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921B1 - 유리창 청소 도구 - Google Patents

유리창 청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921B1
KR102116921B1 KR1020180134716A KR20180134716A KR102116921B1 KR 102116921 B1 KR102116921 B1 KR 102116921B1 KR 1020180134716 A KR1020180134716 A KR 1020180134716A KR 20180134716 A KR20180134716 A KR 20180134716A KR 102116921 B1 KR102116921 B1 KR 10211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indow
blade
cleaning hea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392A (ko
Inventor
김종명
김윤태
Original Assignee
김종명
김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김윤태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18013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체에 연결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창의 한쪽 면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는, 유리창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 또는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청소 헤드; 상기 청소 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축; 및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청소 헤드에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청소 도구{WINDOW CLEANING TOOL}
아래의 설명은 유리창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의 청소를 위해서는, 세척액이 흡수된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닦아 내고, 필요에 따라, 유리창에 잔류하는 물기를 고무 블레이드로 제거한다. 유리창의 청소에는, 통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유리창 청소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도구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유리창 청소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리창 청소 도구는, 사용자가 본체에 연결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창의 한쪽 면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에 있어서, 유리창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 또는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청소 헤드; 상기 청소 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축; 및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청소 헤드에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창 청소 도구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유리창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변함에도, 상기 청소 헤드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유리창의 표면과의 접촉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본체 및 청소 헤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청소 헤드에 인장 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양쪽 면 중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치우친 방향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헤드는, 상기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파지하기 위한 홀딩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홀딩 프레임을 파지하며, 상기 회전 축의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유리창에 제공하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창 청소 도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척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창 청소 도구는,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양쪽 면 중 상기 세척 패드가 위치한 쪽의 반대쪽 면에 설치되는 보조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리창 청소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1)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유리창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수동식 제품이다. 유리창 청소 도구(1)는, 본체(11), 청소 헤드(12), 회전 축(13), 세척 패드(14), 보조 패드(15), 손잡이(16)및 탄성체(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유리창 청소 도구(1)의 각종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청소 헤드(12)는,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리창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 또는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122)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이 있으며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 헤드(12)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122) 외에도 홀딩 프레임(121), 버블 블록(123) 및 회전 부재(1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홀딩 프레임(121)은, 블레이드(122)를 파지할 수 있다. 홀딩 프레임(121)은, 회전 축(13)의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 부재(18)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 축(13)을 통해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딩 프레임(121)은 블레이드(122) 및/또는 버블 블록(123)을 파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버블 블록(123)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되는 것처럼, 블레이드(122)가 유리 표면의 오염물 및 세척액을 쓸어 내릴 때 블레이드 내면에 집적되는 세척액 등이 블레이드(122)의 양 측 끝단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버블 블록(123)은, 도 4와 같이 블레이드(122)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등에 도시한 것처럼 버블 블록(123)은, 블레이드(122)의 선단보다 돌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 축(13)을 기준으로, 블레이드(122)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버블 블록(123)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청소 헤드(12)의 하위 구성요소들, 즉, 홀딩 프레임(121), 블레이드(122), 버블 블록(123) 및 회전 부재(18) 등이 서로 별개의 물품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중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일 예로, 홀딩 프레임(121) 및 회전 부재(18)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축(13)은, 청소 헤드(12)가 회전 부재(18)를 통하여 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회전 축(13)은, 예를 들어, 본체(11) 및 청소 헤드(12)를 관통하는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회전 축(13)은, 본체(11) 및 청소 헤드(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일 수도 있으며, 청소 헤드(12)를 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세척 패드(14)는, 유리창 청소시에 유리창에 접촉하여, 유리창으로 세척액을 공급할 뿐 아니라 유리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패드(14)는, 예를 들면, 스펀지 등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 패드(14)는, 비눗물 등의 세척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충분하며, 세척 패드(14)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세척 패드(14)는, 본체(11)에 형성된 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세척 패드(14)는, 블레이드(122) 및 손잡이(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탄성체(1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본체(11)의 마주보는 양쪽 면(도 3 기준 상면 및 하면) 중 블레이드(122)의 선단이 치우친 방향의 면(도 3 기준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패드(15)는, 본체(11)의 마주보는 양쪽 면(도 3 기준 상면 및 하면) 중 세척 패드(14)가 설치되지 않은 면(도 3 기준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1)를 기준으로 세척 패드(14) 및 보조 패드(15)는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유리창에 찌든 때가 있는 등, 세척 패드(14) 및 블레이드(122)를 이용한 한번의 작업만으로 유리창을 깔끔하게 세척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자는 보조 패드(15)를 이용하여 반복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손잡이(16)는, 본체(11)를 기준으로 블레이드(122)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본체(11)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6)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창 청소 도구(1)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한쪽 면을 청소할 수 있다.
탄성체(17)는,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자세의 높낮이가 변함에 따라서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16)가 유리창 표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역시 변하게 됨으로, 즉,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는 청소 헤드(12)와, 손잡이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본체(11)와의 각도 및 거리 역시 변하게 되며, 이 경우, 청소 헤드(12), 즉, 블레이드(122)를 유리창 표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인장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7)는, 본체(11)와 청소 헤드(12) 사이에 연결되어, 청소 헤드(12)가 항상, 도 3에서 회전 축(1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1)는, 홀딩 프레임(121)의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청소 헤드(12)의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토퍼(19)는 탄성체(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청소 헤드(1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3 를 기준으로 청소 헤드(1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7)는, 본체(11) 및 홀딩 프레임(12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선형스프링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7)의 양 단은 본체(11) 및 홀딩 프레임(12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7)는 홀딩 프레임(121)의 좌, 우에 2개 이상을 설치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탄성체(17)는, 회전 축(13)에 삽입되고, 본체(11) 및 청소 헤드(12) 사이에 탄성 토크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유리창(W)의 높은 부분을 청소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유리창(W)의 낮은 부분을 청소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리창(W)을 청소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창(W)의 표면에 대하여 청소 헤드(12)의 블레이드(122)가 일정한 각도(A1)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유리창 청소 도구(1)를 아래로 쓸어 내리는 것이 오염물 또는 세척액 제거에 유용하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청소 헤드(12)의 블레이드(122)가 유리창(W)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한 예각을 벗어나게 되면 유리 표면의 오염물 및/또는 물기 제거가 완벽하게 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청소 헤드(12) 혹은 블레이드(122)가 본체(11)와 함께 일체로 결합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유리창 상부로부터 하부로 닦아 내릴때 이와 같은 최적 각도(A1)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리창(W)의 중간 및 낮은 부분을 청소할 때에,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어 작업을 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1)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릎 및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리창(W)의 높은 부분(도 5 참조)으로부터 중간 및 낮은 부분(도 6 참조)까지 일정하고 편안한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리창 청소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리창에 오래 된 찌든 오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11)의 유리창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보조 패드(15)에 세척액을 함유시킨 후, 유리 표면에 밀착시켜 찌든 오염을 반복 세척한다. 그런 후, 청소 도구(1)의 방향을 바꾸어 청소 헤드(12)의 내측면(유리창 방향)을 유리창(W)의 상단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청소 도구(1)가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 자연스럽게 사용자는 손잡이(16)를 세운 각도(B1)로 파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122), 버블 블록(123) 및 세척 패드(14)가 유리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본체(11)와 청소 헤드(12)사이에 연결된 탄성체(17)는 청소 헤드(12), 즉, 블레이드(122)의 선단에,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토크를 제공한다. 이런 상태에서 청소 도구(1)를, 손잡이(16)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 표면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아래로 내리면 세척 패드(14)에 의한 세척액 공급, 오염물의 세척 작업, 블레이드(122)에 의한 오염물 및 세척액의 제거 및 세척액(또는 오염물)의 세척 패드(14)로의 흡수가 동시에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도구(1)가 유리창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청소 도구(1)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유리창에 대한 손잡이(16)의 파지 각도(B2)가 커지게 되므로,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11)의 각도 역시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 청소 헤드(12)는 유리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를 하며, 청소 헤드(12)와 탄성체(17)로 연결된 본체(11)가,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청소 헤드(12)사이에 연결된 탄성체(17)는 늘어 나게 되며, 이전보다 더 강한 인장 토크를 청소 헤드(12)에, 즉, 블레이드(122)의 선단에,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토크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122)의 선단이 오염물 및 잔류 세척액의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작동 원리로 인하여, 사용자가 청소 도구(1)로 유리창 청소를 수행할 때 유리창의 세척 높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편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2)에 의하면, 청소 헤드(22)가 손잡이의 각도에 관계없이 유리창에 대하여 항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유리창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유리창 청소 도구(2)는, 본체(21), 청소 헤드(22), 회전 축(23), 세척 패드(24), 보조 패드(25), 손잡이(26), 탄성체(27), 지지부(28) 및 탄성체 걸이(2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의 내측에는, 청소 헤드(22)의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11)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211) 및 탄성체(27)에 의하면, 유리창 청소 도구(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 헤드(22)가 본체(21)의 스토퍼(2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청소 헤드(22)는, 베이스 플레이트(224), 홀딩 프레임(221), 블레이드(222), 버블 블록(223) 및 회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헤드(22), 세척 패드(24) 및 지지부(28)는, 본체(21)에 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4)는, 베이스 플레이트(224)에 결합된 회전 부재(30)를 통하여, 회전 축(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4)는, 스토퍼(211)에 의해 간섭되어, 도 9를 기준으로, 회전 축(23)을 중심으로 청소 헤드(2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홀딩 프레임(221)은, 베이스 플레이트(224)와 결합된 회전 부재(30)에 설치되고, 블레이드(222)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청소 헤드(22)의 하위 구성요소들, 즉, 홀딩 프레임(221), 블레이드(222), 버블 블록(223), 베이스 플레이트(224) 및 회전 부재(30) 등이 서로 별개의 부품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중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회전 축(23)은, 청소 헤드(22)를 본체(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회전 축(23)은, 예를 들어, 본체(21) 및 청소 헤드(22)의 회전 부재(30)를 관통하는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회전 축(13)은, 본체(11) 및 회전 부재(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일 수도 있으며, 청소 헤드(22)를 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세척 패드(24)는,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패드(25)는, 본체(21)의 마주보는 양쪽 면(도 9 기준 상면 및 하면) 중 세척 패드(24)가 위치한 쪽의 반대쪽 면(도 9 기준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27)는, 예를 들어, 본체(21)의 측면을 관통하는 탄성체 걸이(29) 및 청소 헤드(22)의 회전 부재(30)의 탄성체 걸이(31)를 연결하는 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27)는 청소 헤드(22)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한 회전 부재(30)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탄성체(27)는, 회전 축(13)에 삽입되고, 본체(21) 및 청소 헤드(22) 사이에 탄성 토크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도 있다.
지지부(28)는,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청소 도구(2)를 외력에 의해 유리 표면 방향으로 밀착시킬 경우, 지지부(28)의 하측 끝단이 유리 표면에 접촉되어 청소 헤드(22)의 블레이드(222), 버블 블록(223), 세척 패드(24) 등이 유리 표면과 항상 일정한 높이 및/또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지지부(28)는,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8)는,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3개 이상의 지지부(28)를 이용하면, 청소 헤드(22)의 베이스 플레이트(224)가 유리창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지지부(28)는, 도 10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8)는, 유리창 표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헤드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블레이드(222), 버블 블록(223), 세척 패드(24) 및 지지부(28)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리창 청소 도구(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한 기준 지점(예: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측정된, 블레이드(222)의 높이(h1), 버블 블록(223)의 높이(h2)및 지지부(28)의 높이(h3)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
h1 > h3 ≥ h2
유리창 청소 도구(2)가 유리창에 밀착되어 청소를 수행하는 동안, 탄성 재질의 유연한 블레이드(222)의 선단은 유리창에 오버랩되는 양(d1 = h1 - h3)만큼 수축되거나 휘어지게 된다. 한편, 블레이드(222)에 비하여 강성한 재질의 버블 블록(223)은, 유리창의 표면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오염물 또는 세척액이 버블 블록(223) 및 유리창 사이의 이격 공간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미소 높이(d2 = h3 - h2)를 갖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수학식 1에 기재한 것처럼, 버블 블록(223)의 높이(h2) 및 지지부(28)의 높이(h3)는 동일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미소 높이(d2)는 0일 수도 있다. 한편, 0보다 큰 미소 높이(d2)에 대하여, 이상의 d1 및 d2는 아래의 수학식 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
d1 > d2
예를 들어, 블레이드(222)가 유리창에 오버랩되는 양(d1)은 약 0.5mm 내지 1.0mm이고, 버블 블록(223)의 이격 공간의 미소 높이(d2)는 약 0mm 내지 0.05 mm 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실제 d1 및 d2를 0.8mm및 0.05mm로 설계한 시제품을 통하여 유리창 청소 작업을 수행하였을 때, 블레이드(222)의 양 측방으로 오염물 또는 세척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오염물물기 또는 세척액 제거 작업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세척 패드(24)는, 블레이드(222) 보다 신축성이 우월하고 흡수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며, 청소 과정에서 블레이드(222)가 유리창에 제공하는 마찰력보다 작은 값의 마찰력을 유리창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특정한 기준 지점(예: 베이스 플레이트(224)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측정된 세척 패드(24)의 높이(h4)는 블레이드(222)의 높이(h1)와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청소 과정에서 세척 패드(24)의 수축을 통해, 유리창에 충분한 세척액을 공급하고, 동시에 세척 패드(24)와 유리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유리표면의 오염물질이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수학식 3]
h1 = h4
도 12는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도구(2)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청소 도구(2)를 유리창(W)에 밀착시켜 유리창(W)의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유리창(W)을 청소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창(W)의 표면에 대하여 청소 헤드(12)의 블레이드(122)가 일정한 각도(θ)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유리창 청소 도구(1)를 아래로 쓸어 내리는 것이 오염물 또는 세척액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청소 헤드(12)의 블레이드(222)가 유리창(W)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한 예각을 벗어나게 되면 유리 표면의 오염물 및/또는 물기 제거가 완벽하게 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만약, 청소 헤드(12) 혹은 블레이드(122)가 본체(11)와 함께 일체로 결합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청소기를 유리창 상부로부터 하부로 닦아 내릴때 이와 같은 최적 각도(θ)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리창(W)의 중간 및 낮은 부분을 청소할 때에,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어 작업을 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222)가 세척 패드로부터 공급된 세척액 및 오염물을 닦아 내릴때, 만약, 도 12의 세척 패드가 블레이드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지 않고 유리 표면과 이격되어 있다거나 혹은 세척 패드가 없다고 가정하면, 블레이드의 내면(유리 표면에 접촉하는 방향)에 집적되는 오염물 및 세척액이 유리창 아래로 흘러 내려 창틀이나 바닥에 2차 오염을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세척 패드가 블레이드의 선단와 같은 면에서 동시에 밀착되어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리창의 면적이 넓거나 혹은 기후가 매우 더운 경우에는, 세척액이 함유된 세척 패드로 유리 표면을 1차 세척을 한 후, 잔류 오염물 및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재차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유리 표면의 오염물 및 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 경우에는 먼저 1차 세척 작업을 한 부분이 건조되어 블레이드로 물기 제거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리창에 오래 된 찌든 오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21)의 유리창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보조 패드(25)에 세척액을 함유시킨 후, 유리 표면에 밀착시켜 찌든 오염을 반복 세척한다. 그런 후, 청소 도구(2)의 방향을 바꾸어 청소 헤드(22)의 내측면(유리창 방향)을 유리창(W)의 상단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청소 도구(2)가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 자연스럽게 사용자는 손잡이(26)를 세운 각도(A1)로 파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28), 블레이드(222), 버블 블록(223) 및 세척 패드(24)가 유리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본체(21)와 청소 헤드(22)사이에 연결된 탄성체(탄성체길이: L1)는 청소 헤드(22), 즉, 블레이드(222)의 선단에, 회전 축(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토크를 제공한다. 이런 상태에서 청소 도구(2)를, 손잡이(26)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 표면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아래로 내리면 세척 패드(24)에 의한 세척액 공급, 오염물의 세척 작업, 블레이드에 의한 오염물 및 세척액의 제거 및 세척액(또는 오염물)의 세척 패드(24)로의 흡수가 순차적으로 동시에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도구(2)가 유리창의 하측으로 이동이 하게 되면, 청소 도구(2)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유리창에 대한 손잡이(26)의 파지 각도(A2)가 커지게 되므로,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21)의 각도 역시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 청소 헤드(22)는 유리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를 하며, 청소 헤드(22)와 탄성체(27)로 연결된 본체(21)가, 회전 축(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와 청소 헤드(22)사이에 연결된 탄성체(탄성체길이: L2)는 늘어 나게 되며, 이전보다 더 강한 인장 토크를 청소 헤드(22)에, 즉, 블레이드(222)의 선단에, 회전 축(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토크를 제공한다. 그리고 역시, 세척 패드(24)에 의한 세척액 공급, 오염물의 세척 작업, 블레이드에 의한 오염물 및 세척액의 제거 및 세척액(또는 오염물)의 세척 패드(24)로의 흡수가 동시에 수행된다.
상기 기술한 작동 원리로 인하여 사용자가 청소 도구(2)로 유리창 청소를 수행할 때 유리창의 세척 높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편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며, 청소 작업중 세척액이 바닥으로 흘러 내리는 2차 오염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넓은 유리창이나 혹서기에도 유리창 청소를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청소 도구(2)의 유리창 세척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릎 및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리창(W)의 높은 부분으로부터 중간 및 낮은 부분까지 일정하고 편안한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리창 청소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7)

  1. 사용자가 본체에 연결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창의 한쪽 면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에 있어서,
    유리창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 또는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청소 헤드;
    상기 청소 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축;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청소 헤드에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
    상기 탄성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양쪽 면 중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치우친 방향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 패드; 및
    상기 청소 헤드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유리창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유리창에 제공하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헤드는,
    상기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파지하기 위한 홀딩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홀딩 프레임을 파지하며, 상기 회전 축의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창 청소 도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h1), 상기 세척 패드의 높이(h4)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높이(h3)는 아래의 수학식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
    (수학식)
    h4 > h1 > h3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유리창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변함에도, 상기 청소 헤드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유리창의 표면과의 접촉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본체 및 청소 헤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청소 헤드에 인장 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척 패드를 더 포함하는 유리창 청소 도구.
  7. 삭제
KR1020180134716A 2018-11-05 2018-11-05 유리창 청소 도구 KR10211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716A KR102116921B1 (ko) 2018-11-05 2018-11-05 유리창 청소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716A KR102116921B1 (ko) 2018-11-05 2018-11-05 유리창 청소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92A KR20200051392A (ko) 2020-05-13
KR102116921B1 true KR102116921B1 (ko) 2020-05-29

Family

ID=7073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716A KR102116921B1 (ko) 2018-11-05 2018-11-05 유리창 청소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521U (ko) 2020-12-18 2022-06-27 김수철 예초기를 이용한 청소장치
DE102022102595A1 (de) * 2022-02-03 2023-08-03 Brandivision Gmbh Körper für einen Abzieher oder Wischer, Abzieher und Wischer sowie Verfahren zum Abziehen oder Wisch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821B2 (ja) * 2004-08-18 2010-02-24 株式会社テラモト 窓用清掃具
CN206303852U (zh) * 2016-10-25 2017-07-07 金钟明 一种玻璃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983A (ko) * 2012-09-11 2014-03-19 칭다오 에스피씨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안정하게 탈부착되는 고무 블레이드를 구비한 유리창 청소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821B2 (ja) * 2004-08-18 2010-02-24 株式会社テラモト 窓用清掃具
CN206303852U (zh) * 2016-10-25 2017-07-07 金钟明 一种玻璃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92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21B1 (ko) 유리창 청소 도구
US10077030B2 (en) Combination cleaning tool with flexible head
KR20130114662A (ko) 세척 장치
JP2001087194A (ja) 表面処理具
US4409700A (en) Surface cleaning device
US20050034263A1 (en) Cleaning device
US20090025168A1 (en) Window cleaning apparatus
KR101625398B1 (ko) 청소용 밀대
KR100804219B1 (ko) 청소용 도구
US5519911A (en) Headlight cleaner with combined squeegee and brush
EP0264246B1 (en) Cleaning device for a container
US1801118A (en) Cleaning device
CA2816221A1 (en) Glass drying device
US20160008971A1 (en) Cleaning assemblies having improved handle grips
US6167584B1 (en) Cleaning tool
JP3801288B2 (ja) 清掃具
KR101808098B1 (ko) 오염 세정수의 흐름 방지구조를 갖는 양면 유리창 닦이
CA2301481A1 (en) Compact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KR20170140861A (ko) 반으로 접는 봉걸레
JP3224680U6 (ja) 洗浄拭き取り具
US4118822A (en) Louvered window cleaner
JP2002315706A (ja) 掃除具
JP3224680U (ja) 洗浄拭き取り具
JP6849176B2 (ja) 水切り用具
KR20180121283A (ko) 와이퍼식 창문닦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