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153B1 -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153B1
KR102110153B1 KR1020190120735A KR20190120735A KR102110153B1 KR 102110153 B1 KR102110153 B1 KR 102110153B1 KR 1020190120735 A KR1020190120735 A KR 1020190120735A KR 20190120735 A KR20190120735 A KR 20190120735A KR 102110153 B1 KR102110153 B1 KR 10211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wsiness
unit
vehicle
vehicle driv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양테크
Priority to KR102019012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3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especially for waking 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 졸음퇴치부(30);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1 선택 S/W(71); 및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원부(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상기 졸음퇴치 시스템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Sleepiness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 졸음퇴치부(30);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1 선택 S/W(71); 및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원부(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상기 졸음퇴치 시스템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근 10년간 고속도로 교통사고 주요 원인 중 첫 번째가 졸음(22.5%)이라는 교통안전공단의 통계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졸음운전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이동 수단으로서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경찰청 조사에 따르면,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 사고율(4.3%)은 전체 사고의 사망률(2.1%)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은데, 특히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수를 나타내는 고속도로 치사율은 9.9%로 교통사고 전체 치사율 2.4%보다 4배 이상 높다.
또한, 경찰청 조사에 따르면, 졸음운전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루 중 시간대는 오전 12시~2시, 오전 4시~6시, 오후 2시~4시 사이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여름>가을>봄>겨울 순으로 졸음운전 사고 발생건수와 사망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도로교통공단). 졸음운전이 위험한 이유는 음주운전수준의 운전자 반응시간 때문으로,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24시간 동안 잠을 자지 못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면 정상적인 수면 후에 운전하는 것보다 반응 속도는 2배, 정지거리는 30%이상 늘어난다고 한다.
이와 같은 졸음운전의 위험성 때문에 최근 들어 고속도로관리공단에서는 각 도로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졸음쉼터를 조성하여 운전자들의 휴식을 유도하고 있고, 군데군데 졸음운전의 위험성을 알리는 입간판이나 현수막을 설치하여 운전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누적된 피로 속에서도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졸음운전은 그 위험성을 알면서도 피할 수 없는 필요악과 같은 것이다.
그러한 위험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졸음운전방지기술들이 개발되고 시도되었다.
여기에는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졸음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주를 이루는데,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비전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면에서 졸음과 관련된 특징들을 추출한 후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주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눈, 자세, 또는 차량의 차선 정보를 각각 별도로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 및 방안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하나의 판단 기준을 이용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동공의 움직임을 촬영하거나 눈 개폐 간격 등을 확인하는 방법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차량신호는 의도적인 차량 거동(과격 운전 및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한 운전) 패턴과 구분이 어려우며, 운전자 영상 기반 방식의 경우 광환경에 따른 눈 개폐 인식 성능과 안경 착용, 웃음 등으로 인한 악조건으로 인해 정확한 졸음상태를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운전자의 뇌파도나, 맥박, 또는 신체 온도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판정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기술을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판정하는 것만으로는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기술들은 아직까지 차량 운전자에 대한 졸음 상태 판정 시에 그 정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졸음퇴치를 할 수 없었다.
등록특허 10-1031485호(2011.04.19.)
본 발명에 의한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대해 정확성이 확보되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성이 확보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의거하여 차량 운전자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한 졸음퇴치를 할 수 있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 졸음퇴치부(30);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1 선택 S/W(71); 및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원부(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수리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는 뇌파 감지센서(2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측두 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는 맥박 감지센서(22); 및 차량 운전자의 동공 상태나 눈꺼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눈 상태 감지센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뇌파 감지센서(21), 맥박 감지센서(22), 및 눈 상태 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되어 송신되는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연산부(12); 및 상기 연산부(12)에서 연산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 각각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각 기준범위 값과 비교하여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될 때에는 졸음상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가족의 경고 목소리, 경보음, 또는 시끄러운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스피커(3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32);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음이온과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음이온과 향기 발산부(33); 및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머리를 차갑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하는 급속냉각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외에,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2 선택 S/W(72);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선택 S/W(72)의 조작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졸음퇴치부(40); 및 차량전원(63)에 연결된 차량전원 공급단자(6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선택 S/W(72)에도 연결된 제2 전원부(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는, 차량으로부터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차량 오디오(41); 차량 실내의 차량 운전자에게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실내등(42); 및 차량 운전자에게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사이드 윈도우(43)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 방출, 불빛 방출, 및 바람의 유입은,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선택 S/W(72)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졸음퇴치 방법은, 상기 졸음퇴치 시스템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퇴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선택 S/W(71)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는 선택 S/W의 조작단계(S1);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감지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S3);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수신 신호의 연산단계(S4);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상태판정부(13)에 의해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는지가 판정되는 상태 판정 단계(S5);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 및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작동하는 제1 졸음퇴치부 작동단계(S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졸음퇴치 방법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을 때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2 선택 S/W 동시조작 확인단계; 및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가 작동하는 제2 졸음퇴치부 작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대해 정확성이 확보되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성이 확보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의거하여 차량 운전자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한 졸음퇴치를 할 수 있는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방법에 따른 졸음퇴치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방법에 따른 졸음퇴치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은 감지부(20), 제어부(10), 제1 졸음퇴치부(30), 제1 선택 S/W(71), 및 제1 전원부(51)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수리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는 뇌파 감지센서(2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측두 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는 맥박 감지센서(22); 및 차량 운전자의 동공 상태나 눈꺼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눈 상태 감지센서(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head wearable device)는 차량 운전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모자나 헤드셋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예, VR용 헤드기어, 또는 머리띠 형상의 헤드기어)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뇌파, 맥박, 또는 눈 상태 감지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20)가 뇌파 감지센서(21), 맥박 감지센서(22), 및 눈 상태 감지센서(23)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20)가 뇌파 감지센서(21), 맥박 감지센서(22), 눈 상태 감지센서(23),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센서, 및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의 특정 신체부위의 움직임(예, 고개가 기울어지는 움직임, 상반신이 좌우 또는 전후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차량 운전자 입의 벌어짐 정도 등)을 검출하는 운전자 특정 신체부위 움직임 검출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더욱 다양한 방식의 감지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부위로, 상기 뇌파 감지센서(21), 맥박 감지센서(22), 및 눈 상태 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되어 송신되는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연산부(12); 및 상기 연산부(12)에서 연산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 각각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각 기준범위 값과 비교하여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될 때에는 졸음상태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뇌파 정보에 관한 신호의 특정 구간별 평균값이 18μV이하이면 사용자의 상태가 깨어있는 상태로 판정하며 기준값이 52μV 이상이 되면 차량 운전자가 졸고 있는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맥박 정보에 관한 신호의 상기 특정 구간과 동일한 구간의 구간별 평균값인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다른 구간별 평균값에 비하여 20% 이상 감소하였을 때에는 차량 운전자가 졸고 있는 상태로 판정하며, 상기 눈 상태 정보 중 눈꺼풀 개폐 정보와 관련하여 카메라로 눈꺼풀이 감긴 시간인 폐안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데 상기 폐안 시간에 관한 폐안 시간 정보의 상기 특정 구간과 동일한 구간의 구간별 평균값인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1초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차량 운전자가 졸고 있는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눈 상태 정보 중 차량 운전자의 동공인식 정보와 관련하여 동공인식 센서로 차량 운전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는데 상기 동공인식 시간에 관한 동공인식 시간 정보의 상기 특정 구간과 동일한 구간의 구간별 평균값인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3초 이상 인식되지 않았을 때에는 차량 운전자가 졸고 있는 상태로 판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운전자의 졸음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정하고 이에 의거하여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는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택 스위치(S/W)(71)는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제1 선택 S/W(71)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51)는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는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으로 필요 시에만 졸음퇴치를 하고 스스로 졸음이 오지 않을 것임을 확신할 때에는 전원스위치(52)를 오프로 조작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를 차량 실 내의 별도의 부위에 설치할 필요없이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착용의 편의성이 좋고 또한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바로 제공하여 차량 운전자의 졸음퇴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일의 측정 또는 감지 정보에만 의거하여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판정할 때 빈번히 발생하는 졸음상태에 관한 판정오류를 보완하여 2개 이상의 정보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함으로써 보다 차량 운전자의 졸음 상태에 대해 정확한 판정을 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라 정확하고도 신속한 졸음퇴치 행위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가족의 경고 목소리, 경보음, 또는 시끄러운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스피커(3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32);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음이온과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음이온과 향기 발산부(33); 및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머리를 차갑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하는 급속냉각부(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족의 경고 목소리, 경보음, 또는 시끄러운 음악,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와 같은 다양한 졸음퇴치 수단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졸음퇴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외에,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2 선택 S/W(72);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선택 S/W(72)의 조작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졸음퇴치부(40); 및 차량전원(63)에 연결된 차량전원 공급단자(6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선택 S/W(72)에도 연결된 제2 전원부(6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졸음퇴치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는, 차량으로부터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차량 오디오(41); 차량 실내의 차량 운전자에게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실내등(42); 및 차량 운전자에게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사이드 윈도우(43)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 방출, 불빛 방출, 및 바람의 유입은,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선택 S/W(72)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시설을 구비할 필요없이 차량에 구비된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감지 시에 차량 운전자에게 음악 방출, 불빛 방출, 및 바람의 유입 등으로 졸음퇴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방법은, 상기 졸음퇴치 시스템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퇴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선택 S/W(71)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는 선택 S/W의 조작단계(S1);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감지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S3);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수신 신호의 연산단계(S4);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상태판정부(13)에 의해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는지가 판정되는 상태 판정 단계(S5);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 및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작동하는 제1 졸음퇴치부 작동단계(S7)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로 되돌아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퇴치 방법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을 때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2 선택 S/W 동시조작 확인단계; 및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가 작동하는 제2 졸음퇴치부 작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로 되돌아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대해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정확성이 확보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의거하여 차량 운전자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한 졸음퇴치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를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졸음퇴치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음향, 진동, 및 냉기를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제1 선택 S/W(71);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및 냉기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제1 졸음퇴치부(30); 및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원부(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수리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는 뇌파 감지센서(2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측두 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는 맥박 감지센서(22); 및 차량 운전자의 동공 상태나 눈꺼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동공인식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모자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졸음퇴치 시스템을 실험예1로 하고,
상기 실험예1의 구성외에,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2 선택 S/W(72);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선택 S/W(72)의 조작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졸음퇴치부(40); 및 차량전원(63)에 연결된 차량전원 공급단자(6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선택 S/W(72)에도 연결된 제2 전원부(61)를 더 포함하는 졸음퇴치 시스템을 실험예 2로 하였다.
이에 대해 패널에 장착된 카메라로 운전자의 눈꺼풀을 감지해 운전자가 졸음에 빠지는 것을 측정하여 오디오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비교예 1로 하고,
맥박감지기로 차량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해 운전자가 졸음에 빠지는 것을 측정하여 의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이들 실험예 1, 2와 비교예 1, 2에 대해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판정오류회수(회)/2개월 졸음퇴치부 작동 후
졸음지속 회수/2개월
비고
실험예1 0 0
실험예2 0 0
비교예1 3 2
비교예2 2 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 1, 2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판정오류 회수와 졸음퇴치부 작동 후 졸음지속 회수가 적어서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대해 정확성이 우수하고 이처럼 정확성이 확보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정에 의거하여 차량 운전자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한 졸음퇴치를 할 수 있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제어부 11 : 신호수신부
12 : 연산부 13 : 상태판정부
20 : 감지부 21 : 뇌파 감지센서
22 : 맥박 감지센서 23 : 눈 상태 감지센서
30 : 제1 졸음퇴치부 31 : 스피커
32 : 바이브레이터 33 : 음이온과 향기 발산부
34 : 급속냉각부 40 : 제2 졸음퇴치부
41 : 차량 오디오 42 : 실내등
43 : 사이드 윈도우 51 : 제1 전원부
52 : 전원스위치 61 : 제2 전원부
62 : 차량전원 공급단자 63 : 차량전원
71 : 제1 선택 S/W 72 : 제2 선택 S/W
S1 : 선택 S/W의 조작단계
S2 :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
S3 :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신호 수신 단계
S4 : 수신 신호의 연산단계
S5 : 상태 판정 단계
S6 :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
S7 : 제1 졸음퇴치부 작동단계

Claims (9)

  1.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20);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졸음퇴치부(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선택 S/W(71)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 졸음퇴치부(30);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음향, 진동, 음이온과 향기, 및 냉기 중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1 선택 S/W(71); 및
    전원스위치(52)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원부(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0), 제어부(10), 및 제1 졸음퇴치부(30)는 차량 운전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상기 감지부(20)로부터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 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때에는, 제1 졸음퇴치부(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가족의 경고 목소리, 경보음, 또는 시끄러운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스피커(3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32);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음이온과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음이온과 향기 발산부(33); 및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머리를 차갑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하는 급속냉각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수리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는 뇌파 감지센서(21);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들 중에서 차량 운전자의 측두 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 운전자의 경동맥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는 맥박 감지센서(22); 및
    차량 운전자의 동공 상태나 눈꺼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눈 상태 감지센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뇌파 감지센서(21), 맥박 감지센서(22), 및 눈 상태 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되어 송신되는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연산부(12); 및
    상기 연산부(12)에서 연산된 뇌파, 맥박, 및 눈 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 각각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각 기준범위 값과 비교하여 차량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판정하는 상태판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될 때에는 졸음상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2 선택 S/W(72);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선택 S/W(72)의 조작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음악, 차량 실내의 불빛, 및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불어오는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졸음퇴치부(40); 및
    차량전원(63)에 연결된 차량전원 공급단자(6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선택 S/W(72)에도 연결된 제2 전원부(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는,
    차량으로부터 음악을 차량 운전자에게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차량 오디오(41);
    차량 실내의 차량 운전자에게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실내등(42); 및
    차량 운전자에게 외부로부터 차량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는 차량 구비의 사이드 윈도우(43)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 방출, 불빛 방출, 및 바람의 유입은,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선택 S/W(72)의 사전조작 및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졸음퇴치 시스템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퇴치하는 졸음퇴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선택 S/W(71)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는 선택 S/W의 조작단계(S1);
    상기 감지부(20)에 의해 뇌파, 맥박, 및 눈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감지되는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신호수신부(11)에 의해 상기 감지부(20)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S3);
    상기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3개 신호의 동일 구간별 평균값을 연산하는 수신 신호의 연산단계(S4);
    상기 제어부(10)에 구비된 상태판정부(13)에 의해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는지가 판정되는 상태 판정 단계(S5);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 및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졸음퇴치부(30)가 작동하는 제1 졸음퇴치부 작동단계(S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정 단계(S5)에서 상기 3개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졸음상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신체상태 감지단계(S2)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가 단독으로 온 상태로 조작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을 때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제1, 2 선택 S/W 동시조작 확인단계; 및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제2 졸음퇴치부(40)가 작동하는 제2 졸음퇴치부 작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 S/W(71)와 상기 제2 선택 S/W(72)가 동시에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고 확인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 선택 S/W 단독조작 확인단계(S6)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퇴치 방법.
KR1020190120735A 2019-09-30 2019-09-30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11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35A KR102110153B1 (ko) 2019-09-30 2019-09-30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35A KR102110153B1 (ko) 2019-09-30 2019-09-30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153B1 true KR102110153B1 (ko) 2020-06-09

Family

ID=7108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35A KR102110153B1 (ko) 2019-09-30 2019-09-30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1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571A (ko) * 2021-08-17 2023-02-27 권혁준 안전을 위한 운전자 감시 시스템
CN115723524A (zh) * 2022-11-24 2023-03-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多功能香氛释放的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和储存介质
WO2023158060A1 (ko) * 2022-02-18 2023-08-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융합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85B1 (ko) 2009-06-11 2011-04-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전도에 기반한 졸음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1003A (ko)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전자의 수면 감지 및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KR20170127889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위자드랩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졸음운전 방지 방법
KR20170129689A (ko) * 2015-01-06 2017-11-27 데이비드 버톤 모바일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126935A1 (en) * 2014-09-22 2019-05-02 Brian K. Phillips Method and system for impaired driving detection, monitoring and accident prevention with driving habits
KR20190061726A (ko) * 2017-11-28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제어권 조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85B1 (ko) 2009-06-11 2011-04-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전도에 기반한 졸음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26935A1 (en) * 2014-09-22 2019-05-02 Brian K. Phillips Method and system for impaired driving detection, monitoring and accident prevention with driving habits
KR20160071003A (ko) * 2014-12-11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전자의 수면 감지 및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KR20170129689A (ko) * 2015-01-06 2017-11-27 데이비드 버톤 모바일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27889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위자드랩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졸음운전 방지 방법
KR20190061726A (ko) * 2017-11-28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제어권 조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571A (ko) * 2021-08-17 2023-02-27 권혁준 안전을 위한 운전자 감시 시스템
KR102507038B1 (ko) * 2021-08-17 2023-03-07 권혁준 안전을 위한 운전자 감시 시스템
WO2023158060A1 (ko) * 2022-02-18 2023-08-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센서 융합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5723524A (zh) * 2022-11-24 2023-03-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多功能香氛释放的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和储存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153B1 (ko)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US8823792B2 (en) Wakefulness level estimation apparatus
US6337629B1 (en)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a person
US7202792B2 (en) Drowsin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90121882A1 (en) Warning device for drivers and the like
US82177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the driver
US6366207B1 (en) Device for modifying vehicle operator driving behavior
CN111754729A (zh) 疲劳驾驶提示装置及提示方法
JP2008206688A (ja) 居眠り警報装置
MX2013009434A (es) Sistema y método de respuesta al comportamiento del conductor.
CN111492420B (zh) 瞌睡报警装置
US20150125126A1 (en) Detection system in a vehicle for recording the speaking activity of a vehicle occupant
CN201716818U (zh) 驾驶员瞌睡报警装置
KR102143211B1 (ko) 졸음 운전 예방 및 차량 내 안전 유지 방법, 시스템
US7126485B2 (en) Sleep prevention device while driving
CN104799641A (zh) 安全智能头枕
US20220167099A1 (en) Hearing System,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for a User
JP2006231963A (ja) 車両用警報装置
DE1022321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larmieren eines Fahrzeugführers
JPH06107031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CN105270257B (zh) 汽车高级驾驶辅助中的报警音量自动调节方法
JP2009137336A (ja) 車載警報装置
JP2009120013A (ja) 車両用機器制御装置
JP2002370559A (ja) 自動車用居眠り防止装置
KR20190104725A (ko) 다중감각자극을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