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168B1 -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168B1
KR102118168B1 KR1020170181874A KR20170181874A KR102118168B1 KR 102118168 B1 KR102118168 B1 KR 102118168B1 KR 1020170181874 A KR1020170181874 A KR 1020170181874A KR 20170181874 A KR20170181874 A KR 20170181874A KR 102118168 B1 KR102118168 B1 KR 10211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iodegradable polymer
metal layer
present applica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847A (ko
Inventor
금창헌
장부남
조재화
강성남
진규현
권혜영
홍지선
김샛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60 priority patent/WO2019132238A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08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코팅된 금속 층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STENT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원은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통로를 확장하는데 사용되는 내강 확장기구로서, 암 질환 또는 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용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혈관 내부에 삽입하여 혈관 벽을 팽창시킨 후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분해되어 사라지므로 후기 혈전증 및 재협착의 부작용이 덜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고분자의 탄성체적인 특징으로 인해 혈관을 확장시키는 시간이 금속 스텐트와 비교했을 때 장시간에 걸쳐 진행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혈관 구조에 적용하기 어려워 단순 병변만 가능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단순한 혈관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허가되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185,263호는 치료제 및 금속 재료를 포함한 의료 장치용 코팅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고분자 코팅층 상에 금속 재료를 코팅한 것으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복잡 병변을 가능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측면은,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코팅된 금속 층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금속 층은 교대로 적층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금속 층은 50 층 이하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 폴리락티드(PLA), 폴리-D-L-락트산(PDLLA), 폴리-D-락트산(PDLA),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LCL),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5,000 MW 내지 3,000,000 MW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은 Mg, Zn, Fe, Na, K, Ca, Mo, W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금속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측면은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 상에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플라즈마 증착, E-빔 증착, 원자층 증착(ALD), 스퍼터, 초음파 코팅, 진공이온도금, 전기도금, 융용도금,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량뮤어-블로젯 (Langmuir-Blodgett, LB)법, 잉크젯 프린팅법, 노즐 프린팅법, 슬롯 다이 코팅법, 닥터블레이드 코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딥 코팅법, 그래비어 프린팅법, 리버스 오프센 프린팅법, 물리적 기상 증착법, 스프레이 코팅법, 열증착법,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 폴리락티드(PLA), 폴리-D-L-락트산(PDLLA), 폴리-D-락트산(PDLA),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LCL),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5,000 MW 내지 3,000,000 MW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은 Mg, Zn,Fe, Na, K, Ca, Mo, W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금속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이 형성되어 있어, 스텐트의 물성을 높이고, 단순 병변뿐만 아니라 복잡 병변까지 가능하여 단순한 혈관뿐만 아니라 복잡한 혈관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로만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경우, 고분자의 탄성체적인 특징으로 인해 스텐트의 확장이 장시간에 걸쳐 진행되고 수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금속 층을 코팅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생분해성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여 혈전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1측면은,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코팅된 금속 층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100)는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110) 상에 금속층(120)이 코팅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금속 층은 교대로 적층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대로 적층되는 것의 의미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상기 금속 층과 생분해성 고분자 층이 번갈아 가면서 코팅되는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상기 금속 층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이 순서에 상관 없이 코팅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스텐트는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이 형성되어 있어, 스텐트의 물성을 높이고 단순 병변뿐만 아니라 복잡 병변까지 가능하여 단순한 혈관뿐만 아니라 복잡한 혈관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로만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경우, 고분자의 탄성체적인 특징으로 인해 스텐트의 확장이 장시간에 걸쳐 진행되고 수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금속 층을 코팅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및 상기 금속 층은 50 층 이하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텐트가 50 층 보다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와 상기 금속 층 간의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의 두께는 3 μm 내지 300 μm 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텐트의 두께가 3 μm 보다 얇을 때는 혈관을 지지할 수 있는 물성이 부족할 수 있고, 상기 스텐트의 두께가 300 μm 보다 두꺼울 때는 급성혈전 등이 달라 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 폴리락티드(PLA), 폴리-D-L-락트산(PDLLA), 폴리-D-락트산(PDLA),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LCL),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5,000 MW 내지 3,000,000 MW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5,000 MW 보다 작을 때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3,000,000 MW 보다 클 때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분해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상기 스텐트의 확장 속도는 120초 이내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텐트의 확장 속도가 120 초 보다 길 때는, 혈액 공급을 저지하여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의 분해 기간은 1개월 내지 5년 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텐트의 분해기간이 1개월 이내인 경우, 확장하고자 하는 혈관이 회복되기 전에 사라질 수 있고, 상기 스텐트의 분해기간이 5년 보다 긴 경우, 혈전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은 Mg, Zn, Fe, Na, K, Ca, Mo, W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금속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생분해성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여 혈전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측면은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 상에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플라즈마 증착, E-빔 증착, 원자층 증착(ALD), 스퍼터, 초음파 코팅, 진공이온도금, 전기도금, 융용도금,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량뮤어-블로젯 (Langmuir-Blodgett, LB)법, 잉크젯 프린팅법, 노즐 프린팅법, 슬롯 다이 코팅법, 닥터블레이드 코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딥 코팅법, 그래비어 프린팅법, 리버스 오프센 프린팅법, 물리적 기상 증착법, 스프레이 코팅법, 열증착법,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층 상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플라즈마 증착, E-빔 증착, 원자층 증착(ALD), 스퍼터, 초음파 코팅, 진공이온도금, 전기도금, 융용도금,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량뮤어-블로젯 (Langmuir-Blodgett, LB)법, 잉크젯 프린팅법, 노즐 프린팅법, 슬롯 다이 코팅법, 닥터블레이드 코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딥 코팅법, 그래비어 프린팅법, 리버스 오프센 프린팅법, 물리적 기상 증착법, 스프레이 코팅법, 열증착법,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 폴리락티드(PLA), 폴리-D-L-락트산(PDLLA), 폴리-D-락트산(PDLA),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LCL),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5,000 MW 내지 3,000,000 MW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층은 Mg, Zn,Fe, Na, K, Ca, Mo, W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금속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L-락트산(PLLA)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Mg을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코팅하였다.
[실시예 2]
폴리-L-락트산(PLLA)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Mg을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코팅하였다. 상기 Mg 상에 Zn을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코팅하였다. 상기 Zn 상에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를 스핀코팅 하였다.
[실시예 3]
폴리-L-락트산(PLLA)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Fe을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코팅하였다. 상기 Fe 상에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스핀코팅 하였다. 상기 PCL 상에 Zn 및 Mg를 순차적으로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코팅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스텐트와 비교예로서, Mg로 이루어진 금속 스텐트(비교예 1) 및 폴리-L-락트산(PLLA)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비교예 2)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표 1로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30210515-pat00001
상기 혈관 형상 적응도는 '매우 좋은 형상 적응'은 '1', '좋은 형상 적응'은 '2', '혈관 형상 유지'는 '3' 및 '형상이 적응되지 않음'은 '4'로서 표시되었다.
표 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 2, 및 3에서 제조한 스텐트의 경우, 스텐트 확장 속도가 각각 2, 3, 및 4 초로 비교예 2의 150초 보다 매우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텐트의 확장 속도가 120 초 보다 길 경우, 혈액 공급이 저하되어 쇼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 제조한 스텐트의 확장 속도는 비교예 2뿐만 아니라, 비교예 1의 5초보다 빠른 확장 속도를 보이고 있어, 혈액의 흐름을 막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1, 2, 및 3에서 제조한 스텐트의 경우, 혈관 형상 적응도가 모두 1로서 나타나 혈관 형상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실시예 1, 2, 및 3에서 제조한 스텐트의 분해 속도는 각각 2년, 1년 및 3년 이내로, 비교예 1의 일주일처럼 매우 짧아 혈관이 회복되기 전에 사라지지 않고, 비교예 2의 5년 이상처럼 매우 길어 혈전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텐트
110: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120: 금속 층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상에 금속 층을 물리적 기상 증착법에 의해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층 상에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 및 상기 금속 층이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금속 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층 및 상기 금속 층은 50 층 이하인 것이고,
    상기 스텐트의 두께는 3 μm 내지 300 μm 이고,
    상기 스텐트의 확장 속도는 120초 이내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트산(PLLA),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A), 폴리락티드(PLA), 폴리-D-L-락트산(PDLLA), 폴리-D-락트산(PDLA),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TMC),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LCL),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5,000 MW 내지 3,000,000 MW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은 Mg, Zn, Fe, Na, K, Ca, Mo, W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금속인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KR1020170181874A 2017-12-28 2017-12-28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74A KR102118168B1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8/013760 WO2019132238A1 (ko) 2017-12-28 2018-11-13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74A KR102118168B1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47A KR20190079847A (ko) 2019-07-08
KR102118168B1 true KR102118168B1 (ko) 2020-06-03

Family

ID=6706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74A KR102118168B1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8168B1 (ko)
WO (1) WO2019132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2206A (zh) * 2020-05-29 2020-09-08 四川大学 一种自抗凝且可显影的小口径人工血管支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937A (ja) 2003-12-12 2005-06-30 Terumo Corp ステント
KR101489265B1 (ko) 2014-04-08 2015-02-04 썬텍 주식회사 고분자 스텐트 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278953A1 (en) 2007-01-19 2016-09-29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JP2017094179A (ja) * 2011-06-30 2017-06-01 エリクシアー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生分解性内部人工器官およびそ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503A (ko) * 2012-06-19 2014-01-29 썬텍 주식회사 듀얼 약물이 코팅된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 방법
KR101650514B1 (ko) * 2014-06-19 2016-08-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융합성 혈관용 스텐트
KR101708748B1 (ko) * 2015-09-24 2017-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공간 다중제어가 가능한 지능성 약물방출 스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937A (ja) 2003-12-12 2005-06-30 Terumo Corp ステント
US20160278953A1 (en) 2007-01-19 2016-09-29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JP2017094179A (ja) * 2011-06-30 2017-06-01 エリクシアー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生分解性内部人工器官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1489265B1 (ko) 2014-04-08 2015-02-04 썬텍 주식회사 고분자 스텐트 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47A (ko) 2019-07-08
WO2019132238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2032B1 (en) Medical devices having porous lay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10155041A (ja) ナノ構造パターンを有する薬物放出用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した薬物放出用ステント
CN110234366A (zh) 高功能生物可吸收支架
JP2010516403A (ja) 植込み型医療用内部人工器官
JP2014524296A (ja) マグネシウム合金を含む吸収性ステント
US20160256610A1 (en) Method of producing personalized biomimetic drug-eluting coronary stents by 3d-printing
WO2009059165A2 (en) Endoprosthesis coating
US20100087914A1 (en)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n et al. The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for constructing polymer‐coated stents
US20080234831A1 (en) Bioresorbable Stent and Method of Making
CN106029931A (zh) 用于医疗装置的改善的金属合金
WO2009018013A2 (en) Iron ion releasing endoprostheses
Tang et al. A surface-eroding poly (1, 3-trimethylene carbonate) coating for magnesium based cardiovascular stents with stable drug release and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CN105412996B (zh) 一种生物可降解支架及其制备方法
KR102118168B1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552992B (zh) 一种多层复合管材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5877881A (zh) 利用3d打印技术制备个性化仿生药物洗脱冠状动脉支架的方法
CN108289747A (zh) 生物体吸收性支架
KR101708748B1 (ko) 시공간 다중제어가 가능한 지능성 약물방출 스텐트
KR101253284B1 (ko) 스텐트의 표면 개질 방법
TWI606085B (zh) 陶瓷/高分子複合材料及其製作方法
KR101146558B1 (ko) 약물 방출 스텐트 표면의 나노 코팅 방법
Perkins et al. Direct writing of bio‐functional coatings for cardiovascular applications
WO2020158761A1 (ja) 生体吸収性ステント
Kealey et al. In vitro and in vivo testing of a novel, hyperelastic thin film nitinol flow diversion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