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192B1 -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 Google Patents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192B1
KR102113192B1 KR1020190110411A KR20190110411A KR102113192B1 KR 102113192 B1 KR102113192 B1 KR 102113192B1 KR 1020190110411 A KR1020190110411 A KR 1020190110411A KR 20190110411 A KR20190110411 A KR 20190110411A KR 102113192 B1 KR102113192 B1 KR 10211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ain support
strength
shelf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Priority to KR102019011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을 준비하는 메인 지지판 준비단계; 상기 메인 지지판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가공해서 상기 메인 지지판이 중앙판부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로 구획되게 하는 메인 지지판 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메인 지지판의 중앙판부에 강도 유지를 위한 제1 강도 유지재를 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제1 강도 유지재 부착단계; 상기 제1 강도 유지재 상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된 제1 섬유판 모듈을 부착시키는 제1 섬유판 모듈 부착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축으로 해서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가 상기 중앙판부에 교차하게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를 접는 접철 날개부 접는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Shelf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shelf panel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이동 시 분해 또는 절첩해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조립식 가구가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다.
조립식 가구는 조립과 분해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위치에서 구성부재들을 서로 체결하여 원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분해 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성부재들이 작은 크기의 여러 조각으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대다수의 선반용 패널은 물건을 올려두는 부분으로써, 유리나 혹은 원목으로 적용된다.
물론, 최근에는 원목 대신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유리가 아닌 이상 원목이나 고밀도 혹은 중밀도 섬유판으로 선반용 패널을 적용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선반용 패널이 휘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밀도 혹은 중밀도 섬유판(이하, 섬유판이라 함)에 별도의 철판을 덧대어 선반용 패널을 제조한 후,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처럼 섬유판에 철판을 덧대는 작업은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작업이라서 작업공수도 많이 떨어지며, 특히 철판이 섬유판을 둘러싸는 형태라서 철판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뿐더러 재료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6938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142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03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31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을 준비하는 메인 지지판 준비단계; 상기 메인 지지판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가공해서 상기 메인 지지판이 중앙판부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로 구획되게 하는 메인 지지판 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메인 지지판의 중앙판부에 강도 유지를 위한 제1 강도 유지재를 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제1 강도 유지재 부착단계; 상기 제1 강도 유지재 상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된 제1 섬유판 모듈을 부착시키는 제1 섬유판 모듈 부착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축으로 해서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가 상기 중앙판부에 교차하게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를 접는 접철 날개부 접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강도 유지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와, 상기 제1 섬유판 모듈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서브 지지판을 상기 메인 지지판의 개구부에 부착시키는 서브 지지판 부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서브 지지판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룰 수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단부에 커팅 에지부가 가공되고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가 가공되어 중앙판부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가 상기 중앙판부에 교차하게 접혀 마련되는 메인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중앙판부에 강도 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제1 강도 유지재;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1 강도 유지재 상에 부착되는 제1 섬유판 모듈; 및 상기 제1 강도 유지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와, 상기 제1 섬유판 모듈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이 부착되어 일체화되되 상기 메인 지지판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서브 지지판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메인 골격을 이루는 플러시 구조용 심재; 상기 플러시 구조용 심재의 내벽에 휨 방지를 위해 마련되는 휨 방지 철판부재; 상기 플러시 구조용 심재의 양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마감용 판재; 및 상기 플러시 구조용 심재와 상기 한 쌍의 마감용 판재의 외벽 에지에 마감 처리되는 에지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1)은 플러시(flush) 구조용 심재(10)와,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양면에 접착되는 마감용 판재(20,30)를 포함한다.
플러시 구조용 심재(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1)의 메인 골격을 이룬다. 따라서, 플러시 구조용 심재(10)는 일정한 두께의 구조물, 예컨대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강도는 높이면서 플러시 구조용 심재(10)로 인한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기 위해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중앙 부분은 비어있는 공간을 이룬다.
다만, 이처럼 중앙을 비워둘 경우, 다소 강도가 약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내벽에는 휨 방지를 위한 휨 방지 철판부재(40)가 개재된다. 휨 방지 철판부재(40)는 금속 재질이며,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내벽에 본딩 혹은 볼팅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마감용 판재(20,30)는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양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플러시 구조용 심재(10)를 가리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1)의 외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마감용 판재(20,30)는 위치만 상이할 뿐 그 구조와 물성, 재질은 모두 동일하다. 즉 마감용 판재(20,30)는 통상의 합판류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원목 합판을 포함해서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마감용 판재(20,30)가 플러시 구조용 심재(10)의 양면에 접착되는 경우, 에지(edge) 부분의 마감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1)의 에지 부분에 에지 마감부(50)가 형성된다. 에지 마감부(50)는 도장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플러시 구조용 심재(10)를 준비하고 그 내벽에 휨 방지 철판부재(40)를 개재한 후, 양면에 마감용 판재(20,30)를 부착하고, 에지에 에지 마감부(50)를 처리함으로써 하나의 선반용 패널(1)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럴 경우,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반용 패널(100)은 메인 지지판(110)과 서브 지지판(140)의 조립 구조를 이룬다. 메인 지지판(110)과 서브 지지판(140)은 철판 혹은 플라스틱판일 수 있다.
메인 지지판(110)의 단부에는 커팅 에지부(111)가 가공된다. 그리고, 그 중앙 영역에는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가 가공된다. 특히,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에 의해 메인 지지판(110)이 중앙판부(113)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메인 지지판(110)은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가 중앙판부(113)에 교차하게 접혀 마련된다.
메인 지지판(110)의 중앙판부(113)에는 강도 유지를 위해 제1 강도 유지재(120)가 마련된다.
그리고,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적용된 제1 섬유판 모듈(130)이 제1 강도 유지재(120) 상에 부착된다.
서브 지지판(140)은 제1 강도 유지재(120)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150)와, 제1 섬유판 모듈(130)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160)이 부착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서브 지지판(140)은 메인 지지판(110)의 개구부에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선반용 패널(100)을 이룬다. 이때, 메인 지지판(110)과 서브 지지판(140)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안정적인 결합을 끌어낼 수 있다.
이하, 선반용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메인 지지판 준비단계(S11), 메인 지지판 가공단계(S12), 제1 강도 유지재 부착단계(S13), 제1 섬유판 모듈 부착단계(S14), 접철 날개부 접는단계(S15) 및 서브 지지판 부착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판 준비단계(S1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110)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부위별 가공을 해야 해서 메인 지지판(110)은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메인 지지판 가공단계(S12)는 메인 지지판(110)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111)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가공해서 메인 지지판(110)이 중앙판부(113)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로 구획되게 하는 과정이다.
제1 강도 유지재 부착단계(S13)는 가공된 메인 지지판(110)의 중앙판부(113)에 강도 유지를 위한 제1 강도 유지재(120)를 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과정이다. 부착 시 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섬유판 모듈 부착단계(S14)는 제1 강도 유지재(120) 상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된 제1 섬유판 모듈(130)을 부착시키는 과정이다. 이의 부착 역시, 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접철 날개부 접는단계(S15)는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축으로 해서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가 중앙판부(113)에 교차하게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를 접는 과정이다.
서브 지지판 부착단계(S16)는 제1 강도 유지재(120)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150)와, 제1 섬유판 모듈(130)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160)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서브 지지판(140)을 메인 지지판(110)의 개구부에 부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메인 지지판(110)과 서브 지지판(140)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선반용 패널(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처럼 메인 지지판(110)을 준비한다. 즉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110)을 준비한다. 부위별 가공을 해야 해서 메인 지지판(110)은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3처럼 메인 지지판(110)을 가공한다. 이때는 메인 지지판(110)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111)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가공해서 메인 지지판(110)이 중앙판부(113)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로 구획되게 한다.
다음, 도 4처럼 가공된 메인 지지판(110)의 중앙판부(113)에 강도 유지를 위한 제1 강도 유지재(120)를 부착시켜 일체화시킨다. 부착 시 본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도 5처럼 제1 강도 유지재(120) 상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된 제1 섬유판 모듈(130)을 부착시킨다. 이때 역시, 본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도 6처럼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축으로 해서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가 중앙판부(113)에 교차하게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를 접는다.
그런 다음, 도 7처럼 제1 강도 유지재(120)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150)와, 제1 섬유판 모듈(130)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160)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서브 지지판(140)을 메인 지지판(110)의 개구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선반용 패널(100)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를 부연 설명한다.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를 중앙판부(113)에 교차하게 접어 사용하기 때문에 벤딩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견고한 구조가 가능해진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일정한 두께를 제공하면서도 재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철판으로 된 제1 및 제2 강도 유지재(120,150)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라서 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플로를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지지판(210)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좀 더 길어 전술한 실시예의 서브 지지판(140)이 메인 지지판(210)에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있다.
선반용 패널(2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9처럼 메인 지지판(210)을 준비한다. 즉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210)을 준비한다. 부위별 가공을 해야 해서 메인 지지판(210)은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10처럼 메인 지지판(210)을 가공한다. 이때는 메인 지지판(210)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111)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가공해서 메인 지지판(210)이 중앙판부(113)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 그리고 에지판부(115)로 구획되게 한다.
다음, 도 11처럼 가공된 메인 지지판(210)의 중앙판부(113)와 에지판부(115) 상에 강도 유지재(120)와 섬유판 모듈(130)을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도 12처럼 복수의 절곡용 홈부(112)를 축으로 해서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가 중앙판부(113)에 교차하게 한 쌍의 접철 날개부(114)를 접는 한편, 에지판부(115)를 추가로 접고, 개방된 부위를 본딩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선반용 패널(200)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원하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로 제조되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반용 패널 110 : 메인 지지판
111 : 커팅 에지부 112 : 절곡용 홈부
113 : 중앙판부 114 : 접철 날개부
120 : 제1 강도 유지재 130 : 제1 섬유판 모듈
140 : 서브 지지판 150 : 제2 강도 유지재
160 : 제2 섬유판 모듈

Claims (7)

  1.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인 지지판을 준비하는 메인 지지판 준비단계;
    상기 메인 지지판의 단부에 커팅 에지부를 가공함과 더불어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가공해서 상기 메인 지지판이 중앙판부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로 구획되게 하는 메인 지지판 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메인 지지판의 중앙판부에 강도 유지를 위한 제1 강도 유지재를 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제1 강도 유지재 부착단계;
    상기 제1 강도 유지재 상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된 제1 섬유판 모듈을 부착시키는 제1 섬유판 모듈 부착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절곡용 홈부를 축으로 해서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가 상기 중앙판부에 교차하게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를 접는 접철 날개부 접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유지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와, 상기 제1 섬유판 모듈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이 부착되어 일체화된 서브 지지판을 상기 메인 지지판의 개구부에 부착시키는 서브 지지판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서브 지지판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4. 제1항의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5. 단부에 커팅 에지부가 가공되고 중앙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45도 각도로 된 복수의 절곡용 홈부가 가공되어 중앙판부와 한 쌍의 접철 날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접철 날개부가 상기 중앙판부에 교차하게 접혀 마련되는 메인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중앙판부에 강도 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제1 강도 유지재;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이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1 강도 유지재 상에 부착되는 제1 섬유판 모듈; 및
    상기 제1 강도 유지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강도 유지재와, 상기 제1 섬유판 모듈과 같은 기능을 하는 제2 섬유판 모듈이 부착되어 일체화되되 상기 메인 지지판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서브 지지판의 맞닿는 부위의 각도가 45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패널.
  7. 삭제
KR1020190110411A 2019-09-06 2019-09-06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KR10211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11A KR102113192B1 (ko) 2019-09-06 2019-09-06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11A KR102113192B1 (ko) 2019-09-06 2019-09-06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92B1 true KR102113192B1 (ko) 2020-05-20

Family

ID=7091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11A KR102113192B1 (ko) 2019-09-06 2019-09-06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587A (ja) * 1998-08-27 2000-02-29 Nichiha Corp 押入れ用棚板及びその梱包方法
JP5443850B2 (ja) * 2009-06-29 2014-03-19 光洋産業株式会社 軽量棚板及びこの棚板に用いられる木質芯材
JP2016069919A (ja) * 2014-09-30 2016-05-09 大建工業株式会社 反り防止用芯材、パネル体、ドア及びドア装置
KR200485330Y1 (ko) * 2015-07-03 2017-12-22 임우창 가구용 문 조립체
KR101819934B1 (ko) * 2017-07-10 2018-01-18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587A (ja) * 1998-08-27 2000-02-29 Nichiha Corp 押入れ用棚板及びその梱包方法
JP5443850B2 (ja) * 2009-06-29 2014-03-19 光洋産業株式会社 軽量棚板及びこの棚板に用いられる木質芯材
JP2016069919A (ja) * 2014-09-30 2016-05-09 大建工業株式会社 反り防止用芯材、パネル体、ドア及びドア装置
KR200485330Y1 (ko) * 2015-07-03 2017-12-22 임우창 가구용 문 조립체
KR101819934B1 (ko) * 2017-07-10 2018-01-18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214B2 (en) Modular furniture with distributed pressure panel joint
US20200146444A1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articles
KR102113192B1 (ko)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US7210416B1 (en) Finished flatnose-edg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CN111593855A (zh) 一种墙板转角无缝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20170106726A (ko) 무늬목 가구의 곡면 모서리 구조와 그 제조방법
US7197991B1 (en) Bullnose-edg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RU207910U1 (ru) Мобильная кабина
CN206987114U (zh) 一种建筑墙面组合装置
US20080168744A1 (en) Composite Door Components
CN201879126U (zh) 纸合板组合家具
EP3089645A1 (en) A door assembly for a dishwashing machine, and dishwashing machine
KR100810608B1 (ko) 종이가구조립키트, 종이가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 조립방법 및 종이가구조립방법
JP3116058U (ja) エコ紙板彎曲構造
JP6273569B2 (ja) 建築用パネル材
CN109707711A (zh) 实木底框和实木底脚防开裂拼装结构
CN215532955U (zh) 一种浴室柜的台面包边结构
KR200375160Y1 (ko) 가구 조립용 판넬
KR100569159B1 (ko) 음향반사판용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7988388U (zh) 定型组件
CN215409628U (zh) 一种置物架连接件
CN213786308U (zh) 全皮表面结构皮革层板
KR200325367Y1 (ko) 고강도 엠디에프 책상
CN214220418U (zh) 一种具有组合加固功能的模块式型条安装结构
CN100555407C (zh) 诸如钢琴琴体的侧板的乐器组成部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