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574B1 -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 Google Patents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574B1
KR102070574B1 KR1020190110677A KR20190110677A KR102070574B1 KR 102070574 B1 KR102070574 B1 KR 102070574B1 KR 1020190110677 A KR1020190110677 A KR 1020190110677A KR 20190110677 A KR20190110677 A KR 20190110677A KR 102070574 B1 KR102070574 B1 KR 10207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eck
dust
purification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나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iority to KR102019011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은,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는 밀폐형 부스(100); 상기 밀폐형 부스(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제1 미세 정화부(200);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 미세 정화부(300); 및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먼지에서 발생하여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3 미세 정화부(400);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에 대한 정화 작업을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로 유입하는 단계에서의 1단 정화,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에서의 2단 정화 및 바닥부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3단 정화를 포함한 3차에 걸친 단계적인 정화 구조를 통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Bus stop with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에 대한 것으로서,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다각도로 정화하는 동시에 상기 버스 승강장 하부 측으로 가라 앉는 분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대기오염 조사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도시 미세먼지 농도는 선진국 주요도시의 2배 이상 수준이며, 최근 미세먼지 문제는 더욱 심화되는 추세이다.
특히, 버스 정류장 중앙차로의 이산화질소 농도는 도심지역의 평균대기질 농도의 2.5~5.3배 수준에 달하는 등 버스 이용자가 승차 대기 중에 받게 되는 오염물질로부터의 대기오염 피해가 높은 수준이다.
교통 밀집 지역, 도로변 보행로, 도로 인접 지역에서의 주거나 노동, 자전거로 이동과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대기하는 것 등을 포함한 교통 환경에서의 자동차 배출물질이 승객들에게 노출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오염물질의 농도는 다른 환경과 비교해 볼 때 상기한 교통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높으며 결과적으로 대기중 입자상 물질 오염에 대한 개개인의 일일 노출의 상당 부분이 이러한 환경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 있다.
최근에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대기 오염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증가로 인해서, 지자체 및 공공 기관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국가 공공기관에서 대기오염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 클린 버스쉘터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거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미세먼지 가득한 버스 정류장의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청정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해 미세먼지 농도를 기존 대비 50% 이상 낮추는 계획을 시행중이다.
KR 10-2019-0051803 A KR 10-2019-0014791 A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제1 미세 정화부, 버스 승강장을 이루는 컨테이너 상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 미세 정화부 및 유입된 미세 먼지에서 발생하여 컨테이너의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3 미세 정화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각도로 정화하는 버스 승강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은,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다각도로 정화하는 동시에 상기 버스 승강장 하부 측으로 가라 앉는 분진을 제거하는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며,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는 밀폐형 부스(100); 상기 밀폐형 부스(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제1 미세 정화부(200);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 미세 정화부(300); 및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먼지에서 발생하여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3 미세 정화부(400);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에 대한 정화 작업을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로 유입하는 단계에서의 1단 정화,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에서의 2단 정화 및 바닥부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3단 정화를 포함한 3차에 걸친 단계적인 정화 구조를 통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미세 정화부(300)는 상기 밀폐형 부스(100)를 이루는 속이 빈 중공의 세로 기둥(110) 및 가로 기둥(120) 상에 복수개가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기둥(110) 또는 가로 기둥(120) 각각의 양측단을 통해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제3 미세 정화부(400)는, 상기 밀폐형 부스(100)의 바닥부 상에서 최상층에 배치되는 코일 매트(410), 상기 코일 매트(4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타공 플레이트(420), 상기 타공 플레이트(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진 포집 데크(430),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 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청소 급수관(450),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을 기준으로 청소 급수관(450)의 반대편 상에 배치되는 청소 배수관(460)을 포함한다.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는, 데크 플레이트(431), 상기 데크 플레이트(4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데크 격벽(432), 상기 복수의 데크 격벽(432) 각각의 상단 상에서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루프(433)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431)는 한쌍이 상호 마주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되, 중심부로 갈수록 점점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갖는다.
상기 청소 급수관(450)은, 한쌍의 데크 플레이트(43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급수관(451) 및 상기 메인 급수관(4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양측 상에 연통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은 상기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매립형 에어 커튼을 통해서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한 자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컨테이너의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을 이루는 컨테이너에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한 정화 작업을 유입 단계에서의 정화, 내부 단계에서의 정화 및 먼지 제거 단계를 통한 정화를 포함한 3차에 걸친 단계적인 정화 구조를 통해 실시함으로써 미세 먼지 제거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의 전방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를 보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버스 승강장의 후방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를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강장을 이루는 세로 기둥 및 가로 기둥 상에 제2 미세 정화부가 매립된 상태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강장에 매립된 제2 미세 정화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5는 버스 승강장의 하부 상에 배치된 제3 미세 정화부의 단면을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강장의 하부 상에 배치된 제3 미세 정화부의 주요 구성품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미세 정화부를 이루는 분진 포집 데크, 타공 플레이트, 및 코일 카펫 간의 수직 적층 구조를 보인다.
도 8은 분진 포집 데크 상에 미세 먼지 분진이 포집되는 과정을 보인다.
도 9는 분진 포집 데크 상에 청소 급수관 및 청소 배수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을 설명한다. 버스 승강장은 도로변에 배치된 상태에서 대중 교통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승객들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교통 밀집 지역, 도로변 보행로, 도로 인접 지역에서의 주거나 노동, 자전거로 이동과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대기하는 것 등을 포함한 교통 환경에서의 자동차 배출물질이 승객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은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는 밀폐형 부스(100), 밀폐형 부스(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제1 미세 정화부(200), 밀폐형 부스(100) 상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 미세 정화부(300) 및 밀폐형 부스(10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먼지에서 발생하여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3 미세 정화부(400)를 포함한다.
밀폐형 부스(100)는 대중 교통 이용객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형성된 상태에서 설치된 복수의 미세 정화부를 통한 공기 유동을 위주로 하여 공기 순환, 유출입 등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미세 정화부(200)는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통해서 종래의 유도전압 정전필터에 비해 함진농도가 비교적 높은 오염공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제1 미세 정화부(200)는 밀폐형 부스(100)의 벽면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외부 공기 유입공(13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밀폐형 부스(100)의 내부 공간 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먼저,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를 간단히 설명한다. 전기집진장치를 구성하는 돌기형 방전전극은 전원에 연결되어 11,000볼트 이상의 높은 직류전압으로 전하를 공급받고, 이와 같이 높은 전압으로 인가된 전하는 상기 돌기형 방전전극(10)의 돌기 부위에서 충전되어 코로나 방전 현상에 의해 방전됨으로써 하전영역을 형성한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분진, 먼지 내지 수분 등과 같은 미세입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상태이며, 중성인 상태의 미세입자가 상기의 하전영역로 진입하면 중성인 상태에서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와의 충돌 내지 흡착으로 음성인 상태의 하전된 미세입자가 된다.
미세입자가 하전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돌기형 방전전극은 코로나 방전을 통해 돌기형 방전전극 주위에 강한 전계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강한 전계는 돌기형 방전전극 주변기체의 내에 존재하는 자유전자를 가속시킨다. 가속된 자유전자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다른 기체분자와 충돌하며, 이렇게 가속된 자유전자와 충돌한 기체 분자는 자유전자를 하나 더 배출하면서 양이온이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양이온이 된 기체분자는 음극인 돌기형 방전전극을 향해 이동하면서 방전전극을 포위하고 있는 기체분자 또는 돌기형 방전전극 자체에 충돌하고, 이때 발생한 새로운 자유전자는 전기장을 따라 접지된 집진전극을 향해서 이동하고, 이동하는 자유전자가 코로나 영역을 벗어나면 전계가 약해져 급격히 이동속도가 떨어지고, 결국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지는 못하는 속도로 기체분자와의 충돌로 기체분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를 형성한다. 이렇게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는 하전영역에 있는 미세입자와 충돌 내지 흡착하여 미세입자를 하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돌기형 방전전극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판상의 유도전압판은 돌기형 방전전극에 의해 고전압으로 충전되어 음극의 유도전압을 일으키고, 접지된 양쪽 집진전극은 정전유도와 정전방전으로 양극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유도전압판과 각각의 집진전극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고, 전기장으로 유입된 하전된 미세입자는 집진전극과는 인력이 작용하고, 유도전압판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집진전극으로 딸려가서 부착된다. 이렇게 접지된 집진전극으로 딸려가 부착됨으로써 포집된 미세입자는 전하를 잃음으로써 전기적으로 중성인 미세입자가 된다.
제1 미세 정화부(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원리는 등록특허 제10-1287913호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미세 정화부(3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한다.
제2 미세 정화부(300)는 밀폐형 부스(100)를 이루는 속이 빈 중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세로 기둥(110) 및 가로 기둥(120) 상에 복수개가 매립된 상태를 보인다.
일예로, 한쌍의 제2 미세 정화부(300)가 세로 기둥(110)의 상부 및 하부 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에 배치된 제2 미세 정화부를 통해 밀폐형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세로 기둥 내부로 유동하게 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공기 정화를 한 후에, 상측에 배치된 제2 미세 정화부를 통해 밀폐형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공기 정화를 한다. 상기 한쌍의 제2 미세 정화부(300)는 설치된 공기 유동팬의 방향을 반대로 배치함으로써 각각 유입,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다른 한쌍의 제2 미세 정화부(300)가 가로 기둥(120)의 일측 및 타측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에 배치된 제2 미세 정화부를 통해 밀폐형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인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공기 정화를 한 후에, 타측에 배치된 제2 미세 정화부를 통해 밀폐형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공기 정화를 한다.
상기와 같이, 밀폐형 부스(100)를 이루는 세로 기둥(110) 및 가로 기둥(120) 상에 매립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자체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한다. 즉, 밀폐형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밀폐형 부스(100) 내부를 통해 자체 순환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동하게 하여 열적인 손실을 최소화한다.
구체적인 예로써, 제2 미세 정화부(300)는 중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단열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커튼 상자(310), 커튼 상자(310) 내부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거치 블럭(320), 커튼 상자(310)의 일측 상에 배치된 모터 고정 받침부(330), 모터 고정 받침부(330)에 고정되는 팬 모터(340), 커튼 상자(310)의 타측 상에 배치된 필터(350) 및 커튼 상자(310)의 개방된 측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360)을 포함한다.
커튼 상자(310)는 세로 기둥(110) 및 가로 기둥(120)의 내부 공간 상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서, 그 일측 상에 팬 모터(340)를 배치시키는 것과 동시에 그 타측 상에 필터(350)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거치 블럭(320)은 커튼 상자(310)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서, 커튼 상자(310)의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필터(350)는 활성탄 필터 및 미세 먼지 필터를 포함한다.
활성탄 필터는 분자층으로 구성된 고체의 미세공 표면에서 화학적 결합 또는 미세공에 물리적 충진 현상으로 인하여 기체의 분자 및 원자에 대한 강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를 제거한다. 반데르발스 힘으로 물리 흡착, 이온 결합, 공유 결합력으로 화학 흡착이 일어난다. 활성탄은 탄소를 함유한 물질인 목재, 야자 내피, 갈탄, 역청탄 등의 탄화물을 원료로 하여 고도의 활성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제품으로서 흡착 성능은 활성탄의 표면적과 내부공경에 좌우되고, 비극성 물질 흡착하고 유기용제를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활성탄 필터는 고농도, 저농도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며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재순환시켜 사용하므로 냉난방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활성탄 필터는 0.25㎛ 미립자 제거 테스트에서 높은 필터 효율성을 보여주는데, 우븐 타입의 활성탄 필터는 필터의 구조를 개선시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기체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미세 먼지 필터로서 섬유 정전 필터(Fiber Bundle Electret Filter)를 채용할 수 있는데, 상기 섬유 정전 필터의 정전 구성 요소는 지속적으로 필터를 통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섬유 정전 필터는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먼지에 적합한 필터로서, 고효율 필터로 전체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는 필터는 미세먼지 제거 효율성이 높아지며, 위에서 아래로 하향식 방법은 더 높은 비율의 필터들의 성능이 가장 큰 크기의 미세 먼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발견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3 미세 정화부(400)는 밀폐형 부스(100)의 바닥부 상에서 최상층에 배치되는 코일 매트(410), 코일 매트(4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타공 플레이트(420), 타공 플레이트(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진 포집 데크(430), 분진 포집 데크(43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경사 마감부(440), 분진 포집 데크(430) 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청소 급수관(450), 분진 포집 데크(430)을 기준으로 청소 급수관(450)의 반대편 상에 배치되는 청소 배수관(460), 분진 포집 데크(430)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데크 기울기 조절부(470) 및 기울기 바닥을 정의하는 무수측 몰탈부(480)를 포함한다.
코일 매트(410)는 부정 방향의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져 오염 물질이 코일형태 안으로 모여 있게 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코일 형상으로 제조된 코일 매트는 PVC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처럼 오염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로 오염물이 모여 있어, 매트 외부로 오염물이 유출되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면서, 이러한 코일형상으로 인하여 오염이 쉽게 되지 않도록 한다.
타공 플레이트(420)는 코일 매트(410)를 통해서 밀폐형 부스(100) 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라앉는 분진을 하부 방향을 따라 분진 포집 데크(430) 내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분진 포집 데크(430)는 하부단의 데크 플레이트(431), 데크 플레이트(4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데크 격벽(432), 복수의 데크 격벽(432) 각각의 상단 상에서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루프(433)를 포함한다.
데크 플레이트(431)는 하단 상에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크 플레이트(431) 상에서 상부에 형성된 데크 격벽(432)에 대향하도록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431) 상에서 마주하는 한쌍의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 상에서, 한쌍의 데크 격벽(432)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점점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루프(433)는 데크 격벽(432)의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과정에서 점점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서, 밀폐형 부스(100)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라앉는 먼지는 가이드 루프(433)의 경사진 부분을 통해 자연스럽게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으로 포집되어지되,포집된 상태에서 다시 가이드 루프(433)의 상부 영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한쌍의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은 먼지 구속 챔버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미세 먼지 및 분진의 탈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데크 플레이트(431)는 한쌍이 상호 마주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되, 중심부로 갈수록 점점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갖는다.
청소 급수관(450)은 한쌍의 데크 플레이트(43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급수관(451) 및 상기 메인 급수관(4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양측 상에 연통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을 포함한다.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은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즉, 한쌍의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 상에 먼지가 포집된 상태에서, 메인 급수관(451)과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통해, 먼지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청소 배수관(460)은 데크 격벽(432) 사이 공간을 통해 청소 급수관(450)의 반대편 상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청소 배수관(460)은 데크 플레이트(4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배수 플레이트(461), 배수 플레이트(461)의 일측에 연통 결합되는 저수 챔버(463) 및 배수 플레이트(461)의 하단에 연통 결합되는 배수 파이프(465)를 포함한다.
경사 마감부(440)는 분진 포집 데크(430)의 가장자리 및 배수 플레이트(461)를 통한 세척수의 배수 과정에서 상기 세척수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데크 플레이트(431)의 가장자리 상측과 배수 플레이트(461)의 외측 상부를 막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데크 기울기 조절부(470) 및 무수측 몰탈부(480)는 제3 미세 정화부(400)를 통해 포집된 분진을 세척수에 섞인 상태에서 원활히 유동하게 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적정한 기울기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미세먼지 내지 분진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을 이루는 컨테이너에 유입된 외부 공기에 대한 정화 작업을 유입 단계에서의 정화, 내부 단계에서의 정화 및 먼지 제거 단계를 통한 정화를 포함한 3차에 걸친 단계적인 정화 구조를 통해 실시함으로써 미세 먼지 제거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다각도로 정화하는 동시에 상기 버스 승강장 하부 측으로 가라 앉는 분진을 제거하는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에 있어서,
    전체적인 골조를 구성하는 밀폐형 부스(100);
    상기 밀폐형 부스(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버스 승강장 인근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상태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제1 미세 정화부(200);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에 매립된 상태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 미세 정화부(300); 및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로 유입된 미세 먼지에서 발생하여 실내 바닥에 가라 앉은 상태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3 미세 정화부(400);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에 대한 정화 작업을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로 유입하는 단계에서의 1단 정화, 상기 밀폐형 부스(100) 내부에서의 2단 정화 및 바닥부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3단 정화를 포함한 3차에 걸친 단계적인 정화 구조를 통해 실시하고,
    상기 제3 미세 정화부(400)는, 상기 밀폐형 부스(100)의 바닥부 상에서 최상층에 배치되는 코일 매트(410), 상기 코일 매트(410)의 하단에 배치되는 타공 플레이트(420), 상기 타공 플레이트(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분진 포집 데크(430) 및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 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청소 급수관(450)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는,
    데크 플레이트(431), 상기 데크 플레이트(4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데크 격벽(432), 상기 복수의 데크 격벽(432) 각각의 상단 상에서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루프(433)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431)는 한쌍이 상호 마주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되, 중심부로 갈수록 점점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세 정화부(300)는 상기 밀폐형 부스(100)를 이루는 속이 빈 중공의 세로 기둥(110) 및 가로 기둥(120) 상에 복수개가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기둥(110) 또는 가로 기둥(120) 각각의 양측단을 통해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인,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미세 정화부(400)는,
    상기 분진 포집 데크(430)을 기준으로 청소 급수관(450)의 반대편 상에 배치되는 청소 배수관(460)을 더 포함하는,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급수관(450)은,
    한쌍의 데크 플레이트(43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급수관(451) 및 상기 메인 급수관(4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양측 상에 연통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급수관(453)은 상기 데크 격벽(43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KR1020190110677A 2019-09-06 2019-09-06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KR10207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77A KR102070574B1 (ko) 2019-09-06 2019-09-06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77A KR102070574B1 (ko) 2019-09-06 2019-09-06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574B1 true KR102070574B1 (ko) 2020-01-29

Family

ID=6932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677A KR102070574B1 (ko) 2019-09-06 2019-09-06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5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491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90926B1 (ko) * 2017-04-18 2017-10-26 이만호 에어샤워 장치
KR20190014791A (ko)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51803A (ko) 2018-10-24 2019-05-15 김수영 안전 쉼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491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90926B1 (ko) * 2017-04-18 2017-10-26 이만호 에어샤워 장치
KR20190014791A (ko)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51803A (ko) 2018-10-24 2019-05-15 김수영 안전 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067B1 (ko) 오염농도를 조절하여 집진하는 터널출구 설치형 터널 집진 장치
KR102079607B1 (ko)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US11484888B2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ing system having conductive filter module
KR102447230B1 (ko) 고속형 양방향 공기 정화 무동력 열차
KR101666460B1 (ko) 차량용 미세먼지 필터링장치
JPH03233100A (ja)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KR100913117B1 (ko) 루프형 고유속 터널 공기 정화 장치
KR102070574B1 (ko) 미세 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KR10227644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 및 도로면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용 분리대 시스템
KR20200056144A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KR102352940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도로변 설치용 방음벽 시스템
WO2014119952A1 (en) Design method of fine dust filtering system for large underground electric facility using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KR102174694B1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102334741B1 (ko) 사용자 편의와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된 버스 정류장 쉘터
KR20200069700A (ko)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44020B1 (ko) 플라즈마 및 물 폭포를 이용한 지하공간 터널의 자연 통기 방법 및 장치
KR102366812B1 (ko) 도로용 방음벽을 이용하여 도로변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방법
JP2003313827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方法及び装置
KR102668818B1 (ko) 지하철 승강장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저감을 위한 배기형 공기정화시스템
JP2003299987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JP3561805B2 (ja) 空気浄化装置
JP2005066462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および浮遊粒子状物質捕集遮音壁
KR102350373B1 (ko) 경계석
JP2003003430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を有する防音壁
KR102259575B1 (ko)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