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171B1 -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171B1
KR101534171B1 KR1020140136877A KR20140136877A KR101534171B1 KR 101534171 B1 KR101534171 B1 KR 101534171B1 KR 1020140136877 A KR1020140136877 A KR 1020140136877A KR 20140136877 A KR20140136877 A KR 20140136877A KR 101534171 B1 KR101534171 B1 KR 10153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mediate member
sandwich panel
metal
thermo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주) 네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오스텍 filed Critical (주) 네오스텍
Priority to KR102014013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e.g.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과, 상기 전,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과, 상기 전,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또는 금속 판재로 되며, 상기 중간재는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하되 전면판으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사용하고 중간재로서 금속재질의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후면에 금속 판재를 추가로 구성하여 습기 및 화재에의 취약성 역시 개선하고, 샌드위치 패널의 생산원가를 낮춰 다양한 분야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재로서 금속 재질의 지지체를 이용하고, 전면판으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이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변형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건축, 차체, 선박, 항공,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고기능성 경량재료로 적용되는 패널소재이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약 0.2~2mm 정도의 금속 판재과 금속 판재 사이에 중간재를 넣어 접착시켜 만들어지는데, 이때 사용되는 중간재는 구조적인 지지성능이 필요하므로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 강도를 필요로 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중간재로는 폴리우레탄 폼, 스티로폼과 같은 유기 섬유질 재료와 유리면, 암면과 같은 무기질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우레탄 폼, 스티로폼과 같은 유기질 재료는 구조적인 지지성능을 갖도록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기질 재료의 연소 특성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의 내화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활용성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반면에, 상기 유리면, 암면과 같은 무기 섬유질 재료는 난연성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도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압축강도가 낮아 중간재로서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길이방향으로 75~100mm 정도씩 절단하여 세워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 재료는 환경의 변화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 역시 있다.
최근에는 샌드위치 패널의 경량화와 고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금속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중간재가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소재의 중간재는 구조적인 또는 일정한 형태의 지지성능이 있는 지지체를 사용하고 있는바, 예를 들면 육각기둥 형상의 컵 모양으로 제작되는 허니콤 중간재나, 사각뿔 모양의 중간재 등이다. 이는 중간재의 구조적 강성을 이용하여 경량화 및 고강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중간재로는 마그네슘 소재나 알루미늄 소재의 허니콤 중간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바, 건축 내, 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소재의 중간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전, 후면판 역시 0.5mm 정도의 얇은 알루미늄 판재와 허니콤 또는 사각뿔 모양의 알루미늄 중간재를 사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중간재와 전, 후면판이 모두 불연성 소재이기 때문에 화재에 강하고, 습기에 강하여 건축 외장재 및 화장실 칸막이, 도어용으로서의 활용성이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표면이 단색으로서 디자인적인 한계가 있으며, 얇은 알루미늄 판재를 사용할 경우 허니콤 또는 사각뿔의 자국이 표면에 남아 건축자재로서 사용할 경우 그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2972호의 '허니콤 샌드위치 패널'이 제안되었는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자인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여 다양한 분야에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중간재의 사용 없이, 중질 섬유판(medium density fibreboard, MDF)과 멜라민 필름을 접착하여 가구용 등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패널의 경우 멜라민 필름의 다양성으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으나, 중질 섬유판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하고 습기로 인한 변형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512호의 '항균 효과가 높은 가구용 패널 제조방법과 그 가구용 패널'이 제안되었는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및 습기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멜라민 소재가 장식용 필름 형태로만 이용되고 구조재로서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332972 Y1 KR 10-1327512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재로서 금속 재질의 지지체를 사용하고 전면판으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사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금속 재질의 지지체를 통해 습기 및 화재에의 취약성을 보완하여 건축용 내, 외장재로서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이면에 박판의 금속 판재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박판의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사용하더라도 샌드위치 패널로서 요구되는 휨강도, 압축강도 및 기타 물리적 특성이 충족되어 샌드위치 패널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과, 상기 전,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또는 금속 판재로 되며, 상기 중간재는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재는 알루미늄 허니콤으로 되고,
상기 금속 판재는 알루미늄 판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재와 전면판 사이에 금속 판재가 추가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중간재와 후면판의 사이에도 금속 판재가 추가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 후면판 및 중간재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으로 되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1액형 접착제 및 2액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테두리에는 금속 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 또는 후면판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두께는 0.1~2mm이고, 상기 후면판으로 사용되는 금속 판재의 두께는 0.1~2mm이며, 상기 중간재의 두께는 2~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하되 전면판으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사용하고 중간재로서 금속재질의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후면에 금속 판재를 추가로 구성하여 습기 및 화재에의 취약성 역시 개선하고, 샌드위치 패널의 생산원가를 낮춰 다양한 분야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금속 프레임을 적용한 일부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5는 도 4에 알루미늄 프레임을 적용한 일부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건축용 내, 외장재로서 다양한 분야에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강성, 단열성, 난연성, 내습성 등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으로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금속 판재와 금속 재질의 중간재만으로 구성된 샌드위치 패널의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그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아울러, MDF 판재에 멜라민 필름을 붙여 사용하는 패널의 경우, 멜라민 소재의 특성상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MDF로 인해 화재 및 습기에 취약한 단점이 있고 유해물질 또한 발산되어 그 활용성이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내, 외장재로서 사용되는 패널이 갖는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화재 및 습기에의 취약성 또한 개선한 것이며, 제조단가 역시 낮춰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과, 상기 전,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후면판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또는 금속 판재로 되며, 상기 중간재는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부 절개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샌드위치 패널(A)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10)(30)과, 전, 후면판(10)(3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20)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판(10)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구성하고 후면판(30) 역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구성하며, 중간재(20)를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재(20)로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허니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은 일정한 두께를 지닌 육각기둥들이 패턴을 이루고 적층되어 있는 벌집 형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패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조적 특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중간재(20)로서 알루미늄 허니콤이 아닌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금속재질의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전, 후면판(10)(30)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은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UV 프린팅 등의 후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거나, UV 프린팅으로 후가공하여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패널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10) 및 후면판(30)을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경량성이 확보되며, 상기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 인해 압축강도, 휨강도 및 경량성을 확보하고, 화재 및 습기에의 취약성 역시 개선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 후면판(10)(30)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과 중간재(20)는 서로 접착제로서 접착되는데, 상기 접착제로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일액형 접착제나 이액형의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는 이미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에 열을 가하여 전, 후면판(10)(30)과 중간재(20)를 상호 접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 등을 통해 압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 후면판(10)(30)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두께는 0.1~2mm임이 바람직한바, 상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 습기에 장기간 노출되면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2mm를 초과할 경우 습기에 의한 휨 현상은 개선되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휨강도 및 제조단가를 고려하여 상기한 두께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재(20)의 두께는 2~100mm임이 바람직한바, 상기 중간재(20)의 두께가 2mm 미만일 경우 충분한 강도가 확보될 수 없고, 100mm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샌드위치 패널(A)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경량성 역시 저하되고,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샌드위치 패널(A)의 측면 테두리에는 금속 프레임(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금속 프레임(50)을 추가로 구비할 경우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A)은 더욱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 프레임(50)은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데,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태로서 샌드위치 패널(A)의 단부가 금속 프레임(50)의 'ㄷ'자 홈에 삽입되어 조립, 고정될 수도 있고, 납작한 바(bar) 형상으로 패널(A)이 삽입되지 않은 채로 그대로 접착제, 피스 및 리벳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면을 'ㄷ'자 형상으로 구성하되, 샌드위치 패널(A)의 측면이 맞닿는 면의 두께를 더 두껍게하고, 삽입되어 전, 후면판의 테두리에 맞닿는 면은 두께를 더 얇게 하여 금속 프레임(50)의 경량성 역시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 프레임(50)으로는 알루미늄, 철재, SUS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샌드위치 패널(A)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50)에 별도의 연결부재(접속 돌부 및 접속 홈부)를 마련하여 상기 샌드위치 패널(A)을 상호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상기 금속 프레임(50)이 패널(A)의 네 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좌, 우측에만 금속 프레임(50)이 구비되거나, 상, 하측에만 금속 프레임(50)이 구비되는 등 네 측면 모두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측면에 적용되는 금속 프레임(50)의 형태 역시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샌드위치 패널(A)의 전, 후면판(10)(30) 모두를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전면판(10)은 다양한 디자인을 위해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구성하고, 후면판(30)은 내구성, 내강도성(특히 흼강도 및 압축강도), 난연성 및 내습성을 위하여 금속 판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샌드위치 패널(A)의 일면(전면판)만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에는 디자인적 요소를 위해 전면판(10)만을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구성하고, 후면판(30)은 강성, 내화성 및 내습성 등의 특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금속 판재로 구성하는 것인바,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A)을 화장실용 칸막이, 화장실용 도어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후면판(30)을 금속 판재로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판재로는 알루미늄 판재, 철재 판재 및 SUS 판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량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알루미늄 판재를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는 0.1~2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 중간재(20)의 자국이 그대로 금속 판재에 남게 되며 물리적 특성 역시 개선됨이 미미하고, 2mm를 초과할 경우 경량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음은 물론, 제조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후면판(30)을 금속 판재로 구성할 경우 역시 측면에 금속 프레임(5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 후면판(10)(30) 및 중간재(20) 이외에 보강재로서 금속 판재(4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판재(40)로서도 알루미늄 판재, 철재 판재 및 SUS 판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재(20)와 전면판(10)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사이에 금속 판재(40)가 추가로 개재된다. 이러한 경우, 전면판(10)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통해 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후면에 위치된 금속 판재(40)를 통하여 화재 및 습기에의 취약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후면판(30) 역시 금속 판재로 구성하면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A)은 난연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은 물론, 습기에 의한 휨현상 역시 개선되어, 화장실용 도어, 화장실용 칸막이, 방화문용 알판 등으로의 사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전면판(10)과 후면판(30)을 모두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한 후, 상기 전면판(10)의 후면에 보강재로서 금속 판재(40)가 구비되도록 하고, 후면판(30)의 전면, 즉 후면판(30)과 중간재(20)의 사이에도 보강재로서 금속 판재(4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는 전면판(10)을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하고, 그 후면에 금속 판재(4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중간재(20)와 후면판(30)으로서 금속 판재가 차례로 위치되거나, 전면판(10)을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하고, 그 후면에 금속 판재(4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중간재(20), 금속 판재(40) 및 후면판(30)으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이 차례로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열경화성 수지화장판과 금속 판재(40), 중간재(20)와 후면판(30)은 서로 접착제로서 접착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접착제로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의 1액형 또는 2액형의 접착제 또는 필름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고, 압력을 가하여 압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금속 판재 및 중간재(20)의 두께 역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금속 판재의 두께는 0.1~2mm이고,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두께는 0.1~2mm이며, 중간재(20)의 두께는 2~100mm인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한 두께를 벗어날 경우 경량성, 내습성, 강도 및 난연성 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두께 범위 내에서 샌드위치 패널(A)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로서 사용되는 금속 판재(40) 역시 상기한 후면판(30)과 동일한 두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한 형태의 경우 역시 금속 프레임(50)을 측면에 추가로 구비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음은 당연한데, 샌드위치 패널(A)의 경량성을 위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50) 역시 그 두께를 0.5~2mm 정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샌드위치 패널(A)은 다양한 디자인의 확보가 가능하고, 화재 및 습기에의 취약성 역시 개선되며, 제조단가가 낮아 다양한 분야에의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개선된 내화성, 내습성 등으로 인해 방화문용 알판, 화장실용 도어, 화장실용 칸막이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전면판 20: 중간재 30: 후면판
40: 금속 판재 50: 금속 프레임

Claims (7)

  1.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는 전, 후면판과, 상기 전,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패널(A)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후면판(30)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또는 금속 판재로 되며, 상기 중간재(20)는 금속 재질의 지지체로 되고,
    상기 중간재(20)와 전면판(10) 사이에 금속 판재(40)가 개재되며,
    상기 전면판(10) 또는 후면판(30)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두께는 0.1~2mm이고, 상기 후면판(30)으로 사용되는 금속 판재의 두께는 0.1~2mm이며, 상기 중간재(20)의 두께는 2~100mm이고,
    상기 샌드위치 패널(A)의 테두리에는 금속 프레임(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20)는 알루미늄 허니콤으로 되고,
    상기 금속 판재는 알루미늄 판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30)은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으로 되고,
    상기 중간재(20)와 후면판(30)의 사이에도 금속 판재(40)가 추가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 후면판(30) 및 중간재(20)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으로 되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1액형 접착제 및 2액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6. 삭제
  7. 삭제
KR1020140136877A 2014-10-10 2014-10-10 샌드위치 패널 KR10153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77A KR101534171B1 (ko) 2014-10-10 2014-10-10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77A KR101534171B1 (ko) 2014-10-10 2014-10-10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171B1 true KR101534171B1 (ko) 2015-07-08

Family

ID=5379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77A KR101534171B1 (ko) 2014-10-10 2014-10-10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32A (ko) 2016-12-16 2018-06-26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44B1 (ko) * 2017-12-14 2019-06-07 (주)태을이앤씨 기중/습윤/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강, 정,부모멘트부 보강, 내진 보강용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향상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15A (ko) * 2004-02-26 2004-04-01 김병식 측면에 절곡면을 갖는 복합판재의 단위체 가공방법
KR20040027716A (ko) * 2004-02-26 2004-04-01 홍성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함침판 복합판넬
KR20050113154A (ko) * 2005-11-15 2005-12-01 이창호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15A (ko) * 2004-02-26 2004-04-01 김병식 측면에 절곡면을 갖는 복합판재의 단위체 가공방법
KR20040027716A (ko) * 2004-02-26 2004-04-01 홍성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함침판 복합판넬
KR20050113154A (ko) * 2005-11-15 2005-12-01 이창호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32A (ko) 2016-12-16 2018-06-26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44B1 (ko) * 2017-12-14 2019-06-07 (주)태을이앤씨 기중/습윤/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강, 정,부모멘트부 보강, 내진 보강용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향상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1659B2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S2637484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laca sándwich
PA8790801A1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para la producción de paneles reciclables rígidos tipo sandwich de naturaleza polimérica, sin el empleo de adhesivos, y panel obtenido
ATE512770T1 (de) Verwendung von zierplatten auf holzbasis für flugzeuginnenausstattung
KR101534171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1700173B1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3203B1 (ko) 화장실용 칸막이
KR20110013694A (ko)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WO2009072317A1 (ja) ドアパネル
KR20090070884A (ko) 조립식 도어
KR20050113154A (ko)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JP3116893U (ja) 織物入り装飾透明性板付家具
JP3173218U (ja) 間仕切りパネル
CN102953641A (zh) 防潮门板
WO2012155794A3 (zh) 瓦型夹心采暖地板
KR200491815Y1 (ko) 가구용 패널
CN110944833A (zh) 由层压层覆盖的聚碳酸酯多壁片材制成的复合面板
SE0802480A1 (sv) Dörr
JP7362043B2 (ja) 建具、及び建具の製造方法
CN203499042U (zh) 一种聚酯纤维吸音板
NL1043197B1 (nl) Dak- of wandplaat van geschuimd isolatiemateriaal, voorzien van een binnenplaat van rigide plaatmateriaal die aan zijn oppervlak en zijkanten is voorzien van een afwerklaag
JP2017179966A (ja) 框材および框扉
EP2529925B1 (en) Flexible finished wood laminate and production process
JP2016196775A (ja) パネル製造方法
PL71456Y1 (pl) Płyta warstwowa z siatką wzmacniając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