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96B1 -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96B1
KR102118596B1 KR1020170110896A KR20170110896A KR102118596B1 KR 102118596 B1 KR102118596 B1 KR 102118596B1 KR 1020170110896 A KR1020170110896 A KR 1020170110896A KR 20170110896 A KR20170110896 A KR 20170110896A KR 102118596 B1 KR102118596 B1 KR 10211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ub assembly
upset
processing method
oute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170A (ko
Inventor
김민환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9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1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은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기 위해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되면서 접촉면이 마찰열로 예열되는 예열 단계(ST200);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속도가 증가 되면서 접촉면이 가열되는 가열 단계(ST300); 및 상기 이너 풀리(110)의 반경 방향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업셋단계(ST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Method of pulley processing of hub assembly}
본 발명은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 중에서 풀리를 구성하는 이너 풀리와 아웃터 풀리를 이종 재질로 구성하고 마찰 용접 방식으로 서로 간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장치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 내에서 기화된 냉매를 흡입하는 기능,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 및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압축기의 구동 및 정지 동작은 차량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압축기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의 단속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압축기에 적용되는 전자클러치의 풀리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풀리 조립체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0)와, 상기 풀리(10)의 회전력을 압축기(P)의 구동축(P1)으로 전달하는 허브 조립체(20)로 구성된다.
상기 풀리(1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허브 조립체(20)에 의해 압축기(P)의 구동축(P1)으로 전달되어 압축기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10)는 벨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허브 조립체(20)는 풀리(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압축기(P)의 구동축(P1)과 연결되는 이너 허브(Inner Hub, 21)와, 상기 이너 허브(2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아웃터 허브(Outer Hub, 22)와,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불능인 상태에서 파단되도록 상기 이너 허브(21)와 아웃터 허브(22) 사이에 연결되는 리미터(Limiter, 23)와, 상기 풀리(10)와 아웃터 허브(22)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Damper, 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허브 조립체(20)는 풀리(10)의 회전력을 통해 압축기(P)의 구동축(P1)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P)는 풀리(10)의 회전력에 의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풀리 조립체는 직경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되고, 이와 더불어서 무게도 증가되어 차량에 설치될 경우 연비 저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풀리 조립체의 무게가 증가될 경우 제조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고, 아크 용접 또는 단조 가공 방식으로 제작할 경우 열 변형에 의한 불량이 발생되거나, 금형비가 증가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KR 10-1567082 B1 (2015. 11. 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압축기에 회전력을 전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을 이종 재질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은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기 위해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되면서 접촉면이 마찰열로 예열되는 예열 단계(ST200);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속도가 증가 되면서 접촉면이 가열되는 가열 단계(ST300); 및 상기 이너 풀리(110)의 반경 방향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업셋단계(ST4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는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는 상기 이너 풀리(110)가 고정 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 지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1 회전 예열단계(ST210)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1/10 이내의 시간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는 제1 시간 예열단계(ST220)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가압 예열단계(ST2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축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2 회전 가열단계(ST3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8/10 이내의 시간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제2 시간 가열단계(ST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압 가열단계(ST330)를 포함한다.
상기 업셋단계는(ST4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를 향해 제1 업셋시간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1 업셋단계(ST4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업셋단계(ST410)는 제1 업셋 압력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2 업셋단계(ST420)를 포함한다.
상기 업셋단계(ST400) 이후에 마찰 용접으로 접합된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 단계(ST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접촉되는 접촉면은 최소 3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가 구비된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들은 풀리를 구성하는 이너 풀리와 아웃터 풀리를 마찰 용접으로 제작하여 접촉면에서 접합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되고,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들은 마찰 용접 방식으로 아웃터 풀리를 인너 풀리에 접합하므로 열 변형이 적게 발생되고,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최소화 되므로 대기 오염의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풀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에 의해 제작된 풀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에 의해 풀 리가 가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에 의해 제작된 풀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은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기 위해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와,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되면서 접촉면이 마찰열로 예열되는 예열 단계(ST200)와,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속도가 증가 되면서 접촉면이 가열되는 가열 단계(ST300) 및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이 브레이킹(braking)된 후에 상기 이너 풀리(110)의 반경 방향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업셋단계(ST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풀리(100)를 구성하는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고, 마찰 용접으로 서로 접합된다.
마찰 용접은 아크 용접에 비해 열 변형이 적고, 이산화 탄소의 배출이 적으며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측에 위치된 아웃터 풀리(120)의 접촉면의 접합 강도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접합에 따른 강도가 장기간 유지된다.
또한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일체형 금형이 아니라 개별 금형 이므로 금형비가 절약되고 가공을 위한 제작비가 낮아지며, 가공비가 절약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풀리(120)는 일 예로 중량 절감을 위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므로 종래의 스틸 재질에 비해 중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허브 조립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켜 제품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 용접 방식으로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를 서로 간에 접합하기 위해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는 상기 이너 풀리(110)가 고정 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 지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측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지그(미도시)는 이너 풀리(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전 지그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를 특정 알피엠으로 회전시켜 이너 풀리(110)의 외측에 안정적인 마찰 용접을 도모한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는 이너 풀리(1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최소 3mm이상 접촉된다. 상기 접촉면의 접촉 길이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시 상기 이너 풀리(110)에 말려들어갈 수 있으므로 전술한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1 회전 예열단계(ST210)를 포함한다. 예열단계(ST300)는 이너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서로 간에 마찰과 동시에 접합되지 않고 예열과 가열을 통해 최적의 마찰 접합이 가능한 상태의 조건으로 유도한 후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는 마찰접합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입력받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예열단계(ST300)와 접합단계(ST400)에서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온도 변화를 즉시 감지하여 아웃터 풀리(120)의 알피엠(rpm)과 가압에 따른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한다.
따라서 이너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의 결합에 따른 최적의 조건에서 예열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는 회전 지그(미도시)에 장착되므로 제어부에 의해 특정 알피엠으로 회전되는데, 일예로 2000rpm 이내로 회전된다. 상기 알피엠은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이너 풀리(110)에 대해 상대 회전시 전술한 알피엠 이상의 속도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접촉면에서 변형이 발생되므로 전술한 알피엠 범위 이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는 인너 풀리(110)의 접촉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인너 풀리(110)의 축 방향에서 접촉된 상태로 회전에 따라 상기 접촉면이 예열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1/10이내의 시간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는 제1 시간 예열단계(ST220)를 포함한다.
예열 시간이 전술한 시간 보다 길어질 경우 접촉면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전체 시간(Tt)의 1/10 이내의 시간 또는 이 보다 짧은 시간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Tt)이 10초라 가정할 때 제1 시간 예열은 1초 또는 0.5초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면은 예열에 따라 온도가 상승되면서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마찰에 따른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변화된다.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가압 예열단계(ST230)를 포함한다.
제1 가압 예열은 예열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예열시 필요한 압력을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하기 위해 최종 압력(Pf) 대비 1/3 이내의 압력으로 이너풀리(110)를 향해 아웃터 풀리(120)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제1 가압 예열에 따른 압력은 별도로 구비된 압력 조절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가압에 따른 압력이 감지되고, 최종 압력(Pf) 대비 1/3 이내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아웃터 풀리(120)가 이너 풀리(110)에 대해 회전될 경우 예열 단계(ST200)에서는 접촉면의 마찰에 따라 표면 온도가 상승되어 소성 변형에 유리한 온도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단계(ST300)에서 마찰 접합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최적의 알피엠으로 소정의 시간과 회전 및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접촉면에서 마찰 용접이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이 정지되면 접촉면의 온도는 마찰 접합에 가장 유리한 온도가 유지되므로 더 이상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되지 않아도 상기 이너 풀리(110)에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안정적으로 마찰 접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아웃터 풀리(120)를 이너 풀리(110)에 품질 안정성과 접합 강도가 향상된 조건으로 마찰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의 접촉면에서 열 변형이 발생되거나 특정 위치에서 접합이 불안정하게 발생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용접 방식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축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2 회전 가열단계(ST3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이너 풀리(110)의 축 방향에서 이동되는 이유는 마찰 용접이 이루어질 접촉면에서 불필요한 간극 또는 변형 발생이 최소화된 조건에서 안정적인 마찰 용접을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8/10이내의 시간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제2 시간 가열단계(ST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압 가열단계(ST330)를 포함한다.
가열단계(ST300)는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이 브레이킹(braking)되는데, 여기서 브레이킹의 의미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이 정지될 때 한 번에 회전 속도가 제로(Zero)로 감속되지 않고 등속 또는 비등속 조건으로 속도가 감소되다가 최종적으로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업셋단계는(ST400)는 전술한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를 향해 제1 업셋시간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1 업셋단계(ST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업셋의 의미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이너 풀리(110)의 반경 방향에서 가압되어 접촉면의 두께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두께의 변화는 가압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포지면서 감소된다.
전술한 제1 업셋시간은 전체 시간의 1/10 이내의 시간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며 전술한 시간보다 짧은 시간의 조건으로도 제1 업셋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셋단계(ST410)는 제1 업셋 압력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2 업셋단계(ST420)를 포함한다. 제1 업셋 압력은 최종 압력(Pf)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접촉면은 축 방향에서 외측으로 불필요하게 돌출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인 마찰 용접이 이루어진다.
상기 업셋단계(ST400) 이후에 마찰 용접으로 접합된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 단계(ST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는 전술한 가공 이후에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품질 안전성 향상과 상품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물질 제거는 연마재(미도시)가 구비된 별도의 용기 내부에 풀리를 위치시키고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용기를 회전시켜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본 실시 예는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허브 조립체의 풀리는 기존의 가공 방식(아크 용접, 플래시 버트 용접, 단조, 절삭)에 비해 품질 안전성과 접합 강도가 확보된다.
본 실시 예는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가 구비된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기는 차량에 구비되고 냉방을 위한 에어컨의 작동을 위한 압축기로 한정하나 다양한 압축기 타입에 변경시켜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풀리
110 : 이너 풀리
120 : 아웃터 풀리

Claims (15)

  1.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기 위해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되면서 접촉면이 마찰열로 예열되는 예열 단계(ST200);
    상기 아웃터 풀리(120)의 회전속도가 증가 되면서 접촉면이 가열되는 가열 단계(ST300); 및
    상기 이너 풀리(110)의 반경 방향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업셋단계(ST4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축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2 회전 가열단계(ST310)를 더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는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이너 풀리(110)와 아웃터 풀리(120)가 위치되는 단계(ST100)는 상기 이너 풀리(110)가 고정 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회전 지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최대 2000rpm 이내로 회전되는 제1 회전 예열단계(ST21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1/10이내의 시간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는 제1 시간 예열단계(ST22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ST2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1 가압 예열단계(ST23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전체 시간을 Tt라 가정할 때, 상기 전체 시간(Tt)의 8/10이내의 시간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제2 시간 가열단계(ST32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T3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간에 마찰 용접되면서 가해지는 최종 압력을 Pf라 할 때, 상기 최종 압력(Pf)의 1/3 이내의 압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압 가열단계(ST33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셋단계는(ST400)는 상기 아웃터 풀리(120)가 상기 이너 풀리(110)를 향해 제1 업셋시간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1 업셋단계(ST41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셋단계(ST410)는 제1 업셋 압력으로 업셋이 이루어지는 제2 업셋단계(ST420)를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셋단계(ST400) 이후에 마찰 용접으로 접합된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 단계(ST500)를 더 포함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풀리(120)와 상기 이너 풀리(110)가 서로 접촉되는 접촉면은 최소 3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14. 제1 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
  15. 제1 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웃터 풀리(120)와 이너 풀리(110)가 마찰 용접에 의해 제작된 허브 조립체의 풀리가 구비된 압축기.
KR1020170110896A 2017-08-31 2017-08-31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KR10211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96A KR102118596B1 (ko) 2017-08-31 2017-08-31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96A KR102118596B1 (ko) 2017-08-31 2017-08-31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70A KR20190024170A (ko) 2019-03-08
KR102118596B1 true KR102118596B1 (ko) 2020-06-04

Family

ID=6580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96A KR102118596B1 (ko) 2017-08-31 2017-08-31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117A (zh) * 2021-07-22 2021-11-23 浙江金象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半瓶与阀座的自动定位焊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826B2 (ja) * 1995-11-21 2006-03-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摩擦圧接方法
KR100957984B1 (ko) * 2008-01-22 2010-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디젤엔진용 터보차져 로터샤프트 마찰용접방법
KR101567082B1 (ko) 2009-07-06 2015-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30036485A (ko) * 2011-10-04 2013-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댐퍼 풀리 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70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603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t least two plates
US99566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eld seam in friction stir welding
JP6274473B2 (ja) 缶体の製造装置および缶体の製造方法
KR102118596B1 (ko) 허브 조립체의 풀리 가공 방법
US7392695B2 (en) Wheel assembly, wheel and wheel condition determining apparatus
US8323074B2 (en) Brake disk braking surface processing device
EP2944411A1 (en) Hybrid drive shaft using friction-stir welding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6321820B2 (ja) 摩擦攪拌接合中の溶接ピンチップにかかる機械力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349042B (zh) 摩擦搅拌点接合装置及摩擦搅拌点接合方法
US20140325842A1 (en) Linear Friction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EP1512486B1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for pistons of swash plate type compressors with variable capacity
KR20140009055A (ko) 알루미늄 합금 프로펠러 샤프트 및 그 마찰 용접 방법
JP4998027B2 (ja) 摩擦点接合方法
CN108472772A (zh) 用于制造由相叠的片材组成的片材组的方法以及用于实施这样的方法的设备
US10016835B2 (en) Method for grinding electrode tip
CN109505785B (zh) 手引导式工作器械
WO2016166841A1 (ja) 金属部材の製造方法
KR101756280B1 (ko) 마찰교반용접장치
JP5091611B2 (ja) 摩擦圧接接合システム及び摩擦圧接接合方法
KR101175683B1 (ko) 휠 석션 장치
CN210210005U (zh) 一种无心外圆成形磨削砂轮传动卸荷装置
TWM539414U (zh) 帶鋸機之鋸帶負荷偵測結構
JPH06134584A (ja) ディスクホイールのリム・ディスク摩擦圧接法及びその装置
WO20222667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rail wheels
CN207329481U (zh) 一种棉被封头切割机专用传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