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89B1 -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89B1
KR102117989B1 KR1020130077062A KR20130077062A KR102117989B1 KR 102117989 B1 KR102117989 B1 KR 102117989B1 KR 1020130077062 A KR1020130077062 A KR 1020130077062A KR 20130077062 A KR20130077062 A KR 20130077062A KR 102117989 B1 KR102117989 B1 KR 10211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guide hole
seating
insulato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077A (ko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10Prevention of theft of valuable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전주의 애자에 권선되는 저압전선의 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 공법에 대비하여 소요자재의 종류를 감소하고 전선의 재질에 따른 구분 없이 모두 동일한 장주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전주에 구비되는 애자에 권선되기 전의 전선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애자에 권선된 후의 상기 전선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A LOW VOLTAGE POWER LINE CLAMP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전주의 애자에 권선되는 저압전선의 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 공법에 대비하여 소요자재의 종류를 감소하고 전선의 재질에 따른 구분 없이 모두 동일한 장주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서 수용가까지 배전선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압용의 장주를 배치하고, 이 장주에 고압용의 완금을 수평방향으로 다층배열한 다음에, 이 완금에 애자 등을 설치하여 고압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압전선의 하부에 변압기로 전압을 낮추어 저압전선을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저압용 장주를 설치하여 저압전선을 설치하게 되는 한편, 이 저압전선에서 인입선을 뽑아 수용가로 보내게 된다.
즉, 고압전선의 설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장주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됨과 더불어 완금밴드로 고정설치된 완금과, 이 완금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압전선이 지지되는 다수의 애자로 설치된다.
그리고 저압전선의 설치는, 고압전선의 완금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주에 설치된 변압기를 통해 저압전선이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저압전선은 변압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주에 설치된 지선밴드를 이용하여 조가선에 묶어 늘어지지 않게 설치한다.
이후, 이 저압전선에서 인입선을 인출하여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장주와 장주 사이의 조가선에는 저압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인드선으로 묶여진다.
이러한 작업은 저압전선을 애자를 권선한 저압전선의 단부를 합친 후에 복수외 권선된 바인드선을 합쳐진 전선에 밀착하여 복수회 권선시키고, 바인드선의 일단부를 권선한 부위의 위에 겹친 다음에 타단부의 바인드선을 밀착시켜 복수회 권회시킨다.
그리고 겹쳐놓은 바인드선을 앞쪽으로 꺾은 후에 권선한 후에 장력이 걸리지 않는 전선을 위로 절곡하여 바인드선으로 복수회 감아 권선하고, 이렇게 바인딩된 바인드선의 양단부를 비틀어 꼬아서 절단한 후에 전선에 붙인 후 테이핑하여 절연하는 공정으로 시공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고정을 갖는 바인딩작업은 전주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 작업자가 숙련자가 아닐 경우 작업순서가 바뀌거나, 혹은 표준공법대로 지켜지지 않음과 아울러, 그 시공상태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바인딩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저압전선의 단부로부터 저압전선의 바인드 부위에 산성 빗물 및 공해물이 침투되고, 저압전선에 인장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에 따른 영향으로 인하여 응력 부식균열이 발생되어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345471호(저압전선의 설치용 내장클램프, 2002.07.09. 등록)이 있다.
본 발명은 저압동(Cu) 전선이나 저압알루미늄(Al) 전선 등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장주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압전선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품수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압전선의 재질에 따라 시공방법을 달리 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이용하여 모두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여러 재질의 저압전선을 시공함으로서 저압동(Cu) 전선을 대상으로 하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전주에 구비되는 애자에 권선되기 전의 전선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애자에 권선된 후의 상기 전선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작레버 중 상기 본체부와 근접한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배치되는 수평면 상으로 상기 조작레버의 둘레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압축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압축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안착부와 상기 압축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가압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곡면 부분, 상기 곡면 부분에 이어져 상기 전선의 장악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평면 부분을 형성하되, 상기 전선의 장악력은 상기 곡면 부분과 상기 평면 부분이 만나는 지점에서 최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조작레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과, 상기 제1가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2안착부와 상기 조작레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 및 상기 제2가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홀은, 상기 애자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의 일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와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의 타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깝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가이드홀은, 상기 애자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와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거리가 멀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는, 상기 제1가압부가 제1안착부와 마주하고 있는 면과, 상기 제2가압부가 제2안착부와 마주하고 있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애자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안착부의 전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전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기 애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안착부의 타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타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의 일부와 상기 압축캠을 커버하는 덮개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과 동일한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홀과,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과 동일한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 중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대면되는 면에서 상기 제3가이드홀에 안내되는 제3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가압부 중 상기 제2가이드돌기에 대면되는 면에서 상기 제4가이드홀에 안내되는 제4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저압동(Cu) 전선이나 저압알루미늄(Al) 전선 등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장주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압전선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품수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저압전선의 재질에 따라 시공방법을 달리 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이용하여 모두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여러 재질의 저압전선을 시공함으로서 저압동(Cu) 전선을 대상으로 하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캠의 회전에 따른 제1가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저압전선을 가압 고정하기 전의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저압전선을 가압 고정한 상태의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선(c)은 220V 내지 380V의 전압을 갖는 전력을 배전하기 위한 선로를 구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압대의 배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는, 일측에는 전주(P)에 구비되는 애자(i)에 권선되기 전의 전선(c)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110)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애자(i)에 권선된 후의 상기 전선(c)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조작레버(200) 및 상기 조작레버(20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c)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상기 전주(P)와 애자(i)에 관한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주(P)는 지면에 직립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주(P)의 상부에 금속재의 고정금구를 설치한 후에 이 고정금구에 상기 애자(i)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애자(i)는 상기 전선(c)을 연결하기 위하여 고리, 또는 애자(i)의 외면에 형성된 홈이 구비되어 상기 애자(i)에 전선(c)을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다른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는, 이와 같이 상기 애자(i)에 전선(c)을 연결한 후에 상기 애자(i)로부터 전선(c)이 풀리거나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c)을 고정, 또는 장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저압전선을 가압 고정하기 전의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저압전선을 가압 고정한 상태의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본체부(1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제1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이에 대면하고 있는 타측에 상기 제2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 중 상기 애자(i)와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는 부분을 본체부(100)의 전단, 또는 전방이라고 하고, 상기 본체부(100) 중 상기 애자(i)와 가장 이격되어 있는 부분을 본체부(100)의 후단, 또는 후방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제1안착부(110)는 상기 전선(c)을 상기 애자(i)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선(c)의 말단부가 상기 제1안착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애자(i)에 일부 권선된 후 상기 전선(c)의 말단부가 다시 상기 제2안착부(120)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전선(c)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안착부(110)에 안착된 전선(c)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작용하는 장력(F1)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에 안착된 전선(c)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작용하는 장력(F2)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안착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전선(c)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그 단면이 "(" 또는 "[" 형상을 띄게 된다.
상기 제2안착부(120) 또한 상기 제1안착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제1안착부(110)와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제2안착부(120)에 상기 전선(c) 안착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1안착부(110)에 안착된 전선(c) 부분과 제2안착부(120)에 안착된 전선(c) 부분을 가압함으로서 그 고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애자(i)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안착부(110)의 전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120)의 전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기 애자(i)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안착부(110)의 후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120)의 후단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그 전단면의 길이가 후단면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여 상기 제1안착부(110)는 그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안착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안착부(120)는 그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안착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서는 상기 애자(i)에 권선됨으로서 애자(i)의 직경만큼 서로 이격되는 단일한 전선(c) 간의 이격된 거리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제2안착부(120)에 상기 전선(c)의 각기 다른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전선(c) 및 본체부(100)의 파손방지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서는 상기 단일한 전선(c) 중 상기 애자(i)에 권선되기 전의 전선(c) 부분과 상기 애자(i)에 권선된 후의 전선(c) 부분을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게 하여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에서 안착 및 고정함으로서 전선(c)의 클램핑 시공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작레버(200) 중 상기 본체부(100)와 근접한 부위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돌출부(310)가 형성된 압축캠(300)과, 상기 제1안착부(110)와 상기 압축캠(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20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축캡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1가압부(410) 및 상기 제2안착부(120)와 상기 압축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20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축캠(300)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12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2가압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캠(300)은 상기 레버의 하단부, 즉 상기 레버 중 상기 본체부(100)에 근접한 부위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압축캠(30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부(310)는 서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캠의 회전에 따른 제1가압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가압부(410)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제1안착부(110)와 상기 압축캠(3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한 쌍의 돌출부(310)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가압부(410)가 제1안착부(110)를 향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2에서 돌출부(310)는 조작레버(2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가압부(410)[또는 제2가압부(4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곡면 부분(CR), 곡면 부분(CR)에 이어져 전선의 장악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평면 부분(PR)을 형성한다. 이때, 전선의 장악력은 곡면 부분(CR)과 평면 부분(PR)이 만나는 지점에서 최대로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압부(420)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제2안착부(120)와 상기 압축캠(3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한 쌍의 돌출부(310) 중 다른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2가압부(420)가 제2안착부(120)를 향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310)는 서로 180도로 대향되게 구비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200)를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410)와 제2가압부(420)는 각각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제2안착부(120)를 향하여 동시에 슬라이딩 되거나, 또는 원위치 된다.
즉,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에 각각 안착되는 상기 전선(c) 부분은 상기 압축캠(300)의 돌출부(310)로 인하여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로 각각 슬라이딩 되는 제1가압부(410)와 제2가압부(420)에 의해 고정되어 지는데, 이러한 일련의 슬라이딩 구동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수단은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100) 중 상기 제1안착부(110)와 상기 조작레버(20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510)과, 상기 제1가압부(4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510)에 의해 안내되는 제1가이드돌기(520)와, 상기 본체부(100) 중 상기 제2안착부(120)와 상기 조작레버(20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610) 및 상기 제2가압부(42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홀(610)에 의해 안내되는 제2가이드돌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이드홀(510)은, 상기 애자(i)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510)의 일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110)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i)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510)의 타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110)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깝도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홀(5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홀(51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제1가이드홀(510)의 타단부는, 상기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가이드홀(510)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1가압부(410)는 상기 조작레버(200)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조작레버(20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압축캠(300)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이, 상기 제1가압부(410)가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사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c)의 부분에는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후단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F1)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1가압부(410)가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전선(c)에 밀착되는 제1가압부(410)가 상기 전선(c)에 작용하는 장력(F1)으로 인하여 상기 제1안착부(110)에 더욱 밀착되려는 힘(f1)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더욱 안정적인 장악, 또는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드홀(610)은, 상기 애자(i)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6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120)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i)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6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도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홀(6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홀(61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제2가이드홀(610)의 타단부는, 상기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홀(510)과 제2가이드홀(61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 아니라,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애자(i)에 권선된 후 상기 제2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전선(c) 부분, 즉 말단부는 상기 애자(i)가 있는 방향, 즉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2가이드홀(6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2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전선(c)에 밀착되는 제2가압부(420)가 상기 전선(c)에 작용하는 장력(F2)으로 인하여 상기 제2안착부(120)에 더욱 밀착되려는 힘(f2)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더욱 안정적인 장악, 또는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가압부(410)가 상기 제1안착부(110)와 마주하고 있는 면과, 상기 제2가압부(420)가 상기 제2안착부(120)와 마주하고 있는 면에는 각각 미끄럼방지패드(900)가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900)로 인하여 상기 제1가압부(410) 및 제2가압부(420)와 상기 전선(c) 사이의 마찰력이 상승되어 밀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가이드홀(510) 및 제2가이드홀(610)은 도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복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제1가압부(410) 및 제2가압부(42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제1가압부(410) 및 제2가압부(420)의 일부와 상기 압축캡을 커버하는 덮개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130)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510)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홀(710)과, 제2가이드홀(610)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홀(8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부(410) 중 제1가이드돌기(520)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는 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3가이드홀(710)에 안내되는 제3가이드돌기(720)와, 상기 제2가압부(420) 중 상기 제2가이드돌기(620)가 형성되는 면과 대면되는 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4가이드홀(810)에 안내되는 제4가이드돌기(820)가 더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1가압부(410)와 제2가압부(420)는 상기 본체부(100)와 덮개부(130)에 각각 마주하고 있는 양측면이 가이드되어 안정적인 슬라이딩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주(P)의 애자(i)에 상기 전선(c)을 설치할 시, 작업자는 상기 전선(c)을 말단부를 상기 애자(i)에 형성된 고리, 또는 상기 애자(i)의 외면에 1회, 또는 그 상의 횟수로 권선하되, 상기 전선(c)의 말단부가 상기 애자(i)에 연결되기 전의 전선(c)의 일부분까지 접촉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결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c)을 장악, 또는 고정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애자(i)에 결합 또는 권선되기 전의 전선(c) 부분을 상기 제1안착부(110)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애자(i)에 결합 또는 권선된 후의 전선(c) 부분(상기 전선(c)의 말단부)이 상기 제2안착부(120)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레버(200)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압축캠(300)의 돌출부(310)에 의해 상기 제1가압부(410)가 제1안착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1안착부(110)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c) 부분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가압부(420)는 제2안착부(12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2안착부(120)에 안착되어 있는 전선(c) 부분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전선(c)의 장악 또는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레버(200)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시건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200)의 회전 조작시 상기 조작레버(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저압전선(c)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주(P)의 애자(i)에 상기 전선(c)을 연결할 시 상기 조작레버(20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전선(c)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장악 또는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저압동(Cu) 전선(c)이나 저압알루미늄(Al) 전선(c) 등 재질에 따른 전선(c)의 시공방법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 가능하여 저압배전선로 장주시공법을 통일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압배전선로 시공법이 통일화됨으로서 육안으로는 전선(c)의 재질을 구분할 수 없게 되어 저압동(Cu)과 같은 특정한 재질의 전선(c)을 대상으로 하는 절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P : 전주
i : 애자
C : 전선
100 : 본체부
110 : 제1안착부
120 : 제2안착부
130 : 덮개부
200 : 조작레버
300 : 압축캠
310 : 돌출부
410 : 제1가압부
420 : 제2가압부
510 : 제1가이드홀
520 : 제1가이드돌기
610 : 제2가이드홀
620 : 제2가이드돌기
710 : 제3가이드홀
720 : 제3가이드돌기
810 : 제4가이드홀
820 : 제4가이드돌기
900 : 미끄럼방지패드

Claims (9)

  1. 일측에는 전주에 구비되는 애자에 권선되기 전의 전선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애자에 권선된 후의 상기 전선의 말단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작레버 중 상기 본체부와 근접한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배치되는 수평면 상으로 상기 조작레버의 둘레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압축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압축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안착부와 상기 압축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가압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곡면 부분, 상기 곡면 부분에 이어져 상기 전선의 장악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평면 부분을 형성하되,
    상기 전선의 장악력은 상기 곡면 부분과 상기 평면 부분이 만나는 지점에서 최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조작레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
    상기 제1가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제1가이드돌기;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2안착부와 상기 조작레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 및
    상기 제2가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홀은,
    상기 애자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의 일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가이드홀의 타단부와 상기 제1안착부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깝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홀은,
    상기 애자와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의 일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비하여 상기 애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2가이드홀의 타단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거리가 멀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는,
    상기 제1가압부가 제1안착부와 마주하고 있는 면과, 상기 제2가압부가 제2안착부와 마주하고 있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애자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안착부의 전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전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기 애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1안착부의 후단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후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의 일부와 상기 압축캠을 커버하는 덮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과 동일한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홀과,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과 동일한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 중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대면되는 면에서 상기 제3가이드홀에 안내되는 제3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가압부 중 상기 제2가이드돌기에 대면되는 면에서 상기 제4가이드홀에 안내되는 제4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KR1020130077062A 2013-07-02 2013-07-02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KR10211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062A KR102117989B1 (ko) 2013-07-02 2013-07-02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062A KR102117989B1 (ko) 2013-07-02 2013-07-02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77A KR20150004077A (ko) 2015-01-12
KR102117989B1 true KR102117989B1 (ko) 2020-06-02

Family

ID=5247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062A KR102117989B1 (ko) 2013-07-02 2013-07-02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354Y1 (ko) * 2004-03-29 2005-01-14 국성환 쐐기형 클램프가 내장된 h-빔 인출기
JP2011255488A (ja) * 2010-06-10 2011-12-22 Soki:Kk 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969Y2 (ja) * 1993-06-10 1996-09-25 西日本電線株式会社 高張力ケ―ブル用引留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354Y1 (ko) * 2004-03-29 2005-01-14 국성환 쐐기형 클램프가 내장된 h-빔 인출기
JP2011255488A (ja) * 2010-06-10 2011-12-22 Soki:Kk 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77A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CN105337233A (zh) 一种可调式通用街码
KR20200079659A (ko) 배전용 저압전선 일체형 절연인장 그립
CN105322482A (zh) 一种通用街码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815683B1 (ko)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KR102117989B1 (ko) 배전용 저압전선 클램프
KR102387208B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CN107706870A (zh) 一种变电站单杆双缆opgw余缆安装金具及安装方法
CN103022849A (zh) 一种接地线的可调向接地杆
CN201044267Y (zh) 一种接线端子
WO2011141089A3 (de) Verfahren zur errichtung einer elektrischen oberleitung
JP2010166640A (ja) 架空送電線路及び鉄塔周辺の工事方法
JP2012105429A (ja) 荷重分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鉄塔周辺の工事方法
CN205595731U (zh) 一种10千伏架空配电线路用耐张型线夹
CN105006773A (zh) 一种输电线路非锚固导地线作业方法
US3474183A (en) Mid-span service attachment for secondary distribution system
CN109019184A (zh) 应用于电线的绕圈方法
CN205583173U (zh) 一种电缆连接器
KR20160029174A (ko) 가공배전선로용 연결장치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CN206400166U (zh) 一种变电站单杆双缆opgw余缆安装金具
KR100345470B1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KR20220022638A (ko) 간접활선용 분기슬리브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