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202B1 - 가공물 탈유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물 탈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9202B1 KR102109202B1 KR1020180128658A KR20180128658A KR102109202B1 KR 102109202 B1 KR102109202 B1 KR 102109202B1 KR 1020180128658 A KR1020180128658 A KR 1020180128658A KR 20180128658 A KR20180128658 A KR 20180128658A KR 102109202 B1 KR102109202 B1 KR 102109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deoiling
- conveyor belt
- drum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4—Periodical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에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공급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송단계(S1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1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140)와;
상기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공물 탈유단계(S150);를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탈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에 대한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유통체의 내부에 가공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로 탈유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유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1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140)와;
상기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공물 탈유단계(S150);를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탈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에 대한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유통체의 내부에 가공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로 탈유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유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물 탈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물 뒤집기 단계에 의해 컵 형태 또는 콘 형태의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을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 탈유단계에 의해 가공물에 묻어 있는 가공유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공물 탈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조, 주조, 절삭 등의 가공을 통해 만들어지는 가공물은 가공 과정중에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 등이 부품표면에 묻거나 생기게 되며, 이와 같은 이물질은 제거된 상태로 각종기계장치나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때, 상기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세척 및 건조 과정이 필요하며, 종래에는 이와 같은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체결요소를 흔들면서 세척하여 세척효율이 떨어지고, 그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세척액이 인체에 유해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998-000230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탈지장치는, 백등유등의 세척제에 의해 세척된 베어링에 방청유를 분사하는 방청유 분사노즐과, 상기 방청유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방청유에 의해 세척제가 치환된 베어링을 일정갯수가 될때까지 수집하는 베어링수집수단과, 상기 베어링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일정갯수의 베어링을 이송하는 베어링이송수단과, 상기 베어링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베어링 수용함과 동시에 탈지시키는 탈지드럼과, 상기 탈지드럼을 원심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탈지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탈지장치는 베어링의 탈지작업 이후 자동으로 배출되는 별도로 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베어링의 탈지작업 이후에 베어링을 배출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베어링이 같은 공간에서 일렬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탈지됨에 따라 서로 다른 베어링 사이에 이물질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여 탈지과정 중 베어링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물 뒤집기 단계에 의해 컵 형태 또는 콘 형태의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을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 탈유단계에 의해 가공물에 묻어 있는 가공유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공물 탈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방법은, 가공물 이송컨베이어에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공급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의 회전 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뒤집기부재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을 파지하여 가공물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을 가공물 투입부재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에 가공물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와, 상기 탈유드럼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와 상기 뒤집기단계 사이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면에 가공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투입위치에 상기 가공물을 정지시키는 가공물 위치고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유단계에 의해 가공물에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가 상기 탈유부재 측으로 이동되어 가공물을 배출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상기 가공물을 안착시키기 전에 파지부의 회동플레이트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가공물의 배출위치를 변경하는 배출위치 전환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위치 전환단계 이후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뒤집기부재가 배출된 가공물을 파지하여 원위치로 전환되도록 180°도 가공물을 뒤집어 주는 원위치 복귀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와 가공물 위치고정단계 사이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스탑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공물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탈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에 대한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유통체의 내부에 가공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로 탈유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유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가공유 및 이물질이 제거되는 가공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이송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탑부재, 위치고정부재,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선정부재와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뒤집기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가공물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이송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탑부재, 위치고정부재,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선정부재와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뒤집기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가공물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유 및 이물질이 제거되는 가공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컵(cup) 또는 콘(cone) 형태의 가공물(P)을 도시한 것으로서 다양한 기계 또는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된다. 상기 가공물(P)은 다양한 기계 절삭 과정을 실시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정밀한 치수를 가지는 가공물(P)로 성형된다.
상기 가공물(P)이 다양한 가공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컵(cup) 또는 콘(cone)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특히 가공유 및 이물질 잔류공간(10) 부위에 가공유 및 이물질이 흘러내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많이 남아있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이송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물 탈유방법은,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에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공급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송단계(S1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1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140)와, 상기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공물 탈유단계(S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는 이송테이블(102), 이송컨베이어벨트(110), 이송스프라켓(112), 회전축(1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테이블(102)은 일반적인 테이블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송테이블(102)의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후술할 이송컨베이어벨트(110), 이송스프라켓(112), 회전축(114), 이송모터(116)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는 일반적인 컨베이어벨트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가공물(P)이 안착되고, 후술할 이송스프라켓(112)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면에 안착되는 가공물(P)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는 도 3과 같이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원거리에 위치한 가공기계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후술할 탈유부재(3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전,후측에는 이송스프라켓(112)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은 일반적인 스프라켓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의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내부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부(미도시)와 치차 결합된다.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은 후술할 회전축(1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의 중앙에는 회전축(114)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14)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의 중앙에 좌우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14)은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114)의 일측에는 이송모터(11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모터(116)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모터(116)는 상기 회전축(11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8)는 도 5와 같이,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 상단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8)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P)을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8) 사이에 상기 가공물(P)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가공물(P)의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탑부재, 위치고정부재,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선정부재와 뒤집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뒤집기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우측 상단에는 스탑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스탑부재(120)는 도 6과 같이, 스탑실린더(122), 스탑몸체(1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탑실린더(122)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탑실린더(122)는 도 6과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어 후술할 스탑몸체(124)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탑실린더(122)의 좌측면에는 스탑몸체(124)가 설치된다. 상기 스탑몸체(124)는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며,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탑몸체(124)는 상기 스탑실린더(122)의 좌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탑실린더(12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스탑부재(1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탑몸체(12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가공물(P)을 일시적으로 정지킨다.
상기 스탑부재(120)의 하측에는 가공물공급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가공물공급부재(130)는, 공급실린더(132), 공급몸체(1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실린더(132)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급실린더(132)는 도 6과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어 후술할 공급몸체(134)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실린더(132)의 좌측면에는 공급몸체(13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몸체(134)는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몸체(134)는 상기 공급실린더(132)의 좌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공급실린더(13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공물공급부재(130)는 상기 스탑부재(12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탑부재(120)를 통과한 단일의 상기 가공물(P)을 일시정지 시킨후 제어부(미도시)의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공물공급부재(130)와 상기 스탑부재(120)의 이격거리는 단일의 가공물(P)의 외경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돌출된 스탑몸체(124)와 상기 공급몸체(134) 사이에 단일의 상기 가공물(P)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몸체(13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공물(P)의 공급 차단이 해제되어 일방향으로 단일의 상기 가공물(P)이 후술할 뒤집기부재(150)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공물공급부재(130)의 하부에는 위치고정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40)는, 위치고정실린더(142), 위치고정몸체(1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실린더(142)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위치고정실린더(142)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어 후술할 위치고정몸체(144)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위치고정실린더(142)의 좌측면에는 위치고정몸체(144)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몸체(144)는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몸체(144)의 상부면에는 위치고정홈(146)의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몸체(144)는 상기 위치고정실린더(142)의 좌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실린더(14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40)는 상기 가공물공급부재(13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후술할 상기 가공물(P)을 투입위치에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40)의 건너편에는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뒤집기부재(150)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공물(P)의 외주면을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P)을 회전시키는 회전클램프(152)와, 상기 회전클램프(15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클램프(152)를 작동시키는 회전실린더(154)와, 상기 회전실린더(15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실린더(15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1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클램프(152)는 일반적인 집게형 클램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클램프(152)는 후술할 회전실린더(15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부재(140)에 의해 정지된 상기 가공물(P)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클램프(152)의 좌측에는 회전실린더(15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실린더(154)는 일반적인 복합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실린더(154)는 상기 회전클램프(152)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클램프(152)의 파지동작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클램프(152)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가공물(P)을 180°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실린더(154)의 하부에는 승강실린더(15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156)는 일반적인 습동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156)는 도 8과 같이, 상기 회전실린더(15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클램프(152)의 회전 동작시 상기 가공물(P)을 일정 높이 만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뒤집기부재(150)는 상기 위치고정부재(140)에 의해 투입위치에 정지된 상기 가공물(P)을 파지한 후 소정 높이 만큼 들어올린 상태에서 180°도로 회전시켜 상기 가공물(P)의 뒤집는 역할을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물 투입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가공물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집기부재(150)의 상측에는 가공물 투입부재(200) 설치된다.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는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2)과,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상부면 전,후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측면에 가이드레일(206)이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과,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 측면이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206)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플레이트(208)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P)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공물상하이송부(220)와, 상기 가공물상하이송부(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물(P)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탈유부재(300)에 투입 및 배출하는 파지부(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02)은 도 9와 같이,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상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상부면에 전후측에는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은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전,후측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은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와 후술할 탈유부재(300)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후술할 가공물상하이송부(2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의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06)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6)은 일반적인 LM가이드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6)은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의 측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 사이에는 좌우이송플레이트(208)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 사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상,하측은 각각 서로 다른 가이드레일(206)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는 후술할 가공물상하이송부(2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가이드프레임(204)의 상측에는 좌우이송실린더(21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210)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210)의 이송로드(미도시)의 끝단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와 결합된다. 상기 좌우이송실린더(210)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상부면 중앙에는 가공물상하이송부(220)가 설치된다. 상기 가공물상하이송부(220)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중앙에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좌우이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몸체(222)와,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중앙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이송로드의 끝단이 상기 승강몸체(222)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몸체(2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송실린더(224)와,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2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몸체(222)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몸체(222)에는 후술할 파지부(230)가 설치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측에는 상하이송실린더(224)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의 하부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상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의 이송로드(미도시)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의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부면 중앙에 고정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는 상기 승강몸체(222)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몸체(2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의 양측에는 승강가이드(22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226)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이송실린더(224)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226)는 상기 좌우이송플레이트(208)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승강가이드(226)의 하부 끝단은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상기 승강가이드(226)는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승강몸체(22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몸체(222)에는 파지부(230)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부(230)는, 상기 승강몸체(222)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회동플레이트(232)와, 상기 승강몸체(222)의 내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우측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232)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234)와,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물(P)의 외경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파지클램프(238)와, 상기 파지클램프(238)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파지클램프(238)를 작동시키고, 상단부가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에 고정되는 파지실린더(2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32)는 도 12와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몸체(222)의 하부면에 좌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하부면에는 후술할 파지실린더(236)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상부면에는 회동실린더(234)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실린더(234)는 일반적인 회전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실린더(234)는 상기 승강몸체(222)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로드(235)가 상기 승강몸체(222)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우측 상부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회동실린더(234)는 도 13과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180°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회동실린더(234)에 의해 상기 회동플레이트(232)가 180°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지클램프(238)의 위치를 간단한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하부에는 파지실린더(236)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실린더(236)는 일반적인 클램프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지실린더(236)는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파지클램프(238)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실린더(236)의 하부에는 파지클램프(238)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클램프(238)은 일반적인 클램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지클램프(238)는 다수개의 클램프블럭으로 이루어져, 하부면에 원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실린더(236)의 작동에 따라 다수개의 클램프 블럭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는 동작과 오므라드는 동작을 실시한다.
상기 파지클램프(238)는 도 12와 같이 상기 가공물(P)의 상단 외주면을 파지하여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는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힌 가공물(P)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후술할 탈유부재(300)에 투입하고, 탈유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가공물(P)을 재파지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 측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탈유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드럼에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하부에는 탈유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탈유부재(300)는,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탈유통체(302)와, 상기 탈유통체(3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된 원통체로 이루어져, 상기 가공물(P)이 삽입 고정되는 탈유드럼(304)과, 상기 탈유드럼(304)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탈유드럼(30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3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유통체(302)는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탈유통체(302)는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탈유과정시 외부로 가공유와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유통체(302)의 내부에는 탈유드럼(304)이 설치된다. 상기 탈유드럼(304)은 도 16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가공물(P)이 장착된다. 상기 탈유드럼(304)은 내부에 상기 가공물(P)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유드럼(304)의 하측 외주면에는 배출홀(306)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306)은 상기 탈유드럼(30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탈유드럼(304)의 하측 외주면에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306)은 상기 탈유드럼(304)의 내부와 연통되어 탈유과정 중 상기 탈유드럼(304)의 내부에 저장되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상기 탈유드럼(304)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유드럼(304)의 하부에는 회전판(308)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308)은 원판 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탈유드럼(30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탈유드럼(304)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판(308)의 하부에는 드럼회전축(310)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회전축(3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308)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드럼회전축(310)은 후술할 드럼회전모터(31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탈유드럼(30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럼회전축(310)의 외주면에는 회전풀리(31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풀리(312)는 일반적인 풀리(pully)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풀리(312)는 동력전달벨트(314)와 연결되어 드럼회전모터(316)에 의해 고정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풀리(312)는 상기 드럼회전모터(316)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럼회전축(310)을 회전시킨다.
상기 탈유통체(302)의 상부면에는 개폐도어(32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320)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탈유통체(302)의 상측 개방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320)는 상기 탈유통체(30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탈유통체(302)의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도어(320)의 양측 하부면에는 도어습동프레임(322)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습동프레임(322)은 도 14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도어(32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어습동프레임(322)의 상기 개폐도어(32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한다.
상기 도어습동프레임(322)의 측면에는 도어습동레일(324)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습동레일(324)은 일반적인 LM가이드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습동레일(324)은 상기 도어습동프레임(322)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32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탈유통체(302)의 측면에는 도어개폐실린더(326)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개폐실린더(326)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개폐실린더(326)는 상기 탈유통체(302)의 측면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도어습동프레임(322)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320)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탈유부재(300)에 상기 가공물(P)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320)를 개방하고, 상기 탈유부재(300)의 탈유동작시에는 상기 탈유통체(302)의 개방부를 상기 개폐도어(320)가 폐쇄하여 탈유동작시 발생되는 가공유 및 이물질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공물 탈유방법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기계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수작업 또는 자동화기계를 통해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에 공급한다.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공유와 이물질이 묻어 있는 가공물(P)이 도 3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 이송단계(S100)를 실시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가공물(P)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 스탑부재(120)의 스탑몸체(124)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는 상기 가공물(P)을 일시정지 시키는 가공물 공급단계(S11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S110)는 상기 스탑부재(120)에 상기 가공물(P)이 정지된 상태에서 가공물공급부재(130)의 공급몸체(134)가 우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탑몸체(124)는 원위치로 복귀한 후, 단일의 가공물(P)이 상기 스탑몸체(124)와 상기 공급몸체(134) 사이에 위치하면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탑몸체(124)와 상기 공급몸체(134) 사이에 단일의 가공물(P)을 위치시킨다.
상기의 스탑몸체(124)와 상기 공급몸체(134)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서로 다른 가공물(P)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S110)에 의해 탈유장치의 연속적인 가공물(P)의 공급 및 처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공물(P)의 공급을 중단하여 추가적인 장치의 손상 및 가공물(P)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S110)가 완료되면, 그 다음 과정으로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위치고정부재(14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에 가공물(P)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투입위치에 상기 가공물(P)을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공급몸체(134)에 상측에 가공물(P)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몸체(134)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단일의 가공물(P)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몸체(134)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 중 하측에 설치된 상기 위치고정부재(140)의 위치고정몸체(144)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공물(P)이 먼저 위치된다.
상기 하측 위치고정부재(140)에 상기 가공물(P)이 위치된 이후 상기 상측에 위치된 위치고정부재(140)의 위치고정몸체(144)가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가공물(P)의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에 의해 가공물(P)이 가공물 투입부재(200)에 의해 파지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가 완료되면, 가공물 뒤집기단계(13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뒤집기단계(13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물 뒤집기단계(130)를 자세히 살펴보면, 복수의 상기 위치고정부재(140)에 상기 가공물(P)이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위치고정부재(140) 맞은편에 설치된 뒤집기부재(150)가 작동된다.
상기 뒤집기부재(150)는 상기 가공물(P)을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156)가 작동되어 상기 가공물(P)을 일정 높이 만큼 상승시킨 상태에서 회전실린더(154)가 작동되어 상기 가공물(P)을 도 6과 같이 180°도 회전시킨다.
상기 가공물(P)에 대한 180°도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실린더(156)는 상기 회전클램프(152)를 하부로 위치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에 가공물(P)의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기 뒤집기부재(150)의 작동은 가공물(P)의 가공유 및 이물질 잔류공간(10)을 꺼꾸로 뒤집어 줌으로써, 탈유 공정시 가공유 및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이다.
상기 가공물 뒤집기단계(130)가 완료되면, 가공물 투입단계(14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투입단계(14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물 투입단계(140)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탈유부재(300)의 개폐도어(3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파지부(230)가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탈유드럼(304)의 내부에 가공물(P)을 도 14와 같이 삽입한다.
상기 가공물 투입단계(140)에 의해 탈유부재(300)에 가공물(P)의 투입이 완료되면, 가공물 탈유단계(15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탈유단계(150)는,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물 탈유단계(150)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어개폐실린더(326)가 작동되어 개폐도어(320)로 상기 탈유통체(302)의 개방부를 폐쇄한다.
상기 개폐도어(320)의 폐쇄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탈유드럼(304)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가공물의 가공유 및 이물질을 원심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가공물 탈유단계(150)가 완료되면, 가공물 배출단계(160)가 실시된다. 상기 가공물 배출단계(160)는, 상기 개폐도어(320)가 작동되어 상기 탈유통체(302)의 상단부를 개방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기 탈유부재(300) 측으로 이동하여 탈유작업이 완료된 가공물을 상기 탈유통체(302)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물 배출단계(160)가 완료되면, 배출위치 전환단계(170)가 설시된다. 상기 배출위치 전환단계(170)는, 도 13과 같이,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기 탈유부재(300) 측으로 이동되어 가공물(P)을 배출한 후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에 상기 가공물(P)을 안착시키기 전에 파지부(230)의 회동플레이트(232)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가공물(P) 배출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는 탈유 공정이 완료된 가공물(P)을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정 높이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회동플레이트(232)를 180°도 회전시켜 도 13와 같이, 승강몸체(222)의 우측으로 탈유 공정이 완료된 가공물(P)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다.
상기 배출위치 전환단계(170)가 완료되면, 원위치 복귀단계(180)가 실시된다. 상기 원위치 복귀단계(18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뒤집기부재(150)가 배출된 가공물(P)을 파지하여 원위치로 전환되도록 180°도 가공물(P)을 뒤집어 주는 단계이다.
상기 원위치 복귀단계(180)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에 탈유 공정이 완료된 가공물(P)이 안착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설치된 뒤집기부재(150)가 작동되어 탈유 공정이 완료된 가공물(P)을 180°도 회전시켜 원상태를 돌려놓는다.
상기 원위치 복귀단계(180)에 의해 상기 가공물(P)의 원상태 복귀가 완료되면, 가공물(P)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가공물(P)에 대한 탈유 공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가공물 이송컨베이어 110. 이송컨베이어벨트
120. 스탑부재 130. 가공물공급부재
140. 위치고정부재 150. 뒤집기부재
200. 가공물 투입부재 220. 가공물상하이송부
230. 파지부 300. 탈유부재
302. 탈유통체 304. 탈유드럼
306. 배출홀 308. 회전판
310. 드럼회전축 312. 회전풀리
120. 스탑부재 130. 가공물공급부재
140. 위치고정부재 150. 뒤집기부재
200. 가공물 투입부재 220. 가공물상하이송부
230. 파지부 300. 탈유부재
302. 탈유통체 304. 탈유드럼
306. 배출홀 308. 회전판
310. 드럼회전축 312. 회전풀리
Claims (5)
-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에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공급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송단계(S1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스탑부재(12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P)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공물(P)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단계(S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S1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S140)와;
상기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공물 탈유단계(S150);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물 탈유단계(S150)에 의해 가공물(P)에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기 탈유드럼(304) 측으로 이동되어 가공물(P)을 배출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에 상기 가공물(P)을 안착시키기 전에 파지부(230)의 회동플레이트(232)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가공물(P) 배출위치를 변경하는 배출위치 전환단계(S170);를 더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공급단계(S110)와 상기 가공물 뒤집기단계(S130) 사이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위치고정부재(14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에 가공물(P)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투입위치에 상기 가공물(P)을 정지시키는 가공물 위치고정단계(S120)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위치 전환단계(S170) 이후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뒤집기부재(150)가 배출된 가공물(P)을 파지하여 원위치로 전환되도록 180°도 가공물(P)을 뒤집어 주는 원위치 복귀단계(S180);를 더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8658A KR102109202B1 (ko) | 2018-10-26 | 2018-10-26 | 가공물 탈유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8658A KR102109202B1 (ko) | 2018-10-26 | 2018-10-26 | 가공물 탈유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6883A KR20200046883A (ko) | 2020-05-07 |
KR102109202B1 true KR102109202B1 (ko) | 2020-05-11 |
Family
ID=7072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8658A KR102109202B1 (ko) | 2018-10-26 | 2018-10-26 | 가공물 탈유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92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04578B (zh) * | 2021-04-23 | 2023-02-17 | 江苏英凯电机有限公司 | 一种电机加工用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5522018B (zh) * | 2022-07-26 | 2024-05-17 | 浙江品诺机械有限公司 | 一种轴承套圈的清洗装置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113Y1 (ko) | 2012-12-28 | 2013-05-31 | 조성준 |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탈유장치 |
KR101536602B1 (ko) * | 2015-02-06 | 2015-07-15 | 주식회사 아이엠티 |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
JP2017059569A (ja) * | 2015-09-14 | 2017-03-23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反転機および基板研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8566B1 (ko) | 1996-06-12 | 1999-06-01 | 헬무트 슈타이어, 송재복 | 베어링의 탈지장치 |
KR20090048771A (ko) * | 2007-11-12 | 2009-05-15 | 주식회사 서해이앤티 | 원심분리장치 |
-
2018
- 2018-10-26 KR KR1020180128658A patent/KR1021092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113Y1 (ko) | 2012-12-28 | 2013-05-31 | 조성준 |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탈유장치 |
KR101536602B1 (ko) * | 2015-02-06 | 2015-07-15 | 주식회사 아이엠티 |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
JP2017059569A (ja) * | 2015-09-14 | 2017-03-23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反転機および基板研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6883A (ko) | 202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1200B1 (ko) | 가공물 디버링 장치 | |
JP5704997B2 (ja) | タレット式洗浄装置 | |
KR102109202B1 (ko) | 가공물 탈유방법 | |
KR102022899B1 (ko) | 부품 회전형 자동 세척장치 | |
KR101852123B1 (ko) | 셔틀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 |
KR101215193B1 (ko) | 쿨런트 분사 및 에어 블로우를 이용한 v형 엔진 실린더 블록의 로터리형 간이세척기 | |
JP2009185307A (ja) | 表面処理装置 | |
JP3123241U (ja) | 工業部品洗浄装置 | |
KR102109200B1 (ko) | 가공물 탈유장치 | |
JP5175971B1 (ja) | 切削加工部品洗浄装置 | |
KR102038015B1 (ko) | 스테이터 샤프트 고주파 열처리장치 | |
CN111383977A (zh) | 一种自动化多工序的半导体片清洗设备 | |
WO2003089191A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hemisch-mechanischen polieren von werkstücken | |
DE4103538C1 (en) | Handling and cleaning industrial transport crates - uses machine with turntable rotating crate about vertical axis | |
JPH07251346A (ja) | オイルパン付きローディング装置 | |
CN109622546B (zh) | 清洗机载料台及清洗机 | |
US5587185A (en) | Automated system for handling and cleaning concrete pipe-making components | |
KR102239057B1 (ko) | 에어브로잉장치 | |
JP7283951B2 (ja) | 加工装置 | |
CN113926620B (zh) | 机车零部件防锈处理系统 | |
JPH071230A (ja) | 歯車端部のバリ取りシステム及びバリ取り方法と装置 | |
KR101605548B1 (ko) | 브로치 머신 | |
JP3088141U (ja) | エアブロー式の切粉除去装置 | |
JPH04362165A (ja) | ワークの自動溶融メッキ方法と溶融メッキ装置 | |
DE102009012029B4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