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439B1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439B1
KR102108439B1 KR1020130100359A KR20130100359A KR102108439B1 KR 102108439 B1 KR102108439 B1 KR 102108439B1 KR 1020130100359 A KR1020130100359 A KR 1020130100359A KR 20130100359 A KR20130100359 A KR 20130100359A KR 102108439 B1 KR102108439 B1 KR 10210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ortable device
screen
mod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460A (ko
Inventor
김화경
이준석
전진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439B1/ko
Priority to US14/156,824 priority patent/US9948763B2/en
Priority to ES19213662T priority patent/ES2948785T3/es
Priority to EP19204820.5A priority patent/EP3623943A1/en
Priority to FIEP19213662.0T priority patent/FI3637254T3/fi
Priority to HUE19213662A priority patent/HUE062312T2/hu
Priority to EP19213662.0A priority patent/EP3637254B1/en
Priority to PT192136620T priority patent/PT3637254T/pt
Priority to PL19213662.0T priority patent/PL3637254T3/pl
Priority to EP14169221.0A priority patent/EP2840486A1/en
Publication of KR2015002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72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conditional operations, e.g. using predicates or gu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04M1/724634With partially locked states, e.g. when some telephonic functional locked states or applications remain accessible in the locked st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휴대 장치는, 휴대 장치의 화면을 통해 상기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는 집중력 모드로 동작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의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전자 기기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비디오 플레이어, 피처 폰(feature phone),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휴대성이 좋으며 통화 기능뿐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자유롭게 추가로 다운로드하여 설치(install)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스마트 폰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 폰으로 인한 업무 방해나 집중력 저하와 같은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일 예로서 다양한 게임 어플리케이션들이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화면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한 게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가 게임이 실행중이지 않을 때에도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광고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화면에는 수시로 광고성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의 화면에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야 했으며 이에 따라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및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서 푸쉬 알림 및 팝업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멀티태스킹 및 알림 팝업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에 있어서, 휴대 장치의 화면을 통해 상기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는 집중력 모드로 동작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의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대 장치에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면서, 상기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로 수신되는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휴대 장치의 집중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휴대 장치의 화면을 통해 상기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는 집중력 모드로 동작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의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집중력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를 차단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로 수신되는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 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및 시간 설정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상태 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었을 시의 알림 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제한 해제를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을 시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되었을 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에서 멀티태스킹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차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된 푸쉬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장치는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피처 폰, 게임기, TV(Television),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가능한 크기의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스마트 폰이며, 이러한 휴대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전자 장치는 휴대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Digital Mobile Broadcasting)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 또는 휴대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유닛(168),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가능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하거나, 그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터치 스크린(19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한다.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객체를 직접 터치하는 직접 터치 입력과, 미리 설정된 인식 거리 이내로 객체에 접근하지만 객체를 직접 터치하지 않는 간접 터치 입력인 호버링 입력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유닛(168)을 터치 스크린(19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입력 유닛(168)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외에, 카메라 모듈(150)을 통한 제스처 입력, 물리적 버튼 셋(161a,161b,161c; 이하 161이라 통칭함) 또는 키패드(166)를 통한 스위치/버튼 입력, 마이크(162)를 통한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는 휴대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메뉴, 기능 아이템, 문서, 위젯, 사진, 동영상, 이메일,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및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 실행, 삭제, 취소,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버튼, 단축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 또는 휴대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폴더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메뉴는 실행 가능한 기능, 예를 들어 아이콘, 기능 아이템 등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기능 아이템은 아이콘, 텍스트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축 아이콘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휴대 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통화, 연락처, 메뉴 등의 빠른 실행을 위해 휴대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객체에 대해,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햅틱 효과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유닛(168)을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햅틱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진동 패턴 자체, 진동 패턴의 식별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진동 생성의 요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휴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장치(100)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서 제어부(110)는 햅틱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휴대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휴대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를 들어,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cm 보다 크고, 8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휴대 장치(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휴대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휴대 장치(100)과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휴대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휴대 장치(1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휴대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ㅇ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휴대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휴대 장치(1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 장치(100)의 회전, 휴대 장치(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 장치(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1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휴대 장치(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휴대 장치(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휴대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과의 직접 접촉 없이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검출할 수 있는 인식 거리(예를 들어, 1cm) 이내에 사용자 입력 수단이 위치하는 경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 또는 간격은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직접 터치 이벤트와, 간접 터치 이벤트(즉,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직접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접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의 전면(101)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90)은 휴대 장치(100)의 전면(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휴대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4)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상태 바(Status Bar)(19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바(192)는 일 예로서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심볼, 아이콘, 문자 등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back)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전면(10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후면(103)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측면(102)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161d),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을 갖는 볼륨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DMB 안테나(141a)는 휴대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휴대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장치(100)는 휴대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항상 소지될 수 있는 반면, 푸쉬 알림 메시지, 팝업 메시지, SMS, MMS와 같은 알림 메시지의 수신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과도하게 많은 사용을 유도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요청 혹은 설정에 따라 휴대 장치(100)의 사용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알림 메시지의 표시, 및/또는 메시지 팝업을 차단하거나 무시하는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110)는 휴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110)는 휴대 장치(100) 내 다른 구성 소자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100)의 사용을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휴대 장치, 특히 스마트 폰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요청 혹은 다른 조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 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화면(400a)을 통해 홈 화면을 제공하는데, 홈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위젯(40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아이콘들(404,406)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화면의 하단에는 전화, 연락처, SMS,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메뉴 등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도크 영역(Dock Area)(408)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휴대 장치(400)는 홈 화면의 위젯(402) 혹은 아이콘(404,406)이나, 도크 영역(408) 내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위젯 혹은 아이콘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4의 예에서 휴대 장치(400)는 인스턴트 메신저에 관련된 아이콘(406) 상에서 터치(410)를 감지하고, 인스턴트 메신저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400a)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휴대 장치(400)는 휴대 장치(4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된 복수의 아이콘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400a)에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메뉴 중 일 예로 인스턴트 메신저에 관련된 아이콘 상에서 터치가 감지된 경우, 휴대 장치(400)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400a)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휴대 장치(400)는 휴대 장치(4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푸쉬 알림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작은 이미지인 알림 심볼(432)을 디스플레이 화면(400a)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 바(43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알림 심볼(432)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휴대 장치(400)는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지는 동작, 일 예로서 알림음, 진동, 팝업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태 바(430) 상에서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 하단 방향의 터치 앤 드래그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 장치(400)는 휴대 장치 (400)의 기능들에 대한 간편한 설정을 제공하는 퀵 패널(436)과 알림 창(Notification window)(438)을 디스플레이 화면(400a)에 표시한다. 퀵 패널(436)은 와이파이(Wi-Fi) 및 데이터 네트워크의 온/오프, 소리 설정, 화면 회전의 설정, 화면 밝기의 설정을 위한 메뉴 버튼들을 제공한다.
알림 창(438)은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알림 라인(442)을 포함한다. 상기 알림 라인(442)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 장치(400)는 푸쉬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면서 미리 정해지는 특정 동작(Activity)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4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푸쉬 알림 메시지의 알림 라인(442) 상에서 터치가 감지될 때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400a)에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휴대 장치(400)는 런처나 파일 탐색기 등과 같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로부터 혹은 로컬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푸쉬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푸쉬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푸쉬 메시징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등록된 휴대 장치로 전달한다.
일 예로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수신 알림,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게임 초대, 유료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알림 등이 상기와 같은 푸쉬 알림 메시지를 통해 휴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작업에 집중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휴대 장치의 사용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휴대 장치를 통해 상기 작업과 관계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해주며, 특히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UI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상과 같이 휴대 장치의 사용이 차단되는 동작 모드를 집중력 향상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에서 휴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UI를 차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어플리케이션 목록, 홈 화면, 런처, 파일 탐색기 등으로부터 숨김 처리 한다. 다른 예로서 휴대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에서 발생되는 팝업 메시지 등을 차단, 즉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들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미지 심볼이나 알림음 등을 출력하지 않는다. 집중력 향상 모드를 통해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default)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는 휴대 장치의 환경설정을 통해 개시되거나, 혹은 휴대 장치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는 설정 및 동작의 두 가지 절차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설정 메뉴(500)는 휴대 장치의 환경설정을 통해 실행되거나, 혹은 집중력 향상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시한 설정 메뉴(500)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500)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해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항목(502)과, 알림의 수신을 제한하기 위한 "알림" 항목(5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항목(502)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지정된 시간 동안 제한하기 위한 "일정시간 사용제한" 항목(504)을 포함한다. "일정시간 사용제한" 항목(504)은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506)과 "시간 설정" 항목(5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506)은 사용자가 사용을 제한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간 설정" 항목(508)은 사용자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및 시간 설정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설정 메뉴(500) 중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506)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제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6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602,604)을 격자 형태로 나열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 장치는 알림 수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휴대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제외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은 텍스트, 작은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으로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602,604)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에로서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 장치는 상기 아이콘들(602,604)의 상단에 작은 마커(602a,604a)를 표시하여, 상기 아이콘들(602,604)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Game Hub" 어플리케이션 및 "TALK"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제한되도록 선택되었다.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의 하단에 표시되는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소프트 키(606), 일 예로서 "적용(Apply)" 버튼 상에서 터치가 입력되면,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들(602,604)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목록(6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한 후 설정 메뉴(500)로 복귀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는, 일 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가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이름, 저장 위치,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의 이름,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의 저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설정 메뉴(500) 중 "시간 설정" 항목(508)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에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 화면(7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시간 설정 화면(700)은 0시간에서 8시간까지 설정할 수 있는 원형의 다이얼(702)을 포함한다. 다이얼(702)이 사용자의 터치 및 회전 이동에 응답하여 회전하면, 시간 설정 화면(700)의 상단에는 설정된 시간을 표시하는 문구, 일 예로서 "3시간 10분"가 표시된다. 시간 설정 화면(700)의 하단에 표시되는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소프트 키, 일 예로서 "OK" 버튼 상에서 터치가 입력되면,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된 시간을 저장하고, 시간 설정 화면(7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한 후 설정 메뉴(500)로 복귀한다.
설정 메뉴(500)로 복귀하였을 때, 혹은 설정 메뉴(500)가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뒤로 가기 버튼(도 2의 161c)에서 사용자 입력,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혹은 설정 메뉴(500)가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홈 버튼(도 2의 161a)이 눌려졌을 때,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정 메뉴(500)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완료 및 집중력 향상 모드의 개시를 위한 소프트 키, 일 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 시작"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 시작" 버튼 상에서 사용자 입력,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한 절차를 통해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즉 3시간 10분 동안,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고, 집중력 향상 모드 동안에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이 제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정 메뉴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집중력 향상 모드 시작"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집중력 향상 모드 시작" 항목 상에서 사용자 입력,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될 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개시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 동안,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들을,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메뉴, 런처, 파일 탐색기로부터 숨김 처리 혹은 비활성화한다. 또한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에서 발생된 팝업 메시지의 화면 출력을 차단하며, 상기 메시지들에 의한 알림음도 출력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팝업 메시지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된 이후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메뉴(800)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메뉴(8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휴대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해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은 어플리케이션 메뉴(800)에서 보여지지 않으며(숨겨지며), 빈 공간(804,806)으로 표시되거나 혹은 비활성화(반투명 표시)된다. 휴대 장치는 비활성화된 아이콘에 대한 선택(클릭, 터치 등)을 무시하며,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메뉴(800)는 사용 제한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외한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만을 포함하며, 사용 제한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빈 공간 혹은 비활성화된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상태 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902), 일 예로서 이미지 심볼을 상태 바(900)에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태 바(900) 상에서 아래 방향의 드래그(904)가 감지되었을 시, 휴대 장치는 퀵 패널과 알림 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었을 시의 알림 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알림 창(1000)은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라인(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라인(1010)은 일 예로 "집중력 향상 모드 동작 중" 혹은 "집중력 향상 모드가 3시간 10분 남았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알림 라인(1010)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가 입력될 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알림 라인(1010) 상에서 터치가 감지될 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해제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제한될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는 대신, 집중력 향상 모드에서 휴대 장치 자체의 사용(즉 통화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모든 기능, 일 예로 긴급 통화 기능은 제외될 수 있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 모드에서 휴대 장치는 차단 안내 화면을 고정적으로 표시하거나, 혹은 비활성화된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차단 안내 화면이나 비활성화된 홈 화면 혹은 물리적 버튼들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차단 안내 화면 혹은 비활성화된 홈 화면은 "사용제한 해제"를 위한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장치는 상기 소프트 키를 통한 사용제한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물리적 버튼들 중 하나, 일 예로서 메뉴 버튼 혹은 뒤로 가기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 동안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알림 메시지를 차단, 즉 무시하고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 혹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미지 심볼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휴대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 혹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음 혹은 진동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는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습니다."와 같은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띄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즉시 해제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제한 해제를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설정 메뉴(1100)는 도 5의 설정 메뉴(500)와 유사하며 다만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을 더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설정 메뉴(1100) "어플리케이션" 항목(1102)과, "알림" 항목(1112) 및 통화의 송/수신을 제한하기 위한 "통화" 항목(1114)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항목(1102)은 "일정시간 사용제한" 항목(1104)을 포함하고, "일정시간 사용제한" 항목(1104)은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1106)과 "시간 설정" 항목(1108)과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정 메뉴(1100)는 사용제한 해제를 인증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비밀번호 설정"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은 사용자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즉시 해제하고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은 비활성화(반투명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1106,1108)은 비활성화(반투명 표시)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비활성화된 항목에 대해서 사용자 입력, 일 예로 터치 등에 반응하지 않는다.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의 설정 메뉴(1100) 중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에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해제 화면(1200)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해제 화면(1200)은 비밀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을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문구(1202)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입력 칸(1204)과,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가상 키패드(1206)를 포함한다. 가상 키패드(1206)은 일 예로서 문자/숫자 키들과 삭제 키 및 완료 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 칸(1204)는 가상 키패드(1206)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들, 혹은 그에 대응하는 숨김 문자(1208)를 표시한다.
가상 키패드(1206)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를 위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포함하는 팝업 창(1210)을 표시하고,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즉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는 일 예로서 설정 메뉴(1100)의 "비밀번호 설정" 항목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된 경우 휴대 장치는 설정 화면(1100)으로 복귀하거나, 이전 화면(일 예로 홈 화면)으로 복귀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한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이 해제되면,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및 실행이 허락된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메뉴, 런처, 파일 탐색기에 다시 표시한다. 또한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에서 발생된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메시지들에 의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을 시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메뉴(1300)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메뉴(1300)는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1304,1306)을 포함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13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집중력 향상 모드가 빈번하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 횟수는 1일 3회로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 횟수는 휴대 장치에 의해 고정적으로 정해지거나 혹은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 횟수가 제한된 값에 도달한 경우, 휴대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를 허용하지 않으며, 오직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야만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한다.
도 11의 설정 메뉴(1100) 중 "사용제한 해제" 항목(1110)에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한다. 해제 화면이 표시될 시, 휴대 장치는 해제 화면 상에 해제 가능 여부를 알리는 팝업 메시지, 일 예로서 "해제 가능 횟수가 1회 남았습니다." 혹은 "해제 가능 횟수가 초과되어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할 수 없습니다."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해제가 가능함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는 소정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거될 수 있으며, 이후 휴대 장치는 해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해제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는 소정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거될 수 있으며, 휴대 장치는 설정 메뉴 혹은 이전 화면(일 예로 홈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해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시, 휴대 장치는 해제가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 일 예로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아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할 수 없습니다."를 출력하고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유지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을 시, 휴대 장치는 알림 창(일 에로 도 10의 1000)의 알림 라인(1010)을 통해, 집중력 향상 모드의 남은 시간 및/또는 남은 해제 가능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과정 1405에서 휴대 장치는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환경설정 메뉴를 통해, 혹은 집중력 향상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설정하고자 함을 인지할 수 있다. 과정 141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요청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과정 141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선택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정 메뉴 내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선택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하여 과정 14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과정 1440으로 진행한다.
과정 1420에서 제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과정 142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과정 143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146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과정 1425에서 사용을 제한할 어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선택받는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하단에 "적용"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적용" 버튼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과정 1410으로 복귀한다.
한편 과정 144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 상에서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시간(이하 제한 시간이라 칭함)의 설정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정 메뉴 내의 "시간 설정" 항목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한 시간의 설정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하여 과정 144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설정 동작을 종료한다. 과정 1445에서는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 화면이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과정 145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시간 설정"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과정 1460으로 진행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과정 1460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 휴대 장치는 하단에 "완료" 버튼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완료" 버튼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뒤로 가기" 버튼이 입력되면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 완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휴대 장치는 과정 1415로 복귀한다. 반면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과정 1465로 진행한다.
과정 146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집중력 향상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제한한다. 만일 시간 설정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입력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를 개시할 것을 사용자가 요구한 경우, 휴대 장치는 디폴트로 설정된 시간 동안 디폴트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집중력 향상 모드에 따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메뉴, 런처, 파일 탐색기 등으로부터 숨김 처리한다.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에서 발생된 팝업 메시지는 휴대 장치의 화면으로 출력되지 않으며, 상기 메시지들에 의한 알림음도 출력되지 않는다.
과정 1470에서 휴대 장치 집중력 향상 모드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휴대 장치 과정 1465로 복귀하여 계속하여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시, 과정 1475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제한을 해제한다.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시점에서 휴대 장치는 사용 제한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에서 발생된 팝업 메시지가,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존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존재한 경우, 휴대 장치는 해당 메시지가 존재함을 상태 바 혹은 팝업 메시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음/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집중력 향상 모드를 즉시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과정 1505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해 휴대 장치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도중에, 과정 1510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요청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환경설정 메뉴를 통해, 혹은 집중력 향상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혹은 알림 창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설정하고자 함을 인지할 수 있다.
과정 151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요청에 따라,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장치가 이미 집중력 향상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설정 메뉴의 "사용제한 해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과정 152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제한 해제에 대한 요구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정 메뉴 내의 "사용제한 해제" 항목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한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의 즉시 해제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하여 과정 153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정 1505로 복귀한다.
과정 1530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된 횟수(이하 해제 횟수라 칭함)가, 미리 정해지는 횟수(이하 제한 횟수라 칭함)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해제 횟수는, 휴대 장치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개시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메뉴의 "사용제한 해제" 항목을 통해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가 이루어진 횟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시간에 의해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해제 횟수는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해제 횟수가 상기 제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과정 1535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한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팝업 메시지, 일 예로서 "해제 가능 횟수가 초과되어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할 수 없습니다."를 표시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만일 상기 해제 횟수가 상기 제한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과정 1540에서 휴대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휴대 장치는 상기 해제 화면을 표시할 때, 남은 해제 가능 횟수를 알리는 팝업 메시지, 일 예로서 "해제 가능 횟수가 0회 남았습니다."를 표시할 수 있다.
과정 154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해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가 집중력 향상 모드를 해제할 수 있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기 설정된 비밀번호는 일 예로서 설정 메뉴(1100)의 "비밀번호 설정" 항목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1560으로 진행하여 해제가 실패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 일 예로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수신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1550으로 진행하여 해제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킨 후, 과정 1555에서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한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을 해제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될 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습니다."와 같은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차단되었던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팝업 메시지가 존재함을 상태 바 및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휴대 장치를 통해 다른 작업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작업을 방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들(일 예로 푸쉬 알림 혹은 팝업 등)을 차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상과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사용이 차단되는 동작 모드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는 앞서 설명한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한 서브 기능으로서 제공되거나, 혹은 별도의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휴대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UI, 즉 상태 바, 홈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등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고, 네트워크로부터의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휴대 장치의 팝업 메시지가 발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지 않는다. 즉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 동안 모든 종류의 푸쉬 알림 메시지 및 팝업 메시지가 차단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을 제외한 모든 입출력이 차단될 수 있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설정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설정 메뉴(1600)는 휴대 장치의 환경설정을 통해 실행되거나,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설정 메뉴(1600)는 집중력 향상 모드의 설정 메뉴(600 혹은 1100)의 서브 메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설정 메뉴(1600)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1602)과 "시간 설정" 항목(16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1602)은 사용자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간 설정" 항목(1604)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할 시간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의 설정 메뉴(1600) 중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1602)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17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1700)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격자 형태로 나열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휴대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1700)은 텍스트, 작은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목록(1700)으로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1702)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에로서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 장치는 상기 아이콘(1702)의 상단에 작은 마커(1704)를 표시하여, 상기 아이콘(1702)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E-Book"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사용되도록 선택되었다. 어플리케이션 목록(1700)의 하단에 표시되는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소프트 키(1706), 일 예로서 "적용(Apply)" 버튼 상에서 터치가 입력되면, 휴대 장치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1702)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목록(170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한 후 설정 메뉴(1600)로 복귀한다.
도 16의 설정 메뉴(1600) 중 "시간 설정" 항목(1604)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에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실행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시간 설정 화면의 구성 및 시간 설정 방식은 일 예로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한 절차를 통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설정을 통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된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 동안에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작업을 제외한 다른 작업이 제한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시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일 예로서 E-Book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의 작업 화면(1810)이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다.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작업 화면(18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일 예로 상태 바(1800)는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상태 바(1800) 상에서 하단 방향의 터치 앤 드래그가 감지되더라도 휴대 장치는 퀵 패널을 오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 버튼(1820a) 및 뒤로 가기 버튼(1820b)은 비활성화된다. 다시 말해서 휴대 장치는 홈 버튼(1820a)이 눌리거나 및 뒤로 가기 버튼(1820b)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더라도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작업 화면(1810)을 통해 E-Book 컨텐츠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강조를 표시하는 등 E-Book 어플리케이션의 고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1800a), 일 예로서 이미지 심볼을 상태 바(1800)에 표시할 수 있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는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되었습니다."와 같은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띄우고, 상태 바(1800), 홈 버튼(1820a), 뒤로 가기 버튼(1820b)을 통한 사용자 동작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도중 메뉴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즉시 해제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E-Book 어플리케이션(1910)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메뉴 버튼(1900) 상에서 사용자 입력(1900a), 일 예로서 터치를 감지하였을 때, 휴대 장치는 도 19b와 같은 메뉴 영역(192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메뉴 영역(1920)는 E-Book 어플리케이션(1910)에서 제공하는 메뉴 항목들(존재하는 경우에만 표시됨)과 함께, "사용제한 해제" 항목(19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제한 해제" 항목(1920a) 상에서 사용자 입력(1930),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 휴대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해제 화면을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를 위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표시하고,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즉 비활성화)할 수 있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된 경우 휴대 장치는 상태 바(1800), 홈 버튼(1820a), 뒤로 가기 버튼(1820b)을 통한 사용자 동작을 허용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b에서 메뉴 영역(1920)은 "어플리케이션 종료" 항목(192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항목(1920b) 상에서 터치가 감지될 시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즉시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항목(1920b) 상에서 터치가 감지될 시 해제 화면(193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되었을 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화면(201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있으며, 상태 바(2000) 및 물리적 버튼들(2020)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바(1800) 상에서 하단 방향의 터치 앤 드래그가 감지되면 휴대 장치는 퀵 패널과 알림 창을 오픈한다. 또한 홈 버튼이 눌리거나 및 뒤로 가기 버튼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 장치는 그에 대응하는 동작, 즉 홈 화면으로의 전환 및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등을 수행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장치에서 멀티태스킹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과정 2105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설정 요청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환경설정 메뉴를 통해,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설정하고자 함을 인지할 수 있다. 과정 211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요청에 따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위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과정 211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멀티캐스팅 제한 모드로 설정할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설정 메뉴 내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선택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하여 과정 21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과정 2140으로 진행한다.
과정 2120에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과정 212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과정 213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214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과정 2125에서 멀티태스킹 모드로 동작할 어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선택받는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하단에 "적용"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적용" 버튼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과정 2110으로 복귀한다.
한편 과정 2140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 휴대 장치는 하단에 "완료" 버튼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완료" 버튼 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휴대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뒤로 가기" 버튼이 입력되면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위한 설정 완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휴대 장치는 과정 2115로 복귀한다. 반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과정 2145로 진행한다.
과정 2145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구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메뉴, 런처, 파일 탐색기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구된 경우, 과정 215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한편,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한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에서 상기 작업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는 무시되며, 홈 버튼 및 뒤로 가기 버튼을 통한 입력 또한 무시된다. 더불어, 네트워크로부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휴대 장치에서 팝업 메시지가 발생하더라도, 휴대 장치는 상기 메시지의 발생을 상태 바에 표시하지 않으며, 상기 메시지들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음도 출력하지 않는다. 다만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상기 팝업 메시지를 내부적으로(즉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저장한다.
과정 2155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실행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일 예로서 메뉴 버튼을 통한 "사용제한 해제" 항목의 선택이 될 수 있다.
만일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지 않으면 휴대 장치는 과정 2150로 복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고유한 동작을 계속하여 실행하면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한다. 반면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요구될 시, 과정 2160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비활성화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영역 이외의 영역(일 예로 상태 바)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 및 홈 버튼/뒤로 가기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시점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푸쉬 알림 메시지 및/또는 휴대 장치에서 발생된 팝업 메시지가 존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존재한 경우, 휴대 장치는 상기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시점에서 해당 메시지가 존재함을 상태 바 혹은 팝업 메시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휴대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며 또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차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앞서 설명한 집중력 향상 모드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에 따라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과정 2205에서 휴대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푸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과정 2210에서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해 제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이고 상기 집중력 향상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도 5 혹은 도 11과 같은 설정 메뉴(500,1100)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항목(506,1106)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집중력 향상 모드에 의해 제한 동작하도록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들로서 저장하고,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 혹은 발생되었을시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집중력 향상 모드로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이면 휴대 장치는 과정 22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정 2215로 진행한다.
과정 221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도 16과 같은 설정 메뉴(1600)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에 의해 제한 동작하도록 설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들로서 저장하고,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 혹은 발생되었을시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라면, 휴대 장치는 과정 22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정 2225로 진행한다.
과정 2220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심볼을 상태 바에 표시하지 않으며, 알림음이나 진동을 출력하지 않는다. 반면 과정 2225에서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심볼을 상태 바에 표시하고, 알림음 혹은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인지하도록 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는 도중 휴대 장치에서 팝업 메시지가 발생한 경우에도, 휴대 장치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유사하게 동작하여 팝업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된 푸쉬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앞서 설명한 집중력 향상 모드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에 따라 차단된 푸쉬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과정 2305에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만기되었거나, 혹은 집중력 향상 모드의 해제가 사용자로부터 지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집중력 향상 모드가 해제된 경우 과정 232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2310으로 진행한다. 과정 2310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만기되었거나,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의 해제가 사용자로부터 지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가 해제된 경우 과정 232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2315로 진행한다.
과정 2315에서 휴대 장치는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로 동작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휴대 장치는 과정 23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과정 2305로 복귀한다.
과정 2320에서 휴대 장치는 사용자에게 통지되지 않은 채 저장된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팝업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장치는 집중력 향상 모드 혹은 멀티태스킹 제한 모드에 의해 차단된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팝업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저장된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팝업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과정 2325로 진행하여 휴대 장치는 상기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팝업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심볼 및/또는 알림음/진동을 출력한다. 반면 상기 저장된 푸쉬 알림 메시지 혹은 팝업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 장치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장치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을 설정하는 과정과,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반복적으로 소정 횟수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관련하여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반복적으로 소정 횟수이상 발생하면,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관련하여 설정된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2 동작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팝업, 실행 차단,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사용 제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일 경우,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지 않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은 상기 휴대 장치의 외부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및 상기 휴대 장치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6. 휴대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장치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사용 제한을 설정하고,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반복적으로 소정 횟수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관련하여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반복적으로 소정 횟수이상 발생하면, 상기 사용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관련하여 설정된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2 동작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장치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팝업, 실행 차단,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 장치의 화면 상에서 상기 사용 제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일 경우,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지 않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저장하고,
    여기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은 상기 휴대 장치의 외부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및 상기 휴대 장치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30100359A 2013-08-23 2013-08-23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KR10210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359A KR102108439B1 (ko) 2013-08-23 2013-08-23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US14/156,824 US9948763B2 (en) 2013-08-23 2014-01-16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EP19204820.5A EP3623943A1 (en) 2013-08-23 2014-05-21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FIEP19213662.0T FI3637254T3 (fi) 2013-08-23 2014-05-21 Kannettava laite ja menetelmä kannettavan laitteen käytön rajoittamiseksi
ES19213662T ES2948785T3 (es) 2013-08-23 2014-05-21 Dispositivo portátil y procedimiento para restringir el uso del dispositivo portátil
HUE19213662A HUE062312T2 (hu) 2013-08-23 2014-05-21 Hordozható berendezés és eljárás hordozható berendezés használatának korlátozására
EP19213662.0A EP3637254B1 (en) 2013-08-23 2014-05-21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PT192136620T PT3637254T (pt) 2013-08-23 2014-05-21 Dispositivo portátil e método para restringir a utilização do dispositivo portátil
PL19213662.0T PL3637254T3 (pl) 2013-08-23 2014-05-21 Urządzenie przenośne i sposób ograniczania korzystania z urządzenia przenośnego
EP14169221.0A EP2840486A1 (en) 2013-08-23 2014-05-21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359A KR102108439B1 (ko) 2013-08-23 2013-08-23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03A Division KR102248483B1 (ko) 2020-04-29 2020-04-29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460A KR20150022460A (ko) 2015-03-04
KR102108439B1 true KR102108439B1 (ko) 2020-05-08

Family

ID=5117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359A KR102108439B1 (ko) 2013-08-23 2013-08-23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48763B2 (ko)
EP (3) EP3623943A1 (ko)
KR (1) KR102108439B1 (ko)
ES (1) ES2948785T3 (ko)
FI (1) FI3637254T3 (ko)
HU (1) HUE062312T2 (ko)
PL (1) PL3637254T3 (ko)
PT (1) PT3637254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2239A (ja) * 2012-02-02 2013-08-19 Sharp Corp 抑止装置、抑止装置の制御方法、被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49867B1 (ko) * 2013-12-1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TWI488105B (zh) * 2013-12-26 2015-06-11 Acer Inc 事件通知管理方法及電子裝置
WO2015102470A1 (ko)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
US10789642B2 (en) 2014-05-30 2020-09-29 Apple Inc. Family accounts for an online content storage sharing service
US20160044165A1 (en) * 2014-08-11 2016-02-11 Vonage Network, Llc On-board handling of caller identification for wireless telephony device
US10402237B2 (en) * 2014-11-21 2019-09-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notifications
KR102320072B1 (ko) * 2015-01-16 2021-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공개 제어 방법
US20160324081A1 (en) * 2015-05-04 2016-11-10 Russell A. Johnson Plant support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WO2017000138A1 (en) * 2015-06-29 2017-01-05 Orang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a program configurable into a disabled state and enabled state
CN105338176A (zh) * 2015-10-01 2016-02-17 陆俊 一种账号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KR101647928B1 (ko) * 2015-10-20 2016-08-24 신종천 스마트단말의 알림 메시지를 빛의 색상 또는 패턴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사물인터넷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단말의 알림 메시지를 표현하는 방법
AU2017235284B2 (en) 2016-03-14 2020-03-19 Robert Bosch Gmbh Portable keypanel for intercom system
JP6711916B2 (ja) * 2016-03-22 2020-06-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アプリケーションの使用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端末
CN105975156B (zh) * 2016-05-09 2019-06-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10708251B2 (en) * 2016-08-01 2020-07-07 Timothy Steiner Portable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device and system
CA3037973C (en) * 2016-09-24 2023-03-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program use time offline, and terminal device
CN106534482B (zh) * 2016-09-30 2020-0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移动终端应用程序管理的方法和装置
CN106569812A (zh) * 2016-11-02 2017-04-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应用程序通知处理方法及系统
US10743241B1 (en) 2017-06-06 2020-08-11 Nocell Technologie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one or more network devices through automated policy enforcement
US11038801B2 (en) * 2017-06-06 2021-06-15 Nocell Technologie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use of a network device through automated policy enforcement
KR102514841B1 (ko) 2018-01-09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US10558546B2 (en) * 2018-05-08 2020-02-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or presenting device usage on an electronic device
US11048390B2 (en) * 2018-06-25 2021-06-29 MI Technical Solutions, Inc. Auto-reformatting of home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depicting only administrator-approved applications
JP6648250B1 (ja) * 2018-12-26 2020-02-14 株式会社Cygames 通知画面上で指示を受け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
CN110046018A (zh) * 2019-04-24 2019-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消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40367B1 (ko) * 2019-06-14 2021-12-17 아바드(주)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CN110381213B (zh) * 2019-07-24 2021-09-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1158781B (zh) * 2019-12-27 2022-09-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210264043A1 (en) * 2020-02-21 2021-08-26 Refocus On Life B.V. Selectively restricting interaction with apps on a digital device
USD982599S1 (en) * 2020-08-13 2023-04-04 Pnc Financial Services Group,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51018B1 (en) * 2021-08-02 2023-09-05 T-Mobile Usa, Inc. Airplane mode toggle based on IMS watchdog timer
US20230291429A1 (en) * 2022-03-09 2023-09-14 Nocell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 network device transceiver
US11943188B1 (en) 2023-01-06 2024-03-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tricting message notifications and conversations based on device type, message category, and time peri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0010A1 (en) 2008-04-15 2009-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orkspace restriction
US20120058744A1 (en) 2010-09-02 2012-03-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Services Access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272B2 (en) 2003-03-26 2008-12-2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test notifications
US8370765B2 (en) * 2004-10-18 2013-02-05 Martin Derek P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inhibiting interruption of a user that is actively using the computer system
JP2006338205A (ja) * 2005-05-31 2006-12-1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80040386A1 (en) * 2006-08-10 2008-02-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hared personalized auto-open work scheduler system and method
EP1936482A1 (en) * 2006-12-18 2008-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options associated with comput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and a menu and application therefor
US8117648B2 (en) * 2008-02-08 2012-02-14 Intersections, Inc. Secure information storage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7936736B2 (en) 2008-09-08 2011-05-03 Proctor Jr James Arthur Enforcing polic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exchanged identities
US8286106B2 (en) * 2009-03-13 2012-10-09 Oracle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status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device
KR20110055095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과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72892B2 (en) * 2010-01-05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Notification in immersive applications
US8799365B2 (en) * 2011-09-28 2014-08-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roker-based management of mobile devices
US20130096768A1 (en) * 2011-10-13 2013-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o Not Disturb Message Delivery
KR102070276B1 (ko) * 2012-04-24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27988A (ko) * 2013-04-26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부모 안심 애플리케이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0010A1 (en) 2008-04-15 2009-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orkspace restriction
US20120058744A1 (en) 2010-09-02 2012-03-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Services Access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3943A1 (en) 2020-03-18
EP2840486A1 (en) 2015-02-25
ES2948785T3 (es) 2023-09-19
HUE062312T2 (hu) 2023-10-28
EP3637254A1 (en) 2020-04-15
US9948763B2 (en) 2018-04-17
KR20150022460A (ko) 2015-03-04
EP3637254B1 (en) 2023-05-03
US20150056974A1 (en) 2015-02-26
FI3637254T3 (fi) 2023-05-22
PL3637254T3 (pl) 2023-07-31
PT3637254T (pt)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39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JP6816858B2 (ja) 携帯端末に対する動作関連入力によって複数個のオブジェクト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KR102139526B1 (ko)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실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EP3110113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0636B1 (ko) 카메라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EP2811420A2 (en) Method for quickly executing application on lock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KR102113674B1 (ko)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44553B1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EP2775479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bing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8809B1 (ko)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27010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20140140957A (ko) 화면 데이터의 미러링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400278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KR20150010132A (ko)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7295B1 (ko) 전자 장치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8546A (ko)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EP2706451A2 (en)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
KR102380209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48483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