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934B1 - 가구용 판재 - Google Patents

가구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34B1
KR101819934B1 KR1020170087180A KR20170087180A KR101819934B1 KR 101819934 B1 KR101819934 B1 KR 101819934B1 KR 1020170087180 A KR1020170087180 A KR 1020170087180A KR 20170087180 A KR20170087180 A KR 20170087180A KR 101819934 B1 KR101819934 B1 KR 10181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rniture
frame member
wast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헌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170087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크고, 진동에너지를 흡수 제거가 용이하여 내진성이 증대되며, 친환경소재를 통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틀' 형상의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코어플레이트와; 상기 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고정되어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된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내부에 파여진 요부가 구비되도록 '반구형의 컵형상'으로 굴곡형성된 다수의 돌부가 형성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판재{Furniture panel}
본 발명은, 책상, 파티션, 책장, 사물함 등과 같은 가구를 구성하는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크고, 진동에너지를 흡수 제거가 용이하여 내진성이 증대되며, 친환경소재를 통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가구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판재는, 합성목재 또는, 원목 등의 목재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의 패널(panel)형상으로 절단 가공한 다음, 원목의 경우에는 그 표면을 연마하고 표면코팅제 등으로 코팅처리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합성목재의 경우에는 표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마감시트(그라비아 인쇄 또는 실크인쇄된 시트)를 부착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다음 표면코팅제 등으로 코팅처리함으로써 습기 등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목재를 주로 사용하는 가구는 재질적 특성상 습기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게 되며, 이러한 습기는 가구 내에 곰팡이나 좀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구용 패재로는 원목을 이용하는 것이 강도나 기타 여러 가지면에서 바람직하다 하겠으나, 원목 자체를 수입에 의존하여야 함에 따라 국익에 반할 뿐만 아니라 고가(高價)이고, 가공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합판, MDF 등과 같은 목재재질 또는 파티클보드로 구성되어 비교적 염가로 공급되고 있는 인조목이나 합성목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M.D.F는, 일명 중밀도 섬유 판으로, 섬유 판은 원목을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깎아 고온에서 화학약품처리 후 끊여 해섬하여 얻은 식물질원료인 리그노 셀루로이드 목재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처리한 섬유나 섬유 다발을 펄프 화한 다음 수지접착제로 성형 열압시켜 인공적으로 제조된다.
상기에서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는 나무를 으깨어서 생긴 파쇄편을 수지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 열압시켜 인공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상기 MDF(Medium density fiberboard,중밀도섬유판) 및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는, 모두 수지접착제가 목재 섬유질 또는 목재 파쇄편들을 상호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목재의 단점인 썩음, 뒤틀림, 휨 등에서 원목의 특성보다는 우수하다 할 수 있으나, 목재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고, 결합제로 사용되는 수지접착제에는 인체의 건강에 해로운 원인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생체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옥(玉)이나 맥반석, 또는 황토 분말 등이 첨가된 도료(塗料)를 패널 표면에 코팅하거나, 가구용 패널을 다층으로 적층시키되, 그 내부에 숯, 황토 등의 유해물질 차단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판재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50599호(명칭: 가구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2015.10.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패널은, 도토리 분쇄물을 함유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판재층과, 상기 판재층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되는 시트층과, 상기 시트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2-0007932호(명칭: 합판을 이용한 가구용 도어재/2012.09.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용 도어로 사용되는 도어재에 있어서; 중심재인 파티클보드; 상기 파티클 보드 양측면에 대칭되게 접착고정된 한 쌍이 낙엽송 합판; 상기 각 낙엽송 합판의 외측면에 도포된 수성페인트층; 상기 각 수성페인트층의 표면에 도포된 바니쉬층; 을 포함하는 층상구조로 이루어진 가구용 도어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23575호(명칭: 가구 인테리어 소재/2006.03.1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파티클 보드 또는 M.D.F 무기질보드의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한 금속박막을 적층시켜 주고, 이들을 공지된 메라민 화장판 제조법에 의해 견고하게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가구 인테리어 소재에 있어서, 금속박막의 후면에 증착되어 있는 파티클 보드 또는 M.D.F 무기질보드의 일부분을 남겨둔 상태로 절단시켜 절단점을 기점으로 하여 금속박막을 절곡하여 측면부분까지 금속박막이 구성되도록 구성한 가구인테리어 소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4952호(명칭: 표면 미장처리된 보강판을 장착한 가구용 문짝/2005.08.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용 문짝에 있어서, 상기 문짝은 보드와 상기 보드의 편평면 상에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부착될 박판(薄板)형상의 표면 미장처리된 금속재 보강판으로 덮어씌여진 가구용 문짝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50599호(2015.10.29.)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2-0007932호(2012.09.06.)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23575호(2006.03.14.) 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4952호(2005.08.3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판재들은, 내부에 공동(空洞:hole)이 형성되지 않아 무겁고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크고, 진동에너지를 흡수 제거가 용이하여 내진성이 증대되며, 친환경소재를 통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가구용 판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판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틀' 형상의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코어플레이트와; 상기 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고정되어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도록 된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내부에 파여진 요부가 구비되도록 '반구형의 컵형상'으로 굴곡형성된 다수의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판재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가벼우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 제거가 용이하여 내진성이 증대됨은 물론, 비틀림이 작고 내구성이 크고, 특히, 친환경소재를 통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가규용 판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는,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된 '틀' 형상의 틀부재(2)와; 상기 틀부재(2)의 관통공(21)에 설치되는 코어플레이트(3)와; 상기 틀부재(2)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고정되어 상기 관통공(21)을 폐쇄하도록 된 상판(4) 및 하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판(4)과 상기 하판(5) 및 상기 틀부재(2)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에 상기 코어플레이트(3)가 충진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벼우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 제거가 용이하여 내진성이 증대됨은 물론, 비틀림이 작고 중량에 비하여 내구성이 크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3)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표면에 내부에 파여진 요부가 구비되도록 '반구형의 컵형상'으로 굴곡형성된 다수의 돌부(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돌부(31)들에 의해 상기 상판(4)과 상기 하판(5) 및 상기 틀부재(3)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이 다수의 소공간들로 구획분할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 및 진동에너지에 대하여, 다수의 소공간의 내부에서 분할하여 수용한 상태에서 상쇄하도록 되어 있어, 내진성 및 내구성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틀부재(2)는, 폐목질과 폐플라스틱의 분쇄물에 선택적으로 열경화성 페놀수지를 함유시킨 혼합물을 주원료로 하여 상압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매트로 성형하고, 고압프레스를 사용하여 열압과 냉압공정을 통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재활용을 극대화시켜 원목수입 절감 및 원가 절감으로 경쟁력 강화를 실현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비용 또한 감소시키게 된다.
아울러 제조현장에서 유해가스나 또다른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품에서의 가스 유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제조작업환경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폐플라스틱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열압공정은, 온도 170 ~ 230℃, 압력 0 ~ 30 ㎏f/㎠에서 가압 및 해압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냉압공정은, 10 ~ 20℃의 온도에서 0 ~ 10 ㎏f/㎠의 압력으로 수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열압후 제품의 내부로부터 열압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로 인해 공극을 줄임으로서 제품을 균질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에서, 상기 상판(4) 및 하판(5)은, 목재를 주원료로 하여 난연성 수지조성물이 혼합된 혼합물로 성형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재는 원목, 합판, MDF 등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목재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나, 자원을 재활용하는 측면에서 MDF 또는 원목 폐자재로 만든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난연성 수지조성물은, VTMS-g-LLDPE(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methoxy Silane:VTMS)이 그라프트 되어 있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을 의미한다)와, VTMS-g-PIBSA(VTMS이 그라프트 되어 있는 폴리이소부틸렌숙시닉산 무수물(Polyisobnutylene Succinic Anhydride)을 의미한다)와,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혼합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주석산 아연, 주석산 몰리브덴, 탄산마그네슘,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적인,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APP), 멜라민포스페이트(MP),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PP) 등에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4) 및 하판(5)은, 목재 80~95 중량%와 난연성 수지조성물 5~20 중량%가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난연성 수지조성물은, VTMS-g-LLDPE 10중량%와; VTMS-g-PIBSA 8~15중량%와; 비할로겐계 난연제 75~8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3)는, 폐종이와 폐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폐종이가 5mm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된 폐종이칩과 상기 폐합성수지가 2mm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된 폐합성수지칩이 군일한 혼합비로 혼합된 상태에서 140∼220℃로 가열되어 폐종이칩이 고르게 분포된 채 폐합성수지가 액상으로 용융되면서 '판체' 형상으로 압출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는, 각각의 구성들이 폐자재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틀부재(2)와 상기 상판(4) 및 하판(5)은, 접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제는,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계열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에서, 상기 상판(4)과 하판(5) 및 상기 틀부재(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에는, 상기 코어플레이트(3)들이 서로 대칭구조를 형성하면서 대면하여 2중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4)과 하판(5) 및 상기 틀부재(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이 3층으로 다분할된 공기층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 및 진동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상쇄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는, 상기 코어플레이트(3)들이 서로 대칭구조를 형성하면서 대면하여 2중 적층구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3)들과 상기 상판(4) 및 하판(5)들의 사이공간들에는, 발포성합성수지(6)가 발포되어 충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발포성합성수지(6)에 의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 및 진동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상쇄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포성합성수지(6)는, 폴리에틸렌(PE)계열로 이루어지는 것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성이 전혀 없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진동과 소음을 완벽하게 완충 및 흡음시킬 뿐만 아니라 소각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판재(1)은, 상기 코어플레이트(3)에서 상기 돌부(31)들의 사이에는, 상기 돌부(31)들의 내측공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공간을 가지면서 리브형태로 돌출된 보강돌부(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돌부(32)를 통해 상기 코어플레이트(3)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보강하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 및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상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판재 2 : 틀부재
21 : 관통공 3 : 코어플레이트
31 : 돌부 32 : 보강돌부
4 : 상판 5 : 하판
6 : 발포성합성수지

Claims (1)

  1.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틀' 형상의 틀부재(2)와; 상기 틀부재(2)의 관통공(21)에 설치되는 코어플레이트(3)와; 상기 틀부재(2)의 상부와 하부에 적층고정되어 상기 관통공(21)을 폐쇄하도록 된 상판(4) 및 하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플레이트(3)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내부에 파여진 요부가 구비되도록 '반구형의 컵형상'으로 굴곡형성된 다수의 돌부(31)가 형성되는 가구용 판재(1)에 있어서;
    상기 틀부재(2)는,
    폐목질과 폐플라스틱의 분쇄물에 선택적으로 열경화성 페놀수지를 함유시킨 혼합물을 주원료로 하여 상압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매트로 성형하고, 고압프레스를 사용하여 열압과 냉압공정을 통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4) 및 하판(5)은,
    목재를 주원료로 하여 난연성 수지조성물이 혼합된 혼합물로 성형제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플레이트(3)는,
    폐종이와 폐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성형되되, 상기 폐종이가 5mm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된 폐종이칩과 상기 폐합성수지가 2mm이하의 크기로 잘게 분쇄된 폐합성수지칩이 군일한 혼합비로 혼합된 상태에서 140∼220℃로 가열되어 폐종이칩이 고르게 분포된 채 폐합성수지가 액상으로 용융되면서 '판체' 형상으로 압출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플레이트(3)는,
    복수 개가 서로 대칭구조를 형성하면서 대면하여 2중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플레이트(3)들과 상기 상판(4) 및 하판(5)들의 사이공간들에는,
    발포성합성수지(6)가 발포되어 충진되고;
    상기 코어플레이트(3)에서 상기 돌부(31)들의 사이에는,
    상기 돌부(31)들의 내측공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공간을 가지면서 리브형태로 돌출된 보강돌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KR1020170087180A 2017-07-10 2017-07-10 가구용 판재 KR10181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80A KR101819934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80A KR101819934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934B1 true KR101819934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80A KR101819934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92B1 (ko) * 2019-09-06 2020-05-20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KR102615942B1 (ko) 2023-09-15 2023-12-20 장명진 가구용 레진 플레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92B1 (ko) * 2019-09-06 2020-05-20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선반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선반용 패널
KR102615942B1 (ko) 2023-09-15 2023-12-20 장명진 가구용 레진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8578B2 (en) Functional cornstalk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102245407B1 (ko) 다중레이어 패널
KR101819934B1 (ko) 가구용 판재
CN103764404A (zh) 用于生产装饰墙、天花板或地板镶板的方法
RU2007113189A (ru)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ламинир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EP1060852B1 (en) Method for laminating woody fiberboard
AU9488298A (en) Bonding of solid lignocellulosic materials
KR100576493B1 (ko)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CN104768736A (zh) 具有振动性质的复合材料结构
KR102046887B1 (ko)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4171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0201875B1 (ko) 폐자원을 활용한 복합 판넬과 그 제조방법
WO2017211453A8 (en)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FROM RECYCLED AND RECYCLABLE MATERIALS
US20040032054A1 (en) Compression molded panels
JP3055315B2 (ja) 木質パネル材
KR101287304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인테리어 패널
KR20150048524A (ko) 벌크형 싱크대 상판용 복합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006883A (ja) 溝加工床材
EP0725882B1 (en) Door mainly intended as an outer door
EP2076649B1 (en) A do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or
KR102161856B1 (ko) 펄프-미네랄 광물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1594583B1 (ko) 가구용 경량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094861A (ja)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ボード
JP3101058U (ja) 造作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