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939B1 -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939B1
KR100583939B1 KR1020060014936A KR20060014936A KR100583939B1 KR 100583939 B1 KR100583939 B1 KR 100583939B1 KR 1020060014936 A KR1020060014936 A KR 1020060014936A KR 20060014936 A KR20060014936 A KR 20060014936A KR 100583939 B1 KR100583939 B1 KR 10058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type connecting
connecting piece
earth wal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훈
Original Assignee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1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흙막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터파기 공사와 관련된 기초 흙막이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H빔에 각각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시공하며,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시공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지반의 안정 및 지하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H빔과 다수개의 토류벽으로 시공되는 기초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H빔은 각각 일측면에 용접에 의해 "T"형 연결편이 부착되며,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V"형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1 결속바가 돌출/형성된 제1 토류벽과,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결속바가 삽입/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결속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2 결속바가 돌출/형성된 제2 토류벽과,
상기 제1, 2 토류벽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H빔과 H빔 사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형홈부에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보강판 및
상기 제1, 2 토류벽의 내측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토류벽과 보강판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류벽, 보강판, 터파기, 차단막

Description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CONCRETE BASIC STRUCTURE OF BUILDING}
도 1은 종래 기초 흙막이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H빔 120: 제1토류벽
130: 제2토류벽 140: 차단막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터파기 공사에 사용되는 흙막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H빔에 각각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시공하며,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시공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기초 등을 지하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반 굴착의 터파기 공사작업 전에 외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반의 안정화 및 지하수의 차수를 목적으로 흙막이 공사가 선행된다.
특히, 용적률 확보 및 지가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도심의 한정된 대지상의 터파기 작업은 대지경계선에 인접한 지점부터 시공되고 있으며, 또한, 좁은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지하굴착 심도깊이를 더욱 깊게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초 흙막이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파기 공사를 하기 위한 구간의 테두리 부위에 H빔()을 매설한다. 이때, 상기 H빔(10)과 H빔(10) 사이에 터파기 공사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토류벽(20)이 삽입/설치된다.
즉, 먼저 상기 H빔(10)을 매설한 후 상기 H빔(10)이 매설된 부위에 굴착작업 을 시행한다. 이후, 굴착작업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H빔(10)과 H빔(10) 사이에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토류벽(20)을 굴착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삽입/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H빔(10)과 H빔(10) 사이에 설치된 토류벽(20)에 의해 절토부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초 흙막이 구조는 그 시공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H빔과 H빔 사이에 토류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굴착작업도중 H빔과 H빔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면 그때 토류벽을 삽입/설치한다. 이에 따라, 굴착작업과 토류벽 설치작업이 따로 분화되어 있지 않고, 작업도중 중간 중간에 이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굴착작업도중 상기 토류벽이 절토부의 토압을 견뎌내지 못하고 토류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토류벽과 토류벽 사이의 미세공간을 통해 토류벽 내측으로 지하수가 유입됨으로써, 흙막이 구조의 기능적인 요소인 차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초 흙막이 구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H빔에 각각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시공하며,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시공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H빔과 H빔 사이에 별도의 보강판을 삽입/설치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설치구조를 이룰 수 있는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2 토류벽과 보강판 사이에 별도의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2 토류벽들 사이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지반의 안정 및 지하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H빔과 다수개의 토류벽으로 시공되는 기초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H빔은 각각 일측면에 용접에 의해 "T"형 연결편이 부착되며,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V"형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1 결속바가 돌출/형성된 제1 토류벽과,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결속바가 삽입/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결속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2 결속바가 돌 출/형성된 제2 토류벽과,
상기 제1, 2 토류벽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H빔과 H빔 사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형홈부에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보강판 및
상기 제1, 2 토류벽의 내측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토류벽과 보강판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막의 내부에는 망사형 철근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는 터파기 시공할 부위의 테두리부에 매설되는 다수개의 H빔(110)과, 상기 H빔(110)과 H빔(110) 사이에 매설되는 제1 토류벽(120)과,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제2 토류벽(130) 및 차단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빔(110)은 그 일측면에 "T"형 연결편(112)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H빔(110)과 H빔(110) 사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형홈부(113)에는 다수개의 보강판(114)이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T"형 연결편(112)은 용접에 의해 견고히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토류벽(120)은 그 양단에 제1 슬릿홈(12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V"형 돌기(124)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1 결속바(126)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토류벽(130)은 그 양단에 제2 슬릿홈(13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제2 결속홈(134)이 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2 결속바(136)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과 보강판(114) 사이에는 차단막(1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140)은 콘크리트(C) 타설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140) 내부에는 망사형 철근(142)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기초 흙막이구조에 대한 연결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T"형 연결편(112)과 "T"형 연결편(112) 사이에는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제1 슬릿홈(122)이 삽입된다.
이후,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상부에는 제2 토류벽(130)이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2 토류벽(130)의 제2 슬릿홈(132)에는 "T"형 연결편(112)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바(126)는 상기 제2 결속홈(134)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토류벽(120)과 제2 토류벽(130)의 연결을 견고히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H빔(110)과 H빔(110) 사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ㄷ"자형 홈부(113) 사이에는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판(114)이 삽입/설치된다.
이후,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과 보강판(114) 사이에는 콘크리트(C) 재질의 차단막(14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는 굴착작업과 토류벽 설치작업을 일원화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시공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의 시공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T"형 연결편(112)이 부착된 다수개의 H빔(110)을 터파기할 부위의 테두리에 매설한다.
이후, 상기 "T"형 연결편(112)과 "T"형 연결편(112) 사이에 제1 토류벽(120)의 제1 슬릿홈(122)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상부를 항타하여 매설한다. 이때, 상기 제1 토류벽(120)의 하부에는 "V"형 돌기(124)가 돌출/형성되어 용이하게 매설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토류벽(120)을 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매설한 후, 그 상부에 제2 토류벽(13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제1 결속바(126)는 제2 토류벽(130)의 제2 결속홈(134)에 삽입/연결된다.
이후, 상기 제2 토류벽(130)의 상부를 항타하여 상기 다수개의 제2 토류벽(130)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매설한다.
이후,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이 매설된 내측을 굴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 공사를 한다.
이후, 상기 서로 대칭관계를 갖는 H빔(110) 사이의 "ㄷ"형홈부(113)에 다수개의 보강판(114)을 삽입/설치한다.
이후,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과 보강판(114) 사이에 망사형 철근(142)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함으로써, 차단막(14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 시공을 위한 터파기 작업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토류벽의 강도 및 지하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H빔에 각각 "T"형 연결편을 부착하여 터파기 시공이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위에 매설하고, 상기 "T"형 연결편과 "T"형 연결편 사이에 제1 토류벽을 항타하여 매설/시공하며, 상기 제1 토류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제2 토류벽을 적층/시공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 설치를 마친 후 굴착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이 일원화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H빔과 H빔 사이에 별도의 보강판을 삽입/설치하여, 상기 제1, 2 토류벽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설치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2 토류벽과 보강판 사이에 별도의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2 토류벽들 사이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축물 시공시 지반의 안정 및 지하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H빔과 다수개의 토류벽으로 시공되는 기초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H빔(110)은 각각 일측면에 용접에 의해 "T"형 연결편(112)이 부착되며,
    상기 "T"형 연결편(112)과 "T"형 연결편(112) 사이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112)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슬릿홈(122)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V"형 돌기(124)가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1 결속바(126)가 돌출/형성된 제1 토류벽(120)과,
    상기 제1 토류벽(120)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T"형 연결편(112)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슬릿홈(132)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결속바(126)가 삽입/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결속홈(134)이 형성되며, 상부에 복수개의 제2 결속바(136)가 돌출/형성된 제2 토류벽(130)과,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H빔(110)과 H빔(110) 사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형홈부(113)에 삽입/설치된 다수개의 보강판(114) 및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의 내측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토류벽(120,130)과 보강판(114)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40)은 콘크리트(C) 타설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막(140)의 내부에는 망사형 철근(142)이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KR1020060014936A 2006-02-16 2006-02-16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KR10058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36A KR100583939B1 (ko) 2006-02-16 2006-02-16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36A KR100583939B1 (ko) 2006-02-16 2006-02-16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939B1 true KR100583939B1 (ko) 2006-05-26

Family

ID=371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36A KR100583939B1 (ko) 2006-02-16 2006-02-16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9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35B1 (ko) * 2007-01-05 2007-03-14 영창개발 (주) 조립식 강재토류판
JP2018178420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擁壁構築方法ならびに切削パネルおよび連結パネル
KR200487881Y1 (ko) * 2018-06-15 2018-11-16 이강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KR102108816B1 (ko) 2019-07-19 2020-05-12 주식회사 스틸토건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2153542B1 (ko) 2019-08-28 2020-09-09 김종필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2159832B1 (ko) 2020-06-24 2020-09-24 최경래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KR102459772B1 (ko) * 2022-08-03 2022-10-27 보천토건(주) 토목공사용 흙막이 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33U (ja) * 1991-08-24 1993-04-09 洋 須藤 土止め用材
KR940024888U (ko) * 1993-04-19 1994-11-17 흙막이용 판넬
KR200233189Y1 (ko) 2001-02-21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흙막이용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33U (ja) * 1991-08-24 1993-04-09 洋 須藤 土止め用材
KR940024888U (ko) * 1993-04-19 1994-11-17 흙막이용 판넬
KR200233189Y1 (ko) 2001-02-21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흙막이용 블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35B1 (ko) * 2007-01-05 2007-03-14 영창개발 (주) 조립식 강재토류판
JP2018178420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擁壁構築方法ならびに切削パネルおよび連結パネル
KR200487881Y1 (ko) * 2018-06-15 2018-11-16 이강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KR102108816B1 (ko) 2019-07-19 2020-05-12 주식회사 스틸토건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2153542B1 (ko) 2019-08-28 2020-09-09 김종필 개선된 흙막이 구조물
KR102159832B1 (ko) 2020-06-24 2020-09-24 최경래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KR102459772B1 (ko) * 2022-08-03 2022-10-27 보천토건(주) 토목공사용 흙막이 벽체
KR102478325B1 (ko) * 2022-08-03 2022-12-16 보천토건(주) 흙막이 벽체용 지지패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939B1 (ko) 건축물 기초 흙막이 구조
US5921715A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US5158399A (en) Method for erecting a below grade wall
KR100554761B1 (ko) 건축 기초공사용 토류벽의 차수구조
JP3208379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200452946Y1 (ko) 용접 h형 강널말뚝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합성 차수벽체
KR100831332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90739B1 (ko)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KR100869764B1 (ko)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
JP6760529B1 (ja) 防水壁および防水壁の構築方法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JP3793434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0653381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101221118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시설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KR20190002845U (ko) 토류판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KR101328027B1 (ko) 절토부 옹벽 및 사면보호를 위한 구조
KR100592102B1 (ko) 건축물 기초흙막이 토류벽 보강구조
KR101372223B1 (ko)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KR20140132942A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