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55B1 -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55B1
KR102112155B1 KR1020180156432A KR20180156432A KR102112155B1 KR 102112155 B1 KR102112155 B1 KR 102112155B1 KR 1020180156432 A KR1020180156432 A KR 1020180156432A KR 20180156432 A KR20180156432 A KR 20180156432A KR 102112155 B1 KR102112155 B1 KR 10211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otector
fixing
hose
prot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5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는,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되는 프로텍터본체와, 프로텍터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와, 어느 일측의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밴드부와, 밴드부에 결합되도록 어느 타측의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BAND CABLE ONE-BODY TYPE PROTECTOR}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텍터본체의 양측에 함몰홈부를 형성하고, 일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밴드부를 프로텍터본체에 안착된 와이어하네스를 감아 타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부에 삽입하여 걸림 고정하므로 조립성과 작업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는 자동차 조립 작업시에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배제하여 와이어 하네스(Wiring Harness)를 보호하도록 구비되었고, 차량용 와이어의 설치경로를 유지하여 타 부품과의 조립작업시에 필요한 내부공간을 확보하도록 구비되었다.
프로텍터는 와이어하네스를 커버하는 반원 형상의 프로텍터본체와, 프로텍터본체의 양측에 다수개 구비되어 볼트를 통해 프로텍터를 차체에 고정하게 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한다.
한편, 프로텍터본체에 와이어하네스를 안착시킨 후 와이어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키도록 한다. 밴드케이블은 프로텍터에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된 상태에서 밴드부로 감아주고, 밴드부를 고정부에 삽입하여 걸어줌으로써, 와이어하네스를 프로텍터본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프로텍터에 와이어하네스를 안치하고 조립하는 경우, 별물로 준비된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감아서 조립해야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로텍터에 밴드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킨 후 운송시키는 과정에서 밴드케이블이 회전되어 단면 방향이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밴드케이블을 운송완료한 후 단면 규제방향이 회전으로 이탈된 밴드케이블을 재정렬 해야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로텍터에 안착된 와이어하네스를 밴드케이블로 감아서 고정할 때, 경우에 따라 고정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므로 프로텍터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여 조립 후 유동되거나 상관부품에 간섭되는 등 여러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57호(2009.02.26, 발명의 명칭: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로텍터본체의 양측에 함몰홈부를 형성하고, 일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밴드부를 프로텍터본체에 안착된 와이어하네스를 감아 타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부에 삽입하여 걸림 고정함으로써, 밴드케이블을 프로텍터에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과 작업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는,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되는 프로텍터본체;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어느 일측의 상기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도록 어느 타측의 상기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에는 걸림 가능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고정부의 삽입공 내측에 구비되는 걸림턱부에 걸려 상기 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탄성분리부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부를 탄성적으로 젖혀주어 상기 밴드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분리부는,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 상기 수평연결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연결부; 및 상기 경사연결부의 하측으로 상기 걸림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레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에는 호스를 장착하도록 호스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스를 양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탄성장착부; 및 상기 탄성장착부의 단부에서 각각 직진 돌출되어 호스의 진입을 도와주는 진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고정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밴드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밴드부에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호스고정부에 구비된 탄성장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압입 설치되어 걸려지는 확장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는, 프로텍터본체의 양측에 함몰홈부를 형성하고, 일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밴드부를 프로텍터본체에 안착된 와이어하네스를 감아 타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부에 삽입하여 걸림 고정함으로써, 밴드케이블을 프로텍터에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과 작업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에 탄성분리부를 구비하여 밴드부를 탄성적으로 걸림 고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 레버식으로 젖혀줌으로써, 밴드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부에 호스고정부를 구비하여 프로텍터본체에 와이어하네스를 안착시키고 감아준 상태에서 호스를 장착함으로써, 호스 조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부에 설치되는 호스고정부를 착탈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밴드부에서 호스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밴드부와 호스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호스고정부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고정부에 결합되는 밴드부가 걸리는 과정 및 탄성분리부를 통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대용량의 외이어하네스를 밴드케이블로 감아준 상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의 외이어하네스를 밴드케이블로 감아준 상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밴드부와 호스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호스고정부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고정부에 결합되는 밴드부가 걸리는 과정 및 탄성분리부를 통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에서, 대용량의 외이어하네스를 밴드케이블로 감아준 상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의 외이어하네스를 밴드케이블로 감아준 상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는, 프로텍터본체(100), 함몰홈부(200), 밴드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프로텍터본체(100)는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로텍터본체(1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하도록 한다.
프로텍터본체(100)에는 차체(미도시)에 볼트(미도시)를 통해 장착되는 마운팅부(110)가 구비된다. 마운팅부(110)는 프로텍터본체(100) 측면 가장자리에 4개이상 형성되어 차체에 지지되고, 마운팅부(110)를 관통하는 볼트가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차체에 설치된다.
함몰홈부(200)는 프로텍터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 함몰홈부(2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다가 모서리에서 굴곡지게 연결되고, 다시 수평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대략적으로 이루어진다.
함몰홈부(200)는 프로텍터본체(100)의 상측부위와 바닥부위 사이의 전체구간 중에서 상측부위에서 40~60%정도의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몰홈부(200)를 형성하는 이유는 함몰홈부(200)의 양측에 밴드부(300)와 고정부(400)가 각각 형성되는 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본체(100)에 소용량의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되는 경우, 함몰홈부(200)가 형성되지 않으면, 밴드부(300)가 와이어하네스를 가압하지 못하는 상태로 고정부(400)에 걸림장착됨으로써, 와이어하네스가 밴드부(300)의 지지를 받지 못해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히기 위함이다.
밴드부(300)는 어느 일측의 함몰홈부(200)에 접하도록 프로텍터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밴드부(200)에는 고정부(400)에 걸림 가능하도록 요철부(310)가 형성된다.
고정부(400)는 밴드부(300)에 결합되도록 어느 타측의 함몰홈부(200)에 접하도록 프로텍터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요철부(310)는 고정부(400)의 삽입공(410) 내측에 구비되는 걸림턱부(420)에 걸려 밴드부(300)는 고정부(400)에 고정된다.
고정부(400)의 내측에는 탄성분리부(500)가 구비되어 걸림턱부(420)를 탄성적으로 젖혀주어 밴드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탄성분리부(500)는, 프로텍터본체(100)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510)와, 수평연결부(51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연결부(520)와, 경사연결부(520)의 하측으로 걸림턱부(420)가 구비되고, 고정부(40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레버작동부(530)를 포함한다.
걸림턱부(420)의 상측경사면과 경사연결부(520)의 상측경사면은 상호 일체감을 갖고 배드부(300)의 진입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경사각도가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작동부(530)는 겅사연결부(520)에서 하측으로 즉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밴드부(300)와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레버작동부(530)의 젖힘시 밴드부(300)에 대한 작동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밴드부(300)를 고정부(400)에 걸림장착하는 과정과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하네스를 프로텍터본체(100)에 안착시키고, 밴드부(300)를 감아주어 지지하면서, 고정부(400)의 삽입공(410)으로 삽입하여 요철부(310)를 걸림턱부(420) 중 어느 하나에 걸어 장착하도록 한다.
그 이후,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300)를 고정부(400)에서 분리하고자 한다면, 탄성분리부(600)의 레버작동부(530)를 후방으로 젖혀주면, 수평연결부(510)와 경사연결부(520)의 탄성 젖힘에 의해 걸림턱부(420) 역시 젖혀지면서 요철부(310)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로써, 밴드부(300)는 고정부(400)의 삽입공(410)에서 이탈되면서 밴드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밴드부(300)에는 호스를 장착하도록 호스고정부(600)가 구비된다.
호스는 차량 엔진룸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호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밴드부(200)에 설치된 호스고정부(600)를 이용하도록 한다.
호스고정부(600)는 프로텍터본체(100)애 와이어하네스를 안착시킨 후, 밴드부(300)를 감아 고정부(400)에 걸림 장착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호스고정부(600)는 평상시에는 밴드부(300)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므로 밴드부(100)의 하측으로 배치된다.
호스고정부(600)는, 밴드부(300)의 일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스를 양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탄성장착부(610)와, 탄성장착부(610)의 단부에서 각각 직진 돌출되어 호스의 진입을 도와주는 진입안내부(620)를 포함한다.
탄성장착부(6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안내부(620)의 단부에는 호스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돌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운드돌부(630)는 단면상으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고정부(600)는 착탈부(700)에 의해 밴드부(30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700)는, 밴드부(300)에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부(710)와, 설치홀부(71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호스고정부(600)에 구비된 탄성장착부(6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720)와, 지지부(72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설치홀부(710)애 압입 설치되어 걸려지는 확장걸림부((730)를 포함한다.
확장걸림부(730)의 단부에는 진입을 안내하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경사안내면부(740)가 형성된다.
경사안내면부(740)는 중심으로 모여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착탈부(700)를 이용하여 호스고정부(600)를 밴드부(300)에 결합할 때, 탄성장착부(610)를 잡고서 확장걸림부(730)를 밴드부(300)의 설치홀부(710)에 진입시키면, 경사안내면부(740)의 안내를 받아 진입하다가 확장걸림부(730)가 점차적으로 수축되면서 압입되어지고, 진입이 완료되는 순간 수축되었던 확장걸림부(730)가 원상복귀되면서, 지지부(720)의 지지를 통해 설치홀부(710)에 걸림 장착된다. 이로써 호스고정부(600)는 밴드부(300)의 설치홀부(7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는, 프로텍터본체의 양측에 함몰홈부를 형성하고, 일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밴드부를 프로텍터본체에 안착된 와이어하네스를 감아 타측의 함몰홈부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부에 삽입하여 걸림 고정함으로써, 밴드케이블을 프로텍터에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과 작업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에 탄성분리부를 구비하여 밴드부를 탄성적으로 걸림 고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 레버식으로 젖혀줌으로써, 밴드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부에 호스고정부를 구비하여 프로텍터본체에 와이어하네스를 안착시키고 감아준 상태에서 호스를 장착함으로써, 호스 조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부에 설치되는 호스고정부를 착탈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밴드부에서 호스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로텍터본체 110 : 마운팅부
200 : 함몰홈부 300 : 밴드부
310 : 요철부 400 : 고정부 :
410 : 삽입공 420 : 걸림턱부
500 : 탄성분리부 510 : 수평연결부
520 : 경사연결부 530 : 레버작동부
600 : 호스고정부 610 : 탄성장착부
620 : 진입안내부 630 : 라운드돌부
700 : 착탈부 710 : 설치홀부
720 : 지지부 730 : 확장걸림부
740 : 경사안내면부

Claims (8)

  1. 와이어하네스가 안착되는 프로텍터본체;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어느 일측의 상기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결합되도록 어느 타측의 상기 함몰홈부에 접하도록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에는 걸림 가능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고정부의 삽입공 내측에 구비되는 걸림턱부에 걸려 상기 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탄성분리부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부를 탄성적으로 젖혀주어 상기 밴드부를 분리시키고,
    상기 프로텍터본체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
    상기 수평연결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연결부; 및
    상기 경사연결부의 하측으로 상기 걸림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레버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부의 상측경사면과 상기 경사연결부의 상측경사면은 경사각도가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호스를 장착하도록 호스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스를 양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탄성장착부; 및
    상기 탄성장착부의 단부에서 각각 직진 돌출되어 호스의 진입을 도와주는 진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밴드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밴드부에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부;
    상기 설치홀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호스고정부에 구비된 탄성장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압입 설치되어 걸려지는 확장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KR1020180156432A 2018-12-06 2018-12-06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KR10211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432A KR102112155B1 (ko) 2018-12-06 2018-12-06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432A KR102112155B1 (ko) 2018-12-06 2018-12-06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155B1 true KR102112155B1 (ko) 2020-05-19

Family

ID=7091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432A KR102112155B1 (ko) 2018-12-06 2018-12-06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227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41Y1 (ko) * 2007-08-14 2008-11-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16200253A (ja) * 2015-04-14 2016-12-01 未来工業株式会社 被保持物の結束装置、被保持物の固定装置、被保持物の結束構造、被保持物の固定構造、被保持物の結束方法、被保持物の固定方法、結束具用の抑制部材、および固定装置におけるベース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41Y1 (ko) * 2007-08-14 2008-11-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16200253A (ja) * 2015-04-14 2016-12-01 未来工業株式会社 被保持物の結束装置、被保持物の固定装置、被保持物の結束構造、被保持物の固定構造、被保持物の結束方法、被保持物の固定方法、結束具用の抑制部材、および固定装置におけるベースセ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227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474334B1 (ko) 2021-04-21 2022-12-06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0392B2 (ja) プロテクタ
JP5769388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560970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5939400B2 (ja) 結束バンド固定構造
US9466960B2 (en) Binding band unit of electric wire passing guide
US7369381B2 (en) Wiring harness holding device
US9463757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8425238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2112155B1 (ko) 밴드케이블 일체형 프로텍터
JP5760902B2 (ja) 電気接続箱
TW201601401A (zh) 電線固定具
JP5666263B2 (ja) 電線固定部
JP2000253536A (ja) 電気接続箱
US11142144B2 (en) Wire harness protector and harness assembly
JP2010151320A (ja) バンドクランプ
JP368538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01872830B1 (ko) 와이어 하네스 분리지그
KR102644882B1 (ko) 와이어링 고정용 슬라이드 클립장치
JP5805977B2 (ja) 電線導出部のテープ巻き構造
JP2000270448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KR101956199B1 (ko)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102417171B1 (ko) 케이블 고정구조
KR102576078B1 (ko) 스트랩 확장형 밴드 케이블
KR102077005B1 (ko) 멀티박스용 인출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