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877B1 -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 Google Patents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877B1
KR102119877B1 KR1020180135924A KR20180135924A KR102119877B1 KR 102119877 B1 KR102119877 B1 KR 102119877B1 KR 1020180135924 A KR1020180135924 A KR 1020180135924A KR 20180135924 A KR20180135924 A KR 20180135924A KR 102119877 B1 KR102119877 B1 KR 10211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protruding body
contact members
protrud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061A (ko
Inventor
홍으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Priority to KR102018013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8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은 원판 형상의 뚜껑 몸체부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 몸체부; 및,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Silicon cap}
본 발명은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구를 용이하게 밀폐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음식물 용기의 뚜껑은 기밀유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다. 대부분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 직사각이나 정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첩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테두리의 내측으로는 패킹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패킹은 용기와 결합될 경우에 잠금수단에 의하여 잠금되면서 패킹이 가압되어 용기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새어남 등을 방지하게 되면서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첩되어지는 잠금날개는 뚜껑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짐으로 여로개의 용기로 채워지는 좁은 냉장고 등에서 이러한 용기들 간의 돌출되는 잠금날개의 간섭으로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잠금이 가압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압축이 될 경우에는 쉽게 열림이나 잠금이 용이치 아니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의 사용에 따른 뚜껑과의 긴밀한 조립의 어려움과 뚜겅에 장착된 패킹의 사이로 이물질이 끼임되어지면서 이로 인한 오염의 문제점으로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고 패킹의 세척을 위하여 다시 조립할 경우에는 긴밀한 조립에 다른 조립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별도의 잠금수단을 사용치 아니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실리콘 몸체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밀착단을 형성하여 용기의 외면 또는 내면에 단순히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는 일정의 압력이 형성된다. 이후 뚜껑은 상기 압력으로 인해 일정 외력을 사용하여 강제로 탈거하여야 함에 따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중의 밀폐를 위해 밀착단을 다수로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다수의 밀착단은 서로 동일한 돌출 길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일정의 반경을 갖는 용기에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뚜껑을 용기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밀착단은 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방으로 밀려 올려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단은 일정 이상의 과도한 힘으로 인해 하방으로 휨이 발생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 실리콘 뚜껑이 용기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밀착단은 상방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용기의 외면 또는 내면과 일부 구건에서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7-0090869호(공개일자 : 2017.08.08)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용기를 밀폐 효율을 형상시킴과 아울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용기의 내주에 말착되는 탄성의 밀착 부재의 도피 공간을 형성하여 과도한 일정 이상의 밀착력 형성을 방지하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다수의 밀착 부재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구현하여, 용기에 설치시 또는 탈거시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은 원판 형상의 뚜껑 몸체부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 몸체부; 및,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 몸체부의 상단에는, 표시 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표시 부재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제 1외경 보다 작은 제 2외경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1곡률 반지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2곡률 반지름을 형성하되, 상기 제 2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 1곡률 반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 내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는, 제 3곡률 반지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 깊이는,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 깊이 보다, 일정 깊이로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서 상하를 따라 일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밀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은, 상기 밀착 부재 각각의 수평방향 최고점을 통과하는 수평선인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의 중심선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하단 두께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상단 두께 보다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은,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로부터 외측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끝단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끝단에는, 상하를 따라 다층을 이루는 보조 돌기 라인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일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도피 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타단은, 상기 도피 영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피 영역은 곡률 반지름을 형성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링 형성의 진공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 유로는,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는, 보조 몸체부가 더 결합되되,
상기 보조 몸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몸체부의 내주에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 라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몸체부의 외주에는, 다수의 보조 밀착 부재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표시 부재 설치홈의 영역 면적은,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와 외주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외주 사이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주름을 이루는 구성이 더 형성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용기를 밀폐 효율을 형상시킴과 아울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주에 말착되는 탄성의 밀착 부재의 도피 공간을 형성하여 과도한 일정 이상의 밀착력 형성을 방지하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 부재의 수평방향 최고점을 통과하는 수평선인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의 중심선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구현하여, 용기에 설치시 또는 탈거시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은 뚜껑 몸체부(100)와, 돌출 몸체부(200)와, 밀착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몸체부(1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뚜껑 몸체부(10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격자 형상의 또 다른 탄성 재질의 지지 부재(미도시)가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뚜껑 몸체부(100)의 탄성보다 낮게 형성되어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표시 부재(10)가 끼워져 고정되는 표시 부재 설치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 부재(10)는 상호가 인쇄된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 설치홈(110)의 영역 면적은 돌출 몸체부(200)의 내주와 외주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시 부재(10)가 표시 부재 설치홈(110)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표시 부재(10)는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상하로의 과도한 휘어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는 뚜껑 몸체부(100)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제 2외경(D2)은 뚜껑 몸체부(100)의 제 1외경(D1)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뚜껑 몸체부(100)와 일체를 이룬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뚜껑 몸체부(100)와 일체를 이루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내경(d)은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두께(t)는 뚜껑 몸체부(100)에 근접될수록 두터워질 수 있다.
여기서, 뚜껑 몸체부(100)는 용기(20)에 장착하는 경우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돌출 몸체부(200)의 두께(t)가 뚜껑 몸체부(100)에 근접될수록 두터워짐에 따라 변형으로 인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내부에도 상술한 지지 부재와 연장되는 다른 지지 부재가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상기 다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몸체부(100) 및 돌출 몸체부(200)는 상기 지지 부재 및 다른 지지 부재의 탄성에 따라 일정의 형상 변형이 한정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몸체부(100)와 돌출 몸체부(200) 간 연결 부위 및 각각의 모서리에 곡률 반지름이 형성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내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1곡률 반지름(R5)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외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2곡률 반지름(R3)을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돌출 몸체부(200)의 내주 및 외주 상단은 뚜껑 몸체부(100)의 하면에 곡률 반지름을 이루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는 뚜껑 몸체부(1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용기(20)의 내주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제 1,2곡률 반지름(R5, R3) 형성으로 인해,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뚜껑 몸체부(100)의 하단에서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연결된 부위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2곡률 반지름(R5, R3)은 일정의 늘음량을 보상해 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2곡률 반지름(R5, R3)에는 일정의 주름이 상하를 따라 다수를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곡률 반지름(R3)은 상기 제 1곡률 반지름(R5)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돌출 몸체부(200)가 외측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하단 내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는, 제 3곡률 반지름(R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하단 내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는 용기(20)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돌출 몸체부(200)가 용기(20)의 내벽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 3곡률 반지름(R3)은 용기(20)의 내벽에 슬림을 유도하여 돌출 몸체부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내주 깊이는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 깊이 보다 일정 깊이로 깊게 형성된다.
즉, 뚜껑 몸체부(100)의 두께는 외주측 두께(t) 및 내주측 두께(t')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뚜껑 몸체부(100)의 두께는 돌출 몸체부(200)의 내주측 두께(t') 보다 외주측 두께(t)가 두터운 두께를 이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몸체부(200)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경우, 상기 돌출 몸체부(200)는 외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와 같은 두께 차로 인해 일정 이상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300)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300()는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300)는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외주에서 상하를 따라 일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밀착 부재(31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은 각각의 밀착 부재(310)의 수평방향 최고점을 통과하는 수평선인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의 중심선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의 하단 두께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의 상단 두께 보다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은,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외주로부터 외측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의 끝단은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일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도피 영역(210)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의 타단은 상기 도피 영역(210)에 연결된다. 상기 도피 영역(210)은 곡률 반지름을 형성하는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가 용기(2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도피 영역(210)은 다수의 밀착 부재가 내측으로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는 용기(20)의 내면과의 과도한 압착 또는 밀착으로 인해 상방으로 꺾이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밀착 부재(310) 각각의 끝단에는 상하를 따라 다층을 이루는 보조 돌기 라인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310)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링 형성의 진공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 유로는,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 유로는 용기(20) 내부의 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유로는 자체 저장된 진공으로 인해 밀착 부재를 지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돌출 몸체부(200)의 외주에는, 보조 몸체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몸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몸체부의 내주에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 라인홈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보조 몸체부의 외주에는 다수의 보조 밀착 부재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몸체부는 돌출 몸체부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상기 보조 몸체부는 돌출 몸체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 몸체부는 다른 내경을 갖는 다른 용기(20)에 장착하는 경우 사용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용기를 밀폐 효율을 형상시킴과 아울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주에 말착되는 탄성의 밀착 부재의 도피 공간을 형성하여 과도한 일정 이상의 밀착력 형성을 방지하여 탈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밀착 부재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구현하여, 용기에 설치시 또는 탈거시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표시 부재
20 : 용기
100 : 뚜껑 몸체부
110 : 표시 부재 설치홈
200 : 돌출 몸체부
210 : 도피 영역
300 : 밀착부
310 : 밀착 부재

Claims (10)

  1. 원판 형상의 뚜껑 몸체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 몸체부; 및,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 몸체부의 상단에는, 표시 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표시 부재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제 1외경 보다 작은 제 2외경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1곡률 반지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하단 사이 모서리는, 일정의 제 2곡률 반지름을 형성하되,
    상기 제 2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 1곡률 반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 내주 모서리와, 외주 모서리는, 제 3곡률 반지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 깊이는, 상기 돌출 몸체부의 하단까지의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 깊이 보다, 일정 깊이로 깊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서 상하를 따라 일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밀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은, 상기 밀착 부재 각각의 수평방향 최고점을 통과하는 수평선인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의 중심선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하단 두께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상단 두께 보다 두텁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은,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로부터 외측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끝단은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끝단에는, 상하를 따라 다층을 이루는 보조 돌기 라인들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일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도피 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 각각의 타단은, 상기 도피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도피 영역은 일정의 곡률 반지름을 형성하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링 형성의 진공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유로는,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에는, 보조 몸체부가 더 결합되되,
    상기 보조 몸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몸체부의 내주에는, 상기 다수의 밀착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 라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몸체부의 외주에는, 다수의 보조 밀착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 설치홈의 영역 면적은, 상기 돌출 몸체부의 내주와 외주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부의 외주와 상기 뚜껑 몸체부의 외주 사이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주름을 이루는 구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35924A 2018-11-07 2018-11-07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KR10211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24A KR102119877B1 (ko) 2018-11-07 2018-11-07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24A KR102119877B1 (ko) 2018-11-07 2018-11-07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61A KR20200053061A (ko) 2020-05-18
KR102119877B1 true KR102119877B1 (ko) 2020-06-08

Family

ID=7091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924A KR102119877B1 (ko) 2018-11-07 2018-11-07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59B1 (ko) * 2009-10-08 2010-08-03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CN202508434U (zh) * 2012-02-06 2012-10-31 山东业盛玻璃有限公司 硅胶玻璃盖及包装容器
KR101494254B1 (ko) * 2013-11-05 2015-02-17 주식회사 두두월드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12A (ko) * 2005-08-22 2007-02-27 하나코비 주식회사 캐릭터 사진을 간직한 플라스틱재 용기 뚜껑을 구비한음식물 용기
KR20170023617A (ko) * 2015-08-24 2017-03-06 동아정밀공업(주) 패킹이 구비된 밀폐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59B1 (ko) * 2009-10-08 2010-08-03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CN202508434U (zh) * 2012-02-06 2012-10-31 山东业盛玻璃有限公司 硅胶玻璃盖及包装容器
KR101494254B1 (ko) * 2013-11-05 2015-02-17 주식회사 두두월드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61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757B2 (en) Method of merchandising lids and vessels
KR100538681B1 (ko)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US8534492B2 (en) Container with air-tight lid
CN107521840B (zh) 包括锁定机构的容器盖和阀
US11639252B2 (en)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JP4929320B2 (ja) 包装用容器
EP2725948B1 (en) Electrically heated vessel
US9630752B2 (en) Pliable variable diameter sealing lid
KR102119877B1 (ko)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JP6452143B2 (ja) 包装用容器
JP5510507B2 (ja) 食品用容器
JP5504264B2 (ja) 蓋付容器
KR102194813B1 (ko) 컵 뚜껑
KR102293699B1 (ko) 개선된 밀폐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20140002817U (ko) 용기
KR200383322Y1 (ko) 금속제 용기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TW202144245A (zh) 蓋組件與帶蓋容器
KR102410436B1 (ko) 용기 덮개용 진공 패킹
CN111148700B (zh) 包括封闭装置和盖的容器
US20230373692A1 (en) Flexible closure and package including a flexible closure
KR100644353B1 (ko) 밀폐형 용기
JP2017119516A (ja) ドラム缶用異物吸込み防止治具
JP2022174978A (ja) 食品収納容器、および、食品収納容器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