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303B1 -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 Google Patents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303B1
KR102114303B1 KR1020180168217A KR20180168217A KR102114303B1 KR 102114303 B1 KR102114303 B1 KR 102114303B1 KR 1020180168217 A KR1020180168217 A KR 1020180168217A KR 20180168217 A KR20180168217 A KR 20180168217A KR 102114303 B1 KR102114303 B1 KR 10211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fixed shaft
photographing
securit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김재훈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카메라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촬영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 및 촬영부와 함께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SECURITY CAMERA INCLUD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포함하는 방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 드론(Drone)은 군사용으로 사용되었다. 이후에 드론은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과 조작의 용이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방송 뿐 아니라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 산불진화 또는 농약 살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드론과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87893호(2016.01.18. 등록)에는 드론 보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35401호(2015.07.02. 등록)에는 드론 방식의 구명장비 투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87893호 (2016.01.18.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35401호 (2015.07.02. 등록)
기존의 방범 카메라는 촬영 방향의 전환을 위한 다수의 전자/기계적 구성(예컨대 로봇암 또는 다수의 스텝 모터 등)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구성들까지도 추가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들을 채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범 카메라는 촬영 방향의 전환시 각도 면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방범 카메라에서 채용하고 있는 전술한 전자/기계적 구성 및 제어 구성들을 채용하지 않고도 촬영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카메라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촬영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 및 촬영부와 함께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범 카메라는 상기 고정축과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회전익 및 상기 회전익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촬영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는 범위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求)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력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최대값이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최소값과 상기 최대값 사이에서 소정의 주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방범 카메라가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전자/기계적 구성(예컨대 로봇암 또는 다수의 스텝 모터 등) 없이도, 고정축, 결합부 및 구동부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방범 카메라의 촬영 방향 전환을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부의 방향 전환 과정에서 촬영부의 촬영 방향에 대한 제어는 결합부와 고정축 간의 결합력에 대한 제어를 통해 보다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카메라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 가능한 방법 카메라의 움직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제공하는 구동력의 크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카메라(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카메라(100)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방범 카메라(100)는 몸체부(110), 구동부(120), 구동부 암(121), 촬영부(130), 결합부(140), 고정축(150), 제어부(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방범 카메라(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방범 카메라(1000)의 구성이 도 1과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몸체부(110)는 방범 카메라(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각 구성요소들과 결합되고, 각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10)에는 구동부(120), 구동부 암(121), 촬영부(130), 결합부(140), 고정축(150), 제어부(160) 및 전원부(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구동부(120)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120)는 몸체부(110)에서 연장되는 구동부 암(121)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회전익으로 구성된다. 회전익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력(추진력 또는 추력)을 발생시키고, 몸체부(110) 등은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일반적인 드론에서 채용하는, 드론의 비행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촬영부(130)는 방범 카메라(10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촬영된 영상은 방범을 위해, 즉 주변 감시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촬영부(130)는 몸체부(110)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10)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면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 또한 그에 따라 고정된다. 반면, 몸체부(110)가 회전하거나 움직이면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 또한 몸체부(110)와 같이 회전하거나 움직이게 된다.
고정축(150)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축(150)을 통해 방범 카메라(10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고정축(150)의 단부는 볼(ball)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결합부(140)는 고정축(1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140)는 웨지(wedge)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140)와 고정축(150)이 결합되는 사이의 공간에는 베어링부가 배치 내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40)는 고정축(15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일정 범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또는 고정축(15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60)는 결합부(140)와 고정축(150) 간의 결합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결합부(140)는 몸체부(110)에 연결된다. 몸체부(110)에 연결된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움직이면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에 연결된 다른 구성들, 예컨대 촬영부(130), 제어부(160) 및 전원부(170) 등도 함께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반면,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고정되면,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에 연결된 전술한 구성들 또한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이하에서 설명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6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구동부(120)가 제공 내지 생성해야 할 구동력을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촬영 방향이 정해지면 촬영부(130)가 해당 촬영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결합부(140)가 현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여야 할 각도 등을 연산한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이렇게 연산된 결과에 따라 구동부(120)가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결합부(140)와 고정축(150) 간의 결합력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동안 결합부(140)와 고정축(150) 간의 결합력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170)는 각각의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전원부(170)는 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구동부(120), 촬영부(130), 결합부(140), 또는 제어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방범 카메라(100)의 구성들의 작용 내지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고정축(150)에 의해 고정된 방범 카메라(100)는 이에 포함된 촬영부(130)를 통해서 주변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방범 등을 위한 것이다.
이 때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부(130)는 연직 하방을 촬영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촬영부(130)가 연직 하방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방향을 촬영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30)가 촬영하는 방향을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결합부(140)와 고정축(150) 간의 결합력이 최대값이 되어야 한다. 예컨대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을 움켜쥐는 힘이 최대값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결합부(140)를 제어하여서, 결합부(140)와 고정축 간의 결합력이 최대값이 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 경우에는 구동부(120)는 구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서 구동부(120)가 구동력을 제공하지 않게 한다.
이와 달리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현재 촬영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결합부(140)가 고정축(150)을 움켜쥐는 힘이 최소값이 되거나 또는 최대값에서 최소값이 되었다가 다시 최대값으로 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40)의 고정축(150)에 대한 결합력은 t0 이전,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최대값을 갖는다. 이 후 t0부터 t1 사이,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초반에는 결합력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이 되었다가 다시 최대값이 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 후 t1부터 t2 사이,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중반에는 결합력이 최소값이 된다. 이 후 t2부터 t3 사이,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후반에는 결합력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이 되었다가 다시 최대값이 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t3 이후,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 변경이 완료된 이후에는 결합력이 최대값을 갖는다.
이렇게 결합력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 전환이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초반에는 결합력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경되므로, 몸체부(110)나 구동부(120) 등의 무게로 인해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의도치 않게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중반에는 이미 몸체부(110) 등에는 관성력이 생겼으므로 그 방향이 의도치 않게 급격하게 변하지 않게 되고 또한 결합력이 최소값이 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시점의 후반에는 결합력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경되므로, 자연스럽게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변경되는 정도(또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은 구동부(120)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고정축(150)에 결합된 결합부(140)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하는 구(求)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방범 카메라가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전자/기계적 구성(예컨대 로봇암 또는 다수의 스텝 모터 등) 없이도, 고정축, 결합부 및 구동부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방범 카메라의 촬영 방향 전환을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방향 전환 과정에서 촬영부의 촬영 방향은 결합부와 고정축 간의 결합력에 대한 제어를 통해 보다 부드럽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부(120)는 일정한 크기의 구동력을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120)가 생성 및 제공하는 구동력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에 비해 도 5의 왼쪽에는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연직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틀어지고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촬영 방향이 틀어지기 위해서 구동부(1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력을 생성 및 제공해야 한다. 이 때 구동부(120)가 제공하는 구동력은 구동부(120) 자체의 무게 뿐 아니라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 등의 무게까지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도 5의 오른쪽에는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소정의 각도에서 연직 하방을 향해 틀어지고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촬영 방향이 틀어지기 위해서 구동부(1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력을 생성 및 제공해야 한다. 이 때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는 자신들의 무게에 의해 연직 하방을 향해 방향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구동부(120)가 제공하는 구동력은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의 총 무게를 차감한 뒤에 이들을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만 생성 및 제공되면 된다.
즉,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따라 구동부(120)가 제공 내지 생성해야 하는 구동력의 크기가 상이해진다. 이렇게 구동력이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부(160)는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60)에는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 등에 대한 무게가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어떤 방향에서 어떤 방향으로 변경되는지에 대한 각 경우마다 얼마만큼의 구동력이 필요한지가 이렇게 저장된 무게를 반영하여서 미리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연직 하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연직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면, 제어부(160)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서, 이러한 구동부(120)가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 등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구동력을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이 연직 상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연직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면, 제어부(160)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서, 이러한 구동부(120)가 몸체부(110), 촬영부(130) 및 결합부(140) 등의 무게를 차감한 뒤에 이들을 이동시킬 수 있을큼만 구동력을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30)의 촬영 방향의 변화되는 양상에 따라 구동부가 생성 및 제공하는 구동력의 크기가 상이해진다. 이를 통해 방범 카메라의 소비 전력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고정축과 결합부, 그리고 일반적으로 드론에 사용되는 구동부를 이용해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즉, 기존의 방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필요했던 다수의 전자/기계적 구성 등이 불필요하다. 아울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정밀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범 카메라

Claims (5)

  1. 소정의 위치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촬영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 및 촬영부와 함께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제1 주기, 제2 주기 및 제3 주기를 포함하는 지정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촬영부의 촬영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기에는 상기 고정축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력이 최대값에서부터 최소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최대 값으로 다시 변경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주기 이후 상기 제2 주기에는 상기 결합력이 상기 최소값이 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주기 이후 상기 제3 주기에는 상기 결합력이 상기 최대값에서부터 상기 최소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최대 값으로 다시 변경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카메라는,
    상기 고정축과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익 및 상기 회전익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촬영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는 범위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求)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력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최대값이되는
    방범 카메라.
KR1020180168217A 2018-12-24 2018-12-24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KR10211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17A KR102114303B1 (ko) 2018-12-24 2018-12-24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17A KR102114303B1 (ko) 2018-12-24 2018-12-24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303B1 true KR102114303B1 (ko) 2020-05-22

Family

ID=7091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217A KR102114303B1 (ko) 2018-12-24 2018-12-24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3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329A (ko) * 2006-12-14 2008-01-09 주식회사 세교시스텍 감시카메라 조립체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KR101587893B1 (ko) 2015-10-26 2016-01-22 삼우주식회사 드론 보트
KR20160095534A (ko) * 2015-02-03 2016-08-11 (주)대호아이앤에스티 팬틸트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329A (ko) * 2006-12-14 2008-01-09 주식회사 세교시스텍 감시카메라 조립체
KR20160095534A (ko) * 2015-02-03 2016-08-11 (주)대호아이앤에스티 팬틸트 카메라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KR101587893B1 (ko) 2015-10-26 2016-01-22 삼우주식회사 드론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760B2 (en) Carri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JP6268657B2 (ja) 支持機構及びシステム
US11542000B2 (en) Flight control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545392B2 (en) Gimb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071034B (zh) 切换云台工作模式的方法、控制器和图像增稳设备
US20160330363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CN111213002B (zh) 一种云台控制方法、设备、云台、系统及存储介质
EP3139239A1 (en) Control apparatus, cradle head using same, and cradle head control method
US11193625B2 (en) Active stabilisation system
US20200387173A1 (en) Fligh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521777B (zh) 云台的控制方法、云台以及无人飞行器
JP6696118B2 (ja) 電子機器
CN112650267A (zh) 一种对飞行器的飞行控制方法、装置及飞行器
WO2020133410A1 (zh) 一种拍摄方法及装置
WO2016112707A1 (zh) 一种带有摄像装置的终端设备
KR102114303B1 (ko) 드론을 포함하는 방범 카메라
WO2021168821A1 (zh) 可移动平台的控制方法和设备
JP2002311498A (ja) 特撮用の撮影手段及びその支持装置
CN110291013B (zh) 云台的控制方法、云台及无人飞行器
WO2020243278A1 (en) Selfie aerial camera device
KR102329393B1 (ko) 드론용 vr 카메라의 기계식 자세 유지 장치
CN111977007A (zh) 云台、拍摄设备和无人飞行器
KR102149985B1 (ko) 드론 선풍기
KR20170087268A (ko)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KR102225045B1 (ko) 카메라의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수중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