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032B1 -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032B1
KR102115032B1 KR1020190126032A KR20190126032A KR102115032B1 KR 102115032 B1 KR102115032 B1 KR 102115032B1 KR 1020190126032 A KR1020190126032 A KR 1020190126032A KR 20190126032 A KR20190126032 A KR 20190126032A KR 102115032 B1 KR102115032 B1 KR 102115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film
packaging film
printed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주)애니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코스 filed Critical (주)애니코스
Priority to KR102019012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6Correction processes or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층을 형성하여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포장 필름을 롤로 준비하는 단계, QR코드를 포장 필름에 인쇄하기 위해 포장 필름을 정렬시키는 단계, 포장 필름에 마킹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마커의 인식에 따라 포장 필름의 기 설정된 장소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된 QR코드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포장 필름에 인쇄된 QR코드를 카메라 촬영하여 디지털 인식함으로써 QR코드의 인쇄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QR code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층을 형성하여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 등을 포함한 내용물을 담는 포장 용기의 겉면에 상품의 정보 등을 전달하기 위해 QR코드를 인쇄한다. QR코드의 인쇄시에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쇄된 QR코드의 경화 온도를 높이면 포장 용기 필름에 문제가 생겨 양산 불량을 야기한다. 따라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경화 온도를 높이면서도 포장 용기가 버닝 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0743(발명의 명칭 : QR 코드 인쇄 표지판 및 그 제작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33689(발명의 명칭 : 홀로그램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0813(발명의 명칭 :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 및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경화 온도가 높아져도 포장 필름이 버닝 및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 필름을 롤로 준비하는 단계, QR코드를 포장 필름에 인쇄하기 위해 포장 필름을 정렬시키는 단계, 포장 필름에 마킹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마커의 인식에 따라 포장 필름의 기 설정된 장소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된 QR코드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포장 필름에 인쇄된 QR코드를 카메라 촬영하여 디지털 인식함으로써 QR코드의 인쇄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롤로 준비된 포장 필름의 일면에는 포장 용기의 전면과 후면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쇄되어 있어 합지시에 복수의 포장 용기가 만들어지도록 하며, 제1 전면 및 후면과 제2 전면 및 후면 사이에 마커가 인쇄된다.
또한, 마커는 수평방향으로 포장 용기의 폭만큼 일정 간격 마다 인쇄된다.
또한, QR코드는 UV 잉크카트리지에 의해 인쇄된다.
또한, 인쇄된 QR코드에 UV 경화기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또한, 포장 필름과 UV 경화기 사이에 에어층을 형성하여 UV 열을 차단함으로써 포장 필름의 버닝을 방지한다.
또한, 포장 필름과 UV 경화기 사이에 에어 공급부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에어층이 형성된다.
삭제
또한, 에어의 분사 압력은 0.05MPa 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경화 온도가 높아져도 포장 필름이 버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지시의 포장 용기의 전면 및 후면이 포장 필름의 일면에 일괄하여 인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QR코드가 인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인쇄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경화시키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및 포장 필름의 버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필름은 전면 필름(111) 및 후면 필름(112)을 서로 합지하여 포장 용기를 만든다. 이때, 포장 용기 안에는 일예로서 마스크팩 등 내용물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10-1890813(발명의 명칭 :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 및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필름(100)의 일면에는 제1 전면 필름(111)과 제1 후면 필름(112), 제2 전면 필름(113)과 제2 후면 필름(114)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쇄되어 있으며, 다시 수평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인쇄된 인쇄물이 순차적으로 인쇄되어 롤로 준비된다. 따라서 제1 전면 필름(111)과 제1 후면 필름(112)이 서로 합지되어 제1 포장 용기가 되고, 제2 전면 필름(113)과 제2 후면 필름(114)이 서로 합지되어 제2 포장 용기가 된다.
한편, 제1 후면 필름(112)과 제2 전면 필름(113) 사이에는 즉, 대략 포장 필름(100)의 중앙 수평영역에는 마커(120)가 인쇄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마커(120)는 포장 필름(100)의 수평방향으로 포장 용기의 폭 만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인쇄된다.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인쇄된 마커(120)를 인식하여 QR코드(130)를 후면 필름의 오른쪽 상단의 인쇄영역(131)에 인쇄한다. 따라서 마커(120)는 QR코드 인쇄신호이다. 도 2는 QR코드(130)가 인쇄된 포장 필름(100)을 나타낸다.
도 1과 같은 포장 필름(100)을 기 설정된 위치에 정렬시키고, 필름 진행방향으로 롤이 풀리면서 QR코드 인쇄장비에 피딩된다(S10).
다음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포장 필름(100)에 스크래치를 형성함으로써 소비자가 용이하게 포장 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S20).
다음으로, 포장 필름에 마킹된 마커(120)를 필름 진행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식하면 기 설정된 후면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고, 인쇄된 QR코드를 경화시킨다(S30).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필름(100)이 순차적으로 피딩되면 마커 인식부(201)가 포장 필름(100)의 중앙영역에 인쇄된 마커(120)를 인식한다. 마커 인식부(201)는 마커(120)를 인식하면 QR코드 인쇄 신호를 생성하여 제1,2 QR코드 인쇄부(202,203)로 전송한다.
제1,2 QR코드 인쇄부(202,203)는 각각 제1 후면 필름(112)과 제2 후면 필름(114)의 기 설정된 영역에 QR코드를 인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마커 인식부(201)에서 마커의 인식에 따라 제1,2 QR코드 인쇄부(202,203)는 각각 제1,2 후면 필름(112,114)의 기 설정된 QR코드 인쇄영역(131)에 QR코드(130)를 인쇄한다. QR코드 인쇄부는 UV 잉크카트리지로 구체화되어 QR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이때, UV 잉크카트리지는 UV 잉크를 함유하고 있다.
QR코드가 인쇄되면, 제1,2 롤러(211,212)에 의해 포장 필름(100)이 경사지게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UV 잉크에 의해 인쇄된 QR코드는 제1,2 UV 경화부(221,222)에 의해 경화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UV 경화부(221,222)는 포장 필름(100)의 마주보는 면과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포장 필름(100)의 일면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2 UV 경화부(221,222)는 UV LED 램프를 인쇄된 QR코드에 비추어 경화시킨다. 이때, UV 광량 수를 증가시켜, 즉 빛의 온도(대략 50 ~200도씨의 범위내)를 높여 빨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UV 광량 수를 증가시키면 일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 필름(100)이 UV 빛의 온도에 의해 타거나 품질 이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에어 공급부(231,232)를 통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에어층(10)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하고(즉, 포장 필름을 냉각시킴) UV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에어 공급부(231)는 제1 후면 필름(112)의 QR코드가 인쇄된 영역에 배치된 제1 UV 경화부(221)와 제1 후면 필름(112) 사이에 제1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에어를 분사하며, 제2 에어 공급부(232)는 제2 후면 필름(114)의 QR코드가 인쇄된 영역에 배치된 제2 UV 경화부(222)와 제2 후면 필름(114) 사이에 제2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의 분사방향은 필름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분사하여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V 경화부(221)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면(화살표 참조), 포장 필름(100)에 인쇄된 QR코드가 경화된다. 이때, 포장 필름의 버닝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에어 공급부(231)에 의해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층(10)을 형성하도록 한다. 에어의 분사 압력은 0.05MPa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MPa ~ 0.10MPa 사이이다. 이보다 작은 분사 압력 값은 냉각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이보다 큰 분사 압력 값은 과냉각되어 공정 불량을 야기한다.
다음으로, QR코드를 경화시킨 후에는 포장 필름에 인쇄된 QR코드를 카메라 촬영하여 디지털 인식함으로써 QR코드의 인쇄를 검사하고 다시 포장 필름을 감는다(S40). QR코드를 촬영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불량 여부를 검수하고, 포장 필름을 재 감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에어층
100 : 포장 필름
111 : 제1 전면 필름
112 : 제1 후면 필름
113 : 제2 전면 필름
114 : 제2 후면 필름
120 : 마커
130 : QR코드
131 : QR코드 인쇄영역
201 : 마커 인식부
202 : 제1 QR코드 인쇄부(또는 제1 UV 잉크카트리지부)
203 : 제2 QR코드 인쇄부(또는 제2 UV 잉크카트리지부)
211 : 제1 롤러
212 : 제2 롤러
221 : 제1 UV 경화부
222 : 제2 UV 경화부
231 : 제1 에어 공급부
232 : 제2 에어 공급부
233 : 에어 공급관
234 : 지지 선반부

Claims (8)

  1. 포장 필름을 롤로 준비하는 단계,
    QR코드를 상기 포장 필름에 인쇄하기 위해 상기 포장 필름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포장 필름에 마킹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마커의 인식에 따라 상기 포장 필름의 기 설정된 장소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단계,
    롤러에 의해 상기 포장 필름을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단계,
    인쇄된 QR코드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포장 필름에 인쇄된 상기 QR코드를 카메라 촬영하여 디지털 인식함으로써 QR코드의 인쇄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QR코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경사지게 이송된 포장 필름의 마주보는 면과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QR코드가 인쇄된 영역에 배치된 경화부와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포장 필름의 사이 공간에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포장 필름을 따라 에어가 흐르는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경사지게 배치된 경화부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에어층을 관통하여 상기 포장 필름에 인쇄된 QR코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로 준비된 포장 필름의 일면에는 제1 전면 필름, 제1 후면 필름, 제2 전면 필름 및 제2 후면 필름이 포장 필름의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쇄되어 있어 합지시에 제1 전면 필름과 제1 후면 필름이 서로 합지되고, 제2 전면 필름과 제2 후면 필름이 서로 합지됨으로써 복수의 포장 용기가 만들어지며,
    상기 제1 후면 필름과 상기 제2 전면 필름 사이 공간에 상기 마커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포장 필름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포장 용기의 폭만큼 일정 간격 마다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는 UV 잉크카트리지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QR코드에 UV 경화부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필름과 제1 UV 경화부 사이 공간에 제1 에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후면 필름과 제2 UV 경화부 사이 공간에 제2 에어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2 에어층에 의해 UV 열이 차단되어 상기 포장 필름의 버닝 또는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제1 UV 경화부는 상기 제1 후면 필름의 QR코드가 인쇄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UV 경화부는 상기 제2 후면 필름의 QR코드가 인쇄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필름과 제1 UV 경화부 사이 공간에 제1 에어 공급부를 통해 에어가 분사되고,
    상기 제2 후면 필름과 제2 UV 경화부 사이 공간에 제2 에어 공급부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제1,2 에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분사 압력은 0.05MPa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KR1020190126032A 2019-10-11 2019-10-11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KR10211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32A KR102115032B1 (ko) 2019-10-11 2019-10-11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32A KR102115032B1 (ko) 2019-10-11 2019-10-11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032B1 true KR102115032B1 (ko) 2020-06-05

Family

ID=7108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32A KR102115032B1 (ko) 2019-10-11 2019-10-11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0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64A (ja) * 2005-02-28 2006-09-07 Nippon Seiki Co Ltd 充填包装機
KR101000743B1 (ko) 2010-04-16 2010-12-14 (주)에스디티 Qr 코드 인쇄 표지판 및 그 제작 방법
KR20130033689A (ko) 2011-09-27 2013-04-04 이양임 홀로그램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43658A (ja) * 2014-08-26 2016-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KR101762892B1 (ko) * 2017-01-09 2017-07-28 한대교 봉지 운반용 손잡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봉지 운반용 손잡이
KR101890813B1 (ko) 2017-11-03 2018-09-28 (주)에스디생명공학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 및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JP2019064670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イシダ 商品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64A (ja) * 2005-02-28 2006-09-07 Nippon Seiki Co Ltd 充填包装機
KR101000743B1 (ko) 2010-04-16 2010-12-14 (주)에스디티 Qr 코드 인쇄 표지판 및 그 제작 방법
KR20130033689A (ko) 2011-09-27 2013-04-04 이양임 홀로그램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43658A (ja) * 2014-08-26 2016-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KR101762892B1 (ko) * 2017-01-09 2017-07-28 한대교 봉지 운반용 손잡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봉지 운반용 손잡이
JP2019064670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イシダ 商品処理装置
KR101890813B1 (ko) 2017-11-03 2018-09-28 (주)에스디생명공학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 및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397B2 (ja) トレーサビリティマーキ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及びトレーサビリティマーキング装置を有する包装ラインプロバイダ
ES2898430T3 (es) Instalación de cartón ondulado
TW201726428A (zh) 用於將薄膜上的轉印層貼覆在底材上的方法及其貼覆裝置
US20190084321A1 (en) Inkjet printing-lamination inline system and method
US20090220708A1 (en) System for lenticular printing
JP6702317B2 (ja) 凹凸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及びシール
CN104136968B (zh)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以及光学显示设备的生产方法
US10245815B2 (en)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casing
KR102164242B1 (ko) 선택적 입자 밀도를 구비하는 소프트 연질 라벨 시트지
KR102115032B1 (ko) 포장 필름에 qr코드를 인쇄하는 방법
US9696466B2 (en) Black edge prism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sm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KR101602792B1 (ko) 복층 패턴 필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89627B1 (ko)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CN108535274A (zh) 标注装置、缺陷检查系统以及膜制造方法
TW201438838A (zh) 光學片材之製造方法及光學片材之製造裝置
CN108535253A (zh) 标注装置、缺陷检查系统以及膜制造方法
TWI701148B (zh) 積層光學膜的製造方法、及積層光學膜的製造裝置
KR101631248B1 (ko)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ocr 본딩을 수행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터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250834B1 (ko) 시트, 시트 제조장치 및 시트 제조방법
KR101829413B1 (ko) 시트, 시트 제조장치 및 시트 제조방법
TW201843436A (zh) 標記裝置、缺陷檢查系統及膜製造方法
WO2015033875A1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7020405B2 (ja) 光学素子版構造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20160231054A1 (en) Apparatus for curing sensitive substrate materials
JP5722055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導光板、これを備えた面光源装置およ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