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498A -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498A
KR20170095498A KR1020160016942A KR20160016942A KR20170095498A KR 20170095498 A KR20170095498 A KR 20170095498A KR 1020160016942 A KR1020160016942 A KR 1020160016942A KR 20160016942 A KR20160016942 A KR 20160016942A KR 20170095498 A KR20170095498 A KR 2017009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cctv
avoidance
provid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1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5498A/ko
Publication of KR2017009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색된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와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CTV footage on plural paths}
본 발명은 복수의 경로 상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설정된 주행 경로뿐만 아니라 현재 설정된 경로를 대체하기 위한 다른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지도 데이터, 도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 지구 측위 시스템)를 사용한 것이며, 지구상을 주회하고 있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를 GPS 안테나로 수신하고, 이 GPS 신호에 포함되는 위성 위치나 시계 정보 등을 해석하여 위치의 특정화를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항상 최신의 지도 데이터 및 도로 정보 등을 확보하고 있다.
KR 10-2014-0016467 A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현재 주행 경로에 대한 CCTV 화면과 도로의 상황 또는 주행 환경에 따라 현재 주행 경로를 대신할 수 있는 회피 경로 또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확인 후 주행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제공하는 주행 경로에서 구간별 대체 가능한 구간이 있는 경우 CCTV 화면에서 화면 내 차량의 운행 속도 등을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 안내를 위해 복수의 경로 상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탐색된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와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와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제1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회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CCTV 화면 및 상기 회피 경로에 대응하는 제2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일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상기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복수의 CCTV 화면이 포함되면, 상기 복수의 CCTV 화면과 해당 화면의 위치를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나열된 상기 복수의 CCTV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구간별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목적지를 수신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목적지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전달하고, 상기 목적지 및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포함된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CTV 화면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기 회피 경로, 상기 CCTV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인,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주행 경로 탐색부; 및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는 회피 경로 탐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제3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목적지, CCTV 화면선택여부, 회피경로선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 수신부;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며, 상기 회피경로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CCTV 화면 제공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CCTV 화면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수집된 CCTV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CCTV 정보 제어부; 및 상기 경로 탐색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주행 경로 또는 대체/회피 경로 상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CCTV 화면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주행 경로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주행 중 도로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내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경로 안내와 도착 시간 안내 등의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CCTV 화면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회피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CCTV 화면 제공 구간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6은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탐색된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12),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와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14),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를 포함한다.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지를 입력하면, 단말기 또는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통해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탐색과정에서 복수의 경로가 탐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설정이나 선호도에 따라 탐색되는 경로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주행 경로는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탐색된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예를 들면,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골목길 등등)에 따라 주행 경로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정보에 포함된 여러 변수(예, 갈림길 등) 또는 위치(예, 분기점 등) 등에 따라서도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구간들은 결정될 수 있다.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를 회피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회피 경로는 대체 경로, 우회 경로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회피 경로는 주행 경로의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를 대체할 수도 있고,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응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피 경로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 및 지도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별도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회피 경로의 탐색 시기와 탐색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주행 경로와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14)는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제1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18),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회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18), 및 제1 CCTV 화면 및 회피 경로에 대응하는 제2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1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중에 CCTV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간 또는 위치와 관련하여,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제공되는 지도 정보를 확인하고, 화면 상에 있는 버튼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외부 입력 버튼 등을 통해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차량의 정체로 인해 주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주행 경로 상에 차량의 정체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주행 경로 상에 특정 지역, 위치, 구간의 CCTV 화면을 통해 정체를 확인하면,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해당 지역, 위치, 구간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대체 경로)의 CCTV 화면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주행 경로가 회피 경로보다 차량 정체가 심할 경우,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능동적으로 주행 경로를 회피 경로로 대체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주행 경로와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은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한 입력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이동 속도(즉, 현재 주행 속도)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와 회피 경로(예, 추천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가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동안, 모든 주행 경로에 CCTV 화면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주행 중 CCTV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간, 지역에 근접하기 전에 내비게이션 장치가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면, CCTV 화면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간, 지역, 위치에 진입하기 전 혹은 해당 구간을 주행하는 동안, 지도 정보 상에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지도 정보 상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CCTV 화면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가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행 경로를 대체할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후, 회피 경로가 존재할 경우,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CCTV화면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 환경에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 운전자가 주행 중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현재 위치가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피 경로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입력에 의해 탐색될 수도 있으나, 주행 경로를 탐색할 때 회피 경로까지 미리 탐색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하지만, 주행 경로를 대체할 수 있는 회피 경로를 저장하고 있어서 대체할 수 있는 회피 경로가 있는 경우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회피 경로가 있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가 단말기의 이동 속도(즉,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차량 주행 속도)를 확인하면,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주행 경로를 대체할 수 있는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경로에 대한 회피 경로가 이미 탐색되어 저장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차량 정체, 사고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속도의 주행이 어려운 경우에 회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경로를 대체할 수 있는 회피 경로는 출발지, 목적지, 경로 탐색 알고리즘,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설정 또는 선호도, 지도 정보 등에 따라 복수 개가 탐색될 수 있다. 만약 회피 경로가 복수 개 탐색되면,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회피 경로에 대한 우선순위가 배정될 수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는 그에 따라 복수의 회피 경로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은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 상에 복수의 CCTV 화면이 포함되면, 복수의 CCTV 화면과 해당 화면의 위치를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나열된 상기 복수의 CCTV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복수 개의 회피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는 CCTV 정보를 이용하여, 정체가 가장 적은 경로를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회피 경로가 존재하고 해당 경로마다 CCTV 화면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는 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에서,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구간별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경로에 대한 실제 CCTV 화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차량 소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주행 경로에 대한 CCTV 화면뿐만 아니라 대체경로/회피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의 제공으로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경로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CCTV 화면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a)는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고, (b)는 주행 경로 상의 CCTV 화면과 회피(비교)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경로탐색 시 회피경로에 대한 CCTV로 제공으로 운전자가 실제 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a)를 참조하면,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된 비교경로 CCTV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경로 CCTV 아이콘은 선택 경로 기준으로 전방 3Km 내에 CCTV 비교경로 가능 지점이 존재할 경우 지도 화면 내 별도 아이콘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CCTV 비교경로 가능 지점은 주요 분기점 기준으로 선택된 주행 경로와 다른 대체(우회, 회피)경로의 CCTV를 비교할 수 있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비교 경로 CCTV 아이콘을 통해 기존의 주행 경로(서초 지역)의 CCTV 화면과 주행 경로를 대체할 수 있는 회피 경로(강남 지역)의 CCTV 화면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의 구간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 경로 CCTV 아이콘 선택 시 두 경로의 CCTV를 상/하단(혹은 좌/우)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선택된 주행 경로를 상단 위치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사용자 동작 없을 시 주행 화면(즉, (a)에서 설명한 지도 제공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하단(혹은 좌/우) 화면 선택 시 해당 구간 CCTV 화면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CCTV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회피 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예, 화면상 버튼 등)를 제공할 수 있고, 선택 시 내비게이션 장치는 기존의 주행 경로를 대체하는 회피 경로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3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회피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a)는 주행 경로 상에 CCTV 화면을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고, (b)는 사용자가 회피 경로를 선택한 경우 회피 경로의 탐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주행 경로에 포함되는 각 구간에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CCTV 화면을 상단에 먼저 보여줄 수 있고, 이후 구간에 대한 CCTV 화면을 하단에 나열하여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해당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화면에 대응하는 CCTV 정보를 화면의 상단에 크게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상단에 표시된 CCTV 정보를 확인한 후 CCTV 정보 상에 제공된 회피 경로 제공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회피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이미 제공되고 있는 주행 경로 상의 지역을 대체하는 회피 경로를 재탐색할 지에 대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팝업창을 이용하여 재확인 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목적지를 변경 시, 내비게이션 장치는 기존에 탐색된 회피경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목적지가 변경되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회피경로를 되살릴 필요가 없다.
도4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CCTV 화면 제공 구간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경로탐색 시 회피경로에 대한 CCTV로 제공으로 운전자가 실제 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대로CCTV 및 노들길 CCTV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로의 양쪽으로 매칭된 CCTV 선정하여 해당 내용을 표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주행 중 교통량을 확인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회전하는 CCTV 정보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매칭된 대표 길에 해당하는 CCTV 정보의 제공을 우선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IC/국도 진입 결정 시 초입 구간의 CCTV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크워크 서버(60)와 연동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22), 목적지를 수신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42), 목적지 및 현재 위치를 전달하고, 목적지 및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32),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 상에 포함된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입력 인터페이스(44),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CTV 화면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2통신부(34),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 회피 경로, CCTV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 인터페이스(42) 및 제2입력 인터페이스(44)는 입력수단(4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화면 상의 터치 센서 또는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제공되는 입력 버튼 혹은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입력 인터페이스(42) 및 제2입력 인터페이스(44)는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32) 및 제2 통신부(34)를 포함하는 통신수단(30)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회피 경로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일 수 있다.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네트워크 서버(60)와 연동하여 지도 정보를 전달받고,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하지만, 내비게이션 동작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60)가 아닌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경로를 탐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20)는 내비게이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부(50)는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56), 지도 정보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주행 경로 탐색부(52), 및 지도 정보에서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는 회피 경로 탐색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현재 위치가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제2입력 인터페이스(44)를 제공하는 제어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는 현재 위치가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출력부(26)를 통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는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출력부(26)를 통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는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제3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3입력 인터페이스는 선택 버튼, 팝업창, 팝업리스트, 썸네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6은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60)는 휴대용 단말기(20)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서버(6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현재 위치, 목적지, CCTV 화면선택여부, 회피경로선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 수신부(66),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62), 지도 정보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지도 정보에서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며, 회피경로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주행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탐색부(72),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 상에 CCTV 화면 제공 구간을 확인하고, CCTV 화면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수집된 CCTV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CCTV 정보 제어부(64), 및 경로 탐색부(72) 및 CCTV 정보 제어부(64)의 출력을 전송하는 전송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66) 및 전송부(68)는 네트워크 서버(60) 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수단(7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경로 탐색부(72)는 주행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주행 경로 탐색부(74)와 회피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회피 경로 탐색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일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60)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휴대용 단말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 휴대용 단말기 60: 네트워크 서버
30: 통신수단 40: 입력수단
22: 위치 확인부 24: 출력부
26: 제어부 50: 내비게이션부
70: 통신수단 72: 경로탐색부
62: 지도 저장부 64: CCTV 정보 제어부

Claims (22)

  1. 탐색된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와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와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회피 경로에 대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제1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회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CCTV 화면 및 상기 회피 경로에 대응하는 제2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인,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상기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복수의 CCTV 화면이 포함되면, 상기 복수의 CCTV 화면과 해당 화면의 위치를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나열된 상기 복수의 CCTV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CCTV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구간별 대체가 가능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CCTV 화면 제공 방법.
  11.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목적지를 수신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목적지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전달하고, 상기 목적지 및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경로 및 회피 경로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포함된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CTV 화면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기 회피 경로, 상기 CCTV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인,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주행 경로 탐색부; 및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는 회피 경로 탐색부
    를 더 포함하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근접하면,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회피 경로가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기 전,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에서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피 경로가 복수 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회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제3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CCTV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목적지, CCTV 화면선택여부, 회피경로선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 수신부;
    복수의 도로 정보를 기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지도 정보에서 상기 주행 경로 내 구간 별 대체 가능한 회피 경로를 확인하며, 상기 회피경로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주행 경로 및 상기 회피 경로 상에 CCTV 화면 제공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CCTV 화면선택여부에 대응하여 수집된 CCTV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CCTV 정보 제어부; 및
    상기 경로 탐색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는 목적지를 입력한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로상 경로이며,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경로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여 대체 가능한 도로상 경로인,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회피 경로가 존재함을 알리는, 휴대용 단말기에 CCTV 화면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KR1020160016942A 2016-02-15 2016-02-15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5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42A KR20170095498A (ko) 2016-02-15 2016-02-15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42A KR20170095498A (ko) 2016-02-15 2016-02-15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498A true KR20170095498A (ko) 2017-08-23

Family

ID=5975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42A KR20170095498A (ko) 2016-02-15 2016-02-15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54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994B1 (ko) 2019-06-05 2020-05-18 주식회사 팬라인 모바일 cctv 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KR20200069808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팬라인 목적지 확인을 통한 공유자 매칭 방식이 적용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102111671B1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팬라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20200076111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팬라인 고정식 cctv 영상과 모바일 cctv 영상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808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팬라인 목적지 확인을 통한 공유자 매칭 방식이 적용된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102111671B1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팬라인 모바일 cctv 영상 공유 방법
KR20200076111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팬라인 고정식 cctv 영상과 모바일 cctv 영상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KR102111994B1 (ko) 2019-06-05 2020-05-18 주식회사 팬라인 모바일 cctv 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95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CN107003141B (zh) 替代路线
JP6606494B2 (ja) ナビゲーション命令を表示する装置及び方法
US9964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EP2909586B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EP2909585B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KR102570574B1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5498A (ko) 복수의 경로 상의 cctv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4760792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1609863A (zh) 导航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8044834A (ja) 自動運転支援用の経路探索方法および装置
JP2006003169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のプログラム
KR20160000074U (ko) 차량의 전환방향을 우선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JP20211280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17635A (ja) 経路誘導装置、経路誘導方法、経路誘導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36611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