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799B1 -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799B1
KR102114799B1 KR1020200003449A KR20200003449A KR102114799B1 KR 102114799 B1 KR102114799 B1 KR 102114799B1 KR 1020200003449 A KR1020200003449 A KR 1020200003449A KR 20200003449 A KR20200003449 A KR 20200003449A KR 102114799 B1 KR102114799 B1 KR 10211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low path
linear motion
lubricant
mo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to KR102020000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 공간에 안착되는 LM 가이드 조립체와,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 유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측 또는 구동부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윤활제를 주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LINEAR MOTION GUIDE UNIT}
본 발명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외부에서 윤활제 주입이 가능하여,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지 않고도 윤활제의 주입이 가능하며, 대형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도 윤활제를 효율적으로 급유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작업용 로봇 또는 산업기기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정밀하게 왕복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선형운동을 지지하는 LM레일과 산업용 로봇 또는 산업용 기기를 고정 지탱하는 베이스상에 일정한 길이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는 LM레일의 상부에는 LM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LM블럭의 상부에는 캐리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캐리어는 구성부재인 산업용 로봇 및 기타 산업용 기기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LM블럭과 LM레일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LM블럭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선형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그 상부에 설치된 캐리어를 선형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다양한 산업용 기기에 적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는, LM레일과 LM블록 사이에 개재된 볼에 대한 구름성을 높여 상기 LM레일에 LM블록의 선형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LM레일과 LM블록이 접촉되는 면 사이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윤활제가 주입된다.
통상적으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LM레일과 LM블록을 분리시켜 LM블록의 내부에 그리스를 주입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리니어 가이드에 대한 그리스 주유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LM블록 내부에 그리스를 주유하는 주입구가 없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일 경우 그리스를 주유하고자 할 때 작업기기에 설치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따로 분해하여 LM블록의 내부에 그리스를 주유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스 주유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작업공정이 행해지는 자동화 공정 라인일 경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 그리스를 주유하기 위해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가 사용된 산업용 기기를 중지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라인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최근들어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이용한 산업용 기기들은 대형화 추세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여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 그리스를 주유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896819 B1 '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 (2009.05.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분해를 진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구성하는 레일 블록 또는 구동계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 공간에 안착되는 LM 가이드 조립체와,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 유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측 또는 구동부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윤활제를 주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제 1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1 주입구에서부터 상기 캐리어의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는 제 1 메인 유로 및 상기 제 1 메인 유로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 1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2 주입구에서부터 상기 캐리어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는 제 2 메인 유로 및 상기 제 2 메인 유로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구동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리어는, 내부 유로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세트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3 주입구와 연결되어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여, 상기 제 3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윤활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1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M 가이드 조립체 측을 향해 하방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 1 이송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4 주입구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을 보유한 제 2 내부유로 및 상기 2 내부 유로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제 2 이송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는 상기 제 2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제 1 이송관 및 일단이 상기 제 3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구동부의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와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는,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피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캐리어의 가로폭보다 좁은 면적으로 개방된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방향을 일부 커버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양측 끝단이 상기 수평부를 향해 직립 연장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형상의 홀이 가공 형성되는 하방 연장부 및 상기 하방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안착되며, 일직선의 홀이 가공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외부에서 주입부를 통해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어, 종래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여 윤활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비하여, 손쉽고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 LM 가이드 조립체, 구동부의 작동 시 마찰로 인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가 제 1 주입구를 포함하고, 캐리어가 제 1 주입구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 메인 유로와, 제 1 메인 유로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LM 가이드 조립체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 1 분기 유로를 포함함에 따라, 캐리어를 통해 LM 가이드 조립체로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어, 결합된 다른 부재들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일측에서 LM 가이드 조립체 전체에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이 소형으로 구현되어 분해작업이 어려운 경우에도 윤활제를 손쉽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가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제 2 주입구와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한 제 2 메인 유로, 제 2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제 2 분기 유로를 포함함에 따라, 제품 사용시 발생하는 구동부 내의 마찰력에 의한 제품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외부에서 LM 가이드 조립체와 구동부를 향하여 동시에 윤활제를 주유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이 소형으로 구현되어 분해작업이 어려운 경우에도 윤활제의 공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가 세트 스크류를 포함함에 따라, 캐리어의 외부에서 드릴 가공으로 형성된 제 1 메인 유로, 제 1 분기 유로, 제 2 메인 유로, 제 2 분기 유로 각각의 일측면에 세트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어, 윤활제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 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가 제 3 주입구를 포함하고, 캐리어가 제 3 주입구와 연결된 제 1 내부 유로와 제 1 내부 유로와 연결되어 LM 가이드 조립체 측을 향해 하방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 1 이송 조립체를 포함함에 따라, 수직 관통홀 형성을 최소화 시키면서 LM 가이드 조립체로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이 대형으로 구비되어 캐리어 드릴 가공이 어려울 경우에도, 외부에서 윤활제 주입이 가능한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공정에 따른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부가 제 4 주입구를 포함하고, 캐리어가 제 4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 2 내부 유로 제 3 내부 유로를 포함하고, 내부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이송 조립체가 제 1 이송관과 제 1 이송관을 포함함에 따라, 내부 유로 생성 홀 형성을 최소화 시키면서 제 1 이송 조립체과 겹치지 않으면서 구동부으로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이 대형으로 구비되어 캐리어 드릴 가공이 어려울 경우에도, 외부에서 구동부를 향해 윤활제 주입이 가능한 유로를 확보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공정에 따른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가 복수개의 튜브와 튜브 말단 부분에 결합되는 피팅 부재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 1 이송 수단, 제 2 이송 수단 및 제 3 이송수단의 형성에 있어서, 내부 유로 생성 홀의 형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내부유로와 튜브 또는 튜브와 튜브 간의 밀페성이 향상되므로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가 개방부와 개방부의 좌우 양방향을 일부 커버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캐리어가 수평부를 향해 직립 연장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형상의 홀이 가공 형성될 수 있는 하방 연장부와 하방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여 일직선의 홀이 가공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를 포함함에 따라, 베이스부는 밑판과 측반이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형태인 종래의 기술과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부와 개방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에서도, 이동블록과 구동부를 향해 주입되는 다양한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A-A'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A-A'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의 B-B'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B-B'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C-C'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C-C'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부 유로, 제 1 이송 조립체 및 LM 가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D-D'면을 따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D-D'면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내부 유로, 제 3 내부 유로 및 제 2 이송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며,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베이스부(100), LM 가이드 조립체(200), 캐리어(300), 구동부(400) 및 주입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연장 방향은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LM 가이드 조립체와 상기 캐리어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캐리어(300)의 가로폭보다 좁은 면적으로 개방된 개방부(120) 및 상기 개방부(120)의 좌우 양방향을 일부 커버하는 수평부(1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120)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800)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200)는 LM 레일(210) 및 LM 블록(220)을 포함하며, 상기 LM 레일(21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M 레일(210)은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 바닥면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된 어느 하나의 LM 레일(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M 블록(220)이 상기 LM 레일(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M 블록(210)은 상기 LM 레일(210) 상에서 운동가능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술할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는 윤활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윤활제는 소정의 점성을 보유한 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300)는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최상단에 로봇을 포함한 각종 기계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800)가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된 형상을 보유하여, 상기 커버부(80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캐리어(300)는 상기 캐리어(300)의 양측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평부(130)를 향해 직립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연장부(380)와, 상기 하방 연장부(38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390)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캐리어(300)의 내부에는 윤활제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할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캐리어(3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400)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상기 캐리어(300)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캐리어(300)가 상기 베이스부(100) 상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400)는 구동 스크류(410) 및 스크류 지지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스크류(410)는 구동 수단(M)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캐리어(3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동 스크류(410)의 회전 시 상기 캐리어(300)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지지체(420)는 상기 구동 스크류(410)의 회전 축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스크류 지지체(410)가 상기 캐리어(300)내에 안정적으로 안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500)는 상기 윤활제의 주입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리어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200) 및 상기 구동부(400) 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송되는 상기 윤활제를 주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500)는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제 1 주입구(510)와, 상기 제 1 주입구(5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제 2 주입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주입구(510)는 상술한 LM 블록의 수와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LM 레일에 한 쌍의 LM 블록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LM 레일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LM 블록측으로 윤활제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제 1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LM 레일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LM블록측으로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제 1 주입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제 1 주입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입구(520)는 상술한 구동부 측으로 윤활제를 주입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500)가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노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을 분해하지 않고,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윤활제의 주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캐리어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A-A'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A-A'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300)는, 상술한 내부 유로로써, 윤활유가 이송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메인 유로(310) 및 제 1 분기 유로(3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메인 유로(310)는, 상기 제 1 주입구와 연결되면서, 상기 캐리어(300)의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기 유로(320)는, 상기 제 1 메인 유로(310)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200)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분기 유로(320)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제가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200)의 LM 블록(2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LM 블록(220)에 윤활제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LM 블록(220)의 윤활제 주입구와 상기 제 1 분기 유로(320)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윤활제 주입구는 상기 LM 블록(22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분기 유로의 형성 구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원활한 상기 윤활제의 유동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LM 블록(220)에 형성되는 윤활제 주입구와 상기 제 1 분기 유로(320)간의 연통 시, 상기 윤활제 주입구와 상기 제 1 분기 유로(320)의 토출측 사이에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씰링 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제 1 메인 유로 및 제 1 분기 유로는 상기 캐리어(300)의 양측 및 상하방에 대해, 드릴링 가공을 다수회 진행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드릴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폐쇄하는 세트 스크류(S)를 통해, 상기 제 1 메인 유로 및 제 1 분기 유로의 최종 형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의 B-B'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B-B' 선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300)는 상술한 내부 유로로써, 윤활제가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 메인 유로(330) 및 제 2 분기 유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메인 유로(330)는 상기 제 2 주입구(520)에서부터 상기 캐리어(300)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기 유로(340)는 상기 제 2 메인 유로(330)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구동부(400)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특히, 상기의 제 2 메인 유로 및 제 2 분기 유로는 상기 캐리어(300)의 양측 및 상하방에 대해 드릴링 가공을 다수회 진행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드릴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폐쇄하는 세트 스크류(S)를 통해, 상기 제 2 메인 유로 및 제 2 분기 유로의 최종 형상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LM 가이드 조립체 측으로 윤활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C-C'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C-C'면을 따르는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부 유로, 제 1 이송 조립체 및 LM 가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주입구(530) 및 제 4 주입구(540)를 포함하는 주입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의 상기 캐리어(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유로로써, 절곡된 형상을 보유한 제 1 내부 유로(3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부 유로(350)는, 상기 제 3 주입구(530)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주입구(530)를 통해 주입된 윤활제가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부 유로(350)는 일측이 상기 제 3 주입구(530)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내부 유로(350)의 타측은 후술할 제 1 이송 조립체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은 상기 제 1 내부 유로(350)와 연결되는 제 1 이송 조립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600)는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 및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 및 피팅 부재(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팅 부재(F)의 경우, 상기 캐리어(300) 뿐만 아니라,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 및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과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 구조를 보유함으로써,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600)를 통한 윤활제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팅 부재(F),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 및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에 대한 유지 보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의 일단(유입측)은 상기 제 1 내부 유로(350)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의 타단(토출측)은 상기 피팅 부재(F)를 통해 상기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을 통해 전달받은 윤활제를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의 LM 블록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610)과 복수의 보조 이송관(620)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연질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팅 부재(F)가 상기 캐리어(3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캐리어(300)의 전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구동부 측으로 윤활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D-D'면을 따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D-D'면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내부 유로, 제 3 내부 유로 및 제 2 이송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13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은, 상기 캐리어(300)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주입구(530) 및 제 4 주입구(540)를 포함하는 주입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의 상기 캐리어(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유로로써, 제 2 내부 유로(360) 및 제 3 내부 유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300)의 양측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평부(130)를 향해 직립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연장부(380)와, 상기 측방 연장부(38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용공간(110)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390)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부 유로(360)는 상기 측방 연장부(380) 내부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 3 내부 유로(370)는, 상기 중심 연장부(390) 내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내부 유로(350)는, 일단이 상기 제 4 주입구(540)와 연결되며, 상기 제 4 주입구(540)를 통해 주입된 윤활제가 이송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부 유로(350)는 상기 제 4 주입구(540)와 연결되며, 일부 구간이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내부 유로(370)는 상기 제 2 내부 유로(360)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 2 이송 조립체(700)에 의해 상기 제 2 내부 유로(35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700)는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 및 피팅 부재(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은 상기 제 2 내부 유로(360)와 연결되며,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은 일단이 상기 제 3 내부 유로(370)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구동부(400)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은 상기 제 2 내부 유로 (360)의 출구 및 상기 제 2 내부 유로(360)와 소정거리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는 제 3 내부 유로(370)의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은 상기 제 3 내부 유로(370)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 4 주입구(540)로부터 주입되는 윤활제를 유동시킬 수 있는 유동 경로가 확장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 부재(F)의 경우, 상기 캐리어(300)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과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 구조를 보유함으로써,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700)를 통한 윤활제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팅 부재(F),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1000)에 대한 유지 보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 측을 향해 윤활제를 주입하는 제 2 이송 조립체(700)가 확장된 유동 경로를 보유함으로써, 상기 유동 경로의 급격한 변곡점이 최소화됨에 따라, 상기 윤활제의 공급을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은 상기 캐리어(300)의 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의 노출을 최소화 하여, 본 발명의 리니어 가이드 모션의 구동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의 파손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과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은 구동 스크류와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과 상기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과, 제 2 구동부측 이송관(720)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연질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 부재(F)가 상기 캐리어(3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캐리어의 전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 1 이송 조립체(600)의 피팅 부재가 상기 캐리어(300)의 전단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700)의 피팅 부재는 상기 캐리어(30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전단 및 후단에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LM 가이드 조립체(300) 측과 구동부(400) 측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측 이송관(710)은 상기 구동부(400)의 스크류 지지체(420)가 상기 캐리어(3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크류 지지체와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30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100 : 베이스부
110 : 수용 공간
120 : 개방부
130 : 수평부
200 : LM 가이드 조립체
210 : LM 레일
220 : LM 블록
300 : 캐리어
310 : 제 1 메인 유로
320 : 제 1 분기 유로
330 : 제 2 메인 유로
340 : 제 2 분기 유로
350 : 제 1 내부 유로
360 : 제 2 내부 유로
370 : 제 3 내부 유로
380 : 하방 연장부
390 : 중심 연장부
400 : 구동부
410 : 구동 스크류
420 : 스크류 지지체
500 : 주입부
510 : 제 1 주입구
520 : 제 2 주입구
530 : 제 3 주입구
540 : 제 4 주입구
600 : 제 1 이송 조립체
610 :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
620 : 보조 이송관
700 : 제 2 이송 조립체
710 : 제 1 구동부측 이송관
720 : 제 2 구동부측 이송관
800 : 커버부
S : 세트 스크류
H : 내부 유로 생성 홀
F : 피팅 부재
O : 씰링 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 공간에 안착되는 LM 가이드 조립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 및
    복수개의 상기 내부 유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측 또는 구동부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윤활제를 주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노출면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윤활제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외부 노출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1 주입구에서부터 상기 캐리어의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 1 메인 유로; 및
    상기 제 1 메인 유로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1 메인 유로의 윤활제가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로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 측을 향하여 상기 캐리어 내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2 주입구에서부터 상기 캐리어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부 절곡된 형상을 보유하는 제 2 메인 유로; 및
    상기 제 2 메인 유로의 일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구동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내부 유로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세트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캐리어 내부에 제 1 내부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LM 가이드 조립체 측과 연결되면서, 상기 캐리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이송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제 1 내부 유로의 타단과 연결되는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조립체측 이송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LM 가이드 조립체 측으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캐리어의 일측방에 형성되며, 윤활제가 주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4 주입구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을 보유한 제 2 내부유로; 및
    상기 제 2 내부 유로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캐리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측으로 상기 윤활제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2 이송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는,
    상기 제 2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제 1 구동부측 이송관; 및
    일단이 상기 제 3 내부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 측으로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 구동부측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캐리어의 가로폭보다 좁은 면적으로 개방된 개방부;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방향을 일부 커버하는 수평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의 양측이 상기 수평부를 향해 직립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연장부;
    상기 측방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부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상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중심 연장부;
    상기 측방 연장부 내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 2 내부 유로; 및
    상기 중심 연장부 내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제 3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1020200003449A 2020-01-10 2020-01-10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10211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449A KR102114799B1 (ko) 2020-01-10 2020-01-10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449A KR102114799B1 (ko) 2020-01-10 2020-01-10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799B1 true KR102114799B1 (ko) 2020-05-25

Family

ID=7091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449A KR102114799B1 (ko) 2020-01-10 2020-01-10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29B1 (ko) * 2022-03-31 2022-11-16 주식회사아이로보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102520335B1 (ko) 2022-10-04 2023-04-11 디씨티 주식회사 무빙마그넷타입 이송시스템의 연결단에 사용되는 직선볼베어링 가이드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037A (ja) * 2012-01-16 2013-07-25 Iai:Kk 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037A (ja) * 2012-01-16 2013-07-25 Iai:Kk 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29B1 (ko) * 2022-03-31 2022-11-16 주식회사아이로보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102520335B1 (ko) 2022-10-04 2023-04-11 디씨티 주식회사 무빙마그넷타입 이송시스템의 연결단에 사용되는 직선볼베어링 가이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799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101356322B1 (ko) 운동 안내 장치, 운동 안내 장치용 윤활 경로 부품 및 운동 안내 장치의 윤활제 공급 방법
JP2563429Y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の潤滑装置
US20150219160A1 (en) End Cap, and Linear Guide Device Including the End Cap
US8479607B2 (en) Work transfer apparatus
US20060204151A1 (en) Lubrication device for linear slide guide
CN104350245B (zh) 发动机的润滑油供给机构
KR102160822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및 향상된 윤활제 주입 편의성을 보유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CN100570175C (zh) 液压操作的张紧系统
WO2019130878A1 (ja) 駆動力伝達装置
CN210850338U (zh) 一种桁架机器人的横梁润滑系统
KR102010258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
JP5721769B2 (ja) 転がり案内装置
KR101850773B1 (ko) 크랭크 샤프트 밀링 머신
KR20200053249A (ko) 윤활유 유출구가 구비된 lm가이드 레일
JP2015218882A (ja) 転がり案内装置
CN109296638B (zh) 线性滑台及具有其的线性模组
JP6015812B2 (ja) 直動案内装置
KR102467929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유닛
KR20230031120A (ko) 소형 직교 로봇
JP6567011B2 (ja) リニアモジュールの油路調整装置
US11624401B2 (en) Linear motion device
KR20190044412A (ko) 그리스 주입용 유니버설 포트를 구비한 전동 드라이브
JP2573452B2 (ja)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
KR20090106857A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