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97B1 -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97B1
KR102114897B1 KR1020190101047A KR20190101047A KR102114897B1 KR 102114897 B1 KR102114897 B1 KR 102114897B1 KR 1020190101047 A KR1020190101047 A KR 1020190101047A KR 20190101047 A KR20190101047 A KR 20190101047A KR 102114897 B1 KR102114897 B1 KR 10211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oth
space
purification
interi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현
Original Assignee
(주)도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도테크 filed Critical (주)도도테크
Priority to KR102019010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이 마련된 부스에 있어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면서 정화되지 않은 오염공기가 부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부스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오염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객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정화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Smoking booth with prevention of polluted air leakage}
본 발명은 실내공간이 마련된 부스에 있어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면서 정화되지 않은 오염공기가 부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공공장소인 길거리, 식당, 당구장, PC방 등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고 이를 위반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가하는 등 금연구역의 확대 시행이 법을 토대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리 및 규제의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흡연자의 실천의식이 부족하여 전술하였던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흡연자들에 합법적인 흡연공간을 제공하여 흡연권리도 보장해주면서 비흡연자에 피해가 가지않는 흡연부스 시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밀폐된 흡연부스의 경우 그 내부의 연기 배출이 원활치 않아 흡연자 역시도 흡연부스내의 흡연 행위에 거부감을 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14912호에서 '흡연부스'를 제안한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내부의 담배연기를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부스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에 의해 간접흡연을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게된다.
이를 보완하여 쾌적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공조시스템이 흡연부스에 도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팬(fan), 흡기, 필터, 배기 등을 탑재 흡연공간에 마련하고 천장과 바닥공조 등으로 인한 설치비용 및 관리 등 인력소모와 공사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설치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1491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공간이 마련된 부스에 있어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면서 정화되지 않은 오염공기가 부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이하 '본 발명의 흡연부스'라 칭함)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부스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오염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객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정화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부스본체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유입구가 구성되는 격벽패널 및 상기 정화공간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공간에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과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부스본체는, 상기 정화공간을 향하는 태양광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부스본체는, 상기 내부공간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부스본체는, 상기 유입공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 하부의 부스본체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공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태양광 발전을 위해 마련되는 태양광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면서도 방출열을 이용한 대류 현상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연부스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설비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용자의 흡연 시 담배연기를 포함한 오염공기가 흡연부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용은 물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발전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에 의한 공기 유입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연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발전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에 의한 공기 유입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부스본체(10)와 공기정화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본체(10)는 사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100)이 마련되어 내부공간(110)을 가지며, 선택된 하나의 측벽(100)에는 출입문(111)이 구비되어 흡연자가 내부공간(110)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정화부(20)는 상기 내부공간(110)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등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흡연부스에 인접한 구역에서 담배연기와 냄세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부스본체(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정화부(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공기정화부(2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부스본체(10)의 내부공간(110)에 장착되어 부스본체(10)로 출입한 흡연자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객체감지센서(3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정화부(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흡연부스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의하면, 상기 부스본체(10)는 상부에 개방면(120)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120)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13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30)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일조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이러한 자체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패널(130)과 이를 이용한 전력 생산 구성은 종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10)는 상기 태양광패널(13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141)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유입구(142)가 구성되는 격벽패널(140)과, 상기 정화공간(141)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100)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20)는 상기 정화공간(141)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42)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200)과 상기 내부공간(110)의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태양광패널(130)의 집광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공간(141)의 온도가 격벽패널(140)에 의해 분리된 내부공간(110)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부스본체(10) 내부공간(110)의 공기는 대류현상의 유체 흐름을 따라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공기의 이동 과정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142)에 장착된 필터유닛(200)으로 유입되고 필터유닛(200)을 통과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필터유닛(200)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정화공간(141)에 접한 배출공(15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스본체(10)는 상기 정화공간(141)을 향하는 태양광패널(13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방열판(16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패널(130)에서 가열되는 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정화공간(141)에 방출 및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화공간(141)의 효율적인 온도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열판(160)은 태양광패널(130)의 방열 기능과 함께 정화공간(141)에서의 대류 현상을 유도하는 기능을 병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10)의 존재하는 담배연기 등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정화공간(141)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출입문(111)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210)의 경우, 상기 필터유닛(200) 상기 내부공간(110)의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와 같은 작용 기작에 의해 자연적인 유체 흐름이 형성되므로, 간헐적 작동 또는 흡입 강도의 세기를 약하게 하는 등 부가적 또는 선택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게 함으로써 송풍팬(210)의 작동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필터유닛(200)은 통과되는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담배연기는 물론 유해 물질 즉, 감염성 물질이나 세균 또는 미세먼지 등을 정화하기 위한 공지의 필터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유닛(200)은 프리필터, HEPA필터, 활성탄필터, 포스트필터 등이 적층된 것일 수 있으며, 담배연기를 포함하여 미세먼지 등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부스본체(10)는 상기 내부공간(110)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10)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170)과, 상기 유입공(170)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170)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170) 하부의 부스본체(10)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공(180)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우천 시와 같이 일조량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태양광패널(130)의 온도가 상승하지 못하여 상기 정화공간(141)에서 대류 현상을 완벽히 유도하기에 무리가 있게 되고 이에 내부공간(110)에서 담배연기 등을 포함한 오염 공기가 정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오염 공기가 상기 유입공(170)이나 출입문(111)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우천 시 정화공간(141)의 온도 저하로 대류 현상에 따른 유체 흐름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부스본체(10)의 오염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부스본체(10)의 측벽(100)에 부압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부스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재(190)는 그 하부에 부스본체(10)와 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부압공(180)이 구성되는 바, 이와 같이 부압공(180)이 구성되는 이유는 우천 시 빗물 등이 부스본체(10)의 노출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흘러내려가게 되는데, 빗물 등의 하방향 유동에 의해 상기 부압공(180)에는 부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부압에 의해 공기가 상기 부압공(180)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부스본체(10)의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110)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부압공(18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빗물 등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찬공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화공간(141)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상기 태양광모듈(130)을 통한 온도 상승 없이도 상기와 같은 대류 현상을 이용한 유체 흐름을 통해 내부공간(110)의 오염공기가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평상 시 상기 정화공간(141)은 태양광모듈(130)을 통한 온도 상승으로 대류 현상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오염공기가 정화공간(141)으로 유입되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한편 우천 시에는 상기 부스본체(10)의 노출면에 있어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빗물 등의 흐름(W1)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 돌출된 커버부재(190)에서 하방향 빗물의 흐름(W2)에 의해 이에 접하는 공기층이 교란이 발생되어 상기 커버부재(190)의 외측의 공기층과 내측의 공기층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상기 부압공(180)에서는 부압이 발생되어 커버부재(190) 외측에서 상기 부압공(180)을 통해 내측으로의 공기의 유동(a)이 발생되어 외부의 찬 공기는 상기 부스본체(10)의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면서 커버부재(190)를 지나친 빗물 등은 부스본체(10)에서 하방향으로 흐름(W3)이 유도되어 측벽(100)을 따라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상기 커버부재(190)에서 하방향 빗물 등의 흐름(W2)에 의해 발생된느 공기층의 교란을 더욱 크게 하여 상기 부압공(180)으로의 공기의 유동 효율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190)는 그 외측에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친수성코팅층이 도포되어 돌출된 곡면으로 친수화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커버부재(190)의 외면에 표면장력을 인한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부재(190)를 통해 빗물 등이 보다 잘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압공(180)으로의 공기 유동이 물방울 등으로 인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친수성코팅층의 조성과 그 도포방법은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부스본체 20 : 공기정화부
30 : 제어부 100 : 측벽
110 : 내부공간 120 : 개방면
130 : 태양광패널 140 : 격벽패널
150 : 배출공 160 : 방열판
170 : 유입공 180 : 부압공
190 : 커버부재 200 : 필터유닛

Claims (6)

  1. 출입문이 구비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부스본체;
    상기 내부공간의 오염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객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정화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본체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정화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공기유입구가 구성되는 격벽패널과, 상기 정화공간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과, 상기 정화공간을 향하는 태양광패널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광패널에서 가열되는 열이 상기 정화공간으로 방출 및 전달되게 하고 정화공간의 온도 상승으로 대류 현상을 유도하는 방열판과, 상기 내부공간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 및 상기 유입공의 외측에서 곡면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유입공을 커버하면서 끝단이 상기 유입공 하부의 부스본체와 유격이 형성되어 부압공이 마련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공간에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과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정화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양광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가공 및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1047A 2019-08-19 2019-08-19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10211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7A KR102114897B1 (ko) 2019-08-19 2019-08-19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7A KR102114897B1 (ko) 2019-08-19 2019-08-19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897B1 true KR102114897B1 (ko) 2020-05-27

Family

ID=7091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47A KR102114897B1 (ko) 2019-08-19 2019-08-19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912A (ko) 2011-04-08 2012-10-17 서태원 다목적 흡연 부스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KR101669226B1 (ko) * 2016-07-13 2016-10-25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KR101911709B1 (ko) * 2018-07-09 2018-10-25 주식회사 대한솔루션 흡연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912A (ko) 2011-04-08 2012-10-17 서태원 다목적 흡연 부스
KR101461042B1 (ko) * 2014-06-27 2014-11-17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KR101669226B1 (ko) * 2016-07-13 2016-10-25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KR101911709B1 (ko) * 2018-07-09 2018-10-25 주식회사 대한솔루션 흡연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8311A (en) Air purification systems
US8267756B2 (en) Extraction hood and method for the suction extraction and/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carrier substances
CA2220287A1 (en) Air purifier
KR101697485B1 (ko) 자정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20090058815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3308278B2 (ja) 液体スプレー式空気浄化装置
KR101943797B1 (ko) 유해물질 분해기능을 구비한 폴타입 도로구조물
KR20170084863A (ko) 공기정화형 시스템 흡연부스
KR20120092468A (ko)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흡연자용 청정 부스시스템
KR102114898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개방형 부스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KR102114897B1 (ko)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WO2018021640A1 (ko) 미생물을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KR20040031624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2018006954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JPH03267108A (ja) 空気清浄器
KR20210070026A (ko) 야외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JP2006003058A (ja) 空気清浄機付喫煙所
KR20200022165A (ko) 시동주차 차량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686897B1 (ko) 지하철의 환기장치
KR102305602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여 쾌적함을 제공하는 친환경 쉘터
KR200255690Y1 (ko) 담배 연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