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159B1 -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159B1
KR100973159B1 KR1020090095638A KR20090095638A KR100973159B1 KR 100973159 B1 KR100973159 B1 KR 100973159B1 KR 1020090095638 A KR1020090095638 A KR 1020090095638A KR 20090095638 A KR20090095638 A KR 20090095638A KR 100973159 B1 KR100973159 B1 KR 10097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ct
pack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이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이순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Priority to KR102009009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11)이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를 덮기 위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에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22)이 형성되며, 측판(22)의 외측면에 용기(10)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25)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용기(10)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10)와 뚜껑(20)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패킹(3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20)의 측판(22)은 내측에 요홈(29)이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은 내측벽(27)의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된 홀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은 요홈(29)에 삽입되어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단면에 각각 접촉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부(32)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와 결합되는 뚜껑의 가장자리 구조와 패킹의 밀착 구조에 의하여 뚜껑의 휨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용기 내부의 액체 및 기체성분의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견고하고 완벽한 밀폐구조의 제공으로 밀폐 용기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밀폐, 용기, 뚜껑, 패킹, 손잡이, 밀착면, 측벽

Description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Airtight Structure of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외부와 견고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용기는 일정의 내부 용적을 갖는 용기에 뚜껑을 덮어 밀폐시키는 것이다. 밀폐 용기는 외부와 내부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밀폐 용기는 외부와 내부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도록 용기와 뚜껑 사이에 패킹 등을 개재하여 일정의 가압력으로 밀폐시킨다.
그리고 밀폐 용기는 뚜껑과 2면 또는 4면에 걸친 결합으로 밀폐가 이루어진다. 즉 용기의 4측면 중에서 양측이나 4측면에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된 뚜껑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에 용기와 뚜껑이 2면에서 결합되는 경우, 즉 뚜껑의 양측에 체 결용 손잡이가 구비된 경우에는 체결용 손잡이가 결합된 2면에는 어느 정도 밀폐가 이루어지지만,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은 2면은 체결용 손잡이가 체결된 부분의 가압력에 의하여 뚜껑 상판이 위로 볼록하게 휘어져 체결용 손잡이가 체결되지 않은 부분의 2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2면을 결합하는 밀폐 용기의 문제에 대응하여 4면에 걸쳐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되어 용기의 4면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 용기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4면을 체결용 손잡이로 밀폐시키는 용기에 있어서, 패킹의 재질에 따라 일정한 가압력이 일정 시간이상으로 유지되면 경화되어 밀폐력이 감소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용기의 4면을 제외한 모퉁이 부분에는 용기와 뚜껑의 밀착력이나 결합력이 저하되어 내용물, 즉 액체나 기체성분이 누설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2면의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된 밀폐 용기의 뚜껑과 패킹의 밀착 구조를 향상시켜 뚜껑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뚜껑과 용기의 체결력과 밀폐력이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이 형 성된 용기; 상기 용기를 덮기 위한 상판이 형성되고, 상판의 가장자리에 용기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이 형성되며, 측판의 외측면에 용기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가 구비된 뚜껑; 상기 용기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와 뚜껑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측판은 내측에 요홈이 형성된 내측벽과 외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내측벽의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된 홀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요홈에 삽입되어 용기 상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단면에 각각 접촉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부가 형성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용기와 결합되는 뚜껑의 가장자리 구조와 패킹의 밀착 구조에 의하여 뚜껑의 휨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용기 내부의 액체 및 기체성분의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견고하고 완벽한 밀폐구조의 제공으로 밀폐 용기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1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뚜껑과 용기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는 뚜껑의 가장자리와 용기의 상단부가 하나 이상의 밀폐면을 갖는 패킹에 의하여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2면의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된 밀폐 용기의 휨 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용기(10)는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11)이 형성된 것이다. 용기(10)는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내측에 일정 용량의 공간부가 형성된 것이다. 용기(10)는 육면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원기둥 모양이나 형상이어도 좋다. 용기(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11)의 저면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체결손잡이(25)의 결합돌기(26)와의 체결로 뚜껑(20)과 용기(10)가 결합된다.
뚜껑(20)은 용기(10)를 덮기 위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에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22)이 형성되며, 측판(22)의 외측면에 용기(10)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25)가 형성된 것이다. 뚜껑(20)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뚜껑(20)의 측판(22)의 하부에는 내측에 요홈(29)이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20)의 측판(22)과 측판(22)의 하부에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의 두께는 상판(21)의 두께보다 크고, 상판(21)과 측판(22)이 접하는 위치에 함몰부(23)와 융기부(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체결손잡이(25)는 상기 측판(22)의 외측벽(28)에 연결되고, 체결손잡이(25)는 용기(10)의 결합턱(11) 아래에 형성된 결합홈(13)과 결합되는 결합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손잡이(25)는 외측벽(28)과 연결된 부분에 상하로 절곡되는 절 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30)은 용기(10)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10)와 뚜껑(20)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패킹(30)은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신축성을 갖는 것이다. 패킹(30)은 뚜껑(20)의 내측벽(27)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홀딩부(31)가 형성되고, 패킹(30)은 요홈(29)에 삽입되어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단면에 각각 접촉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밀폐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30)의 밀폐부(32)는 측판(22)의 내측벽(27)과 용기(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제1밀폐면(33)과, 측판(22)의 외측벽(28)과 용기(1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제2밀폐면(34), 그리고 제1밀폐면(33)과 제2밀폐면(34) 사이에 연결되어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3밀폐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밀폐면(33)에는 용기(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돌기(33a)가 돌출 형성되고, 제3밀폐면(35)에는 용기(10) 상단면과 접촉되는 접촉돌기(35a)가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의 작용을 도 3a 및 도 3b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뚜껑(20)의 측판(22) 아래, 즉 내측벽(27)과 외측벽(28) 사이에는 요홈(29)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벽(27)의 하부에는 패킹(30)의 홀딩부(3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홀딩부(31)에는 요홈(29)에 삽입된 밀폐부(32)가 연결되어 있다. 밀폐부(32)의 제1밀폐면(33)은 요홈(29)의 내측벽(27) 쪽에 밀착되어 있고, 제2밀폐면(34)은 요홈(29)의 외측벽(28) 쪽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부(32)의 제3밀폐면(35)은 제1밀폐면(33)과 제2밀폐면(34)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밀폐면(33)은 용기(10)의 상부 내측면 쪽으로 복수의 접촉돌기(33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3밀폐면(35)은 용기(10)의 상단면 쪽으로 접촉돌기(35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벽(28)의 표면에 연결된 체결손잡이(25)는 해제된 상태이다.
도 3b에서, 뚜껑(20)을 용기(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올려놓은 후에 체결손잡이(25)를 용기(10)의 결합턱(11) 쪽으로 내리면 결합돌기(26)가 결합턱(11)의 걸림돌기(12)와 접촉된다. 그리고 일정의 힘을 가하여 체결손잡이(25)를 용기(10)쪽으로 밀면 결합돌기(26)는 걸림돌기(12)를 넘어 결합홈(13)에 결합된다. 즉 체결손잡이(25)의 결합돌기(26)가 외압에 의하여 걸림돌기(12)를 넘어가면서 뚜껑(20)은 아래로 가압된 후에 결합돌기(26)가 결합홈(13)에 결합된 후에는 다시 뚜껑(20)은 위로 약간 상승하게 된다. 뚜껑(20)이 용기(10)와 결합되면서 뚜껑(20)이 약간, 즉 걸림돌기(12)의 돌출 정도로 하강 및 상승하는 것은 패킹(30)의 탄성에 의한 것이다.
더욱이 체결손잡이(25)가 용기(10)의 결합턱(11) 아래의 결합홈(13)에 결합되면, 패킹(30)의 제1밀폐면(33)의 접촉돌기(33a)는 용기(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밀폐면(34)은 용기(1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제3밀폐면(35)의 접촉돌기(35a)는 용기(10)의 상단면과 밀착된다. 상기 제1밀폐면(33)의 접촉돌기(33a)는 용기(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단부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고, 제3밀폐면(35)의 접촉돌기(35a)는 용기(10)의 상단면과 밀착되면서 상부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뚜껑(20)의 가장자리인 측판(22)의 내측벽(27)과 외측벽(28) 사이의 요홈(29)으로 용기(10)의 상부가 결합되면서 패킹(30)의 밀폐부(32)로 이루어진 제1밀폐면(33), 제2밀폐면(34) 및 제3밀폐면(35)이 각각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외측면 및 상단면에 각각 접촉 결합되면서 용기(10)의 외부와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킹(30)의 밀폐부(32)는 용기(10)의 상부와 3점의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용기(10)에 적재된 내용물의 액체성분이나 기체성분이 용기(1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뚜껑(20)의 상판(21)과 뚜껑(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판(22) 사이에 융기부(24)와 함몰부(23)는 뚜껑(20)이 용기(10)에 결합 및 체결될 때에 상판(2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뚜껑(20)이 용기(10)의 상부와 체결될 때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상판(21)으로 전달하지 않고 융기부(24)와 함몰부(23)가 흡수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측판(22)은 상판(2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뚜껑(20)이 용기(10)에 체결될 때에 측판(22)에 가해지는 힘이 상판(2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고, 도 4b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뚜껑(20)의 측판(22) 아래에 내측벽(27)과 외측벽(28)이 형성되고, 내측벽(27)과 외측벽(28) 사이에 중간측벽(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벽(27)과 중간측벽(40)에 고정홈(41)이 형성되고, 중간측벽(40)과 외측벽(28) 사이에 요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41)에는 패킹(30)의 고정부(36)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요홈(42)에는 패킹(30)의 밀폐부(37)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패킹(30)의 고정부(36)와 밀폐부(37) 사이에 중간측벽(40)이 위치하고 있다. 밀폐부(37)는 고정부(36)에 연결되어 자기 탄성을 가진다. 더욱이 밀폐부(37)는 요홈(42) 쪽으로 삽입 위치되고 용기(10) 상부의 내측면이나 또는 내측면과 상단면이나 또는 내측면과 상단면 및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10)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를 차단하여 밀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30)의 밀폐부(37)는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37b)가 형성되고, 밀폐부(37)의 종단에는 밀폐부(37)가 접촉돌기(37b)와 용기(10) 상단면 사이에서 가압될 때에 용기(10) 상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접촉돌기(3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폐부(37)는 동일한 굵기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요홈(42)의 상단에는 가압돌기(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43)는 밀폐부(37)가 용기(1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따라서 밀폐부(37)의 접촉돌기(37b)는 중간측벽(40)과 용기(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20)의 내부 공간부를 1차 밀폐시키고, 가압돌기(43)와 용기(20)의 상단면 사이에 밀폐부(37)가 위치되어 용기(20)를 2차 밀폐시키며, 밀폐부(37) 단부에 형성된 접촉돌기(37a)가 용기(10)의 상단면 외측에 접촉되어 3차 밀폐시키는 구조가 형성되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고, 도 5b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뚜껑(20)의 측판(22) 아래에 내측벽(27)과 외측벽(28)이 형성되고, 내측벽(27)과 외측벽(28) 사이에 중간측벽(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벽(27)과 중간측벽(40)에 고정홈(41)이 형성되고, 중간측벽(40)과 외측벽(28) 사이에 요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41)에는 제1패킹(30)의 고정부(36)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요홈(42)에는 제1패킹(30)의 밀폐부(38)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패킹(30)의 고정부(36)와 밀폐부(38) 사이에 중간측벽(40)이 위치하고 있다. 밀폐부(38)는 고정부(36)에 연결되어 자기 탄성을 가진다.
더욱이 밀폐부(38)는 용기(10)의 내측면 위와 아래로 밀착되는 접촉돌기(38a, 38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부(38)는 동일한 굵기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단부에 밀폐부(38) 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밀폐부(38)는 중간측벽(40)과 용기(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2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밀폐시킨다.
그리고 요홈(42)에는 제2패킹(45)이 삽입 고정된다. 제2패킹(45)은 상하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밀폐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 예에서, 뚜껑(20)으로 용기(10)가 밀폐되는 구조는 제1패킹(30)의 밀폐부(38)의 접촉돌기(38a)는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위쪽에 밀착되고, 접촉돌기(38b)는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아래쪽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즉 밀폐부(38)의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갈라진 형상으로 용기(10)의 내측면에 2중으로 접촉 밀착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더욱이 뚜껑(20)의 요홈(42)에 삽입 고정된 제2패킹(45)은 용기(10) 상단면과 접촉되어 탄성 밀폐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밀폐부(38)의 접촉돌기(38a, 38b)의 2중 밀폐와 제2패킹(45)의 밀폐로 3중의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고, 도 6b는 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뚜껑(20)의 측판(22) 아래에 내측벽(27)과 외측벽(28)이 형성되고, 내측벽(27)과 외측벽(28) 사이에 중간측벽(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벽(27)과 중간측벽(40)에 고정홈(41)이 형성되고, 중간측벽(40)과 외측벽(28) 사이에 요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41)에는 제1패킹(30)의 고정부(36)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요홈(42)에는 제1패킹(30)의 밀폐부(39)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패킹(30)의 고정부(36)와 밀폐부(39) 사이에 중간측벽(40)이 위치하고 있다. 밀폐부(39)는 고정부(36)에 연결되어 자기 탄성을 가진다.
밀폐부(39)는 중간측벽(40)의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되고, 요홈(42)의 측벽에 삽입 위치되며, 용기(10) 상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밀폐부(39)는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접촉돌기(39a, 39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부(39)는 동일한 굵기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단부에 밀폐부(39) 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밀폐부(39)는 중간측벽(40)과 용기(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2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밀폐시킨다.
또한, 요홈(42)에는 제2패킹(45)이 삽입 고정된다. 제2패킹(45)은 상하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밀폐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4실시 예에서, 뚜껑(20)으로 용기(10)가 밀폐되는 구조는 제1패킹(30)의 밀폐부(39)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접촉돌기(39a, 39b)가 용기(10) 상부의 내측면에 2중 밀착된다. 더욱이 뚜껑(20)의 요홈(42)에 삽입 고정된 제2패킹(45)은 용기(10) 상단면과 접촉되어 탄성 밀폐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밀폐부(39)의 접촉돌기(39a, 39b)의 2중 밀폐와 제2패킹(45)의 밀폐로 3중의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의 실시 예에서 제1패킹(30)에 형성된 밀폐부(37, 38, 39)와 제2패킹(45)은 각각 용기(10) 상부의 내측면과 상단면 및 외측면 등에 접촉되어 뚜껑(20)과 용기(10)의 3중으로 밀착에 의한 밀폐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밀폐구조는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구조로 뚜껑과 용기의 완벽한 밀폐로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흘러나오거나 새는 것을 방지한 구조이다. 더욱이 밀폐부의 표면에는 접촉돌기가 형성되거나 뚜껑과 용기 사이의 밀폐력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 제시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는 2면에 체결용 손잡이가 구비된 밀폐 용기에 적용되어 뚜껑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뚜껑과 용기가 체결될 때에 뚜껑과 패킹의구조적인 형상과 모양으로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밀폐 용기의 사용과 더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를 제1실시 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도 3a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하기 전이고, 도 3b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한 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도 4a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하기 전이고, 도 4b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한 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도 5a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하기 전이고, 도 5b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한 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도 6a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하기 전이고, 도 6b는 뚜껑과 용기를 결합한 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 용기 10: 용기
11: 결합턱 12: 걸림돌기
13: 결합홈 20: 뚜껑
21: 상판 22: 측판
23: 함몰부 24: 융기부
25: 체결손잡이 26: 결합돌기
27: 내측벽 28: 외측벽
29, 42: 요홈 30, 45: 패킹
31: 홀딩부 32, 37-39: 밀폐부
33, 34, 35: 밀폐면 33a, 35a, 37a-39a, 37b-39b: 접촉돌기
36: 고정부 40: 중간측벽
41: 고정홈 43: 가압돌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11)이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를 덮기 위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에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22)이 형성되며, 측판(22)의 외측면에 용기(10)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25)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용기(10)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10)와 뚜껑(20)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패킹(3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20)의 측판(22)은 내측에 고정홈(41)과 요홈(42)이 각각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 및 중간측벽(40)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은 고정홈(4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6)가 형성되며,
    상기 패킹(30)은 요홈(42)에 삽입 위치되고 용기(10) 상부의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상단면 또는 내측면, 상단면 및 외측면에 접촉되는 선택적인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부(37)가 형성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42)에는 하부로 가압돌기(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의 밀폐부(37)는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37b)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37)의 종단에는 밀폐부(37)가 접촉돌기(37b)와 용기(10) 상단면 사이에서 가압될 때에 용기(10) 상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접촉돌기(37a)가 형성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7.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11)이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를 덮기 위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에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22)이 형성되며, 측판(22)의 외측면에 용기(10)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25)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용기(10)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10)와 뚜껑(20)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제1패킹(3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20)의 측판(22)은 내측에 고정홈(41)과 요홈(42)이 각각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 및 중간측벽(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킹(30)은 고정홈(4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킹(30)은 요홈(42)에 삽입 위치되고 용기(10) 상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부(38)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42)에 삽입 고정되고 상하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내측에 밀폐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용기(10) 상단면과 접촉되어 탄성 밀폐시키는 제2패킹(45)이 구비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38)는 용기(10)의 내측면 위와 아래로 밀착되는 접촉돌기(38a, 38b)가 돌출 형성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9.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턱(11)이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를 덮기 위한 상판(2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에 용기(10)의 상단과 접촉되어 용기(10)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측판(22)이 형성되며, 측판(22)의 외측면에 용기(10)와의 밀폐를 위한 체결손잡이(25)가 구비된 뚜껑(20);
    상기 용기(10)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10)와 뚜껑(20)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제1패킹(3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20)의 측판(22)은 내측에 고정홈(41)과 요홈(42)이 각각 형성된 내측벽(27)과 외측벽(28) 및 중간측벽(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킹(30)은 고정홈(4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킹(30)은 중간측벽(40)의 하부를 감싸 고정되면서 요홈(42)의 측벽에 삽입 위치되고 용기(10) 상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부(39)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42)에 삽입 고정되고 상하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내측에 밀폐된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용기(10) 상단면과 접촉되어 탄성 밀폐시키는 제2패킹(45)이 구비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39)는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접촉돌기(39a, 39b)가 돌출 형성된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KR1020090095638A 2009-10-08 2009-10-08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KR10097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38A KR100973159B1 (ko) 2009-10-08 2009-10-08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38A KR100973159B1 (ko) 2009-10-08 2009-10-08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159B1 true KR100973159B1 (ko) 2010-08-03

Family

ID=4275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38A KR100973159B1 (ko) 2009-10-08 2009-10-08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15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865A (zh) * 2011-06-23 2012-12-26 林焕章 密封容器
WO2013109103A1 (ko) * 2012-01-20 2013-07-25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저장용기
KR101291091B1 (ko) 2011-09-08 2013-08-01 정진옥 식품보존용 밀폐용기
KR101357136B1 (ko) * 2013-07-18 2014-02-04 문제구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101669228B1 (ko) * 2014-03-19 2016-10-25 이근호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20170002754U (ko) * 2016-01-25 2017-08-02 김병기 음식물 저장용기
WO2017211063A1 (zh) * 2016-06-06 2017-12-14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密封盖
KR20170139284A (ko) * 2016-06-09 2017-12-19 김현진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WO2020040456A1 (ko) * 2018-08-20 2020-02-27 박현진 패킹 구조
KR20200053061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KR102522827B1 (ko) * 2023-01-17 2023-04-18 박인출 형상변형방지 기능의 조립리브를 이용한 버섯재배용기
US11661253B2 (en) 2018-08-20 2023-05-30 Puzzlelock Inc. Pack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23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형 이그니션 록킹 장치
KR200300523Y1 (ko) * 2002-10-02 2003-01-10 (주)명문엘씨 뚜껑에 잠금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밀폐용기
KR20060128123A (ko) * 2005-06-09 2006-12-14 커버코리아(주) 커버와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23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형 이그니션 록킹 장치
KR200300523Y1 (ko) * 2002-10-02 2003-01-10 (주)명문엘씨 뚜껑에 잠금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밀폐용기
KR20060128123A (ko) * 2005-06-09 2006-12-14 커버코리아(주) 커버와 밀폐용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865A (zh) * 2011-06-23 2012-12-26 林焕章 密封容器
KR101291091B1 (ko) 2011-09-08 2013-08-01 정진옥 식품보존용 밀폐용기
WO2013109103A1 (ko) * 2012-01-20 2013-07-25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저장용기
EP2815987A4 (en) * 2012-01-20 2015-12-23 Threeway Technology Co Ltd STORAGE CONTAINER
US9637281B2 (en) 2012-01-20 2017-05-02 Threeway Technology Co., Ltd. Container
KR101357136B1 (ko) * 2013-07-18 2014-02-04 문제구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101669228B1 (ko) * 2014-03-19 2016-10-25 이근호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200485378Y1 (ko) * 2016-01-25 2017-12-29 김병기 음식물 저장용기
KR20170002754U (ko) * 2016-01-25 2017-08-02 김병기 음식물 저장용기
WO2017211063A1 (zh) * 2016-06-06 2017-12-14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密封盖
KR20170139284A (ko) * 2016-06-09 2017-12-19 김현진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WO2020040456A1 (ko) * 2018-08-20 2020-02-27 박현진 패킹 구조
US11661253B2 (en) 2018-08-20 2023-05-30 Puzzlelock Inc. Packing structure
KR20200053061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KR102119877B1 (ko) * 2018-11-07 2020-06-08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도시락 항균 실리콘 뚜껑
KR102522827B1 (ko) * 2023-01-17 2023-04-18 박인출 형상변형방지 기능의 조립리브를 이용한 버섯재배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159B1 (ko)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KR101268157B1 (ko)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555135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US10729221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unit
KR200460394Y1 (ko) 밀폐 용기의 뚜껑 밀봉용 패킹
KR200437365Y1 (ko) 액상용기의 기밀구조
KR101500035B1 (ko) 밀폐용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운송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00007714U (ko) 뚜껑의 내측으로 노출되어지게 2중사출성형에 의한 가압밀착부를 갖는 용기뚜껑
KR20100107106A (ko) 유리 밀폐용기의 친환경 뚜껑
KR200440028Y1 (ko) 탄성패킹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60000132U (ko) 밀폐용기
KR200363598Y1 (ko) 밀폐용기 뚜껑용 밀봉 가스켓
KR20090010388U (ko) 밀폐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210037442A (ko) 개선된 밀폐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N204660351U (zh) 具有盖子的塑料保存容器
KR101082188B1 (ko) 밀폐력 증대와 내압해소를 위한 포장용기의 밑 받침캡
KR20120082563A (ko) 밀폐뚜껑이 구비된 병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TWI424942B (zh) 密封容器蓋體
KR100584853B1 (ko) 이중결합구조의 진공용기
KR101993264B1 (ko) 사각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