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671B1 -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671B1
KR102111671B1 KR1020180157298A KR20180157298A KR102111671B1 KR 102111671 B1 KR102111671 B1 KR 102111671B1 KR 1020180157298 A KR1020180157298 A KR 1020180157298A KR 20180157298 A KR20180157298 A KR 20180157298A KR 102111671 B1 KR102111671 B1 KR 10211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erminal
provider
mobile cctv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근
조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to KR102018015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요청자가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영상 공유를 원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공유대상 지역정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와 매핑시켜 영상 요청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중에서 하나를 지정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수신하고, 지정된 영상 제공자 단말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비스 서버가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받은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들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인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경로 전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MOBILE CCTV VIDEO SHARING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들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인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경로 전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지상에서 약 20,000km 상공에서 지구를 공전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신호와 시간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GPS 위성을 6개의 궤도면에 각각 3개씩 총 18개를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차량 등에 설치된 GPS 수신기가 GPS 위성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GPS 수신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기술이다.
또한, 차량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기술은 GPS 기술의 상용화와 함께 급격하게 발전하여 왔으며, 현재 일반적인 운전자들은 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전용 단말기 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내비게이션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기술은 크게 소프트웨어인 전자지도와 하드웨어인 단말기로 구성되며, 단말기에 내장된 전자지도 및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비게이션 기술은 단순히 차량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주행 경로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최근 들어 운전자들이 주행 경로 상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운전자에게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가 주행 경로의 평균적인 속도정보를 기초로 주행 경로에 정체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수준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498호(공개일자: 2017년 08월 23일, 명칭: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255호(공개일자: 2007년 04월 27일, 명칭: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들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인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경로 전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요청자가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영상 공유를 원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공유대상 지역정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중에서 하나를 지정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수신하고, 지정된 영상 제공자 단말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하는 영상 공유 요청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받은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공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카메라 상태 불량을 통지하면서 다른 영상 제공자 단말의 지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카메라 상태 불량으로 판단된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 촬영상태 조정을 요청하는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촬영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을 통하여 음성 통화 또는 음성 채팅을 통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영상 제공자에 의해 지정된 전송시간에 해당하는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 요청단계에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은, 상기 영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전송주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은, 상기 영상 공유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과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공유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영상 요청자에게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수행한 영상 공유 횟수, 영상 공유 시간을 포함하는 공유활동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 광고 정보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 또는 재생되는 동안 소리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는 동안 상기 모바일 CCTV 영상 화면보다 작은 팝업창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영상 요청자와 상기 영상 제공자가 휴대하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차량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영상기록장치와 연동되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혼잡도에 따라 색상이 상이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운행 방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 표시되는 모바일 CCTV 영상에는, 상기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 및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들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인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경로 전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영상 요청자 단말과 영상 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과정에서 요청자와 제공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과정에서 요청자와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요청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모바일 CCTV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 거치 상태에 따라 촬영불능상태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 거치 상태에 따라 촬영가능상태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영상 요청자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 제공자 식별 아이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영상 요청자 단말에 표시되는 영상에 요청자와 제공자 간의 거리 및 제공자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영상 요청자 단말(10)과 영상 제공자 단말(3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과정에서 요청자와 제공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영상 제공자와 영상 요청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는 1:1 뿐만 아니라, 1:n, n: 1의 조건에 수행될 수 있다. 즉, 1명의 영상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바일 CCTV 영상을 1명 또는 다수의 영상 요청자가 제공받을 수도 있고, 다수의 영상 제공자가 제공하는 영상을 1명 또는 다수의 영상 요청자가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특정 영상 제공자로부터 모바일 CCTV 영상을 제공받던 영상 요청자가 타인의 요청에 응답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에, 이 영상 요청자는 영상 제공자로 전환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수행되는 예시적인 시스템 환경 및 영상 요청자 단말(10)과 영상 제공자 단말(3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 요청자 단말(10), 서비스 서버(20),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요청자 단말(10)과 영상 제공자 단말(30)과 각각 도로상에서 운행중인 운전자들, 즉,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의 단말로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가 휴대하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 또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영상기록장치와 연동되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을 예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구성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자 단말(30)은 GPS 모듈(110), 촬영부(120), 통신부(140), 전자지도 DB(150), 음성 입력부(160), 음성 출력부(170), 표시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GPS 위성들이 송신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요청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영부(120)는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하나의 예로,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영상 제공자가 휴대하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인 경우, 촬영부(120)는 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차량에 고정 설치된 차량용의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촬영부(120)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일명, 블랙박스라고 지칭되기도 하는 영상기록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서비스 서버(2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자지도 DB(150)는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지도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 입력부(160)는 운전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마이크 등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170)는 운전자에게 음성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스피커 등일 수 있다.
표시부(180)는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서비스 및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서비스 및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서비스 서버(20)는 차량에 탑승한 복수의 영상 요청자와 복수의 영상 제공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부(210), 영상 요청자 단말(10)과 영상 제공자 단말(30)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를 지원하는 영상 공유 지원부(220), 영상 제공자 단말(30)에 설치된 촬영부(120)의 촬영상태를 판단하는 촬영상태 판단부(230), 영상 요청자와 상상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음성 커뮤니케이션 지원부(240), 영상 제공자 단말(30)과 영상 요청자 단말(10)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보상 처리부(250) 및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광고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관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에 탑승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으로서,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S10),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S20), 영상 공유 요청단계(S30), 영상 공유단계(S40) 및 영상공유 보상단계(S50)를 포함한다.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S10)에서는, 차량에 탑승한 영상 요청자가 영상 요청자 단말(10)에서 실행중인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영상 공유를 원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S10)는, 영상 요청자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지도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거나 지역명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S20)에서는, 서비스 서버(20)가 영상 요청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은 공유대상 지역정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와 매핑시켜 영상 요청자 단말(10)의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표시되는 영상 제공자 식별 아이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13 내지 도 15를 추가로 참조하면,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S2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식별정보를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혼잡도에 따라 색상이 상이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이 아이콘에는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운행 방향 및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부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이 아이콘에는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가 추가로 부가될 수도 있다.
영상 공유 요청단계(S30)에서는, 서비스 서버(20)가 영상 요청자 단말(10)로부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30)중에서 하나를 지정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수신하고, 영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영상 제공자 단말(30)로 영상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영상 요청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모바일 CCTV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면, 영상 공유 요청단계(S30)에서, 영상 요청자 단말(10)은, 영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전송주기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고, 이후의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영상 제공자 단말(30)은, 서비스 서버(20)를 매개로 영상 요청자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전송주기에 따라 자신이 획득한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비스 서버(20)를 통하여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영상 공유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과다하게 소모될 수 있는 데이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영상 공유단계(S40)에서는, 서비스 서버(20)가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받은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하여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 거치 상태에 따라 촬영불능상태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 거치 상태에 따라 촬영가능상태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예시된 예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촬영부(120)가 차량 외부가 아닌 내부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상태로서, 이 경우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는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 간에는 차이가 없으며, 서비스 서버(20)는 이 상태를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의 관점에서 유효하지 않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예시된 예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촬영부(120)가 차량 외부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상태로서, 이 경우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는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 간에는 차이가 있으며, 서비스 서버(20)는 이 상태를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의 관점에서 유효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카메라 상태 불량을 통지하면서 다른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지정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카메라 상태 불량으로 판단된 영상 제공자 단말(30)의 식별정보가 영상 요청자 단말(10)의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제공자 단말(30)로 촬영상태 조정을 요청하는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 정보를 확인한 영상 제공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한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촬영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과정에서 요청자와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8 및 도 9를 추가로 참조하면,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 단말(10)과 영상 제공자 단말(30)을 통하여 음성 통화 또는 음성 채팅을 통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영상 요청자는 영상 제공자가 전송하는 모바일 CCTV 영상 이외에 영상 제공자의 음성 정보를 추가로 활용하여 현장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표시되는 영상에 요청자와 제공자 간의 거리 및 제공자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예를 나타낸 도 16을 추가로 참조하면,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표시되는 모바일 CCTV 영상에,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 및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영상 제공자 단말(30)은, 영상 제공자에 의해 지정된 전송시간에 해당하는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비스 서버(20)를 통하여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시간은 3초, 5초, 7초, 10초, 15초 등과 같은 수치로 영상 제공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광고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이 광고 정보는,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을 운행하는 영상 요청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광고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이 광고 정보는,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 또는 재생되는 동안 소리 형태의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공유단계(S4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요청자 단말(10)에 광고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이 광고 정보는, 영상 제공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영상 요청자 단말(10)에서 재생되는 동안, 모바일 CCTV 영상 화면보다 작은 팝업창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영상공유 보상단계(S50)에서는, 서비스 서버(20)가, 영상 제공자 단말(30)과 영상 요청자 단말(10)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하나의 예로, 영상공유 보상단계(S5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영상 요청자에게서 차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공유 보상단계(S5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영상 요청자 단말(10)로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공유 보상단계(S50)에서, 서비스 서버(20)는, 영상 제공자 단말(30)이 수행한 영상 공유 횟수, 영상 공유 시간을 포함하는 공유활동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들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인 모바일 CCTV 영상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경로 전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영상 요청자 단말
20: 서비스 서버
30: 영상 제공자 단말
110: GPS 모듈
120: 촬영부
140: 통신부
150: 전자지도 DB
160: 음성 입력부
170: 음성 출력부
180: 표시부
190: 제어부
210: 사용자정보 관리부
220: 영상 공유 지원부
230: 촬영상태 판단부
240: 음성 커뮤니케이션 지원부
250: 보상 처리부
260: 광고 관리부
S10: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
S20: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
S30: 영상 공유 요청단계
S40: 영상 공유단계
S50: 영상공유 보상단계

Claims (21)

  1. 차량에 탑승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요청자가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영상 공유를 원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를 입력하는 공유대상 지역정보 입력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공유대상 지역정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는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중에서 하나를 지정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수신하고, 지정된 영상 제공자 단말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하는 영상 공유 요청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요청을 전달받은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공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카메라 상태 불량을 통지하면서 다른 영상 제공자 단말의 지정을 유도하고,
    카메라 상태 불량으로 판단된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가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에 동적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 촬영상태 조정을 요청하는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촬영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을 통하여 음성 통화 또는 음성 채팅을 통한 영상 요청자와 영상 제공자 간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영상 제공자에 의해 지정된 전송시간에 해당하는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 요청단계에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은, 상기 영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전송주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과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 간의 모바일 CCTV 영상 공유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공유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영상 요청자에게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CCTV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소모한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보상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이 수행한 영상 공유 횟수, 영상 공유 시간을 포함하는 공유활동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 광고 정보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된 후 또는 재생되는 동안 소리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CCTV 영상이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서 재생되는 동안 상기 모바일 CCTV 영상 화면보다 작은 팝업창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은,
    상기 영상 요청자와 상기 영상 제공자가 휴대하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 또는 상기 차량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영상기록장치와 연동되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정보 표시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혼잡도에 따라 색상이 상이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운행 방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는 상기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공유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에 표시되는 모바일 CCTV 영상에는, 상기 영상 요청자가 탑승한 차량과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이격거리 및 상기 영상 제공자가 탑승한 차량의 주행속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1020180157298A 2018-12-07 2018-12-07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10211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98A KR102111671B1 (ko) 2018-12-07 2018-12-07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98A KR102111671B1 (ko) 2018-12-07 2018-12-07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671B1 true KR102111671B1 (ko) 2020-06-17

Family

ID=7140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98A KR102111671B1 (ko) 2018-12-07 2018-12-07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67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92A (ja) * 1999-09-09 2001-03-30 Hitachi Cable Ltd 車両運転支援装置
KR20040022023A (ko)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카메라 동작 테스트방법
KR20050088253A (ko) * 2003-01-15 2005-09-0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아이티가이하츠센타 그룹의 다른 차량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그룹 상호 작용시스템
KR20070044255A (ko)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80103370A (ko) * 2007-05-23 2008-11-27 (주)트루시스템 피투피 서비스 기반 실시간 교통 영상정보 공유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101285157B1 (ko) * 2012-03-07 2013-07-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9746A (ko) * 2012-07-13 2014-01-2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정보 전송 장치
KR101397664B1 (ko) * 2007-12-14 2014-06-27 주식회사 케이티 자동차 주행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4149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랙박스 영상정보의 온라인 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와 그에 따른 동작방법
KR20170095498A (ko)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492A (ja) * 1999-09-09 2001-03-30 Hitachi Cable Ltd 車両運転支援装置
KR20040022023A (ko)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카메라 동작 테스트방법
KR20050088253A (ko) * 2003-01-15 2005-09-0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아이티가이하츠센타 그룹의 다른 차량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그룹 상호 작용시스템
KR20070044255A (ko)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80103370A (ko) * 2007-05-23 2008-11-27 (주)트루시스템 피투피 서비스 기반 실시간 교통 영상정보 공유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101397664B1 (ko) * 2007-12-14 2014-06-27 주식회사 케이티 자동차 주행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5157B1 (ko) * 2012-03-07 2013-07-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9746A (ko) * 2012-07-13 2014-01-2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정보 전송 장치
KR20170074149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랙박스 영상정보의 온라인 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와 그에 따른 동작방법
KR20170095498A (ko)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2452A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real time traffic image display
US20080281508A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124066A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10109737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 data
CN104236578A (zh) 一种导航方法及导航系统
JP6638994B2 (ja) ユーザが要望する所定場所に車両を配車する配車装置、配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93378A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データ提供方法
US20090105933A1 (en) System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of a remote location to a user of a vehicle
CN110520693A (zh) 用于生成与路线引导的修改相关的动态指示的方法和设备
KR20200069808A (ko) 목적지 확인을 통한 공유자 매칭 방식이 적용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JP5294827B2 (ja) 画像収集装置、サーバ装置及び画像収集配信システム
US20200175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xi dispatch,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axi dispatch requests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11671B1 (ko)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JP2017182736A (ja) イベント情報提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90945A (ja) 情報生成装置、通信装置、情報生成方法、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2410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グラス型デバイス及び装置間連携方法
KR20130052316A (ko) 실사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실사 이미지 출력 방법
JP7011028B2 (ja) 送信装置、端末装置、送信方法、送信プログラム、地図データ更新方法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プログラム
KR102143092B1 (ko) 고정식 cctv 영상과 모바일 cctv 영상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KR20090099938A (ko)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자동 촬영 시스템
JP2022000654A (ja) 渋滞表示装置、渋滞表示方法および渋滞表示プログラム
JPH1026768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00131194A1 (en) Map data management using road ghosting characteristics
JP6621578B2 (ja) ルート探索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