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530B1 - 가동식 차수판 - Google Patents

가동식 차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530B1
KR101541530B1 KR1020130072786A KR20130072786A KR101541530B1 KR 101541530 B1 KR101541530 B1 KR 101541530B1 KR 1020130072786 A KR1020130072786 A KR 1020130072786A KR 20130072786 A KR20130072786 A KR 20130072786A KR 101541530 B1 KR101541530 B1 KR 10154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plate
level
blocking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74A (ko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3007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5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의 폐쇄 및 개방시켜 물의 범람 방지 및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에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제방시설과 부체도로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기기와, 상기 유압기기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기 위한 제1, 2 지지대로 구성된 차단부와;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기기와, 상기 차단판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으로 구성된 차단부와;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에 설치되는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와 제방시설에 설치되어 제방시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어 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어,평상시에는 부체도로에서 매립되어 있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파라펫과 함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 상에 설치되어 하천변 또는 제방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하천 또는 제방시설의 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방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지지대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단판의 기립 및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경사판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방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제방시설 내의 물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일정 레벨까지 내려간 상황에서만 차단부의 차단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위험 수위시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방변의 통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동식 차수판{A movable waterproof wall}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의 폐쇄 및 개방시켜 물의 범람 방지 및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 상에 설치되어 하천변 또는 제방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하천 또는 제방시설의 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방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지지대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단판의 기립 및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경사판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방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제방시설 내의 물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일정 레벨까지 내려간 상황에서만 차단부의 차단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위험 수위시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방변의 통제를 할 수 있는 가동식 차수판에 관한 것이다.
도심 하천에 설치되는 제방이나 둑은 홍수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방이나 둑은 친수공간으로의 조성 또는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이 되면 많은 이재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제방 내에 파라펫을 설치하거나 등록특허 10-1010661호(2011.01.18.)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과 같이 부력에 의해 기립되는 파라펫을 설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상술한 제방이나 둑이 도로로 이용될 경우 하류에 형성되어 있는 도심지의 도로와 제방이나 둑을 연결하기 위한 부체도로의 건설이 이루어지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하천 범람시 제방보다 더 높은 수위로 하천이 불어나게 될 경우 이러한 부체도로를 통해 하류의 도심지 도로로 물이 유입되는데, 상술한 등록특허의 경우 제방에는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긴 하나 부체도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천 범람에 따른 홍수를 막을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식 차수판은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에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제방시설과 부체도로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기기와, 상기 유압기기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기 위한 제1, 2 지지대로 구성된 차단부와;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기기와, 상기 차단판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으로 구성된 차단부와;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에 설치되는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와 제방시설에 설치되어 제방시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어 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어,평상시에는 부체도로에서 매립되어 있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파라펫과 함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부의 지지대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2 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차단판과 유압기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2 지지대는 바닥면과 유압기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의 제1, 2 지지대가 차단판 및 바닥면에서 회전하면서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부의 차단판의 일측 또는 양 측면에는 경사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는 제1, 2 하천변 수위를 감지하고,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는 제1, 2 제방변 수위를 감지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통한 차단부에 형성된 차단판의 기립 조건은, 하천변의 수위가 제2 하천변 수위에 위치하거나 이보다 더 높을 경우 또는 제방변의 수위가 제2 제방변 수위에 위치하거나 이보다 더 높을 경우에 차단판이 기립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통한 차단부의 차단판 기립 이후 전도되는 조건은, 하천변의 수위가 제1 하천변 수위보다 더 낮고, 제방변의 수위가 제1 제방변의 수위보다 더 낮을 경우에만 차단판이 전도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 하천변 수위 및 제2 제방변 수위는 제1 하천변 수위 및 제1 제방변 수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천변 및 제방변의 상황에 따라 제방변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 상에 설치되어 하천변 또는 제방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하천 또는 제방시설의 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방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지지대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단판의 기립 및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에 경사판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방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방시설 내의 물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일정 레벨까지 내려간 상황에서만 차단부의 차단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위험 수위시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방변의 통제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차수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수위 상승 후 수위가 낮아졌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둑이나 제방과 같은 제방시설(1)과 도로(2)를 연결하는 부체도로(3)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방시설(1)에는 하천수의 범람에 따른 제방시설(1)이 물에 잠기거나 또는 제방시설(1) 내의 물 수위가 높아 도로(2)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펫(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라펫(4)은 제방시설(1)과 부체도로(3)과 연결되는 위치에 제방시설(1)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부체도로(3)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차단부(10)는 상술한 부체도로(3) 내에 설치되어 하천수의 범람 또는 제방시설(1) 내의 수위 상승시 물이 도로(2)로 유입되지 않도록 전도 및 기립 가능형태로 이루어진 차단판(11)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판(11)을 전도 및 기립시킬 수 있는 유압기기(1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1)과 유압기기(12)의 일측은 회전 가능한 힌지(H)와 같은 형태로 결합하고, 유압기기(12) 중 차단판(11)과 결합하지 않은 부분에도 지면과 힌지(H)를 통한 결합을 하여 차단판(11)의 전도 및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1)과 유압기기(12) 및 바닥면(B)과 유압기기(12)에는 각각 제1, 2 지지대(14a, 14b)로 이루어진 지지대(1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지지대(14a, 14b)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대칭되게 배치가 된다.
즉, 상기 제1 지지대(14a)는 차단판(11)과 유압기기(12)에 각각 회전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고, 제2 지지대(14b)는 바닥면(B)과 유압기기(12)에 각각 회전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어 유압기기(12)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11)의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1)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경사판(13)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판(13)은 부체도로(3) 상에서 차량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방향의 차단판(11)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판(13)을 일측에 1개소만 형성할 경우에는 부체도로(3)가 경사진 만큼 경사각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차단판(11)의 양 측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차단판(11)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과속방지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13)을 양 측면에 구성할 경우 경사판(13) 중 어느 하나의 경사판(13)과 차단판(11)은 경첩 또는 힌지와 같은 회전결합수단(R)을 통해 결합하여 유압기기(12)의 작동에 의해 경사판(13)이 기립 및 전도될 때에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에, 상기 회전결합수단(R)이 형성되는 경사판(13)은 차단판(11)과 제방시설(1)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판(13)에 형성하도록 하여, 경사판(13)이 도로(2) 방향에서 제방시설(1) 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센서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와 제방시설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는 하천수의 수위(P1)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 인근에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는 제방변의 수위(P2)를 감지하기 위해 제방변 주위에 설치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와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는 각각 제1, 2 하천변 수위(ha1, ha2)와 제1, 2 제방변 수위(hb1, hb2)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상술한 차단부(10) 및 센서부(20)와 전기적 신호를 통해 송, 수신하여 센서부(20)의 센싱에 의해 차단부(10)의 차단판(11)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제어부(30)를 통해 차단부(10)가 제어되는 상황을 중앙관제실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앙관제실과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가동식 차수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차수판(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방시설(1)과 도로(2)를 연결하는 부체도로(3)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차단부(10)의 차단판(11)이 전도된 상태를 유지하여 부체도로(3) 상에 매립되어 있거나, 또는, 차단판(11)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13)에 의해 과속방지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기 또는 장마시 하천 또는 제방시설(1)에 물이 고여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센서부(20)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 및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는 하천변 인근에 설치되어 2단계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작용하고,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도 제방변에 설치되어 2단계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는 제1, 2 하천변 수위(ha1, ha2)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작용하게 되고,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는 제1, 2 제방변 수위(hb1, hb2)를 감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를 통해 감지된 하천의 수위가 도 5에서와 같이 제2 하천변 수위(ha2)와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되었을 경우, 또는,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를 통해 감지된 제방시설(1) 내의 물 수위가 제2 제방변 수위(hb2)와 같거나 넘었을 경우 이를 센서부(20)에서 감지를 하여 제어부(30)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하천 또는 제방시설(1)이 위험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도 6에서와 같이 차단부(10)의 유압기기(12)가 작동(로드를 잡아 당기는 동)작동하여 차단판(11)을 기립시킬 수 있도록 가동됨으로써 부체도로(3)를 따라 도로(2)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차단판(11)은 차량의 이동시 차량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중량으로 구성되어 유압기기(12)만으로는 기립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유압기기(12)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14)의 제1, 2 지지대(14a, 14b)가 유압기기(12)에 의해 서로 대칭된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2방향으로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차단판(11)을 기립시키는데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천의 범람 또는 제방시설(1) 내의 물 범람의 이상 유, 무를 감지하여 2군데 중 어느 한 곳이 위험수위일 경우 부체도로(3)를 폐쇄시켜 도로(2)로 물이 범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기립된 차단판(11)은 제방시설(1)에 설치되어 있는 파라펫(4)과 차수가 가능한 형태의 구성을 추가하여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체도로(3)의 폐쇄는 물의 범람을 막는 용도 이외에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통제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차단부(10)의 차단판(11)이 기립되기 전, 다시 말해, 센서부(20)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 및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를 통해 하천 및 제방시설(1)의 수위가 제1 하천변 수위(ha1) 또는 제1 제방변 수위(hb1)에 도달하였을 때에 사람 또는 차량의 통제가 선행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하천변 수위(ha2) 및 제2 제방변 수위(hb2)의 위치는 하천의 범람 또는 제방시설(1)의 범람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 수위일 때의 위치로서 물의 범람이 발생하기 바로 이전의 수위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하천변 수위(ha1) 및 제1 제방변 수위(hb1)는 물의 범람의 징후가 발견되는 시점의 수위로서 이러한 수위의 선정은 해당 하천변의 통계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천수 또는 제방시설(1) 내에 상승하였던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될 경우에는 센서부(20)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 및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에서 이를 감지하여 일정 수준으로 수위가 낮아짐을 확인하게 되었을 경우에 도 8에서와 같이 차단부(10)의 차단판(11)을 전도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10)의 차단판(11)의 전도되는 시기는 도 7에서와 같이 센서부(20)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에서 감지한 수위가 제1 하쳔변 수위(ha1)보다 낮고,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에서 감지한 수위가 제1 하천변 수위(hb1)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즉, 하천변 및 제방시설(1)의 수위가 물의 범람의 징후가 발견되는 시점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을 때에만 차단부(10)의 차단판(11)을 전도시키도록 작동하여,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 또는 제방시설(1)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부체도로(3)를 폐쇄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별도의 인력 없이도 물의 범람에 따른 피해 및 차량과 보행자의 통제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이를 중앙관제실에서 제어부(30)의 통신을 통해 파악하여 변화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제방시설 2 : 도로 3 : 부체도로 4 : 파라펫
10 : 차단부
11 : 차단판 12 : 유압기기 13 : 경사판
14 : 지지대 14a : 제1 지지대 14b : 제2 지지대 B : 바닥면
20 : 센서부
21 :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 22 :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
P1 : 하천변의 수위
ha1 : 제1 하천변 수위 ha2 : 제2 하천변 수위
P2 : 제방변의 수위
hb1 : 제1 제방변 수위 hb2 : 제2 제방변 수위
30 : 제어부
50 : 가동식 차수판

Claims (6)

  1.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1)과 도로(2)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3)에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제방시설(1)과 부체도로(3)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기기(12)와,
    상기 유압기기(1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기 위한 지지대(14);로 구성된 차단부(10);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에 설치되는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와 제방시설(1)에 설치되어 제방시설(1)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로 구성된 센서부(20);
    상기 차단부(10) 및 센서부(20)와 연동되어 차단부(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로 이루어져 있어,
    평상시에는 부체도로에 매립되어 있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차단부(10)의 차단판(11)이 기립되어 파라펫(4)과 함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0)의 지지대(14)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2 지지대(14a, 14b)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대(14a)는 차단판(11)과 유압기기(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2 지지대(14b)는 바닥면(B)과 유압기기(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의 제1, 2 지지대가 차단판 및 바닥면에서 회전하면서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0)의 차단판(11)의 일측 또는 양 측면에는 경사판(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의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21)는 제1, 2 하천변 수위(ha1, ha2)를 감지하고,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22)는 제1, 2 제방변 수위(hb1, hb2)를 감지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센서부(2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30)를 통한 차단부(10)에 형성된 차단판(11)의 기립 조건은,
    하천변의 수위(P1)가 제2 하천변 수위(ha2)에 위치하거나 이보다 더 높을 경우 또는 제방변의 수위(P2)가 제2 제방변 수위(hb2)에 위치하거나 이보다 더 높을 경우에 차단판(11)이 기립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센서부(2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30)를 통한 차단부(10)의 차단판(11) 기립 이후 전도되는 조건은,
    하천변의 수위(P1)가 제1 하천변 수위(ha1)보다 더 낮고, 제방변의 수위(P2)가 제1 제방변의 수위(hb1)보다 더 낮을 경우에만 차단판(11)이 전도되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천변 수위(ha2) 및 제2 제방변 수위(hb2)는 제1 하천변 수위(ha1) 및 제1 제방변 수위(hb1)보다 더 높은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천변 및 제방변의 상황에 따라 제방변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동식 차수판.
KR1020130072786A 2013-06-25 2013-06-25 가동식 차수판 KR10154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86A KR101541530B1 (ko) 2013-06-25 2013-06-25 가동식 차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86A KR101541530B1 (ko) 2013-06-25 2013-06-25 가동식 차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74A KR20150000574A (ko) 2015-01-05
KR101541530B1 true KR101541530B1 (ko) 2015-08-06

Family

ID=5247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86A KR101541530B1 (ko) 2013-06-25 2013-06-25 가동식 차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23B1 (ko) * 2019-06-03 2019-10-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침수 범람 방지를 위한 자동 호안 기립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42A (ja) 1999-02-04 2000-08-15 Kyusy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水門の自動制御システム
KR101060610B1 (ko) 2011-03-07 2011-08-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 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42A (ja) 1999-02-04 2000-08-15 Kyusy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水門の自動制御システム
KR101060610B1 (ko) 2011-03-07 2011-08-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 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74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14B1 (en)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CN105569095B (zh) 一种截排减压抗浮系统
EP2915923A1 (en) Self operating barrier for flood, spill and other protection
KR20200053079A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US201901536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CN109611007A (zh) 一种出入口气囊式防水装置
JP4558242B2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CN105386464B (zh) 一种城市地下智能综合管廊维修进出口
JP4134242B2 (ja) 防潮壁
JP5291611B2 (ja) 高浸水を防止する設備
KR101541530B1 (ko) 가동식 차수판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GB2386144A (en) Buoyant flood prevention apparatus
KR101019677B1 (ko) 친환경 가동식 홍수방지벽
GB2458941A (en) Inflatable flood prevention barrier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JP6813823B1 (ja) 堤防
JP4000513B2 (ja) 高潮防止用水門
KR102153821B1 (ko)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CN113699932A (zh) 一种防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