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123A - 커버와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커버와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123A
KR20060128123A KR1020050049311A KR20050049311A KR20060128123A KR 20060128123 A KR20060128123 A KR 20060128123A KR 1020050049311 A KR1020050049311 A KR 1020050049311A KR 20050049311 A KR20050049311 A KR 20050049311A KR 20060128123 A KR20060128123 A KR 2006012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ver
container
elastic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커버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버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커버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5004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8123A/ko
Publication of KR2006012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65D43/065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the peripheral channel having an inverted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18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29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돌출 연장 형성되는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로 형성된 홈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홈내에 밀착 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의해 밀봉되도록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위에 상단벽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버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용기가 커버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용기간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밀폐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용기, 탄성부재

Description

커버와 밀폐용기{COVER AND VACUUM CONTAINER}
도 1a는 종래의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커버가 결합되는 용기의 상부 모서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의 상단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그에 결합되는 용기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그에 결합되는 용기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커버본체 110...내측벽
120...외측벽 130...홈
140...돌기부 150...안착홈
160...지지편 안착홈 200...탄성부재
210...탄성내벽 220...탄성외벽
230...탄성바닥면 300...용기
310...걸림돌기 320...지지편
400...커버
본 발명은 커버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의 외측벽에 돌기부가 형성된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홈내에 밀착 삽입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안착홈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의해 밀봉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커버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의 상부 모서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또는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등록번호 10-0330101호)는 상부에서 외부로 굽은 상부 모서리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용기(20)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1)로써, 그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 상부 모서리(22)를 둘러싸며 외부 벽과 내부 벽(6) 및 상기 벽을 연결하는 상부 벽(7)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아래로 열린 홈(4)을 구비한 커버(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7)의 위치에 있는 홈(4)의 넓이가 용기(20)의 상부 모서리(22)의 굽어진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용기 벽(20) 내부(24)의 연속선과 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부 모서리(22)의 가장 바깥쪽 위치(26)의 접선인 선(25) 사이의 간격보다 적고, 상기 홈(4)을 연결하는 홈 벽의 표 면이 상기 표면에 단단히 결합된 탄성 물질(10) 층으로 덮이고, 상기 탄성 물질(10)이 홈(4)의 외부 벽(5)의 아랫면에 제공되고, 상기 홈(4)의 넓이가 홈의 열린 바닥 단부에서 반대쪽 상부 단부로 일정하게 증가하고, 상부 단부로부터 바닥 단부를 향하여 보았을 때 상기 홈의 외부 벽(5)의 내면이 안으로 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버는 탄성물질이 양쪽에 결합이 힘들고, 결합한 후에도 부정확하게 결합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커버가 쉽게 오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버의 입구 양면이 탄성물질로 되어 있고, 입구가 좁아서 용기의 상부 모서리가 걸리게 되어 결합시에 상당한 압력을 수차례 가해야 되므로 소비자의 사용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불편이 있었다.
또한, 용기와 커버의 결합의 어려움에 비해 약한 충격이나 압력(내부,외부)에도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버를 용기에 부정확한 상태로 결합을 하고자 압력을 가하면 탄성면이 쉽게 손상되고, 반복사용시 탄성면의 손상이 발생하여 완전밀폐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에 커버가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밀폐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커버가 결합시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홈에 용기의 상부 모서리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더라도 커버의 경사면을 따라 용기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용기간에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버가 쉽게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은 힘으로도 커버를 용기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와 커버의 결합이 약한 충격이나 압력(내부,외부)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결합을 하기 위해 커버로 용기를 가압하더라도 탄성면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와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위에 상단벽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벽과 외측벽이 하향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 선단의 내측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커버본체와, 탄성내벽, 탄성외벽 및 탄성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의 홈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탄성내벽 및 상기 탄성외벽 사이에 상기 용기의 적어도 상단벽이 삽입되어 용기와 커버를 밀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외벽은 상기 커버의 돌기부에서 소정거리 만큼 상향 이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탄성외벽의 선단부와 상기 커버의 돌 기부 사이에 안착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내측벽과 수직 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외측면은 그 단부까지 상기 외측벽의 두께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단부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내벽은 상기 내측벽의 단부와 동일 수평 위치까지 수직을 이루도록 하향 연장된 후, 그 단부면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더 연장되고, 상기 탄성외벽은 그 내측면이 상기 내측벽의 단부와 동일 수평위치까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은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위에 상단벽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커버본체와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커버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 상단벽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커버와 그에 결합되는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400)는 걸림돌기(310)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용기(300)에 결합되도록 내측벽(110)과 외측벽(120)에 의해 형성되는 홈(130)을 갖는 커버본체(100)와, 상기 홈(130)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부재(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상기 커버본체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커버(400)와, 상기 커버(400)에 의해 밀봉되는 용기로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커버본체(10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벽(110)이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향 돌출되는 외측벽(120)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10)과 외측벽(120) 사이로 홈(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벽(110)의 내측면(111)은 상기 내측벽의 외측면(112)과 나란하게 형성된다.(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내향면을 내측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커버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외향면을 외측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외측벽(120)의 내측면(121)은 상기 내측벽(110)의 외측면(112)과 수직 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그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돌기부(1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측벽(120)의 외측면(122)은 상기 내측면(121)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두께가 증가되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면(123)은 상기 용기(300)의 상단벽(330)이 상기 커버(4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부 외측으로 수직면에 대하여 50°~ 60°각도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130)내에는 탄성부재(200)가 밀착 삽입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기 내측벽(110)에 밀착되는 탄성내벽(210)과, 상기 외측벽(120)에 밀착되는 탄성외벽(220) 및 상기 탄성내벽(210)과 탄성외벽(220)을 연결하는 탄성바닥면(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00)의 탄성외벽(220)은 상기 외측벽(120)에 형성된 돌 기부(140)로 부터 소정거리 만큼 상향 이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탄성외벽(220)의 단부와 상기 돌기부(140)의 사이에 안착홈(150)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300)가 커버(400)에 의해 밀폐될 때 상기 용기(300)의 걸림돌기(310)가 상기 안착홈(1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외벽(220)은 상기 커버(400)에 용기(300)가 결합시 상기 상단벽(330)이 외향으로 기울어진 기울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측벽(110)의 단부까지 그 두께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외벽(220)의 내측면(221)은 상기 홈(130)의 하부 내측으로 수직면에 대하여 3°~7°각도 범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고, 바람직하게는 5°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탄성외벽(220)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가 7°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커버(400)와 용기(300)와의 결합이 어려워지고, 상기 탄성내벽(210)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가 3°보다 작아지게 되면 커버(400)가 용기(300)에서 쉽게 이탈 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0)의 탄성내벽(210)은 상기 내측벽(110)의 하방향으로 상기 내측벽(110)과 동일 평판 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10)의 단부를 기준으로 그 두께가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내벽(210)은 상기 내측벽(110)의 단부와 동일 수평 위치까지 수직을 이루도록 하향 연장된 후, 그 단부면(211)이 하부 내측으로 수직면에 대하여 15°~ 25°각도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더 연장된다.
한편, 상기 커버(400)는 상기 상단벽(330)이 상기 탄성외벽(220)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외향되게 기울어지는 용기(300)와 결합되되, 상기 용기 (300)는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300)의 상부 원주방향에는 상기 커버(400)가 용기(300)와 결합시 상기 외측벽(120)의 최하단부에 접촉 지지하는 지지편(320)이 돌출 형성된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그에 결합되는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또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에는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되는 단부에는 그 측단면적이 확장되는 지지편 걸림부(17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걸림부(170)에는 상기 지지편(3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편(320)에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편 안착홈(16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400)를 용기(300)에 진입시키면, 상기 용기(300)의 상단벽의 단부는 상기 커버(400)의 외측벽(120) 또는 탄성부재(200)의 탄성내벽(210)의 단부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상단벽의 단부는 상기 외측벽(탄성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기울기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홈(130)의 입구로 진입된다.
상기 홈(130)에 진입한 상기 상단벽(330)은 그 기울기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외측벽(120)을 따라 면접촉되며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단벽(330)의 걸림돌기(310)가 커버(400)의 안착홈(150)을 만나면 상기 걸림돌기(310)가 안착홈(150)에 안착되면서 상기 커버(400)는 용기(300)에 고정되고, 이때, 상기 용기(300)의 지지편(320)은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에 걸림부(170)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10)가 상기 안착홈(150)에 끼워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편(320)도 상기 걸림부의 지지편 안착홈(160)에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가 용기에 결합시 상기 커버의 탄성내벽과 외측벽의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벽을 안내하는 역활을 하여 커버가 용기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용기의 걸림돌기가 고정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커버와 용기간에 우수한 밀폐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안착홈에 용기의 돌기부가 결합되어 커버와 용기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상기 커버와 용기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밀폐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커버가 결합 과정에서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홈에 용기의 상부 모서리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더라도 커버의 단부가 홈의 내측 방향으 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경사면을 따라 용기의 상단벽이 용이하게 상기 홈에 결합가능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에 커버가 진입시 커버의 내부벽에 형성된 탄성물질에 의해 상기 용기의 상단벽이 걸려 커버의 결합을 방해하거나, 그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용기간에 정확한 결합으로 커버가 쉽게 용기로 부터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은 힘으로도 커버를 용기에 쉽게 결합할 수 있어 소비자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한 충격이나 압력(내부,외부)에도 용기와 커버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결합시 커버로 용기를 가압하더라도 탄성면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와 용기간에 완전밀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 위에 상단벽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용기를 밀봉하는 커버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벽(110)과 외측벽(120)이 하향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110)과 외측벽(120) 사이에 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120) 선단의 내측면(121)에 돌기부(140)가 돌출 형성된 커버본체(100)와,
    탄성내벽(210), 탄성외벽(220) 및 탄성바닥면(230)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본체(100)의 홈(130)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탄성내벽(210) 및 상기 탄성외벽(220) 사이에 상기 용기(300)의 적어도 상단벽이 삽입되어 용기(300)와 커버를 밀폐시키는 탄성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00)의 탄성외벽(220)은 상기 커버의 돌기부(140)에서 소정거리 만큼 상향 이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탄성외벽(220)의 선단부와 상기 커버의 돌기부(140) 사이에 안착홈(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120)의 내측면(121)은 상기 내측벽(110)과 수직 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상기 외측벽(120)의 외측면(122)은 그 단부까지 상기 외측벽(120)의 두께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면(123)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내벽(210)은 상기 내측벽(110)의 단부와 동일 수평 위치까지 수직을 이루도록 하향 연장된 후, 그 단부면(211)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더 연장되고, 상기 탄성외벽(220)은 그 내측면(221)이 상기 내측벽(110)의 단부와 동일 수평위치까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외벽(220)은 그 내측면(221)이 상기 상단벽(330)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외벽(220)의 내측면(221)은 상기 홈(130)의 하부 내측으로 3°~7° 각도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0)의 둘레방향으로는 상기 외측벽(120)의 최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지지편(32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에는 그 측단면적이 확장되는 지지편 걸림부(17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걸림부(170)에는 상기 지지편(320)이 안착되는 지지편 안착홈(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8. 개방되는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10) 위에 상단벽(330)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용기(300)와,
    상기 용기(300)를 밀봉하는 커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400)는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외벽(220)은 그 내측면(221)이 상기 상단벽(330)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외벽(220)의 내측면(221)은 상기 홈(130)의 하부 내측으로 수직면에 대하여 3°~7°각도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0)의 둘레방향으로는 상기 외측벽(120)의 최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지지편(32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120)의 단부에는 그 측단면적이 확장되는 지지편 걸림부(17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걸림부(170)에는 상기 지지편(320)이 안착되는 지지편 안착홈(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050049311A 2005-06-09 2005-06-09 커버와 밀폐용기 KR20060128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311A KR20060128123A (ko) 2005-06-09 2005-06-09 커버와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311A KR20060128123A (ko) 2005-06-09 2005-06-09 커버와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123A true KR20060128123A (ko) 2006-12-14

Family

ID=3773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311A KR20060128123A (ko) 2005-06-09 2005-06-09 커버와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81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59B1 (ko) * 2009-10-08 2010-08-03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CN108128514A (zh) * 2016-12-01 2018-06-08 曹文岭 一种具有平行凸棱的密封容器
CN112099290A (zh) * 2019-06-18 2020-12-18 三星电机株式会社 折叠模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59B1 (ko) * 2009-10-08 2010-08-03 주식회사 화진인더스 밀폐 용기의 밀폐구조
CN108128514A (zh) * 2016-12-01 2018-06-08 曹文岭 一种具有平行凸棱的密封容器
CN112099290A (zh) * 2019-06-18 2020-12-18 三星电机株式会社 折叠模块
KR20200144258A (ko) * 2019-06-18 2020-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11297174B2 (en) 2019-06-18 2022-04-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348B2 (en) Plastic paint can
RU2265564C1 (ru) Уплотнение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 гибкой центральной панелью
US8899443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flexible seal
KR101757248B1 (ko) 다중-부품의 스냅 클립 패스너
CN100348464C (zh) 尤其用于饮料罐的可重新封闭的盖
JP2011526230A (ja) 回転可能な開放・再封用タブ付きの再閉塞可能な缶端部蓋、ならびに再封可能な缶端部蓋を備えた飲料缶
US10065773B2 (en) Container lid and valve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US6502722B1 (en) Synthetic resin tube container
JPH1081350A (ja) 折り曲げられた頂縁を有する容器のためのカバー
KR20060128123A (ko) 커버와 밀폐용기
US8727177B2 (en) Grinder container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JP2000203608A (ja) 密閉形蓋付容器
KR20000035094A (ko) 신축성 진공 청소기 흡인관
JP2002000342A (ja) 気密性容器
JPS5934420Y2 (ja) 電気ポツトの水量表示パネル取付構造
JP7436162B2 (ja) 合成樹脂製容器
US10752410B2 (en) Container lid and valve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WO2009043688A1 (en) A plastic container
JP2023093854A (ja) 包装用容器
JPH0352420Y2 (ko)
JPH03300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