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602B1 -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602B1
KR102110602B1 KR1020190148671A KR20190148671A KR102110602B1 KR 102110602 B1 KR102110602 B1 KR 102110602B1 KR 1020190148671 A KR1020190148671 A KR 1020190148671A KR 20190148671 A KR20190148671 A KR 20190148671A KR 102110602 B1 KR102110602 B1 KR 10211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ame
rear end
unit
seating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공규
Original Assignee
(주)대한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기전 filed Critical (주)대한기전
Priority to KR102019014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Abstract

본 발명은 피용접물의 용접 및 이송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용접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용접물이 안착되면 피용접물의 양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 및 회전 중인 피용접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용접물의 용접 및 이송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용접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welding)은 금속재료를 가열, 가압 등의 조작으로 야금적으로 접합시키는 접합법이다. 용접은 금속학적으로 융접(fusion welding), 압접(pressure welding) 및 납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융접은 용융융접이라고도 하며, 접합할 양금속부재 즉 모재(base metal)의 접합부를 국부적으로 가열, 용융시켜 이들을 융합하여 국부적주조작용으로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압접은 가압융접이라고도 하며 접합부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이에 기계적 가압을 가하여 접합을 완성시키는 방법이다. 납접은 접합할 모재보다 용점이 훨씬 낮은 비철합금용가재 즉 납재료를 접합부에 용융첨가하여 그 용융납재료의 응고시에 있어서의 분자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접합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융접 즉 용융융접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 가스용접법(gas welding)이다. 가스용접법은 각종 가열가스와 산소와의 반응시에 생기는 고열 즉 가스연소열을 용접열원으로 이용하는 용접법이며, 가 열가스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용접토오치(welding torch) 끝으로부터 분출연소시켜 소위 가스열을 만들어, 이 가스열을 용접의 열원으로 사용한다.
가스용접법에 사용되는 장치는 산소저장탱크, 가스저장탱크, 각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호스, 각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토오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작업자는 토오치로부터 방출되는 용접가스에 불꽃을 붙여서 용접가스가 연소됨으로써 용접화염이 발생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염이 분출되는 토오치를 모재로 가지고 가서, 모재의 용접부 위에 가스열을 가하여 모재를 녹여서 용접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장치의 경우 용접이 마무리된 후 피용접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92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6749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용접물의 용접 및 이송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용접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어 상술한 안착부재에 의하여 피용접물이 승강되면 전달부를 통해 보관 장소 또는 또 다른 공정을 위한 장소로의 이송을 수행하는 이송레일로 자동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달프레임과 제2 전달프레임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피용접물이 이송레일로 낙하하면서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감속 유도부를 이용하여 전달프레임과 제2 전달프레임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피용접물이 안착되면 피용접물의 양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 및 회전 중인 피용접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피용접물의 일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제1 회전체결부재; 피용접물의 다른 일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제2 회전체결부재; 및 피용접물이 안착되며,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면 피용접물을 승강시켜 주는 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재에 의하여 승강된 피용접물을 절단받아 상측면을 따라 후단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피용접물을 후단 방향으로 굴려보내는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전달프레임; 및 제1 전달프레임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후단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전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전달하는 감속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속 유도부는,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유닛; 및 상기 감속 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전달하는 안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속 유닛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의 무게에 의해 후단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단 상측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바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바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착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후단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압착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압착되며, 내부 공간이 압착되어 형성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 파우치; 및 상기 공압 파우치의 전단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압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측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승강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피용접물을 전달받아 상측에 곡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단 상부가 상기 안착대의 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안착대와 상기 지지대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서 상기 안착대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속 유도부는, 피용접물이 상기 안착 유닛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 유닛의 상기 안착대를 회동시켜 줌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속 유닛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을 회동 전의 위치로 상승시켜 주는 승강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유도 유닛은, 상기 안착대의 하측 후단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렉기어의 기어에 맞물려 상기 안착대의 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상기 제1 렉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 상기 지지대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며, 후단 하측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 렉기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렉기어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상기 제2 렉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는 제2 피니언 기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렉기어에서 기어가 형성되는 상측면과 대향하는 상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지 아니하고 하강되나 승강시에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의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3 렉기어; 상기 안착대의 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가 회동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압축되어 생성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실린더; 및 상기 압축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제3 렉기어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승강시켜 주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용접물의 용접 및 이송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용접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단기간에 많은 양의 용접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품 제작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어 상술한 안착부재에 의하여 피용접물이 승강되면 전달부를 통해 보관 장소 또는 또 다른 공정을 위한 장소로의 이송을 수행하는 이송레일로 자동을 전달시킴으로써 공성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 유도부를 이용하여 전달프레임과 제2 전달프레임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전달프레임과 제2 전달프레임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피용접물이 이송레일로 낙하하면서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또는 도 4의 전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 또는 도 6의 감속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6의 안착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승강 유도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체결부(100) 및 용접부(200)를 포함한다.
체결부(100)는, 피용접물(P)이 안착되면 피용접물(P)의 양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준다.
용접부(200)는, 체결부(10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체결부(100)에 의해 체결 및 회전 중인 피용접물(P)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용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피용접물의 용접 및 이송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용접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단기간에 많은 양의 용접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품 제작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100)는, 제1 회전체결부재(110), 제2 회전체결부재(120) 및 안착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회전체결부재(110)는, 제2 회전체결부재(120)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피용접물(P)의 일측을 체결한 뒤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피용접물(P)을 회전시켜 준다.
제2 회전체결부재(120)는, 제1 회전체결부재(110)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피용접물(P)의 다른 일측을 체결한 뒤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피용접물(P)을 회전시켜 준다.
안착부재(130)는, 피용접물(P)이 안착되며, 용접부(200)에 의한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면 피용접물(P)을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부(100)는, 피용접물(P)의 용접에 따른 용접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피용접물(P)의 양측을 체결한 제1 회전체결부재(110)와 제2 회전체결부재(120)를 이용하여 용접부(200)에 의한 용접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피용접물(P)을 회전시켜 주며,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면 안착부재(130)가 피용접물(P)을 승강시켜 후단에 설치되는 이송레일(R)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00), 용접부(200) 및 전달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100) 및 용접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달부(300)는, 체결부(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안착부재(130)에 의하여 승강된 피용접물(P)을 절단받아 상측면을 따라 후단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피용접물(P)을 본 발명의 후단에 설치되는 이송레일(R) 방향으로 굴려보낸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부(300)는, 제1 전달프레임(310) 및 제2 전달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프레임(310)은, 제2 전달프레임(320)과 이격되어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피용접물(P)을 이송레일(R) 방향으로 굴려보낼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R)이 설치되는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2 전달프레임(320)은, 제1 전달프레임(310)과 이격되어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피용접물(P)을 이송레일(R) 방향으로 굴려보낼 수 있도록 이송레일(R)이 설치되는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00),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어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130)에 의하여 피용접물(P)이 승강되면 전달부(300)를 통해 보관 장소 또는 또 다른 공정을 위한 장소로의 이송을 수행하는 이송레일(R)로 자동을 전달시킴으로써 공성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또는 도 4의 전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달부(300)는, 제1 전달프레임(310), 제2 전달프레임(320) 및 감속 유도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달프레임(310) 및 제2 전달프레임(32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감속 유도부(330)는,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P)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며,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P)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속 유도부(330)는, 감속 유닛(331) 및 안착 유닛(332)을 포함한다.
감속 유닛(331)은,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P)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킨 뒤 안착 유닛(332)로 전달한다.
안착 유닛(332)은, 감속 유닛(331)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P)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이송레일(R)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달부(300)는,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을 따라 굴러 이동하는 피용접물(P)이 이송레일(R)로 낙하하면서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감속 유도부(330)를 이용하여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P)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 또는 도 6의 감속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감속 유닛(331)은, 상부 플레이트(3311), 하부 플레이트(3312), 지지 바아(3313), 압착 플레이트(3314), 공압 파우치(3315) 및 공압 실린더(3316)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331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연장 형성되며, 후단이 지지 바아(3313)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P)의 무게에 의해 후단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하부 플레이트(3312)는, 상부 플레이트(33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단 상측이 상부 플레이트(3311)의 전단(H)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 압착 플레이트(3314), 공압 파우치(3315) 및 공압 실린더(3316) 등의 구성이 설치된다.
지지 바아(3313)는,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 하측면으로부터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압착 플레이트(3314)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3311)를 지지하며,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되어 압착 플레이트(3314)를 하강시켜 준다.
압착 플레이트(3314)는,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 바아(3313)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지 바아(33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공압 파우치(3315)를 압축시켜 준다.
공압 파우치(3315)는, 하부 플레이트(3312)의 후단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압착 플레이트(3314)가 하강함에 따라 압착되며, 내부 공간이 압착되어 형성된 압축 공기를 공기 터널(T)를 통해 공압 실린더(3316)로 공급한다.
공압 실린더(3316)는, 공압 파우치(3315)의 전단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공압 파우치(3315)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측에 설치되는 피스톤(S)을 승강시켜 피스톤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3311)를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감속 유닛(331)은, 단순히 피용접물(P)이 굴러감에 따라 피용접물(P)의 무게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3311)가 회동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피용접물(P)가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으로 굴러감에 따라 공압 파우치(3315)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3311)의 전단을 승강시켜 줌으로써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이 급격하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용접물(P)이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이동속도를 줄여준 뒤 피용접물(P)을 안착 유닛(332)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6의 안착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안착 유닛(332)은, 안착대(3321), 지지대(3322) 및 탄성체(3323)를 포함한다.
안착대(3321)는, 제1 전달프레임(310)과 제2 전달프레임(320)의 말단으로부터 피용접물(P)을 전달받아 상측에 곡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시킨다.
지지대(3322)는, 안착대(332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단 상부가 안착대(3321)의 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대(3321)를 지지한다.
탄성체(3323)는, 안착대(3321)와 지지대(3322)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대(3322)의 후단에서 안착대(3321)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감속 유도부(330)는, 승강 유도 유닛(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 유닛(333)은, 피용접물(P)이 안착 유닛(332)에 안착되어 안착 유닛(332)의 안착대(3321)를 회동시켜 줌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감속 유닛(331)의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을 회동 전의 위치로 상승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유도 유닛(333)은, 제1 렉기어(3331), 제1 피니언 기어(3332), 제2 렉기어(3333), 제2 피니언 기어(3334), 제3 렉기어(3335), 압축 실린더(3336) 및 승강 실린더(3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렉기어(3331)는, 안착대(3321)의 하측 후단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제1 피니언 기어(3332)를 회전시켜 준다.
제1 피니언 기어(3332)는, 지지대(33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렉기어(3331)의 기어에 맞물려 안착대(3321)의 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렉기어(333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제2 렉기어(3333)를 이동시켜 준다.
제2 렉기어(3333)는, 지지대(3322)의 내부로부터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대(3322)와 하부 플레이트(3312)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며, 후단 하측에 제1 피니언 기어(3332)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1 피니언 기어(3332)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 피니언 기어(3334)를 회전시켜 준다.
제2 피니언 기어(3334)는,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렉기어(3333)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제2 렉기어(3333)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3 렉기어(3335)를 회전시켜 준다.
제3 렉기어(3335)는,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3311)의 후단 하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며, 제1 렉기어(3331)에서 기어가 형성되는 상측면과 대향하는 상측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며, 도 11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312)의 내부 공간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제2 피니언 기어(3334)에 맞물리지 아니하고 하강되나, 승강시에는 도 11의 (c) 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니언 기어(3334)에 맞물려 제2 피니언 기어(3334)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3334)의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된다.
압축 실린더(3336)는, 안착대(3321)의 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지지대(3322)가 회동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압축되어 생성된 압축 공기를 공급관(A)을 통해 승강 실린더(3337)로 공급한다.
승강 실린더(3337)는, 압축 실린더(3336)로부터 공급관(A)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제3 렉기어(3335)가 도 11의 (c) 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니언 기어(3334)에 맞물리도록 승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실린더(3337)는, 상측면이 렉기어(3335)의 하측면에 대응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상측면을 따라 렉기어(3335)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바퀴(B)가 형성되며,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C)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접 시스템
100: 체결부
200: 용접부
300: 전달부

Claims (2)

  1. 피용접물이 안착되면 피용접물의 양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용접 공정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 및 회전 중인 피용접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피용접물의 일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제1 회전체결부재; 피용접물의 다른 일측을 체결한 뒤 회전시켜 주는 제2 회전체결부재; 및 피용접물이 안착되며,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면 피용접물을 승강시켜 주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재에 의하여 승강된 피용접물을 절단받아 상측면을 따라 후단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피용접물을 후단 방향으로 굴려보내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전달프레임; 및 제1 전달프레임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후단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전달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전달하는 감속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속 유도부는,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피용접물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유닛; 및 상기 감속 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용접물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시킨 뒤 전달하는 안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속 유닛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가는 피용접물의 무게에 의해 후단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단 상측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바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바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착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후단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압착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압착되며, 내부 공간이 압착되어 형성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 파우치; 및 상기 공압 파우치의 전단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압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측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승강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주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제1 전달프레임과 상기 제2 전달프레임의 말단으로부터 피용접물을 전달받아 상측에 곡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단 상부가 상기 안착대의 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안착대와 상기 지지대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서 상기 안착대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 유도부는, 피용접물이 상기 안착 유닛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 유닛의 상기 안착대를 회동시켜 줌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속 유닛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을 회동 전의 위치로 상승시켜 주는 승강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48671A 2019-11-19 2019-11-19 용접 시스템 KR10211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71A KR102110602B1 (ko) 2019-11-19 2019-11-19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71A KR102110602B1 (ko) 2019-11-19 2019-11-19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602B1 true KR102110602B1 (ko) 2020-05-13

Family

ID=7072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671A KR102110602B1 (ko) 2019-11-19 2019-11-19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17B1 (ko) * 2021-08-19 2022-02-08 최문철 강관 적재 및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27Y1 (ko) 2011-09-01 2013-07-11 모니텍주식회사 용접시스템
KR101667495B1 (ko) 2015-10-21 2016-10-21 경성산업(주) 스터드 자동용접시스템
KR102025400B1 (ko) * 2018-11-21 2019-09-25 주식회사 체시스 마찰 교반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종소재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27Y1 (ko) 2011-09-01 2013-07-11 모니텍주식회사 용접시스템
KR101667495B1 (ko) 2015-10-21 2016-10-21 경성산업(주) 스터드 자동용접시스템
KR102025400B1 (ko) * 2018-11-21 2019-09-25 주식회사 체시스 마찰 교반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종소재 용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17B1 (ko) * 2021-08-19 2022-02-08 최문철 강관 적재 및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602B1 (ko) 용접 시스템
CN207840356U (zh) 自动焊接生产线
CN106141542B (zh) 一种集成灶具的焊接装置
CN106216921A (zh) 一种复合底点焊自动夹具
CN206293757U (zh) 一种蓄电池接线桩的自动化焊接机
CN201768984U (zh) 垫板装置
CN206139973U (zh) 一种角钢螺母自动焊接机
CN104759772B (zh) 钢管束总装焊接设备
CN207104130U (zh) 一种大直径螺柱焊接自动送钉机构
CN203946579U (zh) 钢管次品收集装置
CN210733386U (zh) 废丝压扁设备
CN206662504U (zh) 一种自动氩弧焊装置
CN106112355B (zh) 一种燃气灶的焊接装置
EP1057562A1 (en) Low pressure casting machine
CN206912523U (zh) 一种多工位蓄电池接线桩的自动化焊接机
CN212398447U (zh) 一种铝电池盒mig焊接防变形设备
CN210615470U (zh) 用于龙门埋弧焊机的投料装置
CN114523257A (zh) 螺旋钢管自动焊机固定装置
CN218081247U (zh) 一种圆环形炉盘焊接机床
CN206084224U (zh) 一种集成灶具的焊接装置
CN206084096U (zh) 一种焊剂传送器
CN112877530A (zh) 一种托轮感应热处理生产线
CN207170830U (zh) 一种特种合金补热型锻造平台
CN206843525U (zh) 一种氧枪立式修理枪头更换装置
CN207057807U (zh) 一种新型钢板埋弧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