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709B1 -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709B1
KR101911709B1 KR1020180079390A KR20180079390A KR101911709B1 KR 101911709 B1 KR101911709 B1 KR 101911709B1 KR 1020180079390 A KR1020180079390 A KR 1020180079390A KR 20180079390 A KR20180079390 A KR 20180079390A KR 101911709 B1 KR101911709 B1 KR 10191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air
smoking space
space
air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강혁
고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7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자에게 흡연부스 내부의 오염정도를 보다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흡연자가 흡연부스로의 입장여부 또는 흡연부스 내에서의 계속 체류여부 등을 결정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흡연공간과,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와,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를 가동하고, 디스플레이에 공기오염도센서가 측정한 측정값과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연부스{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공간이 마련되고 내부의 공기를 정화처리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공기의 오염정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간접흡연의 피해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규제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사회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조치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사회구성원 사이의 다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연부스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그와 같은 흡연부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697485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흡연부스(1)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2)에 벽체(3)가 조립되어 외부와 격리되도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출입도어가 설치되어 흡연자들이 출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흡연부스(1)의 측면에는 배기구(4)가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가 배기된다.
흡연부스(1) 내부의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천장패널(5)을 통하여 천장패널(5)과 덮개(6)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정화용 덕트(7)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필터들을 하나씩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 후,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배기구(4)를 따라 하강한 다음 외부 대기 중으로 각각 배출되되, 정화된 공기의 일부는 다시 흡연부스(1) 내부로 배출되어 재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흡연부스의 경우, 정화장치가 항상 가동될 수 없으므로 내부공기의 오염도에 변화가 발생하고, 내부 공기의 오염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흡연자도 쾌적한 환경에서 흡연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기와 같은 정보가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흡연자가 흡연부스로의 입장여부 또는 흡연부스 내에서의 계속 체류여부 등을 결정시 다소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근래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가 항상 높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수시로 출입문이 개방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연부스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내부공간으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므로, 대기 중의 미세먼지농도를 기준으로 흡연부스의 내부의 오염정도가 확인되어야 하나, 단순히 공기센서를 설치하고 오염도를 표시하는 경우, 대기 중 미세먼지에 의한 것인지 흡연에 기인한 오염도인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흡연부스는 내부에서 흡연하는 흡연자의 인원을 제한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내부공기의 과도한 오염으로 흡연환경을 악화시키고, 출입하는 흡연자 사이에 과다인원의 출입으로 인한 다툼의 여지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자에게 흡연부스 내부의 오염정도를 보다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흡연자가 흡연부스로의 입장여부 또는 흡연부스 내에서의 계속 체류여부 등을 결정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연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많은 경우 내부의 공기오염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출입인원을 제한 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러한 정보를 흡연부스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내부의 흡연공간과,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와,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흡연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정화장치를 가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공기오염도센서가 측정한 측정값과, 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거나 별도 구비한 미세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상기 출입문에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카운트하는 출입카운트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입카운트센서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흡연공간 내의 인원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출입문은 도어락(12)이 설치되고, 상기 흡연공간 내의 인원수가 설정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도어락(12)이 작동하여 상기 흡연공간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출입문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흡연공간 상측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면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면디스플레이에 상기 흡연공간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재떨이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재떨이장치는, 상기 흡연공간에 위치하여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흡연공간의 외부에 위치하여 담배꽁초가 수집되는 수집부와, 상기 흡연공간의 벽체를 통과하여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수집부로 하향경사지게 연결되어 담배꽁초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수집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 내에는 이동되어 온 담배꽁초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압착기가 더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재떨이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재떨이장치는, 상기 흡연공간에 위치하여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한 쌍의 압착롤러가 서로 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투입구로부터 낙하하는 담배꽁초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압착기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는 담배꽁초가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에 담배꽁초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의 측방에는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의 상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분사기가 더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주거단지를 형성하는 건물과, 그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흡연부스를 포함하는 흡연부스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연부스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내부의 흡연공간과,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와, 상기 흡연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흡연부스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면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정화장치를 가동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면디스플레이에 상기 흡연공간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거주민이 창을 통해 상기 흡연부스를 내려다봄으로써 상기 흡연공간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흡연공간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공기오염도센서가 측정한 측정값과, 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거나 별도 구비한 미세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으로써, 흡연자에게 흡연부스 내부의 오염정도를 보다 정확히 알수 있고, 흡연자가 흡연부스로의 입장여부 또는 흡연부스 내에서의 계속 체류여부 등을 결정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카운트하는 출입카운트센서와 출입문의 도어락을 설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출입인원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흡연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많은 경우 내부의 공기오염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출입인원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러한 정보를 흡연부스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흡연공간 상측의 지붕의 상면에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면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흡연공간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아파트 등 주거단지의 상층에 거주하는 거주민이 창을 통해 그 건물의 일측에 설치된 흡연부스를 내려다 봄으로써, 흡연부스의 이용가능여부 및 상태를 확인하고 흡연부스를 이용하기 위해 외출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에는 재떨이장치가 설치되되, 한 쌍의 압착롤러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에 담배꽁초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한 쌍의 압착롤러의 측방에서 한 쌍의 압착롤러의 상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분사기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담배포장비닐이나 담배포장지와, 담배꽁초를 분리함으로써 담배꽁초의 불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흡연부스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신호전달 및 제어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재떨이장치의 변형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6은 도 5의 재떨이 장치를 정면에서 본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7은 도 6의 공기분사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를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9는 도 8의 탈취룸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출입문(10)과, 상기 출입문(10)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내부의 흡연공간(20)과,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31)와, 흡연공간(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40)와, 상기 흡연공간(2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1,52)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40)를 가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51,52)에 공기오염도센서(31)가 측정한 측정값과, 통신모듈(62)을 통해 전달받거나 별도 구비한 미세먼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10)은 흡연부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흡연공간(20)으로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다.
출입문(10)은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 흡연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딩도어 형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락(12)이 설치되어 출입문(10)이 개방되지 않도록 폐쇄작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인 경우는 출입문(10)을 슬라이딩작동에 의해 개방시키는 구동기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도어락(12)이 될 수 있는 바, 이 경우는 별도의 도어락(12)이 설치되지 않고 도어의 구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장치가 도어락(12)이 된다.
상기 출입문(10)에는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카운트하는 출입카운트센서(13)가 설치되고, 흡연공간(20)으로 출입하는 출입자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여 제어기(60)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기(60)는 출입카운트센서(13)의 정보를 전달받아 흡연공간(20) 내의 인원수를 디스플레이(51,52)에 표시한다.
상기 흡연공간(20) 내의 인원수가 설정인원수를 초과하면 제어기(60)는 출입문(10)의 도어락(12)이 작동하여 흡연공간(20)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는 출입문(10)이 열리지 않도록 작동을 정지시킨다.
다만, 흡연공간(20) 내에서 흡연자가 외부로 나오는 경우에는 흡연공간(20)의 내측의 출입문(10) 상부에 설치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감지하여 외부로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흡연공간(20)은 흡연부스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공간으로서 흡연자가 출입문(10)을 통해 출입할 수 있고, 흡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기 흡연공간(20)의 내부에서 상부에는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31)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는 담배연기에 의해 오염되는 흡연공간(20)의 공기로부터 그 오염도를 농도로 측정하고 측정값을 제어기(60)로 전달한다. 공기오염도는 흡연공간(20)의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수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미세먼지와 함께 부유입자가 아닌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함께 측정하여 종합한 수치로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정화장치(40)는 흡연공간(20)의 천정에 설치되어 흡연공간(20)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처리하여 배출한다.
정화장치(40)는 통상의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다수의 공기필터를 구비하고, 흡입팬(41)에 의해 흡연공간(20)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한 공기가 공기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정화처리할 수 있다. 또는 등록특허 제10-1551602호에서 예시하고 있는 라디칼발생부에 의한 산화, 분해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선택적으로 정화장치(4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정화장치(40)에는 정화장치센서(43)가 설치되어 정화장치(4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한 후 정화장치(40)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화장치센서(43)는 정화장치(4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측정값을 비교하도록 구성하거나, 출구에만 설치시는 공기오염도센서(31)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입구와 출구의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공기오염도센서(31)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조건에서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된 정화장치센서(43)의 측정값의 차이가 소정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기(60)가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장치(40)의 작동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60)는 흡연공간(20)에 설치된 공기오염도센서(31)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40)를 가동한다.
상기 디스플레이(51,52)는 흡연공간(2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연공간(20) 내부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부디스플레이(51)와 흡연공간(20) 상측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된 상면디스플레이(52)가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디스플레이(51)는 벽면에 설치되어 내부의 흡연자에게 공기오염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흡연부스의 전면의 벽면 등이 투명한 유리벽면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도 내부디스플레이(51)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내부디스플레이(51)에는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해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고, 흡연공간(20)의 인원, 흡연공간(20)의 인원초과로 인한 출입제한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면디스플레이(52)는 흡연공간(20) 상측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흡연부스 인근의 아파트 건물 등의 상층에서 아래의 흡연부스를 내려다 볼 때, 흡연부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면디스플레이(52)는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해 흡연공간(20)의 인원수 및/또는 흡연공간(20)의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되, 흡연공간(20)의 오염도,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 등을 모두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아파트 등 주거단지의 상층에 거주하는 거주민이 창을 통해 그 건물의 일측에 설치된 흡연부스를 내려다 봄으로써, 흡연부스의 이용가능여부 및 상태를 확인하고 흡연부스를 이용하기 위해 외출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는 인터넷망 등 별도의 통신모듈(62)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제어기(60)가 제공받거나, 흡연부스의 일측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미세먼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직접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기(60)가 전달받아, 디스플레이(51,52)에 표시되도록 한다.
흡연부스에는 수시로 흡연자가 출입하고 있어 출입문(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쉽게 유입되므로, 외부의 미세먼지농도가 높으면 흡연공간(20)의 공기의 오염도도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공간(20)의 오염도는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와 비교하면서 흡연공간(20)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것이 흡연으로 인해 발생한 오염도를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흡연부스는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고 외부공기가 수시로 유입되는 공간이므로,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높은 날은 흡연공간(20)의 오염도도 흡연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타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흡연공간(20)에 흡연자의 존재여부와 상관없이 정화장치(40)가 계속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제어기(60)가 정화장치(40)를 작동시키는 기준이 되는 공기오염도의 상기 설정치는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와의 차이값의 크기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디스플레이(51) 및 상면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흡연공간(20)의 오염도는,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와 함께 표시됨으로써, 흡연자 등이 그 차이값으로부터 흡연공간(20)의 실제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는 그 차이값의 변화추이를 확인하여 정화장치(40)의 작동불량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정화장치(40)의 작동불량여부를 확인하면, 제어기(60)는 중앙통제실(65)과 통신모듈(62)을 통해 통신하면서 작동불량정보를 전송하고, 중앙통제실(65)에서는 관리자에게 알림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중앙통제실(65)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 정화장치센서(43), 출입카운트센서(13)와, 미세먼지센서가 설치된 경우에는 그 미세먼지센서의 측정값들을 제어기(60)로부터 전달받아, 각 흡연부스의 작동상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 의한 각 흡연부스의 작동상황을 이용자들의 스마트폰(6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용자는 스마트폰(66)에 앱을 설치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흡연부스에서의 입실인원, 공기오염도, 출입제한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연부스에는 담배꽁초(T)가 투입되어 압착배출되는 재떨이장치(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재떨이장치(70)는 흡연공간(20)에 위치하여 담배꽁초(T)가 투입되는 투입구(71)와, 상기 흡연공간(20)의 외부에 위치하여 담배꽁초(T)가 수집되는 수집부(72)와, 상기 흡연공간(20)의 벽체를 통과하여 투입구(71)로부터 수집부(72)로 하향경사지게 연결되어 담배꽁초(T)를 투입구(71)에서 수집부(72)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통로(73)를 포함하고, 수집부(72) 내에는 이동되어 온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압착기(75)가 더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71)는 흡연공간(20)에서 흡연자가 흡연하고 남은 담배꽁초(T)를 투입하는 입구로서, 흡연공간(20)의 내측 중 측면의 벽체에 설치된다.
상기 수집부(72)는 슬라이딩통로(73)를 통해 투입구(71)와 연결되고 흡연공간(20)의 외측에서 벽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투입구(71)에 투입된 담배꽁초(T)가 수집되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딩통로(73)는 투입구(71)와 수집부(72)를 연결하되 그 경사각이 약 60° 정도의 가파른 경사로 형성됨으로서 투입구(71)에 투입된 담배꽁초(T)가 슬라이딩통로(73)를 통해 미끄러져 수집부(72)로 낙하도록 한다.
슬라이딩통로(73)는 흡연공간(20) 내측의 투입구(71)와 외측의 수집부(72)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흡연공간(20)과 외부를 구분하는 벽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집부(72)를 흡연공간(20)의 외부에 위치하게 한 것은, 흡연공간(20)에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청소할 수 있어 청소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상기 압착기(75)는 수집부(72) 내에는 이동되어 온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집부(7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통로(73)의 출구에 설치된다.
압착기(75)는 서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스크류 또는 한 쌍의 기어형상의 압착롤러(75a,75b)와 그것을 회전시키는 압착구동기(7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통로(73)를 통해 낙하하는 담배꽁초(T)는 압착기(75)에 낙하하고 압착기(75)의 압착롤러(75a,75b)들 사이에서 압착된 후 하측으로 배출되므로 담배꽁초(T)의 불씨가 소멸될 수 있다.
상기 압착기(75)는 흡연자의 퇴실을 출입카운트센서(13)가 감지하는 경우 설정시간 구동되도록 하거나, 투입구(71) 또는 슬라이딩통로(73)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센서를 부착하여 담배꽁초(T)의 통과를 감지할 때마다 자동으로 설정시간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담배꽁초(T)가 투입되는 재떨이장치(70)의 변경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재떨이장치(70)는, 상기 흡연공간(20)에 위치하여 담배꽁초(T)가 투입되는 투입구(71)와,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물려 회전함으로써 투입구(71)로부터 낙하하는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압착기(75)를 포함하되, 투입구(71)의 하측에는 담배꽁초(T)가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담배꽁초(T)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74)가 더 설치되며,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측방에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분사기(77)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71)는 흡연공간(20)에서 흡연자가 흡연하고 남은 담배꽁초(T)를 투입하는 입구이고 투입구(71)의 하측에는 담배꽁초(T)가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담배꽁초(T)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74)가 설치된다.
투입구(71)와 안내부(74) 사이에 하향경사진 슬라이딩통로(73)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될 수도 있고, 투입구(71)와 안내부(74)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투입구(71)에 투입된 담배꽁초(T)가 수집되는 수집부(72)가 설치되고 수집부(72)의 내부에 압착기(75)가 설치된다.
상기 압착기(75)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물려 회전함으로써 투입구(71)로부터 낙하하는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하측으로 배출함으로써 담배꽁초(T)의 불씨를 소멸시킬 수 있다.
상기 압착기(75)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와 그것을 회전시키는 압착구동기(75c)를 포함하고,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는 서로 물려 회전하는 것으로서 압착롤러(75a,75b)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압착롤러(75a,75b)의 경사각은 30~35°가 바람직하다.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한 것은 안내부(74)로부터 낙하하는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가 낙하하는 속력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경사를 따라 더 굴러내려 압착롤러(75a,75b)를 이탈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 이탈하는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전방의 하측에 위치하는 별도의 수집통(79b)에 수집되고,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에 의해 압착된 후 하측으로 배출되는 담배꽁초(T)는 꽁초수집통(78)에 수집된다.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는 스크류날개가 설치된 스크류롤러이거나 기어니를 가진 롤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과 같이, 안내부(74)를 통해 담배꽁초(T)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 즉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중간영역에 낙하하여 원주형의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함에 의해 발생하는 오목한 함몰부에 담배꽁초(T)가 위치하게 된다.
안내부(74)는 출구를 좁혀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상측에서 중간영역에 그 출구가 위치하게 한 것으로서, 투입구(71)로부터 낙하하는 담배꽁초(T)가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낙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을지라도, 담배꽁초(T)는 짧은 막대형상으로서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떨어지면 낙하충격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압착롤러(75a,75b)의 롤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방향이 맞춰진 상태에서 골짜기에 끼인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압착롤러(75a,75b)의 길이방향(롤러축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여 압착롤러(75a,75b)를 이탈하지는 않는다.
이후,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회전구동함에 따라, 담배꽁초(T)는 압착되어 하측으로 낙하하여 수집된다.
만일, 투입구(71)를 통해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 등이 투입되는 경우, 공기분사기(77)에 의해 압착롤러(75a,75b)로부터 측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기분사기(77)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측방에 설치되어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있으므로, 안내부(74)에서 하측으로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가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에 낙하한 경우,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구동 전에 공기분사기(77)가 공기를 토출시켜 측방향으로 밀어내 제거한다.
공기분사기(77)가 공기의 토출시 측방향을 향해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있으므로 부피가 크고 바람의 저항을 쉽게 받는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는 쉽게 밀려날 수 있으나,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숨은 담배꽁초(T)는 토출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골짜기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와, 담배꽁초(T)를 분리함으로써 담배꽁초(T)의 불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제거한다.
공기분사기(77) 및 압착구동기(75c)의 작동은 안내부(74)에 설치된 제1센서(76a) 및 제2센서(76b)의 감지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센서(76a)는 안내부(74)를 내부를 향해 설치되어 초음파에 의해 물체의 통과여부를 확인한다.
제2센서(76b)는 안내부(74)의 외면에서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를 향해 설치된 적외선센서로서, 담배꽁초(T)의 불씨 또는 온기를 감지하여 담배꽁초(T)의 낙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담배꽁초(T)가 안내부(74)를 통과하여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에 낙하하면 제1센서(76a)와 제2센서(76b)가 모두 담배꽁초(T)를 감지하게 될 것이므로 압착구동기(75c)만을 수초간 작동시킨다.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가 안내부(74)를 통과하면, 제1센서(76a)만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센서(76b)는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공기분사기(77)만을 작동시켜 담배포장비닐(V)이나 담배포장지를 측방향으로 불어내어 제거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에 탈취룸(80)을 별도 설치한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탈취룸(80)은 흡연부스의 외부측면에 설치되며, 흡연자가 진입하는 탈취공간이 형성되고, 탈취공간의 상면 및 측면에 에어노즐(83,84)이 다수 설치되어 고속분사되는 공기를 의복에 충격시켜 에어샤워가 가능하도록 한다.
탈취룸(80)의 상측에는 에어노즐(83,84)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82)가 설치되고 탈취룸(80) 내부에 작동버턴(85)이 설치되어 컴프레샤(82)를 설정시간 작동시킬 수 있다.
흡연공간(20)에서의 흡연시 의복에 담배냄새가 배인 상태이므로, 흡연후 탈취룸(80)에서 고속의 공기충격을 통해 의복의 담배냄새입자를 탈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출입문 12; 도어락(출입문)
13; 출입카운트센서 20; 흡연공간
31; 공기오염도센서 40; 정화장치
41; 흡입팬 43; 정화장치센서
51; 내부디스플레이 52; 상면디스플레이
60; 제어기 62; 통신모듈
65; 중앙통제실 66; 스마트폰
70; 재떨이장치 71; 투입구
72; 수집부 73; 슬라이딩통로
74; 안내부 75; 압착기
75a,75b; 압착롤러 75c; 압착구동기
75d; 골짜기 영역 76a; 제1센서
76b; 제2센서 77; 공기분사기
78; 꽁초수집통 80; 탈취룸
82; 컴프레샤 83,84; 에어노즐
85; 작동버턴 T; 담배꽁초
V; 담배포장비닐

Claims (6)

  1. 출입문(10)과,
    상기 출입문(10)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내부의 흡연공간(20)과,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31)와,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40)와,
    상기 흡연공간(2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 및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정화장치(40)를 가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51,52)에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가 측정한 측정값과, 통신모듈(62)을 통해 전달받거나 별도 구비한 미세먼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고,
    담배꽁초(T)가 투입되는 재떨이장치(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재떨이장치(70)는,
    상기 흡연공간(20)에 위치하여 담배꽁초(T)가 투입되는 투입구(71)와,
    상기 흡연공간(20)의 외부에 위치하여 담배꽁초(T)가 수집되는 수집부(72)와,
    상기 흡연공간(20)의 벽체를 통과하여 상기 투입구(71)로부터 상기 수집부(72)로 하향경사지게 연결되어 담배꽁초(T)를 상기 투입구(71)에서 상기 수집부(72)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통로(73)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72) 내에는 이동되어 온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압착기(75)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흡연공간(20) 상측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면디스플레이(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상면디스플레이(52)에 상기 흡연공간(20)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75)는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물려 회전함으로써 낙하하는 담배꽁초(T)를 압착시켜 배출하는 것이고,
    상기 압착기(75)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가 서로 접촉하는 골짜기 영역(75d)에 담배꽁초(T)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74)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측방에는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75a,75b)의 상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분사기(77)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6. 주거단지를 형성하는 건물과,
    그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흡연부스를 포함하는 흡연부스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연부스는
    출입문(10)과,
    상기 출입문(10)을 통해 출입할 수 있는 내부의 흡연공간(20)과,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오염도센서(31)와,
    상기 흡연공간(20)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40)와,
    상기 흡연부스의 지붕에서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면디스플레이(52)와,
    상기 공기오염도센서(31)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정화장치(40)를 가동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60)는
    상기 상면디스플레이(52)에 상기 흡연공간(20)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거주민이 창을 통해 상기 흡연부스를 내려다봄으로써 상기 흡연공간(20)의 인원수 또는 출입제한여부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설치구조
KR1020180079390A 2018-07-09 2018-07-09 흡연부스 KR10191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90A KR101911709B1 (ko) 2018-07-09 2018-07-09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90A KR101911709B1 (ko) 2018-07-09 2018-07-09 흡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709B1 true KR101911709B1 (ko) 2018-10-25

Family

ID=6413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390A KR101911709B1 (ko) 2018-07-09 2018-07-09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7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97B1 (ko) * 2019-08-19 2020-05-27 (주)도도테크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20200065169A (ko)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피디텍 실내용 흡연 부스
KR102161632B1 (ko) * 2020-02-21 2020-10-05 강병헌 유체 흐름 컨트롤 및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흡연부스
KR20200116396A (ko) * 2019-04-01 2020-10-12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KR102216154B1 (ko) * 2020-04-16 2021-02-17 수성산업 주식회사 비말감염 방지수단을 구비한 공공시설물
KR20210123521A (ko) 2020-04-03 2021-10-14 류길수 기류 하강식 흡연부스
KR102597542B1 (ko) 2022-08-24 2023-11-02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흡연부스를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광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051A (ja) * 2003-04-15 2004-11-11 Yamatake Corp 吸殻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051A (ja) * 2003-04-15 2004-11-11 Yamatake Corp 吸殻処理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169A (ko)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피디텍 실내용 흡연 부스
KR20200116396A (ko) * 2019-04-01 2020-10-12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KR102322052B1 (ko) * 2019-04-01 2021-11-04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KR102114897B1 (ko) * 2019-08-19 2020-05-27 (주)도도테크 오염공기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102161632B1 (ko) * 2020-02-21 2020-10-05 강병헌 유체 흐름 컨트롤 및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흡연부스
KR20210123521A (ko) 2020-04-03 2021-10-14 류길수 기류 하강식 흡연부스
KR102216154B1 (ko) * 2020-04-16 2021-02-17 수성산업 주식회사 비말감염 방지수단을 구비한 공공시설물
KR102597542B1 (ko) 2022-08-24 2023-11-02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흡연부스를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709B1 (ko) 흡연부스
CN208203031U (zh) 一种具有排烟功能的消防门
KR101185849B1 (ko) 인버터 제어에 의한 흡연실 자동 배기시스템
TWI679383B (zh) 空氣清淨機
KR20150095491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CN208654997U (zh) 基于bim的火灾报警系统
KR200477107Y1 (ko) 흡연부스
KR20150105508A (ko) 흡연부스
CN11280229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独立式烟感火灾探测报警器
EP4060241A1 (en) Hybrid clean room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19857B1 (ko) 흡연부스
KR102377575B1 (ko)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JP6942597B2 (ja) 火災警報装置
KR102149632B1 (ko) 하이브리드 클린룸 시스템
KR102346218B1 (ko) 학습형 실내 미세먼지 순차적 저감시스템
KR20240022031A (ko) 쾌적한 흡연공간을 제공하는 흡연박스
KR101676811B1 (ko) 이동식 부스
KR102275290B1 (ko) 흡연부스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CN206610149U (zh) 空气压差智能测控系统
JP2007310751A (ja) 喫煙エリアシステム
KR20150095490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CN108916987A (zh) 智能型空气净化机
KR20230033767A (ko) 스마트 흡연부스
CN207003342U (zh) 扫路车垃圾箱装置、扫路车垃圾处理装置和扫路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