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236B1 -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 Google Patents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236B1
KR102120236B1 KR1020140027067A KR20140027067A KR102120236B1 KR 102120236 B1 KR102120236 B1 KR 102120236B1 KR 1020140027067 A KR1020140027067 A KR 1020140027067A KR 20140027067 A KR20140027067 A KR 20140027067A KR 102120236 B1 KR102120236 B1 KR 10212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rop
feed
crop
hopp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2633A (en
Inventor
요시노리 고노
다쓰유키 이토
고토에 이노베
가즈히로 이노야마
바오밍 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2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0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 A01F15/106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for round ba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전방으로 향하게 함과 함께, 사료작물(B)의 방출방향이 후방이 되도록 설정된 사료작물 방출구(31A)와 전후방향에서 대면시키고, 또한 호퍼(4)에 구비된 확산판(4A)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수확기(3)의 상하이동에 따른 슈트(3A)의 상하이동에 의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투입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길이로 하여 형성하였다.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is directed forward, and the feed crop outlet 31A is set to fac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eed crop B so that it fac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Diffusion plate (4A) provided in ),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eed crop outlet (31A) by the shandong of the chute (3A) along the shandong of the harvester (3) Regardless, it was formed so that the input feed crop (B) was in contact with the length.

Description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Self-propelled roll baler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본 발명은, 주행하면서 사료작물을 수확함과 함께, 세단(細斷)하여 롤베일을 성형하는 기능을 가지는 자주(自走) 수확식 롤베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ropelled roll baler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roll bale by sedan while harvesting a feed crop while driving.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에 배치된 원동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크롤러를 가짐과 함께,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슈트가 구비된 수확기, 조종석, 호퍼, 성형실을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has a crawler operated by a prime mover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and a harvester, cockpit, hopper, and molding equipped with chute from front to rear of the vehicle body. It is known to have a thread.

이러한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수확한 사료작물을 세단하고, 세단한 사료작물을 슈트로부터 호퍼에 투입하며, 이 호퍼로부터 사료작물을 성형실에 투입하여 롤베일을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elf-propelled roll baler, the feed crop harvested while driving is shredded, the cut feed crop is put into the hopper from the chute, and the feed crop is fed from the hopper into the molding room to form a roll bal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2106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21061

상술의 특허문헌 1의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는, 슈트의 사료작물의 방출방향이, 호퍼의 상부 개구에 대해서 그 상방으로부터 사료작물을 투입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사료작물의 수확 상황에 따라 수확기가 상하이동하였을 때에, 이 수확기에 따른 슈트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슈트의 사료작물 방출방향의 각도가 변화하고, 이로써, 호퍼로의 사료작물의 투입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self-harvesting type roll baler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ute feed crop is discharged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ed crop is put in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upper opening of the hopper, the harvester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harvest situation of the feed crop. When mov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ngl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ute was discharged by the chute according to the harvesting season shifted, thereby displacing the position of feeding the fodder into the hopper.

호퍼로의 사료작물의 투입 위치가 어긋난 경우, 호퍼 내에 있어서 사료작물을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는 최적인 부위에 사료작물의 투입이 행해지지 않아, 호퍼 내에 사료작물을 균등하게 저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feed position of the feed crops into the hopper is misaligned, the feed crops are not put into the optimal area within the hopper to store the feed crops evenly,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feed crops cannot be evenly stored in the hopper. .

특히, 투입되는 사료작물을 접촉시켜, 이 사료작물이 호퍼 내부에서 균등하게 저장되도록 확산되는 확산부를 구비한 호퍼인 경우, 투입되는 사료작물이 확산부에 접촉하지 않아, 그대로 확산되지 않고 호퍼 내에 낙하되며, 이로써, 호퍼 내에 저장되는 사료작물이 크게 치우쳐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hopper having a diffusion part that is spread so that the feed crop is brought into contact and stored evenly inside the hopper, the input feed crop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ffusion part and does not spread as it is, but does not diffuse and falls into the hopper. Thereb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d crops stored in the hopper are largely biased.

사료작물이 치우쳐 호퍼 내에 저장된 경우, 호퍼로부터 반송 컨베이어에 이송되는 사료작물이,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에 대해서 균등하게 실리지 않음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성형실에 대해서 치우친 상태로 투입되기 때문에, 성형된 롤베일의 밀도가 균등하게 되지 않아, 변형된 롤베일이나 형붕괴되기 쉬운 롤베일이 성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feed crop is biased and stored in the hopper, the feed crop transferred from the hopper to the conveying conveyor is not evenly loaded on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is inputted in a biased state relative to the molding chamber from the conveying conveyo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ensity of the roll bale was not uniform, and the deformed roll bale or the roll bale prone to mold collapse was mold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의 일례로 하는 것이다. 즉, 수확기의 상하이동에 따른 슈트의 사료작물 방출방향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투입되는 사료작물의 호퍼 내부에서의 저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는 것, 이로써, 사료작물을 성형실에 대해서 균등하게 투입할 수 있음과 함께, 정상적인 형상의 롤베일이나 형붕괴되기 어려운 롤베일을 성형할 수 있는 것 등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ckle such a problem as an example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even if the angle change in the direction of discharge of the crop of the chute occurs along the shanghai of the harvester, it is possible to equalize the storage of the feed crop inside the feeder, whereby the feed crop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molding roo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inject it, and to be able to form a roll bale of a normal shape or a roll bale that is difficult to form collap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는, 이하의 구성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조종석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체를 수확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포장(圃場)의 사료작물을 수확하고, 수확한 상기 사료작물을 성형실에서 롤베일로 성형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로서, 차체의 전단측, 또한 상기 조종석보다 전방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포장 및 상기 포장의 상기 사료작물의 상황에 따라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사료작물을 수확하여 세단하는 수확기와, 상기 수확기의 사료작물 방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료작물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후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사료작물 방출구를 가지는 슈트와, 상기 차체에 있어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사료작물을 저장하는 호퍼로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와 전후방향에서 대면하는 사료작물 투입구와,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로부터 상기 사료작물 투입구를 거쳐 상기 호퍼 내에 투입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접촉시킴과 함께, 이 접촉에 의하여 상기 사료작물을 상기 호퍼 내에 확산시켜 균등하게 저장시키는 확산판을 가지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판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수확기의 상하이동에 따른 상기 슈트의 상하이동에 의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투입되는 상기 사료작물이 접촉하는 길이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이다.A self-propelled roll baler that harvests feed crops in a package while moving the traveling body in the harvesting direction by manipulation from the cockpit, and forms the harvested feed crops into roll bales in a molding room, and shears the vehicle body. A side harvester that is supported by the movable cockpit in front of the cockpit, and harvests and cuts the feed crop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eed crop of the packaging and the packaging, and the feed crop ejecting portion of the harvester Is connected, a suit having a feed crop outlet set in a direction to discharge the feed crop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outlet toward the rear, and in the vehicle body, disposed in the rear of the feed crop outlet, the feed crop As a hopper for storing the feed crop discharged from the outlet, the feed crop inlet facing the feed crop outlet a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eed crop that is fed into the hopper via the feed crop inlet from the feed crop outlet In addition to contact, the contact is provided with a hopper having a diffusion plate that diffuses the feed crop into the hopper and stores it evenly, the diffusion plat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it according to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harvester It is a self-propelled roll ba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length in contact with the feed crop,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eed crop outlet by Shanghai Dong of.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의 일부 절결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결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배출된 롤베일을 배출 지지체가 지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는 배출 지지체의 하강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배출 지지체가 하강하여 롤베일을 지면에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artially cutaway schematic side view of the self-propelled roll baler of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 schematic plan view of FIG. 1.
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pport instructs the discharged roll bale.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during the descending of the discharge support.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pport is lowered to discharge the roll bale to the ground.

상기 사료작물 방출부를, 상기 조종석의, 상기 주행체의 전진방향에 대해서 평면방향에서 교차하는 좌우 어느 일방측과 좌우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 crop discharging part is disposed so as to be adjacent to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ckpit crossing in the pla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이하에서 말하는 사료작물이란, 포장(圃場)에서 육성된 덴트콘이나 목초 등의 가축의 사료에 이용되는 것이다.The feed crop referred to hereinafter is used for feed of livestock, such as dent cones and grasses grown in packaging.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의 일례를 도 1~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수확기(3)측을 전(전진측), 성형실(6)측을 후, 조종석(1)측을 상, 주행체(2)측을 하, 도 2에 있어서 상측을 우, 하측을 좌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5. However, the harvester 3 side is forward (forward side), the molding room 6 side is left, the cockpit 1 side is up, the traveling body 2 side is lower, and the upper side is right and lower side in FIG. 2. Turn left.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는, 조종석(1)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크롤러식의 주행체(2)를 전진 주행시키면서 포장(G)의 사료작물(B)을 수확하여 롤베일(B1)을 성형하는 것이다.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 harvests feed crops (B) of the packaging (G) while driving the crawler-type traveling body (2) forward by operation from the cockpit (1), and rolls the bale (B1). Is to mold it.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는, 조종석(1)이 차체(A1)의 전단측의 상방, 또한 우측에 배치되고, 주행체(2)가 차체(A1)의 하방에 축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In 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 the cockpit 1 is disposed above and to the right of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A1, and the traveling body 2 is supported and disposed below the vehicle body A1. .

차체(A1)에는,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의 작동의 원동력이 되는 엔진(A2)이나, 엔진(A2)의 동력을, 조종석(1)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vehicle body A1, a harvester 3, a hopper 4, a transport conveyor 5, a molding chamber 6, and a discharge support 7 are arranged, and further, the traveling body 2 and the harvester 3 Operating the engine (A2) or engine (A2)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operation of the hopper (4), conveying conveyor (5), forming chamber (6), and discharge support (7) from the cockpit (1) By this, a power transmission system (not shown) that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body 2, the harvester 3, the hopper 4, the transport conveyor 5, the molding chamber 6, and the discharge support 7 is arranged. .

수확기(3)는, 차체(A1)의 전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동력 전달계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수확기(3)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A3)에 지지되어 있고, 이 유압 실린더(A3)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harvester 3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vehicle body A1 and is supported by a hydraulic cylinder A3 that moves the harvester 3 up and down by power transmit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described above, and this hydraulic cylinder It is set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3).

수확기(3)는, 유압 실린더(A3)에 연결된 프레임(30)과, 프레임(30)에 대해서 연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원반형상의 커터(31)와, 커터(31)의 상방에 설치된 절단 지지부(32)와, 커터(31)의 후방측에 배치된 세단부(33)와, 세단부(33)의 상방에 배치된 사료작물 방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The harvester 3 includes a frame 30 connected to a hydraulic cylinder A3, a disk-shaped cutter 31 rotatably supported about a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frame 3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utter 31. It is provided with the cutting support part 32 provided, the three end part 33 arrange|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cutter 31, and the feed crop discharge part 34 arrange|positioned above the three end part 33.

이러한 수확기(3)는, 주행체(2)를 전진시키면서, 커터(31)와 절단 지지부(32)에 의하여 사료작물을 베어 냄과 함께, 베어 낸 사료작물을 커터(31)의 회전에 의하여 세단부(33)로 안내하고, 또한 세단부(33)에서 세단된 사료작물을 사료작물 방출부(34)에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harvester 3, while advancing the traveling body 2, cuts the feed crop by the cutter 31 and the cutting support 32, and cuts the cut feed crop by rotation of the cutter 31. It is guided to the part 33, and also, the feed crop shredded by the sedan 33 is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discharge unit 34.

세단부(33)는, 프레임(30)의 좌측 후방, 또한 커터(31)의 좌우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에 있고, 회전하는 커터(31)에 의하여 안내되는 사료작물(B)을 그대로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edan 33 is left rear of the frame 30 and further rearward tha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tter 31 so that the feed crop B guided by the rotating cutter 31 can be received as it is. It is.

사료작물 방출부(34)는, 조종석(1)과 좌측에서 인접하고, 또한 조종석(1)의 전단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feed crop discharge section 34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1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behind the front end of the cockpit 1.

사료작물 방출부(34)의 연결구(340)에는, 슈트(3A)가 연결되어 있으며, 세단부(33)의 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송풍에 의하여 방출되는 세단된 사료작물(B)이, 슈트(3A)에서 안내됨과 함께,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호퍼(4)를 향하여 방출된다.The chute 3A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40 of the feed crop ejection section 34, and the shredded feed crop B discharged by blowing by a fan (not shown) of the shred section 33 is provided. , While being guided by the chute 3A, it is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outlet 31A of the chute 3A toward the hopper 4.

슈트(3A)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관형상체이며, 그 후단이 연결구(340)에 연결되고, 전단의 사료작물 방출구(31A)가 호퍼(4)의 전단에 형성된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향함과 함께, 사료작물 방출구(31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에 삽입되도록, 도 2에 있어서 차체(A1)를 비스듬히 횡단하는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chute 3A is a tubular body formed in an arc shape, the rea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40, and the feed crop outlet 31A of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feed crop inlet 4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pper 4. In addition to facing, the feed crop outlet 31A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vehicle body A1 at an angl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eed crop inlet 40.

또, 슈트(3A)는,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상단이, 수확기(3)의 하한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상단(천장판(41)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하단이, 수확기(3)의 상한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hute 3A, the top end of the feed crop outlet 31A is at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and the top end of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front edge of the ceiling plate 41)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is formed in an arc shape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at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지만, 이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방출되는 사료작물(B)을 호퍼(4) 밖에 도달하지 않도록,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통하여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Furth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varies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of the harvester 3 to the low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but changes in this position and direction Regardless, the feed crop B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outlet 31A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pper 4 through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so as not to reach only the hopper 4. It is set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여도, 호퍼(4)의 천장판(41)의 내측(호퍼(4) 내)에 설치된 확산판(4A)의 선단(40A)에 접촉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outlet 31A changes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of the harvester 3 to the low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he hopper 4 It is set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which contacts the front end 40A of the diffuser plate 4A provided inside the ceiling plate 41 (in the hopper 4).

호퍼(4)는, 상단이 천장판(41)에 의하여 막혀져 있으며, 전단에 사료작물 투입구(40)가 개구되고, 하방에 사료작물 낙하구(42)가 개구된 것이다. 천장판(41)의 내측에 설치된 확산판(4A)은, 호퍼(4)의 좌우방향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hopper 4, the upper end is blocked by the ceiling plate 41, the feed crop inlet 40 is opened at the front end, and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is opened at the lower end. The diffusion plate 4A provided inside the ceiling plate 41 is disposed near the center of the hopper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사료작물 투입구(40)는,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The feed crop inlet 40 chang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outlet 31A in a range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to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of the harvester 3, The chute 3A has an area of a size that does not contac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eed crop inlet 40.

확산판(4A)은, 선단(40A)으로부터 좌우로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1A, 42A)을 가지고, 선단(40A)의 위치 및 상하 방향의 길이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에서 변화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The diffuser plate 4A has inclined surfaces 41A, 42A inclined to widen left and right from the tip 40A, and the position of the tip 40A an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the upper limit positions of the harvester 3 (virtual lin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of the chute 3A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ange from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o the lower feed position, the discharged feed crop B contacts In addition to being disposed at the above-mentioned position, the length of the feed crop B to be released is in contact.

호퍼(4)의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는, 반송부(4B)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부(4B)는,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속하는 독립된 공간인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반송 컨베이어(5)가 배치되어 있다.The conveying part 4B is arrange|positioned below the feed crop fall port 42 of the hopper 4. The conveying section 4B includes a feed crop conveying space 43 which is an independent space continuous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and a conveying conveyor 5 is disposed in the feed crop conveying space 43. .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하류측에 성형실(6)의 투입구(6A)에 이르는 출구(4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으로부터 출구(430)에 이르는 바닥부를 반송면(431)으로서 확보하고 있다.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is provided with an outlet 430 leading to the inlet 6A of the forming chamber 6 on the downstream side, and a floor leading from the bottom of the feed crop falling mouth 42 to the outlet 430. The part is secured as the conveying surface 431.

또, 반송면(431)의 상류측에는, 호퍼(4)의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을 받음과 함께, 반송면(431)으로 안내하는 안내면(431A)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431A)은, 후술하는 무한 궤도체(52)의 하류측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회전체(50)와 동축으로 함과 함께, 후술하는 반송 돌기(53)의 선단이 접촉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Further,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ing surface 431, a guide surface 431A guiding to the conveying surface 431 is formed successively while receiving the forage crop falling from the feed crop falling port 42 of the hopper 4. . The guide surface 431A is disposed outside the downstream end of the caterpillar 52 described later, coaxial with the rotating body 50 described later, and the tip of the conveyance projection 53 described later contacts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통하는 부위 및 출구(430)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폐쇄된 독립된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받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is formed as an independent space that is closed from the outside, except for a portion and an outlet 430 communicating with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and falls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The feed crop (B) can be picked up without spilling out of the machine.

반송 컨베이어(5)는, 상류측 단부가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 위치하고, 하류측 단부가 출구(430)에 이르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술한 회전체(스프로킷)(50, 51)에 걸치도록, 상술한 무한 궤도체(체인)(52)가 감겨져 있다.The conveying conveyor 5 is arranged such that the upstream end is located below the feed crop falling port 42, and the downstream end is positioned to reach the outlet 430, and the upstream side of the feed crop transport space 43 is The above-described caterpillar (chain) 52 is wound so as to span the above-described rotating bodies (sprockets) 50 and 51, which are axially supported on the downstream side, respectively.

무한 궤도체(52)의 외주에는, 상술한 복수의 반송 돌기(5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화살표 방향)에 따라, 반송 돌기(53)가 사료작물(B)을 안내면(431A)으로부터 반송면(431)으로 안내함과 함께, 반송면(431)의 사료작물(B)을 출구(430)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terpillar 52, the plurality of transport projections 53 described above are protruding, and according to the transport rotation (arrow direction) of the caterpillar 52, the transport projections 53 are fed crops ( B) is guided from the guide surface 431A to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feed crop B of the conveying surface 431 is forcedly conveyed toward the outlet 430.

무한 궤도체(52)는, 좌우에 각각 감겨진 2개의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이 2개의 무한 궤도체(52)에 걸치도록, 반송 돌기(53)를 배치함과 함께, 인접하는 반송 돌기(53)의 상호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에 있어서, 반송 회전 방향으로 연속하는 래더형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The caterpillar 52 is composed of two chains wou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transport projections 53 are arranged to span the two caterpillars 52, and adjacent transport projections 53 are provided. )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each other, and in Fig. 2, a ladder shape that is continuous in the conveying rotation direction is shown.

반송 돌기(53)는, 무한 궤도체(52)에 걸친 길이, 또한 선단이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접촉하는 돌출형성 길이의 것이며, 이로써, 반송면(431) 상의 사료작물(B)의 전부를 출구(430)를 향하여 긁어내도록 강제적으로 반송하고,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있어서 사료작물(B)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conveying projection 53 is of a length that extends over the caterpillar 52 and also has a protruding length in which the tip contacts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whereby the feed crop on the conveying surface 431 ( The whole of B) is forcibly conveyed to be scraped toward the exit 43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gnation of the feed crop B on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이러한 반송 컨베이어(5)는, 래더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2개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무한 궤도체(52)와 반송 돌기(53)로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반송 컨베이어(5) 상에서의 사료작물(B)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Since the conveying conveyor 5 exhibits a ladder shape, the feed crop B falling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is composed of a caterpillar 52 composed of two chains and a conveying projection 53. It can fall from the clearance gap to the conveyance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w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gnation of the feed crop B on the conveyance conveyor 5.

따라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의 전부를 반송 컨베이어(5) 상에 남기는 일 없이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whole of the feed crop B falling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can be dropped to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without leaving on the conveying conveyor 5.

반송 컨베이어(5)의 무한 궤도체(52)는, 체인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로 하여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무한 궤도체(52)가 벨트인 경우,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이 무한 궤도체(52) 상에 재치되지만, 이 재치된 사료작물(B)은,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The caterpillar 52 of the transport conveyor 5 is not limited to a chain and may be a belt (not shown). When the caterpillar 52 is a belt, the feed crop B falling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is placed on the caterpillar 52, but the mounted feed crop B is a caterpillar According to the conveyance rotation of the sieve 52, it can fall to the guide surface 431A.

성형실(6)은, 호퍼(4)측에 구획 형성된 고정측 절반부(60)와, 고정측 절반부(60)의 후방측에 구획 개정된 가동측 절반부(61)와, 고정측 절반부(60)와 가동측 절반부(61)에 걸쳐 배치된 성형장치(62)를 구비하고 있다.The molding chamber 6 includes a fixed-side half portion 60 partitioned on the hopper 4 side, a movable-side half portion 61 part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and a fixed-side half It is provided with a molding device 62 disposed over the portion 60 and the movable side half portion 61.

고정측 절반부(60)에는, 반송 컨베이어(5)로부터 반송되는 사료작물(B)을 성형실(6) 내에 투입하는 투입구(6A)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an inlet 6A for feeding the feed crop B convey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5 into the forming chamber 6 is formed.

투입구(6A)의 상방에는, 성형실(6)에서 성형된 롤베일(B1)을 곤포하는 곤포 자재(네트, 트와인 등)(B2)를 성형실(6) 내로 송출하는 송출장치(A4)가 배치되어 있다.A dispensing device (A4) for discharging the packing material (net, twine, etc.) (B2) for wrapping the roll bale (B1) molded in the forming chamber (6) above the inlet (6A). Is placed.

송출장치(A4)는, 성형실(6) 내에서 롤베일(B1)의 성형 후, 곤포 자재(B2)를 성형실(6) 내로 송출하는 것이며, 송출된 곤포 자재(B2)는, 성형장치(62)의 성형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베일(B1)에 의하여 들어가게 됨과 함께, 롤베일(B1)에 감기듯이 이 롤베일(B1)을 곤포한다.The delivery device A4 is for molding the roll bale B1 in the molding room 6 and then sending the packing material B2 into the molding room 6, and the delivered packing material B2 is a molding device The roll bale B1 is packed by the rolling bale B1 rotated by the forming operation of (62), and is wrapped around the roll bale B1.

이러한 성형실(6)은, 반송 컨베이어(5)로부터 투입구(6A)를 거쳐 성형실(6) 내에 투입된 사료작물(B)을, 성형장치(62)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압축하여 원기둥형상의 롤베일(B1)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The molding chamber 6 compresses the feed crop B input into the molding chamber 6 from the conveying conveyor 5 through the inlet 6A while rotating it by the molding device 62, thereby compressing the cylindrical roll bale. (B1).

성형장치(62)는, 고정측 절반부(60)와 가동측 절반부(61)에 걸친 원주 상에 연속하도록 배열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는 복수의 회전 롤러(620)와, 고정측 절반부(60)의 하반부에 배열된 회전 롤러(620)에 감긴 성형 벨트(621)와, 가동측 절반부(61)의 하반부에 배열된 회전 롤러(620)에 감긴 성형 벨트(622)로 구성되어 있다.The molding device 62 is arranged to be continuously on a circumference spanning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and the movable-side half portion 61, and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620 axial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fixed-side half Consists of a forming belt 621 wound on a rotating roller 620 arranged on the lower half of the part 60 and a forming belt 622 wound on a rotating roller 620 arranged on the lower half of the movable side half 61 have.

성형 벨트(621, 622)는, 롤베일(B1)의 성형 전부터 성형 후까지 항상 텐션이 가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겨져 있으며, 롤베일(B1)의 성형 중에, 확경되는 롤베일(B1)에 따라 외측으로 팽창하게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The forming belts 621 and 622 are woun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lways applied from before to after the forming of the roll bale B1, and during the forming of the roll bale B1, the outer side according to the roll bale B1 to be enlarged It is intended to deform to expand.

부호 623, 624는, 성형 벨트(621, 62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이고, 회전 롤러(620)의 외측에 배치되며,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성형 벨트(621, 622)에 대해서 항상 텐션이 가해지도록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다.Reference numerals 623 and 624 are tension rollers that hold the tension of the forming belts 621 and 622, and are disposed outside the rotating roller 620 and are supported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spectively, forming belts 621 and 622 ), the force is always acting so that tension is always applied.

즉, 상술한 부세력에 의하여, 롤베일(B1)의 성형 개시로부터 성형 종료까지, 성형 벨트(621, 622)에 항상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성형 벨트(621, 622)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을 롤베일(B1)에 대해서 평형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tension is always applied to the forming belts 621 and 622 from the start of forming of the roll bale B1 to the end of forming by the above-described sub-force,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forming belts 621 and 622 The friction force can be acted in a balanced and efficient manner with respect to the roll bale B1.

이러한 성형실(6)은, 성형장치(62)에 의하여 롤베일(B1)을 성형함과 함께, 성형된 롤베일(B1)의 곤포 자재(B2)에 의한 곤포 후, 가동측 절반부(61)를 개방이동시켜 고정측 절반부(60)를 개방함으로써(도 3 참조), 곤포된 롤베일(B1)을 성형실(6)로부터 배출하고, 롤베일(B1)의 배출 후에는, 가동측 절반부(61)를 폐쇄이동시켜 고정측 절반부(60)를 폐쇄하여 다음의 롤베일(B1)을 성형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The molding chamber 6 is formed by forming the roll bale B1 by the molding apparatus 62, and after packing by the packing material B2 of the rolled roll bale B1, the movable side half portion 61 ) To open and move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see Fig. 3), so that the rolled roll bale B1 is discharged from the forming chamber 6, and after the roll bale B1 is discharged, the movable side The half portion 61 is closed and moved to close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to return the roll roll B1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molded.

다만, 성형실(6)은, 예시한 회전 롤러(620)와 성형 벨트(621, 62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장치(62)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롤러(620)로 이루어지는 성형장치(62)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However, the molding chamber 6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having a molding apparatus 62 formed by combining the illustrated rotating roller 620 and the molding belts 621 and 622, and a molding apparatus composed of the rotating roller 620 It may have (62).

배출 지지체(7)는,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을 고정측 절반부(60)의 외측에서 일단 지지함과 함께, 지지한 상태로 내려, 포장(G)에 가까운 낮은 위치로부터 롤베일(B1)을 굴려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discharge support 7 supports the roll bale B1 discharged from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from the outside of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and once lowered to a supported state, to the packaging G The roll bale B1 is rolled out from a close low position.

배출 지지체(7)는, 차체(A1)에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70)와, 지지부(70)의 후단에 연이어 형성된 배출부(71)와, 지지부(70)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함과 함께, 지지부(70)의 정지상태를 지지하는 유압 실린더(승강 지지 장치)(72)로 구성되어 있다.The discharge support 7 includes a support portion 70 rotatably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A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n axis, a discharge portion 71 and a support portion 70 formed successively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ortion 70. It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elevating support device) 72 supporting the stationary state of the supporting portion 70 while supporting it to rotate.

다만, 승강 지지 장치는, 예시한 유압 실린더(7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70)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부(70)의 정지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의 것이면 된다.However, the lifting support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hydraulic cylinder 72, and can be supported so as to rotate the supporting part 70, and as long as it is of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stationary state of the supporting part 70 do.

지지부(70)는, 도 2에 있어서, 차체(A1)의 좌우에 각각 축지지되어 있으며, 이 2개의 지지부(70)에 걸치도록 C형상을 나타내는 배출부(71)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In Fig. 2, the support portion 70 is axial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A1, and a discharge portion 71 having a C shape is formed in succession so as to span the two support portions 70.

배출부(71)는, 도 3(롤베일 지지 상태, 상승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을 전후방향으로 한 상태(수평보다 지지부(70)의 선단이 약간 높은 경사 상태)의 지지부(70)의 축에 대해 후방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을 지지부(70)와 배출부(71)에서 일단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roll bale support state, ascending limit position), the discharge part 71 is a support part 70 in a state in which the axis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clined state where the tip of the support part 70 is slightly higher than the horizontal) It is formed in succession so as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o fall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and the roll bale B1 discharged from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is onc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70 and the discharge portion 71.

즉, 고정측 절반부(60)가 개방되어 롤베일(B1)이 배출되었을 때에, 이 배출의 힘을 지지부(70)의 경사에 따라 약하게 함과 함께, 배출부(71)가 받아 들임으로써, 지지부(70) 상에 롤베일(B1)을 지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is opened and the roll bale B1 is discharged, the force of this discharge is weaken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ortion 70, and the discharge portion 71 is accepted. The roll bale B1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70.

유압 실린더(72)는, 도 3(롤베일 지지 상태, 상승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에 의하여 지지부(70)의 축을 전후방향으로 한 상태(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고, 도 4(롤베일 배출 도중 상태) 및 도 5(롤베일 배출 상태, 하강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에 의하여 지지부(70)를 서서히 하강시킴과 함께, 지지부(70)의 선단측이 낮아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roll bale support state, ascending limit position), the hydraulic cylinder 72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axis of the support portion 7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close to the horizontal) by elongation, and FIG. 4 As shown in (state during roll bale discharge) and FIG. 5 (roll bale discharge state, lower limit position), the support portion 70 is gradually lowered by contraction, and the tip side of the support portion 70 is lowered. It is supposed to maintain.

배출부(71)는, 도 4(롤베일 배출 도중 상태) 및 도 5(롤베일 배출 상태, 하강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70)가 하강하면, 이 지지부(70)의 선단이 포장(G)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에 따라, 배출부(71)의 선단이 포장(G)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이 경사 상태가 유압 실린더(72)에 의하여 유지된다.As shown in Fig. 4 (state during roll bale discharge) and Fig. 5 (roll bale discharge state, lower limit position), when the support portion 70 descends,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portion 70 The inclin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hydraulic cylinder 72 with the inclination such that the tip of the discharge portion 71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packaging G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packaging G.

즉, 지지부(70)와 배출부(71)는,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하여, 도 3의 롤베일 지지 상태로부터 도 5의 롤베일 배출 상태에 걸쳐, 각각의 선단의 위치가 서서히 내려가 낮아지도록 동작함으로써, 롤베일(B1)을 지지부(70)로부터 배출부(71)를 거쳐 포장(G)에 천천히 굴리도록 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of each tip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roll bale support state of FIG. 3 to the roll bale discharge state of FIG. 5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72 by the support part 70 and the discharge part 71. By operating so as to be lowered, the roll bale B1 can be discharged from the support portion 70 to slowly roll into the packaging G via the discharge portion 71.

배출부(71)의 지지부(70)의 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도 3의 롤베일 지지 상태에 있어서,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의 배출의 힘을 받아 들여, 롤베일(B1)을 지지부(70) 상에 지지할 수 있는 각도이며, 또한 도 5의 롤베일 배출 상태에 있어서, 배출부(71)의 선단이 포장(G)에 근접하였을 때에, 롤베일(B1)을 천천히 굴리도록 배출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upport portion 70 of the discharge portion 71 is in the roll bale support state of FIG. 3, and receives the force of discharge of the roll bale B1 discharged from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 The roll bale (B1) is an angle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70, and also in the roll bale discharge state of Figure 5, when the tip of the discharge portion 71 is close to the packaging (G), the roll bale (B1) can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of angles that can be discharged to roll slowly.

이상의 구성으로 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포장(G)의 사료작물(B)을 수확기(3)로 수확하면서 세단하고, 세단된 사료작물(B)이 슈트(3A)에 의하여, 사료작물 투입구(40)로부터 호퍼(4)에 투입된다.According to 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eed crop (B) of the packaging (G) is cut while harvesting with the harvester (3) while traveling, and the shredded feed crop (B) is the chute (3A). By this, it is injected into the hopper 4 from the feed crop inlet 40.

호퍼(4) 내의 사료작물(B)은,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의 반송면(431)으로 낙하함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반송 돌기(53)에 의하여 투입구(6A)를 향하여 반송되고, 또한 반송 돌기(53)에 의하여 투입구(6A)를 거쳐 성형실(6)에 투입되며, 또한, 성형장치(62)에 의하여 롤베일(B1)로 성형된다.The feed crop B in the hopper 4 falls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to the feed surface 431 of 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veyance rotation of the feed conveyor 5 It is conveyed toward the inlet 6A by the conveying projection 53 to be conveyed, and it is introduced into the forming chamber 6 via the inlet 6A by the conveying projection 53, and is also rolled by the forming apparatus 62 It is molded into a bale (B1).

롤베일(B1)의 성형 후에는, 곤포 자재(B2)를 송출장치(A4)로부터 송출함과 함께, 롤베일(B1)을 곤포하고, 롤베일(B1)의 곤포 후에 고정측 절반부(60)를 개방함으로써, 곤포된 롤베일(B1)이 성형실(6) 밖으로 배출된다.After forming the roll bale B1, the baling material B2 is sent out from the dispensing device A4, and the roll bale B1 is packed, and after the bale B1 is packed, the fixed side half portion 60 By opening ), the packed roll bale B1 is discharged out of the forming chamber 6.

배출된 롤베일(B1)은, 배출 지지체(7)의 지지부(70) 및 배출부(71)에 일단 지지되고,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한 지지부(70) 및 배출부(71)의 하강으로, 지지된 롤베일(B1)이 포장(G)에 배출된다.The discharged roll bale B1 is onc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70 and the discharging portion 71 of the discharging support 7, and the supporting portion 70 and the discharging portion 71 by the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72 As the descent, the supported roll bale B1 is discharged to the packaging G.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의 주행(통상 주행 및 수확 주행) 시에 있어서는, 슈트(3A)의 하단이, 조종석(1)과 좌측에서 인접하고, 또한 조종석(1)의 전단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된 사료작물 방출부(34)에 연결되며, 이 부위로부터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를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향하여, 차체(A1)를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도록 슈트(3A)를 배치함으로써, 조종석(1)으로부터의 좌측 및 좌전방의 시야가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시야 불량에 의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raveling (normal travel and harvest travel) of the self-harvesting roll baler A, the lower end of the chute 3A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1 and is further positione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cockpit 1 It is connected to the feed crop discharging part 34 disposed at, and from this site, the feed crop discharging opening 31A of the chute 3A is directed toward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and the vehicle body A1 is slanted. By arranging the chutes 3A so as to cross each other, the visibility of the left and left fronts from the cockpit 1 is not disturbed, so that accidents due to poor visibility can be prevented.

또, 수확기(3)의 상하이동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는 범위에,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가, 호퍼(4)의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으므로, 수확기(3)의 상하이동에 따라 슈트(3A)가 상하이동하여도, 사료작물(B)을 확실히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is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feed crop outlet 31A of the chute 3A along the shanghai of the harvester 3, the hopper ( Since it is open to the front of the front end of 4), even if the chute 3A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harvester 3, the feed crop B can be surely put into the hopper 4.

또, 슈트(3A)는,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상단이, 수확기(3)의 하한 위치(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상단(천장판(41)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하단이, 수확기(3)의 상한 위치(도 1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슈트(3A)를 포함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ute 3A, the upper end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is at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 and the feed crop inlet 40 of the hopper 4 is The hopper 4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front edge of the ceiling plate 41), and the lower end of the feed crop outlet 31A is at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1). Since it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eed crop inlet 40 of,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verall height of the self-propelled roll baler A including the chute 3A to be low.

이로써, 포장(G)간의 이동 등에 있어서 슈트(3A)가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이동 시에 슈트(3A)를 접는 기구를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ute 3A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between the packagings G and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need for a mechanism for folding the chute 3A during movement.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방출되는 사료작물(B)을 호퍼(4) 밖에 도달하게 하지 않고,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통과시켜 호퍼 내에 투입할 수 있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확기(3)가 상하이동하여도, 사료작물(B)을 확실히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does not cause the feed crop B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to reach only the hopper 4, and the feed crop input port of the hopper 4 ( 40) is set in a position and direc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pper by passing, so that even when the harvester 3 moves up and down, the feed crop B can be surely put into the hopper 4.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도 1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여도, 호퍼(4)의 천장판(41)의 내측(호퍼(4) 내)에 설치된 확산판(4A)의 선단(40A)에 접촉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change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in FIG. 1) of the harvester 3 to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 Even if it is, it is set in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which contact the front end 40A of the diffuser plate 4A provided in the inside (in the hopper 4) of the top plate 41 of the hopper 4.

또,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면적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의 면적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rea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ranged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a virtual line) to the lower limit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a solid line) of the feed crop inlet 40. Even if changed, the chute 3A has an area of a size that does not contac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eed crop inlet 40.

또, 확산판(4A)의 선단(40A)의 길이가, 수확기(3)의 상한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의 범위로의 변화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and the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of the chute 3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tip 40A of the diffusion plate 4A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to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Regardless of the change, the length of the feed crop B to be released is in contact.

따라서, 호퍼(4) 내에 투입되는 사료작물(B)을, 확산판(4A)의 선단(40A)에 확실히 접촉할 수 있으므로, 사료작물(B)을 호퍼(4) 내에 있어서 확실히 확산할 수 있음과 함께, 호퍼(4) 내에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투입할 수 있고, 또한 사료작물(B)을 호퍼(4)의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호퍼(4)에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ed crop B to be fed into the hopper 4 can be sur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p 40A of the diffusion plate 4A, so that the feed crop B can be surely spread in the hopper 4. Along with, it can be input so as to be evenly stored in the hopper 4, and can also be stored evenly in the hopper 4 without biasing the feed crop B to the cente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pper 4.

이로써,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대해서,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균등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Thereby, 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can be equally dropped without being biased to the center or left and right.

그리고, 사료작물(B)을 사료작물 반송공간(43)으로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균등하게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 균등한 상태로 사료작물(B)을 성형실(6)에 반송할 수 있다.And, since the feed crop (B) can be evenly dropped without biasing the center or right and left of 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the feed crop (B) can be transported to the molding chamber (6) in this uniform state. have.

이로써, 성형실(6)에서 성형되는 롤베일(B1)을, 밀도가 균등하고, 형붕괴되기 어려움과 함께, 정상적인 원통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Thereby, the roll bale B1 molded in the shaping chamber 6 can be molded into a normal cylindrical shape with uniform density and difficulty in mold collapse.

또한,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수확기(3)가 상하이동하여도, 슈트(3A)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eed crop discharge port 31A changes from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harvester 3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to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he chute 3A is fed. Since it does not contac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rop inlet 40, even if the harvester 3 moves up and down, damage to the chute 3A or the feed crop inlet 40 can be prevented.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는,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속하는 공간인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이 설치되고, 이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반송 컨베이어(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성형실(6)에 반송할 수 있다.Below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a feed crop conveying space 43, which is a space continuous with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is installed, and a transport conveyor 5 is disposed in the feed crop conveying space 43. Therefore, the falling feed crop B can be conveyed to the molding chamber 6 without flowing out of the machine.

또,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통하는 부위 및 출구(430)를 제외하고, 외부와 폐쇄된 독립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받아 들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is formed as an independent space that is closed from the outside, except for the portion and the outlet 430 communicating with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the feed crop falling space 42 is provided from the feed crop dropping port 42. Falling feed crops (B) can be accepted without spilling out of the machine.

또, 사료작물 반송공간(43)으로 낙하한 사료작물(B)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하고, 반송 컨베이어(5)의 무한 궤도체(52)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반송 돌기(53)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한 사료작물(B)을,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긁어내도록 출구(430)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 crop B dropped into the feed crop conveyance space 43 reaches the conveyance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less track body 52 of the conveyance conveyor 5 The feed projections 53 can be transported toward the exit 430 so as to scrape the feed crop B reaching the transport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according to the transport rotation of the caterpillar 52. .

따라서, 사료작물(B)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히 성형실(6)에 투입할 수 있고, 이로써, 롤베일(B1)의 성형 작업을 효율적으로, 확실히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ed crop B can be efficiently and surely put into the forming chamber 6, whereby the forming operation of the roll bale B1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surely.

또한, 반송 돌기(53)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한 사료작물(B)을,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긁어내도록 출구(430)를 향하여 반송하므로, 사료작물(B)의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서의 잔류량을 큰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작업 후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사료작물(B)의 잔류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ying projection 53 conveys the feed crop B reaching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guiding surface 431A toward the exit 430 so as to scrape along the conveying rotation of the caterpillar 52. , Residual amounts on the conveying surface 431 and the guide surface 431A of the feed crop B can be greatly reduced, whereby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up after work, and to the residue of the feed crop B. Odor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성형실(6)의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된 롤베일(B1)은, 배출 지지체(7)의 지지부(70) 및 배출부(71)에 의하여, 고정측 절반부(60)의 외측에서 일단 지지되고, 지지된 상태로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하여, 지지부(70) 및 배출부(71)를, 각각의 선단이 포장(G)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롤베일(B1)을 지지하면서 하강시킬 수 있다.The roll bale B1 discharged from the fixed-side half portion 60 of the molding chamber 6 is formed by the support portion 70 and the discharge portion 71 of the discharge support 7, and Once supported from the outside, by the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72 in a supported state, the support part 70 and the discharge part 71 ar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tip is close to the packaging G, and thus the roll bale It can be lowered while supporting (B1).

그리고, 지지부(70) 및 배출부(71)는, 하강에 의하여 서서히 롤베일(B1)을 포장(G)에 굴려 배출할 수 있도록 경사짐으로써, 포장(G)에 가까운 낮은 위치(하강 한계 위치)로부터 롤베일(B1)을 굴려 배출할 수 있고, 이로써, 롤베일(B1)의 배출 시의 롤베일(B1)에 대한 낙하 쇼크를 완화할 수 있음과 함께, 낙하 쇼크에 의한 롤베일(B1)의 형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형붕괴에 의한 사료작물(B)의 포장(G)으로의 흘러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70 and the discharge portion 71 are inclined so that the roll bale B1 is gradually rolled into the package G and discharged by descending, thereby lowering the position closer to the package G (lower limit position) ), the roll bale B1 can be rolled and discharged, whereby the drop shock to the roll bale B1 when discharging the roll bale B1 can be alleviated, and the roll bale B1 due to the drop shock ) Can be prevented from collaps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ripping of the feed crop (B) into the packaging (G) due to the collapsing.

A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
A1 차체
B 사료작물
B1 롤베일
G 포장
1 조종석
2 주행체
3 수확기
4 호퍼
5 반송 컨베이어
6 성형실
7 배출 지지체
3A 슈트
31A 사료작물 방출구
34 사료작물 방출부
40 사료작물 투입구
42 사료작물 낙하구
43 사료작물 반송공간
430 출구
431 반송면
431A 안내면
4A 확산판
50 회전체
51 회전체
52 무한 궤도체
53 반송 돌기
60 고정측 절반부
61 가동측 절반부
6A 투입구
70 지지부
71 배출부
72 유압 실린더(승강 지지 장치)
A self-propelled roll baler
A1 body
B feed crop
B1 roll bale
G packing
1 cockpit
2 Vehicle
Three harvester
4 hopper
5 Conveyor
6 Molding room
7 Exhaust support
3A suit
31A feed crop outlet
34 Feed crop release
40 feed crop inlet
42 Forage crop fall
43 Feed crop transport space
Exit 430
431 conveying surface
431A guide surface
4A diffuser plate
50 rotating body
51 rotating body
52 Caterpillar
53 bounce
60 fixed side half
61 movable side half
6A slot
70 support
71 outlet
72 hydraulic cylinder (lift support)

Claims (2)

조종석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체를 수확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포장의 사료작물을 수확하고, 수확한 상기 사료작물을 성형실에서 롤베일로 성형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로서,
차체의 전단측, 또한 상기 조종석보다 전방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포장 및 상기 포장의 상기 사료작물의 상황에 따라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사료작물을 수확하여 세단하는 수확기와,
상기 수확기의 사료작물 방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료작물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후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사료작물 방출구를 가지는 슈트와,
상기 차체에 있어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사료작물을 저장하는 호퍼로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와 전후방향에서 대면하는 사료작물 투입구와,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로부터 상기 사료작물 투입구를 거쳐 상기 호퍼 내에 투입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접촉시킴과 함께, 이 접촉에 의하여 상기 사료작물을 상기 호퍼 내에 확산시켜 균등하게 저장시키는 확산판을 가지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판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수확기의 상하이동에 따른 상기 슈트의 상하이동에 의한 상기 사료작물 방출구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투입되는 상기 사료작물이 접촉하는 길이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
As a self-propelled roll baler for harvesting the forage crop of the packaging while moving the driving body in the harvesting direction by manipulation from the cockpit, and forming the harvested forage crop into a roll bale in a molding room,
A harvester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being movabl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cockpit, harvesting and cutting the feed crop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ackage and the feed crop of the package;
A chute having a feed crop outlet connected to a feed crop discharge portion of the harvester and set in a direction to discharge the feed crop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discharge portion toward the rear;
In the vehicle body, disposed as a rear of the feed crop outlet, as a hopper for storing the feed crop discharged from the feed crop outlet, a feed crop inlet facing the feed crop outlet a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eed crop A hopper having a diffusion plate for contacting the feed crop,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hopper through the feed crop inlet, from the outlet, and spreading the feed crop into the hopper by the contact, and storing the feed crop evenly.
The diffusion plate,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eed crop outlet by the shandong of the chute according to the shandong of the harvester, the length of the feed crop to be in contact with the length Self-propelled roll baler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작물 방출부가, 상기 조종석의, 상기 주행체의 전진방향에 대해서 평면방향에서 교차하는 좌우 어느 일방측과 좌우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 crop discharging portion, the self-propelled roll bal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cockpit, the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crossing in the pla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KR1020140027067A 2013-08-23 2014-03-07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KR1021202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558 2013-08-23
JP2013173558A JP6166982B2 (en) 2013-08-23 2013-08-23 Self-propelled harvesting roll b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33A KR20150022633A (en) 2015-03-04
KR102120236B1 true KR102120236B1 (en) 2020-06-08

Family

ID=5269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67A KR102120236B1 (en) 2013-08-23 2014-03-07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66982B2 (en)
KR (1) KR1021202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525A (en) 1999-06-28 2001-01-16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Roll baler
JP2004154067A (en) 2002-11-07 2004-06-03 Takakita Co Ltd Blowing guide for to-be-formed material for hopper of roll baler
JP2004321061A (en) 2003-04-24 2004-11-18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Roll baler
JP2010081903A (en) 2008-10-01 2010-04-15 Yanmar Co Ltd Roll ba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7038Y2 (en) * 1977-07-13 1980-08-30
JPH0331134Y2 (en) * 1985-11-22 1991-07-02
JP3868350B2 (en) * 2002-08-19 2007-01-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Combine harvester
US8677724B2 (en) * 2010-10-25 2014-03-25 Deere & Company Round baler for baling crop resid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525A (en) 1999-06-28 2001-01-16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Roll baler
JP2004154067A (en) 2002-11-07 2004-06-03 Takakita Co Ltd Blowing guide for to-be-formed material for hopper of roll baler
JP2004321061A (en) 2003-04-24 2004-11-18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Roll baler
JP2010081903A (en) 2008-10-01 2010-04-15 Yanmar Co Ltd Roll b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6982B2 (en) 2017-07-19
KR20150022633A (en) 2015-03-04
JP2015039362A (en)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807B1 (en) Roll baler
US9420747B2 (en) Method of controlling crop flow to crop collection device
CN106240917B (en) Module wrapping material feeding device and agricultural harvester
US11375670B2 (en) Baling apparatus and method
EP2838337B1 (en) Continuous bale forming apparatus with a reciprocating bale pushing device
US89053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 cutting and baling wood chips formed during land clearing activities
US20140165856A1 (en) Round baling apparatus
US9918433B2 (en) Continuous harvester and mobile wrapp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777382B1 (en) Baler rear shield mechanism
KR20160004128U (en) Baler for forming a bale
KR102147704B1 (en) Roll baler
KR102120236B1 (en) Self-propelled harvesting type roll baler
US20140116272A1 (en) Round Baler
JP6571427B2 (en) Roll baler
JP5005560B2 (en) Corn field stump processing equipment
JP4595049B2 (en) Roll baler
JP2003169535A (en) Roll baler
JP4322510B2 (en) Whole crop roll b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