭 복령버섯을 함유한 식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36A (ja) * 2007-10-05 2009-04-30 Takehisa:Kk 椎茸粉末入り麺類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7B1 (ko)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42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10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2060993B1 (ko) 식용곤충가루가 포함된 멥쌀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821B1 (ko) 새우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새우장
KR101544057B1 (ko) 고구마 페이스트 견과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구마 페이스트 견과 말랭이
KR20180009482A (ko) 호두가 함유된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0291B1 (ko)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KR20140024944A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식혜의 제조방법
KR101550851B1 (ko) 생즙을 이용한 빵의 제조 방법
KR20140075317A (ko) 매실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 한과
KR20120137970A (ko)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 반죽물과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백련 도너츠
KR101890195B1 (ko) 밤빵 제조방법
CN105029324A (zh) 一种红豆沙清汤火锅底料
KR101724069B1 (ko) 고추장제조방법
KR20210098408A (ko) 도토리 꽃가루를 함유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9348A (ko) 청국장 찐빵 및 그 제조방법
CN113017034A (zh) 一种绿槟榔的制备方法及所得产品
KR102235060B1 (ko) 대게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5535A (ko) 고추를 이용한 고품질 두부의 제조방법.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1721634B1 (ko) 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KR102653870B1 (ko) 대두를 이용한 가쓰오부시 대체 식물성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45620B1 (ko) 기능성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된장
KR101672993B1 (ko) 꼬막혼입 고추장 제조방법
KR102342705B1 (ko) 참다래 분말 제조 방법 및 참다래 분말
KR20190011903A (ko) 소를 포함한 한방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래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