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327B1 -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327B1
KR102118327B1 KR1020190133683A KR20190133683A KR102118327B1 KR 102118327 B1 KR102118327 B1 KR 102118327B1 KR 1020190133683 A KR1020190133683 A KR 1020190133683A KR 20190133683 A KR20190133683 A KR 20190133683A KR 102118327 B1 KR102118327 B1 KR 10211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support
rail
door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익
홍현정
Original Assignee
해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문틀에 그 하측이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기립되는 문비; 상기 함몰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틀에 일측이 힌지결합 설치되고 상기 문비의 배면에 타측이 힌지결합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문비가 도복되는 경우 상기 함몰공간에 수용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문비의 배면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일정각도를 형성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로드부; 및 상기 지지로드부의 타측을 그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문비의 기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받침대를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Optional Standing Apparatus for Preventing Seawall}
본 발명은 항만 구역 내 육상구역에 설치되어 해일이 발생하지 않을 때 눕혀져 통행로로 사용되고 해일이 예상되는 때 기립되어 침수 피해를 방지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지구 온난화와 환경변화 등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과 잦은 고파랑 발생으로 인하여 항만구역 내 육상구역이 침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항만시설, 주거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호벽, 방파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항만 내 접안시설구역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시각적으로 유쾌하지 않고 방파제의 사이 공간에 사람이 빠지는 등의 실족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눕혀 통행에 지장이 없게 하되 해일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기립시켜 해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기립식 방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방조장치가 기립된 상태에서 이에 가해지는 수압 등에 의하여 견고하지 못한 방조장치가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눕혀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방조장치를 후방에서 지지하고 받쳐주는 구조가 견고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방조문의 후방에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비하여 해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굳건하게 방조 역할을 할 수 있으면서도 그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간편한 작동으로 해제 가능한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210580호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방조문의 후방에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비하여 해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굳건하게 방조 역할을 할 수 있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문틀에 그 하측이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기립되는 문비; 상기 함몰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틀에 일측이 힌지결합 설치되고 상기 문비의 배면에 타측이 힌지결합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문비가 도복되는 경우 상기 함몰공간에 수용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문비의 배면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일정각도를 형성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로드부; 및 상기 지지로드부의 타측을 그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문비의 기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받침대를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는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비하므로 강한 파도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는 고정력이 강하면서도 간편하게 작동되는 구조를 구비하므로 고장발생이 적어 유지, 보수의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는 역류방지커버를 구비하므로 역시 고장발생이 적어 유지, 보수의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실린더가 표현된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표현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고정받침대가 표현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맞닿아 지지되는 모습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맞닿아 지지되는 부분의 이동제한을 강화한 구조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문비가 눕혀져 통행로로 사용될 때 그 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우수배관과 역류방지커버가 도시된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역류방지커버의 상세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100)는 문비(200), 실린더(300), 지지로드부(400) 및 고정받침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100)의 후면(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문비(200)의 정면은 해측으로부터 밀려오는 해수와 파도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비(200)의 배면에 실린더(300), 지지로드부(400) 및 고정받침대(500)가 설치될 수 있어 이러한 구성들이 문비(200)를 기립시키고 지지하여 해수와 파도를 차단하여 해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문비(200)는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조문, 방조체, 방파체 등을 지칭하는 구성요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실린더가 표현된 측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문비(200)와 이의 배면에 설치되는 실린더(300)의 구성과 양 자 간 배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문비(200)는 바닥에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공간(31)의 측면에 형성되는 문틀(20)에 그 하측이 힌지 결합(21)되어 후술하는 실린더(300)와 지지로드부(400) 및 고정받침대(500) 등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기립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문비(200)는 그 정면에 형성되는 파도접촉면(210)과 배면에 설치되는 후면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00)는 함몰공간(31)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틀(20)에 일측이 힌지결합 설치되고 문비(200)의 배면에 타측이 힌지결합 되도록 설치되어 문비(200)가 기립되는 경우 문비(200)를 그 배면에서 지지하고 문비(200)가 도복되는 경우 함몰공간(31)에 수용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300)는 문비(200)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면 브라켓(220)에 힌지 결합(221)되어 문비(200)를 후방에서 기립시키거나 눕히기도 하며 지지하기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린더(300)는 피스톤로드(310)와 피스톤로드(310)가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본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310)가 후면 브라켓(220)에 힌지 결합되어 문비(200)를 후방에서 기립시키거나 눕히기도 하며 지지하기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310)는 실린더본체(3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린더(300)를 이용하여 문비(200)를 기립하고 눕히는 동작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표현된 측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비(200)의 배면에 설치되는 지지로드부(400)와 고정받침대(500)의 구성과 양 자 간 배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지지로드부(400)는 지지로드(410)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로드(410)는 그 일측이 문비(200)의 배면의 돌출 프레임(205)에 힌지 결합(411)될 수 있고, 그 타측은 후술하는 고정받침대(500)의 제1레일(505)을 통하여 전후이동되거나, 고정받침대(500)의 기립받침부(520)에 접촉하여 기립받침부(5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지지로드부(400)는 문비(200)가 기립되거나 눕혀질 때 이에 대응하여 문비(200)의 배면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지지하거나, 눕혀져 문비(200)와 함께 함몰공간(3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고정받침대가 표현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맞닿아 지지되는 모습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받침대(500)의 상세구성과 작동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고정받침대(500)는 이동제어부(510), 기립받침부(520) 및 기림받침보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받침대(500)는 지지로드부(400)가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레일(505) 및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제1레일(505)과 수직 교차 형성되며 기립받침부(520)와 기립받침보조부(530)가 이동될 수 있는 제2레일(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어부(510)는 기립받침부(520)를 제2레일(506)을 따라 제2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제어부(510)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본체 등을 구비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립받침부(520)를 전후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이동제어부(510)는 제2레일(506)상에 기립받침부(5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문비(200)가 기립되어야 하는 경우 기립받침부(520)를 제1레일(505)과 제2레일(506)이 교차되는 지점에, 즉, 지지로드부(400)가 제1레일(505)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1레일(505)상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면 지지로드부(400)의 타측 단부가 기립받침부(520)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고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문비(200)를 문비(200)의 후방에서 눕혀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기립받침보조부(530)는 기립받침부(520)의 일측에 인접 배치되되 기립받침부(520)를 사이에 두고 이동제어부(5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레일(506)은 제1레일(505)로부터 이동제어부(510)가 위치한 측면의 반대측을 향해 일정거리만큼 연장형성되어 기립받침보조부(5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기립받침보조부(530)는 문비(200)가 기립되어야 하는 경우 기립받침부(520)가 제1레일(505)과 제2레일(506)의 교차 지점으로 이동되는 동안 보조 수용공간으로 수용되어 기립받침부(520)가 제2방향의 일측(도면에서는 상측)의 방향으로 기립받침부(52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립받침부(5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립받침부(520)는 지지로드부(4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레일(505)과 제2레일(506)의 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문비(200)가 도복(눕혀지는)되어야 하는 경우 기립받침부(520)를 제1레일(505)과 제2레일(506)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제2방향의 타측(도면에서는 하측)을 향해 이동시켜 이탈시키고 기립받침보조부(530)가 제1레일(505)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로드부(400)가 이동될 수 있게 작동될 수 있다. 이 때, 기립받침보조부(530)는 제1레일(505)을 따라 지지로드부(400)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레일(505)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립받침부(520)는 지지로드부(400)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부(400)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522)에 접촉되는 지지로드부(400)의 타측 단부(412)에는 경사면(522)과 미끌어지지 않도록 그 접촉 마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마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는 경사면(522)에도 역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지지로드부와 고정받침대가 맞닿아 지지되는 부분의 이동제한을 강화한 구조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 6은 문비(200)가 기립되는 경우 지지로드부(400)와 고정받침대(500)의 기립받침부(520) 간 마찰과 고정력을 강화하여 문비(200)의 파도에 대한 저항성과 기립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립받침부(520)는 그 경사면(522)에 일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되는 삽입홈(5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부(400)는 그 타측 단부(412)에 돌출형성되어 삽입홈(523)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523)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면(522)상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돌기(413)가 삽입되어, 돌기(413)와 삽입홈(523)이 서로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로드부(400)와 기립받침부(520)간 고정력을 강화시켜 양 자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삽입홈(523)은 제1삽입홈(523a)과 제2삽입홈(5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삽입홈(523b)은 이동제어부(51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삽입홈(523a)의 단부에서 꺾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동제어부(510)가 위치한 방향으로 기립받침부(520)가 이탈될 경우를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 이동제어부(51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삽입홈(523a)의 단부에서 꺾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2삽입홈(523b)에 돌기(413)가 삽입될 수 있어 기립받침부(5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문비가 눕혀져 통행로로 사용될 때 그 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문비(200)가 도복된 경우 그 문비(200)의 상단부가 문틀(20)과 바닥틀(20)에 상보되도록 안착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문틀(20)과 바닥틀(20)은 그 후방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우수배관과 역류방지커버가 도시된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의 역류방지커버의 상세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수배관은 바닥틀(20)의 하부에서부터 흐르는 물이 다시 해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틀(20)에서부터 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우수배관의 단부에는 해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구멍(60)을 선택적 개폐하는 역류방지커버(6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역류방지커버(600)는 배수구멍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610) 및 베이스부(610)에 일측이 힌지 결합(621)되는 개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역류방지커버(600)는 전체적으로 육측을 향하여 눕도록, 즉, 그 상측은 육측에 가깝고 하측은 상대적으로 해측에 가깝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620)는 그 상측이 베이스부(610)에 회전되면서 배수구멍(60)을 개폐하도록 힌지 결합(621)될 수 있는데, 육측에서 해측으로 흘러가는 유체에 대해서는 배수구멍을 오픈하여 배출할 수 있으나, 반대로 해측에서 육측으로 유입되는 해수에 대해서는 배수구멍을 오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육측에서 해측으로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200: 문비
300: 실린더
400: 지지로드부
500: 고정받침대
600: 역류방지커버

Claims (11)

  1. 바닥에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문틀에 그 하측이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기립되는 문비;
    상기 함몰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틀에 일측이 힌지결합 설치되고 상기 문비의 배면에 타측이 힌지결합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문비가 도복되는 경우 상기 함몰공간에 수용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문비의 배면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 설치되어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문비를 그 배면에서 일정각도를 형성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로드부; 및
    상기 지지로드부의 타측을 그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문비의 기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받침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받침대는,
    상기 지지로드부가 제1방향으로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과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교차 형성되는 제2레일을 따라 전후이동될 수 있고 상기 지지로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로드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고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제1레일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기립받침부;
    상기 제2레일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립받침부의 일측에서 상기 기립받침부의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 및
    상기 기립받침부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기립받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제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기립받침보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이동제어부가 위치한 측면의 반대측을 향해 일정거리만큼 연장형성되어 상기 기립받침보조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기립받침보조부는,
    상기 기립받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일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문비가 기립되는 경우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립받침부의 제2방향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비가 도복되는 경우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서 탈거되어 상기 제1레일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레일이 단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레일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로드부가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립받침부는,
    그 경사면에 일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드부는,
    상기 기립받침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그 타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경사져 형성되는 제1삽입홈; 및
    상기 이동제어부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홈의 단부에서 꺾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2삽입홈
    을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받침부는,
    상기 지지로드부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로드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부와 상기 기립받침부는 양 자간 서로 접촉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바닥의 하측에서 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우수배관을 어느 일방향으로의 흐름만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류방지커버
    를 포함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커버는,
    그 상측은 우수배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그 하측은 우수배관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육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되어 육측에서 해측으로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KR1020190133683A 2019-10-25 2019-10-25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KR10211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83A KR102118327B1 (ko) 2019-10-25 2019-10-25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83A KR102118327B1 (ko) 2019-10-25 2019-10-25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27B1 true KR102118327B1 (ko) 2020-06-03

Family

ID=7108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683A KR102118327B1 (ko) 2019-10-25 2019-10-25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865B1 (ko) *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통행로 겸용 차수장치
KR102570456B1 (ko) * 2023-03-20 2023-08-25 대청산업기술 주식회사 도보 및 주행이 가능한 월파 및 홍수방어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75B1 (ko) * 2008-12-31 2009-09-30 김상현 무언체 수문
KR101028841B1 (ko) * 2010-12-17 2011-04-12 주식회사 동호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210580B1 (ko) 2012-09-06 2012-12-11 주식회사 삼안 슬라이드식 방조제 방수문
CN106087894A (zh) * 2016-08-05 2016-11-09 肖广汇 一种拖杆液压坝
KR101852046B1 (ko) * 2017-10-23 2018-04-25 일성보산업(주) 유압 전도식 방조문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75B1 (ko) * 2008-12-31 2009-09-30 김상현 무언체 수문
KR101028841B1 (ko) * 2010-12-17 2011-04-12 주식회사 동호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210580B1 (ko) 2012-09-06 2012-12-11 주식회사 삼안 슬라이드식 방조제 방수문
CN106087894A (zh) * 2016-08-05 2016-11-09 肖广汇 一种拖杆液压坝
KR101852046B1 (ko) * 2017-10-23 2018-04-25 일성보산업(주) 유압 전도식 방조문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865B1 (ko) * 2022-07-01 2023-01-27 (주)에스엔비 통행로 겸용 차수장치
KR102570456B1 (ko) * 2023-03-20 2023-08-25 대청산업기술 주식회사 도보 및 주행이 가능한 월파 및 홍수방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327B1 (ko) 선택적 스탠딩 해일 방조장치
JP5588567B2 (ja)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US6514011B2 (en) Movable water-protection apparatus
EP2601354B1 (en) A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elf-actuating flood guard
JPH08284139A (ja) 自動昇降式堤体
US20200032471A1 (en) Integrated Drain Gate Seawall System
TW499528B (en)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system of floodwater
JP5697695B2 (ja) 引上げ式フラップインゲート
CN112323737A (zh) 一种双扉翻板闸门
KR101328616B1 (ko) 방파제 방수문
JP5361096B1 (ja) 水門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JP2619605B2 (ja) 防潮装置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JP2015158117A (ja) 洪水用止水装置
KR200330104Y1 (ko) 가동보의 지수장치
JP2958632B2 (ja) 河川工事用止水壁の構築方法と仮設ゲート
TWI622698B (zh) Water blocking gate buffer
TWM537596U (zh) 擋水閘門的緩衝裝置
JP2006002552A (ja) 防潮堤における防潮扉の緊急閉門装置
KR200356591Y1 (ko)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101541530B1 (ko) 가동식 차수판
JP5118525B2 (ja) 津波・高潮対策水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