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98B1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98B1
KR102114898B1 KR1020190101048A KR20190101048A KR102114898B1 KR 102114898 B1 KR102114898 B1 KR 102114898B1 KR 1020190101048 A KR1020190101048 A KR 1020190101048A KR 20190101048 A KR20190101048 A KR 20190101048A KR 102114898 B1 KR102114898 B1 KR 10211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cation
spac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Priority to KR10201901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눈, 비로부터 승강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 부위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커튼부; 및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Open booth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눈, 비로부터 승강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노선을 따라 이격설치되는 다수의 정류장에 정차하여 승객을 태우거나 내리게 된다. 버스가 승강객을 위해 정차하는 정류장 부근에는 승객이 버스를 타기 위해 대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형 가건물이 설치되는데, 이를 버스정류장 부스라 한다.
버스정류장 부스에는 버스노선도가 부착되고 버스의 대기시간 등을 안내하는 표시패널 등이 설치되며, 옥외 광고판이나 자가발전을 위한 태양전지판이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의 경우 인체에 해로운 각종 오염물질(일산화탄소, 메탄, 아황산 가스, 합성 가스 등)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버스정류장에 버스가 정차하고 사람들이 승차한 후 버스가 출발할 때에는, 버스가 운행중일 때에 비하여 다량의 배기 가스가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대기로 배출됨에 따라 버스정류장 및 그 주변의 공기는 일반 도로의 공기에 비하여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이처럼 개방형 가건물 형태의 종래 버스정류장 부스는 통상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지만 대부분 정화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기 승객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대기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8906호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눈, 비로부터 승강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이하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라 칭함)는, 전방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 부위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커튼부; 및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에어커튼부에서 토출되는 에어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되는 공기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이동구가 구성되는 격벽패널 및 상기 정화공간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공간에서 상기 공기이동구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과 상기 정화공간에서 필터유닛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공기정화부 및 에어커튼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는, 상기 정화공간을 향하는 태양광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는, 상기 유입공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 하부의 부스본체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홀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는,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눈, 비로부터 승강객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로부터 오염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버스를 대기하는 승강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가 발전을 위해 마련되는 태양광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시키면서도 방출열을 이용한 대류 현상을 통해 외부의 오염 공기가 정화시설로 가 자연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오염공기의 유입 및 정화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용은 물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부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구조와 이에 따른 대류 현상 유도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형 부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구조와 이에 따른 대류 현상 유도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는, 본체(10)와 에어커튼부(20) 및 공기정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공간(110)을 가지며 전방면이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면은 이용자가 출입하게 되는 본체(10)의 일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사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100) 중 어느 하나의 측벽(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가 버스 정거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전방면은 도로를 바라보는 일 측벽(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부(2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개구 부위에서 본체(1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에어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 부위를 통해 내부공간(110)으로 차량의 매연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커튼부(20)는 고압의 에어가 토출됨으로써 전방면의 개구 부위에 대한 커튼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커튼부(20)의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에어커튼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30)는 오염된 공기가 포함될 수 있는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10)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본체의(10) 내부공간(110)에 공급되게 하여 상기 내부공간(110)의 공기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쾌적한 실내 공간이 유지되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공기정화부(30)와 덕트 등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커튼부(20)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상기 공기정화부(30)에서 정화되는 공기를 활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이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0)으로 외부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개방형 부스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상부에 개방면(160)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160)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형 부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13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에어커튼부(20)와 공기정화부(30)로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일조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이러한 자체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패널(130)과 이를 이용한 전력 생산 구성은 종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기 태양광패널(13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141)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이동구(142)가 구성되는 격벽패널(140)과, 상기 정화공간(141)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100)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30)는 상기 정화공간(141)에서 상기 공기이동구(142)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300)과 상기 정화공간(141)에서 필터유닛(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태양광패널(130)의 집광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공간(141)의 온도가 외부의 공기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대류현상의 유체 흐름을 따라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송풍팬(310)의 작동에 따라 필터유닛(300)을 통과하게 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정화공간(141)을 향하는 태양광패널(13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방열판(1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패널(130)에서 가열되는 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정화공간(141)에 방출 및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화공간(141)의 효율적인 온도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열판(150)은 태양광패널(130)의 방열 기능과 함께 정화공간(141)에서의 대류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병행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유닛(300)은 통과되는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유해 물질 즉, 감염성 물질이나 세균 또는 미세먼지 등을 정화하기 위한 공지의 필터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유닛(300)은 프리필터, HEPA필터, 활성탄필터, 포스트필터 등이 적층된 것일 수 있으며,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 유입공(120)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120)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120) 하부의 본체(10)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공(170)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우천 시와 같이 일조량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태양광패널(130)의 온도가 상승하지 못하여 상기 정화공간(141)에서 대류 현상을 완벽히 유도하기에 무리가 있게 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우천 시 정화공간(141)의 온도 저하로 대류 현상에 따른 유체 흐름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도 외부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도록 본체(10)의 측벽(100)에 하나 이상의 부압 공간을 마련하고 이러한 부압 공간에서의 부압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재(180)는 그 하부에 본체(10)와 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부압공(170)이 구성되는 바, 이와 같이 부압공(170)이 구성되는 이유는 우천 시 빗물 등이 본체(10)의 노출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흘러내려가게 되는데, 빗물 등의 하방향 유동에 의해 상기 부압공(170)에는 부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부압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부압공(170)과 상기 유입공(120)을 통해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부압공(17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빗물 등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찬공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화공간(141)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상기 태양광모듈(130)을 통한 온도 상승 없이도 상기와 같은 대류 현상을 유발시켜 유체의 흐름이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평상 시 상기 정화공간(141)은 태양광모듈(130)을 통한 온도 상승으로 대류 현상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오염된 외부공기가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정화부(30)를 거쳐 정화된 공기가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우천 시에는 상기 본체(10)의 노출면에 있어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빗물 등의 흐름(W1)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 돌출된 커버부재(180)에서 하방향 빗물의 흐름(W2)에 의해 이에 접하는 공기층이 교란이 발생되어 상기 커버부재(180)의 외측의 공기층과 내측의 공기층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상기 부압공(170)에서는 부압이 발생되어 커버부재(180) 외측에서 상기 부압공(170)을 통해 내측으로의 공기의 유동(a)이 발생되어 외부의 찬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면서 커버부재(180)를 지나친 빗물 등은 본체(10)에서 하방향으로 흐름(W3)이 유도되어 측벽(100)을 따라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상기 커버부재(180)에서 하방향 빗물 등의 흐름(W2)에 의해 발생된느 공기층의 교란을 더욱 크게 하여 상기 부압공(170)로의 공기의 유동 효율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180)는 그 외측에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친수성코팅층이 도포되어 돌출된 곡면으로 친수화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커버부재(180)의 외면에 표면장력을 인한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부재(180)를 통해 빗물 등이 보다 잘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압공(170)로의 공기 유동이 물방울 등으로 인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친수성코팅층의 조성과 그 도포방법은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부스본체 20 : 에어커튼부
30 : 공기정화부 100 : 측벽
110 : 내부공간 120 : 유입공
130 : 태양광패널 140 : 격벽패널
150 : 방열판 160 : 개방면
170 : 부압공 180 : 커버부재
300 : 필터유닛

Claims (6)

  1. 전방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 부위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커튼부; 및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이동구가 구성되는 격벽패널과, 상기 정화공간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과, 상기 정화공간을 향하는 태양광패널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광패널에서 가열되는 열이 상기 정화공간으로 방출 및 전달되게 하고 정화공간의 온도 상승으로 대류 현상을 유도하는 방열판 및 상기 유입공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 하부의 부스본체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홀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공간에서 상기 공기이동구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과 상기 정화공간에서 필터유닛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에서 토출되는 에어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되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공기정화부 및 에어커튼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1048A 2019-08-19 2019-08-19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KR10211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8A KR102114898B1 (ko) 2019-08-19 2019-08-19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8A KR102114898B1 (ko) 2019-08-19 2019-08-19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898B1 true KR102114898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48A KR102114898B1 (ko) 2019-08-19 2019-08-19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063B1 (ko) 2020-08-20 2021-11-12 주식회사 에어월 버스정거장 부스용 에어커튼장치
KR20220011041A (ko) * 2020-07-20 2022-01-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흡연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흡연부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12Y1 (ko) * 2006-02-17 2006-07-06 (주) 솔티 크린부스
KR20090078906A (ko)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KR20140003210U (ko) * 2012-11-19 2014-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기 장치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KR20150128371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이동식 흡연 부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12Y1 (ko) * 2006-02-17 2006-07-06 (주) 솔티 크린부스
KR20090078906A (ko)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KR20140003210U (ko) * 2012-11-19 2014-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기 장치
KR20150128371A (ko) * 2014-05-09 2015-11-18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이동식 흡연 부스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041A (ko) * 2020-07-20 2022-01-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흡연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흡연부스
KR102508090B1 (ko) * 2020-07-20 2023-03-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흡연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흡연부스
KR102325063B1 (ko) 2020-08-20 2021-11-12 주식회사 에어월 버스정거장 부스용 에어커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382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이동식 부스
KR102114898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KR101943797B1 (ko) 유해물질 분해기능을 구비한 폴타입 도로구조물
TW201016302A (en) A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KR20150118464A (ko) 버스 정류장
KR102416087B1 (ko) 흡입팬을 구비한 더스트박스 연계형 철도 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시스템
KR102153698B1 (ko) 미세먼지 차단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 구성의 쉘터
SE515895C2 (sv) Anordning, förfarande och system för luftfiltrering
KR102278468B1 (ko) 버스승강장
KR102189075B1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JP2021089135A (ja) 野外空気清浄システム
KR102098112B1 (ko)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제공하는 버스 정류장용 승객 대기소
KR102114897B1 (ko)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CN205641329U (zh) 通风系统和包括通风系统的结构
KR102334741B1 (ko) 사용자 편의와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된 버스 정류장 쉘터
KR20210012228A (ko)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저감 대중교통 승강장 부스
KR101656495B1 (ko)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KR102305602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여 쾌적함을 제공하는 친환경 쉘터
KR102070574B1 (ko)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KR102378829B1 (ko) 풍력을 활용한 공기 순환형 쉘터
KR950005897Y1 (ko) 도로용 톨부스
KR102232888B1 (ko) 공기 밀도 제어시스템
KR102512569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음터널
JPS61168735A (ja) クリ−ンル−ム
KR200280144Y1 (ko) 자동차 실내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