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205B1 -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205B1
KR102109205B1 KR1020190079023A KR20190079023A KR102109205B1 KR 102109205 B1 KR102109205 B1 KR 102109205B1 KR 1020190079023 A KR1020190079023 A KR 1020190079023A KR 20190079023 A KR20190079023 A KR 20190079023A KR 102109205 B1 KR102109205 B1 KR 10210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uring agent
container
injec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송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림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7Applications of control, warning or safety devices in filling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입수단을 회전테이블로 제작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량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 량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재와 경화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퍼(104)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상부 일측으로 보내는 컨베이어(108)와;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로 보내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회전부로 보내는 가이드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주입수단으로 투입시키는 회전부(114)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Automatic chemical injection device of the anchor solution injection method using the same solution}
본 발명은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주입수단을 회전테이블로 제작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량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 량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재와 경화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미컬앵커는 콘크리트나 기포큰크리트 또는 암반 등의 모재에 구멍을 천공하고 앵커볼트를 구멍에 밀어넣은 다음 화학물질로 구멍의 나머지 공간에 충진시키므로서 접착 응고시켜 앵커볼트를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큰용기와 작은용기에 각각 수용된 주재와 경화제가 일측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서로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구멍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케미칼 앵커의 종래 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 196005호의 카트리지형 주입식 케미칼 앵커가 개시되어 있는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주재 조성물의 수장된 원통형의 큰용기(A)의 상부일측면에 2개의 결합부(1,1')와 절단홈부(2), 그리고 숫나선(3)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면(4)을 구비한 반원통체(5)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화제 조성물이 수장된 원통형의 작은용기(B) 상부일측면에 2개의 결합판(11)(11')과 절단홈부(12), 그리고 숫나선(13)이 형성되어있고 결합면(14)을 갖는 반원통체(15)가 설치되어 있으며 큰용기(A)의 결합면(4)과 작은용기(B)의 결합면(14)이 맞닿도록 결합핀(11)(11')을 결합부(1)(1')에 결착시켜 일체가 되므로서 밀폐된 병두껑이 형성되게 되며 이 병뚜껑의 절단홈부(2)와 절단홈부(12)를 절단하여 큰용기(A) 및 작은용기(B)를 동시에 개봉토록 되어 있으며 개봉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암나선(2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통로에 스크류(22)가 구성되어 있고 끝에 주입구(23)가 형성된 압출봉(C)의 암나선(21)을 일체가 된 병뚜껑의 숫나선(3) 및 숫나선(13)에 나사조임하여 큰용기(A) 및 작은용기(B)의 조성물을 압출할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형 주입식 케미칼 앵커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큰용기와 작은용기에 주재와 경화제를 주입하는 과정은 주재와 경화제의 주입, 토출구의 폐쇄, 개방부의 패쇄, 개별초장 등의 공정이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재와 경화재의 주입량이 불규칙하여 제품 품질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04월 09일자 출원번호 제10-2012-0036740호(발명의 명칭 :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며 여러 개의 지그(21)가 체인(22)에 조립되고 체인(22)과 연결된 연결된 구동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서 회전하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호퍼(31)에 저장된 용기(200)가 개별적으로 지그(21)에 투입되는 용기투입부(30); 상기 용기투입부(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기(200)의 토출부(210)에 캡(220)을 조립하는 캡조립부(40); 상기 캡조립부(40)의 일측에 형성되며 용액이 수용된 메인탱크(51)와 보조탱크(52)가 연이어 연결되며 주재용액과 경화제용액을 용기 내부로 주입하는 용액주입부(50); 상기 용액주입부(50)의 일측에 형성되며 용기(200)의 개방된 부분에 마개(230) 삽입 후 핀(270)을 끼워 마감하는 마감부(70); 상기 용액 주입부(50)와 마감부(70) 사이에 형성되며 지그(21)에 용액이 주입된 용기(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를 피스톤(611, 621)이 가압하고 밀폐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61, 62)를 구동시켜 용액의 내부에 포함된 공기의 제거와 용액을 안정화 시키는 진동부(60); 상기 마감된 용기(200)를 이송부(20)외부로 배출하고 압출봉(240)과 함께 비닐포장하는 포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는 컨베이어 식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용기부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량과 제2용기부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 량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없는 관계로, 주입시 주재와 경화제가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4825호(등록일: 2012년 11월 20일) "케미컬 앵커의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369055호(등록일: 2014년 02월 24일)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0759호(공개일: 1996년 01월 25일) "용기의 내용물 자동 충전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주입수단을 회전테이블로 제작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량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 량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재와 경화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퍼(104)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상부 일측으로 보내는 컨베이어(108)와;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로 보내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회전부로 보내는 가이드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주입수단으로 투입시키는 회전부(114)와;
상기 회전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회전테이블로 형성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재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경화제를 일정하게 주입하여 용기(106)를 배출하는 주입수단(1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은,
부품으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회전하는 컨베이어(108)로 용기(106)를 내보내어 용기(106)를 상부로 올리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용기(106)를 무게측정센서(120)를 구비한 고정부(118)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용기(106)를 노즐마개결합부(121)로 보내어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용기(106)를 제1타이머(124)를 구비한 주재주입부(122)로 보내어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용기(106)를 제2타이머(128)를 구비한 경화제주입부(126)로 보내어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용기(106)를 바이브레이터(130)로 보내어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제7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5단계의 주재 주입시, 제1타이머(124)가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의 무게를 측정할 때, 설정된 시간까지 주재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출 경우, 기 설정된 주재 량과 측정된 주재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재주입부(112)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6단계의 경화제 주입시, 제2타이머(128)가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의 무게를 측정할 때, 설정된 시간까지 경화제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출 경우, 기 설정된 경화제 량과 측정된 경화제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경화제주입부(126)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9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은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주입수단을 회전테이블로 제작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 량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 량을 일정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재와 경화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인 용기투입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주입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인 용기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인 용기투입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주입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인 용기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100)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퍼(104)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상부 일측으로 보내는 컨베이어(108)와;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로 보내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110)로부터 보내져 수평형태의 용기(106)를 회전부(114)가 잡고 회전시켜 용기(106)의 주입구가 상부로 위치되고 노즐부분이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직형태로 위치시키는 가이드부(112)와;
삭제
상기 가이드부(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주입수단으로 투입시키는 회전부(114)와;
상기 회전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회전테이블로 형성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재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경화제를 일정하게 주입하여 용기(106)를 배출하는 주입수단(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가능하게 회전테이블로 형성되는 주입수단(116)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118)와;
상기 고정부(118)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 량, 경화제 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120)와;
상기 고정부(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아 주는 노즐마개결합부(121)와;
상기 노즐마개결합부(1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하는 주재주입부(122)와;
상기 주재주입부(12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재 주입시,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는 제1타이머(124)와;
상기 주재주입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하는 경화제주입부(126)와;
상기 경화제주입부(126)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화제 주입시,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는 제2타이머(128)와;
상기 경화제주입부(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130)와;
상기 바이브레이터(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주재마개(134)로 막아 주는 주재마개결합부(136)와;
상기 주재마개결합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경화제마개(138)로 막아 주는 경화제마개결합부(140)와;
상기 경화제마개결합부(14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재마개(134)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주재에어핀결합부(144)와;
상기 주재에어핀결합부(14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화제마개(138)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와;
상기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를 배출하는 배출부(14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또는 용액 주입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2)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컨베이어(10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호퍼(10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실린더(110)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실린더(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10)는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실린더(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회전부로 보내는 가이드부(11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12)의 일측에 가이드부(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주입수단으로 투입시키는 회전부(114)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회전부(1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회전테이블로 형성시킨 주입수단(116)을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주입수단(1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수단(116)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11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고정부(11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8)의 일측에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 량, 경화제 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1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무게측정센서(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아 주는 노즐마개결합부(121)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노즐마개결합부(12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마개결합부(1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하는 주재주입부(122)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주재주입부(122)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주입부(122)의 일측에 주재 주입시,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타이머(124)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제1타이머(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주입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하는 경화제주입부(126)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경화제주입부(1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주입부(126)의 일측에 경화제 주입시,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타이머(12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주입부(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130)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바이브레이터(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주재마개(134)로 막아 주는 주재마개결합부(136)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주재마개결합부(13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마개결합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경화제마개(138)로 막아 주는 경화제마개결합부(140)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경화제마개결합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마개결합부(14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주재마개(134)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주재에어핀결합부(144)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주재에어핀결합부(1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주재에어핀결합부(14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경화제마개(138)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용기(106)를 배출하는 배출부(148)를 설치한 후, 제어부(102)에 배출부(14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어부(102)는 각 부품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호퍼(104) 내부로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로 이루어진 용기(106)를 넣는다.
그리고, 상기 호퍼(10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컨베이어(108)로 용기(106)를 내보낸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08)는 회전에 따라 용기(106)를 상부로 올린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실린더(110)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112)로 보낸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실린더(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회전부(114)로 보낸다.
즉, 상기 컨베이어(108)의 상부에 형성된 실린더(110)를 동작시켜 상부에 위치한 용기(106)를 주입수단(116)측으로 이동시키되, 가이드부(112)가 실린더(110)로부터 유입된 수평형태의 용기(106)를 회전부(114)가 잡고 회전시켜 용기(106)의 주입구가 상부로 위치되고 노즐부분이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직형태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1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를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의 무게측정센서(120)를 구비한 고정부(118)로 보낸다.
상기 고정부(118)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노즐마개결합부(121)에 위치되고, 노즐마개결합부(121)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주재주입부(122)에 위치되고, 주재주입부(122)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한다.
상기 주재 주입시,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타이머(124)가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의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주재주입부(122)는 설정된 시간까지 주재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춘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120)는 측정된 주재 량을 제어부(102)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02)는 기 설정된 주재 량과 측정된 주재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재주입부(112)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고장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경화제주입부(126)에 위치되고, 경화제주입부(126)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한다.
상기 경화제 주입시,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타이머(128)가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의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경화제주입부(126)는 설정된 시간까지 주재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춘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센서(120)는 측정된 경화제 량을 제어부(102)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02)는 기 설정된 경화제 량과 측정된 경화제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경화제주입부(126)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고장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130)에 위치되고, 바이브레이터(130)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낸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주재마개결합부(136)에 위치되고, 주재마개결합부(136)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주재마개(134)로 막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경화제마개결합부(140)에 위치되고, 경화제마개결합부(140)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경화제마개(138)로 막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주재에어핀결합부(144)에 위치되고, 주재에어핀결합부(14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재마개(134)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에 위치되고,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화제마개(138)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용기(106)는 배출부(148)에 위치되고, 배출부(148)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를 배출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102 : 제어부 104 : 호퍼
106 : 용기 108 : 컨베이어
110 : 실린더 112 : 가이드부
114 : 회전부 116 : 주입수단
118 : 고정부 120 : 무게측정센서
119 : 노즐마개 121 : 노즐마개결합부
122 : 주재주입부 124 : 제1타이머
126 : 경화제주입부 128 : 제2타이머
130 : 바이브레이터 132 : 에어구멍
134 : 주재마개 136 : 주재마개결합부
138 : 경화제마개 140 : 경화제마개결합부
142 : 에어핀 144 : 주재에어핀결합부
146 : 경화제에어핀결합부 148 : 배출부

Claims (4)

  1.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퍼(104)로부터 보내져 온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상부 일측으로 보내는 컨베이어(108)와;
    상기 컨베이어(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108)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용기(106)를 가이드부로 보내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110)로부터 보내져 수평형태의 용기(106)를 회전부(114)가 잡고 회전시켜 용기(106)의 주입구가 상부로 위치되고 노즐부분이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직형태로 위치시키는 가이드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112)에 고정된 용기(106)를 고정부(118)로 이동시켜 고정 설치하고 주입수단으로 투입시키는 회전부(114)와;
    상기 회전부(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회전테이블로 형성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재를,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경화제를 일정하게 주입하여 용기(106)를 배출하는 주입수단(116)을 포함하되,
    상기 주입수단(116)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 및 경화제카트리지를 고정시켜 주는 복수 개의 고정부(118)와;
    상기 고정부(118)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 량, 경화제 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120)와;
    상기 고정부(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아 주는 노즐마개결합부(121)와;
    상기 노즐마개결합부(12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하는 주재주입부(122)와;
    상기 주재주입부(122)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재 주입시,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타이머(124)와;
    상기 주재주입부(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하는 경화제주입부(126)와;
    상기 경화제주입부(126)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화제 주입시,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타이머(128)와;
    상기 경화제주입부(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 즉,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130)와;
    상기 바이브레이터(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주재마개(134)로 막아 주는 주재마개결합부(136)와;
    상기 주재마개결합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주입구를 에어구멍(132)을 구비한 경화제마개(138)로 막아 주는 경화제마개결합부(140)와;
    상기 경화제마개결합부(14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재마개(134)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주재에어핀결합부(144)와;
    상기 주재에어핀결합부(14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화제마개(138)의 에어구멍(132)을 에어핀(142)으로 막아 주는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와;
    상기 경화제에어핀결합부(14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용기(106)를 배출하는 배출부(14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호퍼의 내부에 용기(106)를 수용하고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회전하는 컨베이어(108)로 용기(106)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수평형태로 누운 용기(106)를 상부로 올리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컨베이어(108)의 상부에 형성된 실린더(110)를 동작시켜 상부에 위치한 용기(106)를 주입수단(116)측으로 이동시키되, 가이드부(112)가 실린더(110)로부터 유입된 수평형태의 용기(106)를 회전부(114)가 잡고 회전시켜 용기(106)의 주입구가 상부로 위치되고 노즐부분이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직형태로 위치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수직형태로 위치된 용기(106)을 주입수단(116)의 무게측정센서(120)를 구비한 고정부(118)로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용기(106)를 노즐마개결합부(121)로 보내어 용기(106)의 노즐을 노즐마개(119)로 막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용기(106)를 제1타이머(124)를 구비한 주재주입부(122)로 보내어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로 주재를 주입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용기(106)를 제2타이머(128)를 구비한 경화제주입부(126)로 보내어 용기(106)인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로 경화제를 주입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후, 용기(106)를 바이브레이터(130)로 보내어 용기(106)인 주재카트리지의 내부 및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된 주재, 경화제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제8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6단계의 주재 주입시, 제1타이머(124)가 주재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주재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주재의 무게를 측정할 때, 설정된 시간까지 주재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출 경우, 기 설정된 주재 량과 측정된 주재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재주입부(112)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7단계의 경화제 주입시, 제2타이머(128)가 경화제 주입 시간을 카운트함과 동시에 무게측정센서(120)가 경화제카트리지의 내부에 주입되는 경화제의 무게를 측정할 때, 설정된 시간까지 경화제를 주입하고 주입을 멈출 경우, 기 설정된 경화제 량과 측정된 경화제 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경화제주입부(126)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KR1020190079023A 2019-07-01 2019-07-01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KR10210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23A KR102109205B1 (ko) 2019-07-01 2019-07-01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23A KR102109205B1 (ko) 2019-07-01 2019-07-01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205B1 true KR102109205B1 (ko) 2020-05-11

Family

ID=7072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23A KR102109205B1 (ko) 2019-07-01 2019-07-01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09A (ko) * 2020-07-15 2022-01-24 박성우 액젓 주입 및 봉인용 장치
KR102522026B1 (ko) * 2022-09-08 2023-04-13 김창영 케미컬 수지 충전기 제조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59A (ko) 1994-06-15 1996-01-25 소병선 용기의 내용물 자동 충전장치
JP2001219995A (ja) * 2000-02-08 2001-08-14 Shibuya Kogyo Co Ltd 充填装置
KR200329131Y1 (ko) * 2003-06-09 2003-10-0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유체 자동 포장장치
KR101204825B1 (ko) 2012-04-09 2012-11-26 송림기업 주식회사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KR101369055B1 (ko) 2011-10-19 2014-03-03 젠-테 첸 디바이스 홀딩을 촉진하는 핸들 구조를 가진 커버 및 그 사용방법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59A (ko) 1994-06-15 1996-01-25 소병선 용기의 내용물 자동 충전장치
JP2001219995A (ja) * 2000-02-08 2001-08-14 Shibuya Kogyo Co Ltd 充填装置
KR200329131Y1 (ko) * 2003-06-09 2003-10-0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유체 자동 포장장치
KR101369055B1 (ko) 2011-10-19 2014-03-03 젠-테 첸 디바이스 홀딩을 촉진하는 핸들 구조를 가진 커버 및 그 사용방법
KR101204825B1 (ko) 2012-04-09 2012-11-26 송림기업 주식회사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09A (ko) * 2020-07-15 2022-01-24 박성우 액젓 주입 및 봉인용 장치
KR102421891B1 (ko) * 2020-07-15 2022-07-15 박성우 액젓 주입 및 봉인용 장치
KR102522026B1 (ko) * 2022-09-08 2023-04-13 김창영 케미컬 수지 충전기 제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205B1 (ko) 개선된 케미컬 앵커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US9475208B2 (en) Method of atmospheric storage mechanical weight batch blending
US20110211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ering, mixing and packag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US20160289012A1 (en) Mud chemic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ES2955439T3 (es) Aparato de llenado de mezclas y procedimiento de llenado de mezclas
KR101797085B1 (ko)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CN107206629A (zh) 用于通过挤出机生产塑料制品的处理方法和成型设备
US45389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urrying soda ash
KR101644901B1 (ko) 애완동물용 사료 제조장치
KR100257234B1 (ko) 분체의정밀계량시스템
CN108081460B (zh) 一种用于中子研究的防辐射混凝土浆的配置机构
US8827680B2 (en) Liquid resin material molding system
JPH0577241A (ja) 成形用原料供給装置
CN210830426U (zh) 一种压力容器的便捷卸料装置
KR102367465B1 (ko) 플라스틱 앰풀병 주입 입구 밀봉 일체형 장치
KR101204825B1 (ko) 케미컬 앵커의 용액 자동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액 주입방법
JP2017061039A (ja) ホッパによる粉体供給システム
KR101505724B1 (ko) 원료포장 시스템용 믹싱 장치
CN207768744U (zh) 配药器
RU214558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и утилизации бурового шлама
CN110154217A (zh) 定量下料装置
JP3930336B2 (ja) 溶解装置
JP3063752B1 (ja) 合成樹脂成形材料の自動計量及び供給装置
CN215094866U (zh) 一种可定量加料的色母料混合装置
KR200223250Y1 (ko) 스크류 콘믹서용 첨가제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