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762B1 -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 Google Patents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762B1
KR102116762B1 KR1020180019645A KR20180019645A KR102116762B1 KR 102116762 B1 KR102116762 B1 KR 102116762B1 KR 1020180019645 A KR1020180019645 A KR 1020180019645A KR 20180019645 A KR20180019645 A KR 20180019645A KR 102116762 B1 KR102116762 B1 KR 10211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nozzle
body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778A (ko
Inventor
조진구
최정수
최세진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디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앤디테크
Priority to KR102018001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7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78Applying solder preforms; Transferring prefabricated solde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분출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실린더부(110)가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본체용기(100)와; 상기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솔더링 물질을 용융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120)와; 상기 본체용기(100)의 상측에서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되며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되는 내부용기(200)와;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용융공간(S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는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300)와; 상기 중공실린더부(100)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스크류부(410)가 형성된 압출부(400)와; 상기 구동축(53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Seletive sol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솔더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분출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PU, 메모리 등 반도체소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솔더링 공정은, 솔더링 방식에 따라서 솔더크림 및 리플로어를 이용하는 웨이브 방식,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분출시켜 솔더링 공정을 수행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셀렉티브 솔더링 방식은, 비접촉 솔더링 수요의 증가에 따라서 그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KR10-1544676B1 등 셀렉티브 솔더링 방식을 채택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KR10-1544676B1에 제시된 종래의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솔더링 물질을 임펠러를 이용하여 분출시킴으로써 분출량의 정밀제어가 어려우며 솔더링 물질이 충분하게 채워지지 않으면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솔더링 물질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분출시킴으로써 분출량의 정밀 제어, 분출 높이의 설정이 용이한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중공실린더부(110)가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본체용기(100)와; 상기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솔더링 물질을 용융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120)와; 상기 본체용기(100)의 상측에서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되며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되는 내부용기(200)와;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용융공간(S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는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300)와; 상기 중공실린더부(100)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스크류부(410)가 형성된 압출부(400)와; 상기 구동축(53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중공실린더부(100)의 상단 및 상기 압출부(40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9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용기(100)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측에서 본 평면형상 중 꼭지점 부분이 상기 본체용기(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다각형의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즐부(300)는, 상기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재(310)와; 상기 노즐부재(310) 및 상기 내부용기(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하단에서 내경이 감소하는 제1테이퍼부분(321)과, 상기 제1테이퍼부분(321)로부터 상측을 연장되며 내경이 일정한 연장부분(322)과; 상기 연장부분(3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부재(31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내경이 감소하는 제2테이퍼부분(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재(310)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상단에 형성된 자석 포켓부(324)에 설치된 자석(330)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3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용기(100)는, 상단에 용융된 솔더링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질소가스분사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용기(100)는, 상기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열가스분사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노즐을 통하여 분출시킴으로써 정밀한 분출량 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노즐을 통하여 분출시킴으로써 임펠러를 이용한 종래의 솔더링 장치에 비하여 용기 내에 채워지는 필수 용융액을 최소화하여 솔더링 공정의 최적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노즐을 통하여 분출시킴으로써 솔더링을 하기위한 솔더 분출높이의 제어가 용이하여 솔더링 설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중 본체용기 및 내부용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중 내부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중 스크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실린더부(110)가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본체용기(100)와;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솔더링 물질을 용융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120)와; 본체용기(100)의 상측에서 중공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되며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되는 내부용기(200)와;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용융공간(S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는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300)와; 중공실린더부(100)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스크류부(410)가 형성된 압출부(400)와; 구동축(53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어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메모리 등 반도체 소자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는 전자기기는 물론 솔더링 공정에 의하여 물체 간 결합을 요하는 분야이면 어떠한 분야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에 사용되는 솔더링 물질은, 솔더링 공정에 의하여 물체 간 결합을 위한 물질로서 땜납 등 물체 간 결합에 필요한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용기(100)는, 중공실린더부(110)가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용기(100)는, 후술하는 내부용기(200)가 상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구조로서, 평면형상이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는, 후술하는 스크류부(4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축(530)이 하측에서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용기(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스크류부(410) 및 구동축(53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는, 본체용기(10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구동축(530)이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삽입공(111)이 형성되는 원통형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는, 장치가 외부의 구조물과의 결합 등을 위하여 지지구조물(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용기(10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축삽입공(111)을 연장하는 연장실린더부(112)에 의하여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10)은, 본체용기(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용기(100)의 저면과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의 구조물과 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용기(100)은, 후술하는 히터(120)의 설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히터삽입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삽입부(121)은, 솔더링 물질의 용융을 위한 가열조건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히터(120)의 종류, 구조, 숫자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히터삽입부(121)는, 봉 형상의 히터가 저면 측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저면에서 상측으로 원형, 다각형의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용기(100)는, 고온의 조건에서 솔더링 물질의 용융을 위한 SUS, 알루미늄합금 등 금속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120)는,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솔더링 물질을 용융하는 구성으로서, 전기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세라믹히터 등 다양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히터(120)는, 원형봉 형상으로 본체용기(100)의 저면 쪽에서 형성된 히터삽입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120)는, 본체용기(100)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데, 균일한 가열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측에서 본 본체용기(100)의 평면형상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히터(120)의 발열 제어를 위하여 본체용기(100)의 외측 및 내측 중 적어도 하나, 후술하는 내부용기(200)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하나 등 적절한 위치에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200)는, 본체용기(100)의 상측에서 중공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되며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용기(100)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질 때, 내부용기(200)는, 상측에서 본 평면형상 중 꼭지점 부분이 본체용기(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다각형의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하로 관통된 다각형 실린더 구조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부분, 즉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측에서 본 평면형상 중 꼭지점 부분이 본체용기(100)의 내주면에 면접하도록 본체용기(100)의 내주면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형상이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내부용기(200)는, 본체용기(100)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유입틈(S2)이 형성되며, 이 틈으로 솔더링 물질이 하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틈(S2)은,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의 최초 구동 또는 솔더링 물질의 재충진시에 솔더링 물질이 유입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하단부에 유입틈(S2)을 통하여 유입된 솔더링 물질이 용융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연통구(2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구(230)는, 유입틈(S2)을 통하여 유입된 솔더링 물질이 용융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용기(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개구 또는 절개홈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0)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용기(100)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볼트공(211, 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0)은,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에서 내부로 파인 하나 이상의 요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0)의 내경은, 후술하는 스크류부(4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크류부(410)의 회전에 의하여 상측으로 압출되는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설계 및 가공가능한 오차 내의 값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부(300)는,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용융공간(S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는 분사구(31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분사구(311)는, 후술하는 스크류부(410)의 회전에 의하여 압출되는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로서 솔더링 물질의 분출조건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노즐부(300)는,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재(310)와; 노즐부재(310) 및 내부용기(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재(310)는, 앞서 설명한 구조의 분사구(311)가 형성되는 부재로서, 기계가공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노즐부재(310) 및 내부용기(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하단에서 내경이 감소하는 제1테이퍼부분(321)과, 제1테이퍼부분(321)로부터 상측을 연장되며 내경이 일정한 연장부분(322)과; 연장부분(3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노즐부재(31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내경이 감소하는 제2테이퍼부분(3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스크류부(410)의 상측부분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부재(310)는, 연결부재(320)의 상단에 형성된 자석 포켓부(324)에 설치된 자석(330)에 의하여 연결부재(320)와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연결부재(32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20)의 하단은, 앞서 설명한 내부용기(200)와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출부(400)는, 중공실린더부(100)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스크류부(41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부(410)는,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되어 노즐부(300)의 분사구(311)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하여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압출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용기(200)의 내주면의 내경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스크류부(410)는,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하나 이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압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부(410)는, 내부용기(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부분은 일정한 외경을 가지며, 앞서 설명한 절두 형상의 노즐부(300), 특히 연결부재(3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측으로 가면서 나사산의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부(410)는, 구동축(530)의 길이방향의 나사산의 단면의 가장자리가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크류부(410)는, 스크류부(410)의 회전에 의하여 상측으로 압출되는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나사산 중 가장자리가 내부용기(200)의 내주면과 설계 및 가공가능한 오차 내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크류부(4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중공실린더부(100)의 상단 및 압출부(40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9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530)은, 후술하는 회전구동부(500)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단에 결합된 스크류부(410)를 회전시키는 부재로서 원형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5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본체용기(100), 특히 연장실린더부(112)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53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531)은, 연장실린더부(112) 대신에 지지구조물(10)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출부(400)는,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나사산의 스크류부(410)를 구비함으로써 끊김없이 솔더링 물질을 분사구(311)로 용융된 솔더링 물질을 분출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는, 보다 솔더링 물질의 분출속도, 분출량의 제어가 가능하여 보다 정밀하고 양질의 솔더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500)는, 구동축(53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어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구동부(500)는, 구동축(530)의 축방향으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500)는, 서보모터, 회전모터 등 모터(510) 등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전달부(520)에 의하여 간접으로 구동축(5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520)는, 회전구동부(500)로부터 구동축(5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력 전달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력전달부(520)는, 회전구동부(500)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521)와, 구동축(530)에 결합된 종동기어(522) 및 이를 연결하는 체인(5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부(520)는, 기어의 조합, 풀리 및 벨트(바람직하게는 타이밍벨트) 등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 회전구동부(500)는, 회전력전달부(520)에 의하여 간접으로 결합되는 경우 본체용기(100)의 중심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본체용기(100)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상하 높이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용기(100)는, 상단에 용융된 솔더링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질소가스분사부(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질소가스분사부(600)는, 본체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용융된 솔더링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질소가스분사부(600)는, 중앙에 노즐부(300)의 분사구(311)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1통로가 형성되는 하부유로형성부(610)과, 중앙에 노즐부(300)의 분사구(311)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2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유로형성부(6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유로형성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유로형성부(610)는, 중앙에 노즐부(300)의 분사구(311)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1통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유로형성부(620)는, 중앙에 노즐부(300)의 분사구(311)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2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유로형성부(6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유로형성부(620) 및 하부유로형성부(610)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에 의하여 질소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예로서, 상기 하부유로형성부(610)는,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되며 본체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허브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로형성부(620)는,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허브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허브 부분이 본체용기(100)의 상단과 결합됨으로써 하부유로형성부(610)와 상측으로 간격을 둠으로써 질소가스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용기(100)는, 하부유로형성부(610)의 허브부분 및 상부유로형성부(620)의 허브부분 사이에 질소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질소공급관(640)이 결합되는 질소공급공(6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유로형성부(620) 및 하부유로형성부(610)의 상단은, 질소가스가 하측, 즉 내부용기(200)를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상부유로형성부(620) 및 하부유로형성부(610)의 상단은, 질소가스가 하측, 즉 내부용기(200)를 향하여 분사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보조형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보조형성부재는, 상부유로형성부(620) 및 하부유로형성부(610)와는 별도의 부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등 질소가스가 하측, 즉 내부용기(200)를 향하여 분사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용기(100)는,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열가스분사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가스분사부(700)는,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열가스분사부(700)는, 중앙에 노즐부(300)의 분사구(311)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분사구(31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되어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가스분사부(700)는, 상부유로형성부(620) 및 하부유로형성부(610)의 상단에 결합된 결합부재(710)과, 결합부재(710)에 형성된 가스분사공(711)에 결합되는 가스공급관(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관(720)는, 가스분사공(711)를 통하여 가열된 가스, 예를 들면 가열된 질소가스를 분사하도록 질소가스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용기 110 : 중공실린더부
120 : 히터 200 : 내부용기
300 : 노즐부 400 : 압출부
500 : 회전구동부

Claims (8)

  1. 중공실린더부(110)가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본체용기(100)와;
    상기 본체용기(100)에 설치되어 솔더링 물질을 용융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120)와;
    상기 본체용기(100)의 상측에서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되며 내측에 원통형의 용융공간(S1)이 형성되는 내부용기(200)와;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용융공간(S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용융된 솔더링 물질이 분출되는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300)와;
    상기 중공실린더부(110)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용융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노즐부(300)의 적어도 일부까지 스크류부(410)가 형성된 압출부(400)와;
    상기 구동축(530)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부(410)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부분은 일정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노즐부(300)의 내경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측으로 가면서 외경이 감소하며,
    상기 스크류부(410)는, 상기 구동축(530)의 길이방향의 나사산의 단면의 가장자리가 상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본체용기(100)는,
    상기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열가스분사부(700)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가스분사부(700)는,
    상기 분사구(31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분사구(311)를 향하여 가열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공(711)이 형성되는 결합부재(710)와, 상기 결합부재(710)의 상기 가스분사공(711)에 결합되는 가스공급관(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실린더부(110)의 상단 및 상기 압출부(40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9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100)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측에서 본 평면형상 중 꼭지점 부분이 상기 본체용기(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다각형의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300)는,
    상기 분사구(311)가 형성된 노즐부재(310)와;
    상기 노즐부재(310) 및 상기 내부용기(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20)는,
    하단에서 내경이 감소하는 제1테이퍼부분(321)과,
    상기 제1테이퍼부분(321)로부터 상측을 연장되며 내경이 일정한 연장부분(322)과;
    상기 연장부분(3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부재(31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내경이 감소하는 제2테이퍼부분(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310)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상단에 형성된 자석 포켓부(324)에 설치된 자석(330)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32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100)는,
    상단에 용융된 솔더링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질소가스분사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8. 삭제
KR1020180019645A 2018-02-20 2018-02-20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KR10211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45A KR102116762B1 (ko) 2018-02-20 2018-02-20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45A KR102116762B1 (ko) 2018-02-20 2018-02-20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78A KR20190099778A (ko) 2019-08-28
KR102116762B1 true KR102116762B1 (ko) 2020-05-29

Family

ID=6777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645A KR102116762B1 (ko) 2018-02-20 2018-02-20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75A1 (ko) * 2020-11-07 2022-05-12 주식회사 티앤아이텍 셀렉티브 솔더볼 저감 노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65B1 (ko) 2020-04-09 2020-09-24 김정환 셀렉티브 솔더링 노즐 팁의 제조방법
KR102242583B1 (ko) * 2020-11-04 2021-04-19 (주)티앤아이텍 셀렉티브 솔더볼 저감 노즐바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227A (ja) * 2000-09-20 2002-03-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ハンダペースト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453306B1 (ko) * 2014-01-07 2014-10-22 주식회사 멕스기연 초음파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KR101544676B1 (ko) * 2014-07-23 2015-08-17 (주)아폴로세이코코리아 수직 직결식 펌핑납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227A (ja) * 2000-09-20 2002-03-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ハンダペースト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453306B1 (ko) * 2014-01-07 2014-10-22 주식회사 멕스기연 초음파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KR101544676B1 (ko) * 2014-07-23 2015-08-17 (주)아폴로세이코코리아 수직 직결식 펌핑납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75A1 (ko) * 2020-11-07 2022-05-12 주식회사 티앤아이텍 셀렉티브 솔더볼 저감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78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762B1 (ko)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KR20210020373A (ko)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US4779440A (en) Extrusion tool for producing hard-metal or ceramic drill blank
JP2007001122A (ja) 植物性原料の可塑化装置
JP4893738B2 (ja) 噴流はんだ槽
CN107107442A (zh) 压出机用螺杆、螺杆元件、压出机及压出方法
US11376774B2 (en) Plasticizing device, injection device,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ded parts
KR102106575B1 (ko)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CN101618284B (zh) 用于给液体脱气的旋转施加构件、进给阀、设备和方法
JP2010069771A (ja) 可塑化用スクリュ
CN102699462A (zh) 高速电火花线切割的工作液变射流装置
WO2015107101A1 (de) Werkzeugaufnahme mit einem düsenring
PL169700B1 (pl) Dysza wtryskowa do formy PL PL
KR102242583B1 (ko) 셀렉티브 솔더볼 저감 노즐바디장치
KR102242585B1 (ko) 셀렉티브 솔더볼 저감 노즐장치
CN108556351A (zh) 光敏树胶堆积精度可调的立体成型打印机
KR102101455B1 (ko) 셀렉티브 솔더링 장치
CN105936119B (zh) 一种短螺杆挤出机
CN205800143U (zh) 一种短螺杆挤出机
JP6422102B2 (ja) 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吹き口体の清掃方法
JP2004322438A (ja) 樹脂材料の可塑化方法及びそのための可塑化装置
KR101669138B1 (ko) 회전 분사형 노즐을 갖는 가스 분사 랜스 및 이를 구비하는 슬래그 유출 방지 장치
CN106003658B (zh) 一种短螺杆双料挤出机
US20160354960A1 (en) Screw-type low pressure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injection molding
CH705917A1 (de) Vorrichtung zum Ausblasen von Hohlkörpern aus Kunst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