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16B1 -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16B1
KR102108816B1 KR1020190087750A KR20190087750A KR102108816B1 KR 102108816 B1 KR102108816 B1 KR 102108816B1 KR 1020190087750 A KR1020190087750 A KR 1020190087750A KR 20190087750 A KR20190087750 A KR 20190087750A KR 102108816 B1 KR102108816 B1 KR 10210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earth plate
sheet
plates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토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토건
Priority to KR102019008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토류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시트를 적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에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Vertical Pillar), 상기 수직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토류판의 후면(Rear Surface)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Sheet), 상기 시트의 일단을 복수의 상기 토류판 중 최하 토류판의 전면(Front Surface)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상기 시트의 타단을 복수의 상기 토류판 중 최상 토류판의 전면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및 토류판들 사이 영역에서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Hang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ENHANCED SOIL ARRE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토류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시트를 적용하여 수분 유출 방지와 함께 강도를 향상시킨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지반 굴착공사 시 굴착배면의 토사붕괴나 침하방지 및 변위 억제를 통해 인접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위한 방안으로 흙막이 구조물을 형성하는 흙막이 공사를 한다.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에는 기존 건물에 근접 시공이 많아짐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되는 등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크기 때문에 흙막이 구조물이 중요하다.
흙막이 구조물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939호[문헌 1]에서는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제 1 토류벽과 제 2 토류벽을 H빔 사이에서 상하로 적층하고, 아울러 H빔 사이에 보강판과 차단막을 추가로 설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문헌 1에서는 차단막의 내부에는 망사형 철근을 매설하는 기술적 구성을 더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과도하게 높을 수 있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여 설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흙막이 구조물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3호[문헌 2]에서는 기초말뚝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기초말뚝의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토류판을 기초말뚝의 사이에 배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2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토류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939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3호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지반 굴착공사 시 굴착배면의 토사붕괴나 침하방지 및 변위 억제를 통해 인접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위한 방안으로 흙막이 구조물을 형성하는 흙막이 공사를 한다.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에는 기존 건물에 근접 시공이 많아짐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되는 등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크기 때문에 흙막이 구조물이 중요하다.
흙막이 구조물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939호[문헌 1]에서는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제 1 토류벽과 제 2 토류벽을 H빔 사이에서 상하로 적층하고, 아울러 H빔 사이에 보강판과 차단막을 추가로 설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문헌 1에서는 차단막의 내부에는 망사형 철근을 매설하는 기술적 구성을 더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과도하게 높을 수 있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여 설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흙막이 구조물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3호[문헌 2]에서는 기초말뚝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기초말뚝의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토류판을 기초말뚝의 사이에 배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2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토류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에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Vertical Pillar), 상기 수직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토류판의 후면(Rear Surface)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Sheet), 상기 시트의 일단을 복수의 상기 토류판 중 최하 토류판의 전면(Front Surface)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상기 시트의 타단을 복수의 상기 토류판 중 최상 토류판의 전면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및 토류판들 사이 영역에서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Hang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바(Bar) 형태를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걸림부를 휘감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의 폭은 상기 토류판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금속 메쉬층(Metal Mesh Layer) 및 방수층(Waterproof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서 상기 수직 기둥 사이에 끼워지거나,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의 경계영역에서 상기 토류판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에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Vertical Pillar) 및 상기 수직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토류판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Pleat)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은 서로 일부중첩(Partially Overlap)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의 경계영역에 배치되는 공통 바(Common Bar)를 더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장변(Long Side)은 상기 공통 바의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 중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장변은 상기 공통 바의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류판은 상기 주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굴곡부(First Bending Part) 및 상기 주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 굴곡부(Second Bending Part), 상기 제 1 굴곡부와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토류판이 수평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상기 제 1 굴곡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상기 제 2 굴곡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은 토류판에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흙막이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류판들 사이로 토사나 수분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토류판들의 배치하는 타입을 변경하는 것으로 흙막이 구조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A)은 복수의 수직 기둥(Vertical Pillar, H), 복수의 토류판(10), 시트(Sheet, 20),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31)와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32)를 포함하는 연결부(Connecting Part, 30) 및 걸림부(Hanging Part, 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기둥(H)은 지반에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제 3 방향(DR3))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기둥(H)은 H형 빔일 수 있고, 좌우에 토류판(10)을 끼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면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한 홈에 수직 기둥(H)을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수직 기둥(H)의 상부에 힘을 가해 수직 기둥(H)을 지면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토류판(10)은 수직 기둥(H) 사이에서 수직 기둥(H)의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토류판(10)은 토사 등의 유출을 막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히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류판(10)은 나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수지 재질 및/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는 토류판(10)이 나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및/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시트(20)는 토류판(10)의 후면(Rear Surface)을 덮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시트(20)는 토류판(10)의 후면을 감싸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트(20)는 토류판(10)을 덮어서 토류판(1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토사, 수분 등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20)는 연결부(Connecting Part, 30)에 의해 토류판(10)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제 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31)와 제 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31)는 시트(20)의 일단을 복수의 토류판(10) 중 최하 토류판(10)의 전면(Front Surface)에 연결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32)는 시트(20)의 타단을 복수의 토류판(10) 중 최상 토류판(10)의 전면에 연결할 수 있다.
걸림부(40)는 토류판(10)들 사이 영역에서 시트(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흙막이 구조물(10A)은 시트(20)를 사용함으로써, 토류판(10) 자체의 강성을 뛰어넘는 토사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토류판(10)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마철 등의 우수기에도 토류판(10)의 강성을 충분히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A)의 각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시트(20)는 토류판(10)과 걸림부(40)를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시트(20)는 토류판(10)의 후면을 덮는 부분과 걸림부(40)의 전면을 덮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31)는, 도 3에 게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10)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토류판, 즉 최하 토류판(10B)의 전면에 시트(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20)는 제 1 연결부(31)와 최하 토류판(10B)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31)는 제 1 체결수단(First Fastening Member, FM1)에 의해 최하 토류판(10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부(31)는 최하 토류판(10B)의 아래쪽 장변(Long Side, LS)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SS는 토류판(10)의 단변(Short Side)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살펴보면, 걸림부(40)는 토류판(10)들 사이 영역에서 시트(20)를 고정하기 위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인접하는 토류판(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4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시트(20)를 밀어내는 형태로 토류판(1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40)는 바(Bar) 형태를 갖고, 시트(20)는 걸림부(40)를 휘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40)는 시트(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이즈는 토류판(10)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걸림부(40)의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걸림부(40)의 폭(d2)은 토류판(10)의 폭(d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2 연결부(32)는, 도 5에 게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10) 중 가장 위에 위치한 토류판, 즉 최상 토류판(10T)의 전면에 시트(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20)는 제 2 연결부(32)와 최상 토류판(10T)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32)는 제 2 체결수단(Second Fastening Member, FM2)에 의해 최상 토류판(10T)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연결부(32)는 최상 토류판(10T)의 위쪽 장변(LS)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시트(20)는 토류판(1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토사 및/또는 수분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금속 메쉬층(Metal Mesh Layer, 22) 및 방수층(Waterproof Layer, 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메쉬층(22)은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여 메쉬층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메쉬층(22)은 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20)는 금속 메쉬층(22) 및 방수층(21) 이외에 부직포 등 다른 기능성층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토류판(10) 사이에서 걸림부(40)를 강하게 고정하기 위해, 토류판(10)의 장변의 측면에는 제 1 장변홈(First Long Side Hollow, 11)과 제 2 장변홈(Second Long Side Hollow, 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류판(1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즉 위쪽 장변의 측면에는 제 1 장변홈(11)이 형성되고,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즉 아래쪽 장변의 측면에는 제 2 장변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 중 아래에 위치한 토류판(10)의 제 1 장변홈(11)과 위에 위치한 토류판(10)의 제 2 장변홈(12)의 사이에 걸림부(4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흙막이 구조물(10A)의 전면에서 두 개의 토류판(10)의 사이 영역에서는 시트(20)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최상 토류판(10T) 및/또는 최하 토류판(10B)의 전면에서는 시트(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걸림부(40)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의 경계영역에서 토류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걸림부(40)는 토류판(10)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토류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시트(20)는 걸림부(40)를 감싸기 때문에 토류판(10)의 사이에는 시트(20)만이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토류판(10)의 장변에는 토류판(10)의 전면의 일부를 제거되어 형성된 제 3 장변홈(Third Long Side Hollow, 13)과 제 4 장변홈(Fourth Long Side Hollow, 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류판(10)의 제 1 장변, 즉 위쪽 장변의 측면에는 제 3 장변홈(13)이 형성되고, 제 4 장변, 즉 아래쪽 장변의 측면에는 제 4 장변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 중 아래에 위치한 토류판(10)의 제 3 장변홈(13)과 위에 위치한 토류판(10)의 제 4 장변홈(14)의 사이에 걸림부(4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흙막이 구조물(10A)의 전면에서 시트(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9와 같은 경우에는, 걸림부(40)가 흙막이 구조물(10A)의 전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9와 같은 경우에는, 걸림부(40)의 양쪽 끝단이 수직 기둥(H)의 홈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시트(20)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수직 기둥(H)의 끝단에는 보조 기둥(Auxiliary Pillar, 51)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둥(51)에는 암부(Arm Part, 54)의 일단이 피벗(Pivot)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직 기둥과 제 2 수직 기둥에 각각 보조 기둥(51)이 배치되고, 제 1 수직 기둥의 보조 기둥(51)과 제 2 수직 기둥의 보조 기둥(51)에 각각 암부(54)가 피벗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암부(54)가 보조 기둥(51)에 피벗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작업 현장의 상황 등에 따라 시트 원단(20A)의 공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암부(54)의 타단에는 시트 원단(20A)이 걸리는 제 1 롤러부(First Roller Part, 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롤러부(53)는 암부(54)의 타단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직 기둥에 대응되는 암부(54)의 타단과 제 2 수직 기둥에 대응되는 암부(54)의 타단의 사이에 제 1 롤러부(53)가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52는 시트원단(20A)을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게시된 바와 같이, 시트원단(10A)은 흙막이 구조물(10A)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시트원단(10A)의 일단을 최하 토류판(10B)의 전면에 연결할 수 있다. 시트원단(10A)을 최하 토류판(10B)에 연결하는 방법은 앞선 도 3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이후, 앞선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부(40)를 이용하여 시트원단(20A)을 최하 토류판(10B)의 상부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걸림부(40)의 상부에 다른 토류판(10)과 다른 걸림부(40)를 차례로 적층할 수 있다.
이후, 최상 토류판(10T)을 설치한 이후에 시트원단(20A)을 적절한 길이로 제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단한 시트원단(20A)의 끝단을 최상 토류판(10T)의 전면에 연결하여 시트(20)를 완성할 수 있다. 시트원단(20A)의 끝단을 최상 토류판(10T)에 연결하는 방법은 앞선 도 5를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은 복수의 수직 기둥(H)과 복수의 토류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에서는 토류판(50)과 수직 기둥(H)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단순할 수 있다.
토류판(50)은 수직 기둥(H) 사이에서 수직 기둥(H)의 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토류판(50)이 플라스틱 재질 및/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각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살펴보면, 토류판(50)은 수평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Pleat, 5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되는 주름(500)은 토류판(5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토류판(50)은 금속판을 구부리거나 꺾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토류판(50)의 하단에는 하단 구조물(Bottom Structure, BS)이 형성되고, 토류판(50)의 상단에는 상단 구조물(Top Structure, TS)이 형성될 수 있다.
토류판(50)을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 영역(First Area, AR1), 제 2 영역(Second Area, AR2) 및 제 3 영역(Third Area, AR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역(AR1)은 제 2 영역(AR2)과 제 3 영역(AR3)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영역(AR2)은 제 1 영역(AR1)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 3 영역(AR3)은 제 1 영역(AR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주름(500)은 토류판(50)의 제 1 영역(AR1)에 형성되고, 하단 구조물(BS)은 토류판(50)의 제 2 영역(AR2)에 형성되고, 상단 구조물(TS)은 토류판(50)의 제 3 영역(AR3)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구조물(TS)과 하단 구조물(BS)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하단 구조물(BS)은 제 1 하단 부분(510), 제 2 하단 부분(520) 및 제 3 하단 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단 부분(510)은 주름(500)이 형성된 제 1 영역(AR1)의 일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하단 부분(520)은 제 1 하단 부분(5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3 하단 부분(530)은 제 2 하단 부분(5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단 구조물(TS)은 제 1 상단 부분(540), 제 2 상단 부분(550), 제 3 상단 부분(560), 제 4 상단 부분(570) 및 제 5 상단 부분(5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단 부분(540)은 제 1 영역(AR1)의 타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상단 부분(550)은 제 1 상단 부분(54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3 상단 부분(560)은 제 2 상단 부분(55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4 상단 부분(570)은 제 3 상단 부분(56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5 상단 부분(580)은 제 4 상단 부분(57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4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은 서로 일부중첩(Partially Overlap)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하단부분(BS)과 하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상단부분(TS)은 적어도 일부 중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5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단 부분(510)은 제 5 상단 부분(580)에 대응되고, 제 2 하단 부분(520)은 제 4 상단 부분(570)에 대응되고, 제 3 하단 부분(530)은 제 3 상단 부분(56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이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의 사이에는 소정의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의 경계영역에 공통 바(Common Bar, 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바(6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제 2 하단 부분(520)은 공통 바(60)의 상면에 대응되고, 제 3 하단 부분(530)은 공통 바(60)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하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제 5 상단 부분(580)은 공통 바(60)의 후면에 대응되고, 토류판(50)의 제 4 상단 부분(570)은 공통 바(60)의 하면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아래쪽 장변은 공통 바(60)의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장변은 공통 바(60)의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는 다른 형태로 토류판(5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토류판(50)의 하단 구조물(BS)은 제 11 하단 부분(610), 제 12 하단 부분(620), 제 13 하단 부분(630), 제 14 하단 부분(640) 및 제 15 하단 부분(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하단 부분(610)은 주름(500)이 형성된 제 1 영역(AR1)의 일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2 하단 부분(620)은 제 11 하단 부분(6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3 하단 부분(630)은 제 12 하단 부분(6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4 하단 부분(640)은 제 13 하단 부분(63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5 하단 부분(650)은 제 14 하단 부분(64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단 구조물(TS)은 제 11 상단 부분(660), 제 12 상단 부분(670) 및 제 13 상단 부분(6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상단 부분(660)은 제 1 영역(AR1)의 타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2 상단 부분(670)은 제 11 상단 부분(66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3 상단 부분(680)은 제 12 상단 부분(67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의 사이에 공통 바(6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제 14 하단 부분(640)은 공통 바(60)의 상면에 대응되고, 제 15 하단 부분(650)은 공통 바(60)의 후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하부에 위치한 토류판(50)의 제 2 상단 부분(670)은 공통 바(60)의 하면에 대응되고, 토류판(50)의 제 3 상단 부분(680)은 공통 바(60)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아래쪽 장변은 공통 바(60)의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장변은 공통 바(60)의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사이에 공통 바(6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흙막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가 필요한 경우(제 1 수직 기둥과 제 2 수직 기둥의 사이)에는 공통 바(60)를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가 필요한 경우(제 2 수직 기둥과 제 3 수직 기둥의 사이)에는 공통 바(60)를 생략하고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 게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을 서로 중첩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에서 토류판(50)의 주름(5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게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50)의 주름(50)은 반원 형태 및/또는 포물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토류판(50)의 상단 구조물(TS)과 하단 구조물(BS)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1을 살펴보면, 하단 구조물(BS)은 제 21 하단 부분(710), 제 22 하단 부분(720), 제 23 하단 부분(730), 제 24 하단 부분(740), 제 25 하단 부분(750), 제 26 하단 부분(760), 제 27 하단 부분(770), 제 28 하단 부분(780) 및 제 29 하단 부분(7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하단 부분(710)은 주름(500)이 형성된 제 1 영역(AR1)의 일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2 하단 부분(720)은 제 21 하단 부분(7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3 하단 부분(730)은 제 22 하단 부분(7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4 하단 부분(740)은 제 23 하단 부분(73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5 하단 부분(750)은 제 24 하단 부분(74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6 하단 부분(760)은 제 25 하단 부분(75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7 하단 부분(770)은 제 26 하단 부분(7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8 하단 부분(780)은 제 27 하단 부분(77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9 하단 부분(790)은 제 28 하단 부분(78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2 하단 부분(720), 제 23 하단 부분(730) 및 제 24 하단 부분(740)이 하나의 제 1 굴곡부(First Bending Part, 900)를 이루고, 제 26 하단 부분(760), 제 27 하단 부분(770) 및 제 28 하단 부분(780)이 또 다른 제 1 굴곡부(90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굴곡부(900)는 금속 재질의 토류판(50)이 수평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구조물(TS)은 제 21 상단 부분(810), 제 22 상단 부분(820), 제 23 상단 부분(830), 제 24 상단 부분(840), 제 25 상단 부분(850), 제 26 상단 부분(860) 및 제 27 상단 부분(8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상단 부분(810)은 주름(500)이 형성된 제 1 영역(AR1)의 일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2 상단 부분(820)은 제 21 상단 부분(81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3 상단 부분(830)은 제 22 상단 부분(8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4 상단 부분(840)은 제 23 상단 부분(83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5 상단 부분(850)은 제 24 상단 부분(84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6 상단 부분(860)은 제 25 상단 부분(850)의 끝단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7 상단 부분(870)은 제 26 상단 부분(820)의 끝단으로부터 제 3 방향(DR3)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4 상단 부분(840), 제 25 상단 부분(850) 및 제 26 상단 부분(860)이 하나의 제 2 굴곡부(Second Bending Part, 91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 2 굴곡부(910)는 금속 재질의 토류판(50)이 수평방향으로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1 굴곡부(900)는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2 굴곡부(91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A)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2 굴곡부(910)는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1 굴곡부(90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도 22의 (B)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5 상단 부분(850)은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9 하단 부분(790)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6 상단 부분(860)은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8 하단 부분(780)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7 상단 부분(870)은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7 하단 부분(77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굴곡부(900)와 제 2 굴곡부(910)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제 1 굴곡부(900)와 제 2 굴곡부(9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 방향(DR3)으로의 제 2 굴곡부(910)의 폭은 두 개의 제 1 굴곡부(900)의 사이 간격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의 결합력을 충분히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토류판(50)에 제 1 굴곡부(900)와 제 2 굴곡부(910)를 형성한 경우에도 공통 바(6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5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7 상단 부분(870)과 제 6 상단 부분(860) 및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8 하단 부분(780)과 제 9 하단 부분(790)에 둘러 쌓이는 형태로 공통 바(60)를 배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10)의 제 7 상단 부분(870)은 공통 바(60)의 전면에 대응되고, 제 6 상단 부분(860)은 공통 바(60)의 하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토류판(10)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50)의 제 8 하단 부분(780)은 공통 바(60)의 상면에 대응되고, 제 9 상단 부분(790)은 공통 바(60)의 후면에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공통 바(60)를 적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10B)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면의 형태 또는 높이에 따라 토류판(50)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수직 기둥(H) 중 제 1 수직 기둥(H1)과 제 2 수직 기둥(H2)의 사이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토류판(50)을 도 22의 (B)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적층)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복수의 수직 기둥(H) 중 제 2 수직 기둥(H2)과 제 3 수직 기둥(H3)의 사이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토류판(50)을 도 22의 (A)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수직 기둥(H2)과 제 3 수직 기둥(H3)의 사이에서 토류판(50)의 전체 폭(높이, 길이)이 제 1 수직 기둥(H1)과 제 2 수직 기둥(H2)의 사이에 비해 더 낮을 수 있다.
만약, 제 2 수직 기둥(H2)과 제 3 수직 기둥(H3)의 사이 영역에서 지면의 높이가 제 1 수직 기둥(H1)과 제 2 수직 기둥(H2)의 사이 영역에 비해 더 높은 경우에는, 제 1 수직 기둥(H1), 제 2 수직 기둥(H2), 제 3 수직 기둥(H3)의 끝단의 높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지반에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Vertical Pillar); 및
    상기 수직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토류판;
    을 포함하고,
    상기 토류판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Pleat)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은 서로 일부중첩(Partially Overlap)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의 경계영역에 배치되는 공통 바(Common Bar)를 더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 중 상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장변(Long Side)은 상기 공통 바의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토류판 중 하부에 위치하는 토류판의 장변은 상기 공통 바의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7750A 2019-07-19 2019-07-19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210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50A KR102108816B1 (ko) 2019-07-19 2019-07-19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50A KR102108816B1 (ko) 2019-07-19 2019-07-19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816B1 true KR102108816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50A KR102108816B1 (ko) 2019-07-19 2019-07-19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339Y1 (ko) * 2002-10-16 2003-01-30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철제토류판
KR100388077B1 (ko) * 2001-02-28 2003-06-1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이피에스블록을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 및수평 토압 저감시스템
KR100501508B1 (ko) * 2005-03-07 2005-07-18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토류판
KR100554761B1 (ko) * 2005-11-22 2006-02-24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기초공사용 토류벽의 차수구조
KR100583939B1 (ko) 2006-02-16 2006-05-26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KR101318793B1 (ko) 2012-12-27 2013-10-17 주식회사 케이이알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077B1 (ko) * 2001-02-28 2003-06-1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이피에스블록을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 및수평 토압 저감시스템
KR200302339Y1 (ko) * 2002-10-16 2003-01-30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철제토류판
KR100501508B1 (ko) * 2005-03-07 2005-07-18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토류판
KR100554761B1 (ko) * 2005-11-22 2006-02-24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기초공사용 토류벽의 차수구조
KR100583939B1 (ko) 2006-02-16 2006-05-26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KR101318793B1 (ko) 2012-12-27 2013-10-17 주식회사 케이이알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101364227B1 (ko)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메우기용 자바라 잭
KR102235837B1 (ko) 엄지말뚝을 이용한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2108816B1 (ko)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JP4914062B2 (ja)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KR102153542B1 (ko)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2079981B1 (ko) 토류판 조립체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1787366B1 (ko)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06784395U (zh) 一种基坑支护纵向刚度增强结构
CN105274997A (zh) 筋式托架和利用该托架施工顶道钢管支撑及顶板的方法
CN101532288B (zh) 十字型钢筋笼加工平台制作方法
CN214363504U (zh) 一种基坑围护结构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KR101787368B1 (ko)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37297A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JP4722560B2 (ja) 補強鋼材の耐力を有効利用した建築部材
TWM592883U (zh) 全(半)逆打工程支撐柱之柱中柱結構
KR102451553B1 (ko) 흙막이 판부재
KR102683239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을 사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
KR102183358B1 (ko) 마감일체형 합벽식 목재마감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20953567U (zh) 一种装配式建筑隔震沟
JP7284621B2 (ja) 建築物の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