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65B1 -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65B1
KR102110965B1 KR1020180154239A KR20180154239A KR102110965B1 KR 102110965 B1 KR102110965 B1 KR 102110965B1 KR 1020180154239 A KR1020180154239 A KR 1020180154239A KR 20180154239 A KR20180154239 A KR 20180154239A KR 102110965 B1 KR102110965 B1 KR 10211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ar
elastic material
connecting portion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to KR102018015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이다.

Description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DEVICE OF EMOTION LIGHTING BY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이다.
인간은 환경 속에서 살고 있으며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과 관련된 웰빙(Well-being)이라는 단어가 우리의 실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웰빙은 복지, 안녕, 행복 등의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헌장에서는 건강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웰빙은 우리가 많은 시간을 안락, 편안, 쾌적성 등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거공간의 빛 환경(조명) 측면에서도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조명은 공간의 용도 및 기능과는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며 본 기술개발에서는 건강한 삶을 위한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조명을 개발하고자 한다.
한편, 상술한 감성 조명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9-0109323호
본 발명은 상기 감성 조명을 위해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조명을 제어하여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 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100)와 상기 온도 센서(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200)를 포함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조명부(200)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 상에 구비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무빙 블록(230)과, 상기 무빙 블록(23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210)에 핀 결합되며 발광부(L)에 고정되는 작동 링크(24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고 상기 볼 스크류(2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대(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 지지대(250)와 볼 스크류(22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사익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센서(100)와 상기 온도 센서(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200)를 포함하는 감성 조명 방법으로서, 주변 온도를 온도 센서(100)에 의해 확인한 후 제어부(CON)에 의해 조명부(200)의 색채나 조명 방향 또는 조명 강도를 조절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소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개략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개략도 및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조명부 중 구동부와 회전 지지대 그리고 볼 스크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회전 지지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축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성 조명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00)와 상기 온도 센서(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200)를 포함한다. 즉, 온도 센서(100)에 의해 사용자가 있는 공간의 온도를 확인한다. 상기 온도 센서(100)에서 측정된 온도 신호를 제어부(CON)가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조명부(200)를 제어한다. 즉, 기 설정된 색상이나 조명 밝기 등을 갖도록 상기 제어부(CON)가 조명부(200)를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적당량의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서도 유익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조명부(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 상에 구비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무빙 블록(230)과, 상기 무빙 블록(23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210)에 핀 결합되며 발광부(L)에 고정되는 작동 링크(2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볼 스크류(220)가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볼 스크류(220)에 나사 결합된 무빙 블록(230)이 전후진한다. 상기 무빙 블록(230)이 전후진 하면 상기 무빙 블록(230)에 핀(P1) 결합된 작동 링크(240)가 연동되어 이동한다. 상기 작동 링크(240)의 상단부가 상기 무빙 블록(2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 이동하면 상기 작동 링크(240)는 상기 베이스(210)에 핀(P2)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무빙 블록(230)이 도 2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작동 링크(240)는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핀(P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하여 작동 링크(240)의 하측은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작동 링크(240)의 하측이 이동하면 상기 작동 링크(240)에 고정된 조명부(L)가 연동되어 방향1로 회전한다.(도 3참조)
반대로 무빙 블록(230)이 도 2에서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후진하면 작동 링크(240)의 하단은 방향2로 회전한다.(도 4참조)
한편, 상기 조명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조명부(200) 상호 간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구동부(M)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각 조명부(200)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L)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등을 이용하는 LED부(L2)와 상기 LED부(L2)가 내부에 수용되는 커버(L1)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L1)의 상단에 상기 작동 링크(240)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 링크(240)가 이동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L1)가 베이스(210)에 구비된 핀(P2)을 중심으로 방향1 또는 방향2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되어 LED부(L2)도 같이 방향1 또는 방향2로 회전한다.
상기 베이스(210)는 지지부(260) 등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무빙 블록(230)은 상기 볼 스크류(220)가 내부에서 나사 결합하는 블록 본체(231)와 상기 블록 본체(231) 상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이동 홈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홈부(232)에는 슬라이더(233)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233) 양 측에는 날개부가 돌출되어 상기 이동 홈부(232)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33)는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33)에는 작동 링크(240)의 상단부가 핀(P1)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무빙 블록(230) 이동시 상기 작동 링크(240)는 베이스(210)에 구비된 핀(P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 링크(240)의 상단부는 상기 이동 홈부(232)에서 핀(P1)에 의해 회전하며 이동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33)에 구비되는 핀(P1)은 상기 슬라이더(233)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작동 링크(240)의 상단부는 상기 핀(P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스크류(220)는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볼 스크류(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대(250)를 더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대(250)와 볼 스크류(22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축수부(400)에 의해 볼 스크류(220)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수부(400)는 널리 알려진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이 배치되고,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전동볼(440)과 롤러(450)에 의해 상기 볼 스크류(220)에 작용되는 하중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 자체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3040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본 구조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한다.
즉, 탄성 재질의 유지부 본체(510)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개방부(511)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511)의 양 측에는 홀더(52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홀더(520)는 판체 형상이고 양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전동볼(440)이 밀착된다.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전동볼(440)은 하나의 개방부(511)를 걸러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412,422)은 외륜(410)과 내륜(42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이러한 유지부 본체(510)가 외륜(410)과 내륜(420)에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가 연이어 배치된다.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상부 연결부(535)는 예를 들어 구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에 의해 상기 홀더(520)가 상호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520)에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흡수한다. 이러한 탄성 연결부(EB)에 의해 전동볼(440)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상하 방향 배치되고 동일 선(I)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II)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III)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IV)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V)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도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사익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520)의 상하 방향 작용되는 힘이 흡수되어 축수부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센서(100)에 의해 생성된 온도 정보 관련 신호가 제어부(CON)가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부(M)를 제어하여 조명부(200)의 조명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발광부(L)를 제어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L)는 널리 알려진 LED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LED에 의해 색상이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감성 조명 장치(10)를 이용하여 감성 조명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온도 센서(100)와 상기 온도 센서(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200)를 포함하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주변 온도를 온도 센서(100)에 의해 확인한 후 제어부(CON)에 의해 조명부(200)의 색채나 조명 방향 또는 조명 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온도 센서 200 : 조명부
210 : 베이스 220 : 볼 스크류
230 : 무빙 블록 240 : 작동링크
250 : 회전 지지대

Claims (9)

  1. 온도 센서(100)와 상기 온도 센서(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200)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 상에 구비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무빙 블록(230)과, 상기 무빙 블록(23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210)에 핀 결합되며 발광부(L)에 고정되는 작동 링크(2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고 상기 볼 스크류(2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지지대(250)와 볼 스크류(22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상기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9. 삭제
KR1020180154239A 2018-12-04 2018-12-04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KR10211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39A KR102110965B1 (ko) 2018-12-04 2018-12-04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39A KR102110965B1 (ko) 2018-12-04 2018-12-04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65B1 true KR102110965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239A KR102110965B1 (ko) 2018-12-04 2018-12-04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6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05A (ko) * 2005-05-11 2006-11-15 김용국 온실용 인공조명 장치
KR20080024670A (ko) * 2006-09-14 2008-03-19 한학수 엘이디형 조명기구
KR20090109323A (ko) 2008-04-15 2009-10-20 문철홍 엘이디 제어를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KR20120126965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유 감성조명 시스템
JP2013089312A (ja) * 2011-10-13 2013-05-13 Panasonic Corp 照明器具
KR101413040B1 (ko) * 2013-07-08 2014-07-02 (주)신일정밀 선회 베어링
KR101460792B1 (ko) * 2014-05-22 2014-11-14 이용현 Usn과 무선전력을 이용한 감성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0479735Y1 (ko) * 2015-11-19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스팟조명 레일용 접지형 연결어댑터
KR20170034148A (ko) * 2015-09-18 2017-03-28 이종훈 모델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자동차 헤드램프 배광 시험기
KR20180071068A (ko) * 2016-12-19 2018-06-27 김규철 조명레일용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924075B1 (ko) * 2017-07-11 2018-11-30 주식회사 이노루체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트랙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05A (ko) * 2005-05-11 2006-11-15 김용국 온실용 인공조명 장치
KR20080024670A (ko) * 2006-09-14 2008-03-19 한학수 엘이디형 조명기구
KR20090109323A (ko) 2008-04-15 2009-10-20 문철홍 엘이디 제어를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KR20120126965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유 감성조명 시스템
JP2013089312A (ja) * 2011-10-13 2013-05-13 Panasonic Corp 照明器具
KR101413040B1 (ko) * 2013-07-08 2014-07-02 (주)신일정밀 선회 베어링
KR101460792B1 (ko) * 2014-05-22 2014-11-14 이용현 Usn과 무선전력을 이용한 감성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170034148A (ko) * 2015-09-18 2017-03-28 이종훈 모델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자동차 헤드램프 배광 시험기
KR200479735Y1 (ko) * 2015-11-19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스팟조명 레일용 접지형 연결어댑터
KR20180071068A (ko) * 2016-12-19 2018-06-27 김규철 조명레일용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924075B1 (ko) * 2017-07-11 2018-11-30 주식회사 이노루체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트랙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206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подвес
CN104169638B (zh) 照明装置
DE68903632T2 (de) Gleitlageranordnung mit auswechselbarem messaufnehmer.
BR9910793A (pt) Preparação de liberação controlada que tem estrutura em multicamada
KR102110965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감성 조명 장치
DE69309602T2 (de) Kleinselbstschalter mit kontaktanordnung zusammensetzbar in z-achsenrichtung
DE602005011207D1 (de) Betätigungsvorrichtung mit magnetischer Indexierung
US10307687B2 (en) Finger manipulated device
DE69724343D1 (de) Schwenkkugellager mit eingebautem Messaufnehmer
US20170087047A1 (en) Massage head and massage apparatus using such a head
US6705019B2 (en) Goniometer
DE69921007D1 (de) Kugel-Sitzventil mit pneumatischer Steuerung
KR20000024449A (ko) 지압구가 승강작동되는 온열치료기
NL178183C (nl) Taatslager met een bolvormig glijoppervlak met spiraalvormige smeergroeven.
CN113251353B (zh) 双光源led投光灯及其控制方法
JPWO2010098362A1 (ja) 光模様投影装置及び載置台並びに球体回転装置
US3159371A (en) Support with displaceable elements
KR102162098B1 (ko) 시선유도부를 갖는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JP2022041442A (ja) センサーライト
KR0125381Y1 (ko) 자동 안마기
KR20190015808A (ko) 물체를 이동 또는 고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JP3088916U (ja) ベッドライト
US3608393A (en) Planetary ball screw mechanism
KR20200008652A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BRPI0402954A (pt) Transmissão continuamente variá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