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37B1 -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37B1
KR102108037B1 KR1020180074456A KR20180074456A KR102108037B1 KR 102108037 B1 KR102108037 B1 KR 102108037B1 KR 1020180074456 A KR1020180074456 A KR 1020180074456A KR 20180074456 A KR20180074456 A KR 20180074456A KR 102108037 B1 KR102108037 B1 KR 10210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lter
fabric
transfer drum
spinning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84A (ko
Inventor
나정수
Original Assignee
(주)엔오엔그리드
나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오엔그리드, 나정수 filed Critical (주)엔오엔그리드
Priority to KR102018007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시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나노필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이송 드럼 상에서 그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서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 단계;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권취 롤에 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이 우수한 나노필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Continuous production method of nanofilter using nanofiber spinning device and continuous production device of nanofilter}
본 발명은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를 연속으로 생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시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나노필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는 마이크로섬유보다 가는 굵기인 1㎛ 이하의 극세사 섬유를 말한다.
이러한 나노섬유는 재래 산업은 물론 첨단 산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인 수요의 증대가 예상된다.
최근에는 나노섬유가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액체 여과 필터, 이온만을 통과시키는 전지 분리막, 공기는 투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 방수 기능 등 여러 가지 용도가 확인됨에 따라 대량으로 나노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나노섬유를 생산하는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89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89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9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3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7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995호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상기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방사기 또는 방사장치에서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적어도 한 겹 이상의 복수 겹으로 불규칙한 형태로 적층시켜 시트 형태로 성형하면서 이송한 후, 다시 경화과정과 제단 과정을 거쳐 필요로 하는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89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89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9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3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7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995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은 제작된 나노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제작됨에 따라 통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짐은 물론 연신율도 떨어짐과 아울러 인장력도 약해 강도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생산설비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한 잦은 고장발생과 함께 유지보수에 많은 애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시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나노필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나노필터의 강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사원단을 이송 드럼 상에서 그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서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 단계;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권취 롤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드럼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에어 홀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방사원단이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나노필터로 압착시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방사원단을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게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 드럼;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당기면서 권취하는 권취 롤;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드럼의 외주면에는 내부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에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는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방사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 롤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 롤은 히팅 롤인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 형태로 이송시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나노필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이 우수한 나노필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나노필터의 강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함은 물론 그로 인해 경제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을 설명을 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을 설명을 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 방사장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선행기술문헌 중 본 출원의 등록권리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3995호에 게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방사원단은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의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것은 도 5를 참고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 출원의 선 등록권리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3995호를 이용한 것으로,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높은 강도를 갖도록 나선형 형태로 이송되면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나노필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방사원단을 통상적인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드럼 상에서 그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하는 단계(S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떨어지는 방사원단은 회전되는 이송 드럼 상에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되, 상기 방사원단은 이송 드럼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은 상태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방사원단은 최초 작업자가 이송 드럼의 외측면에 나선 형태로 감아 놓음으로써, 이송 드럼의 회전에 따라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드럼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에어 홀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이 달라붙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사원단이 나노섬유 방사장치로부터 떨어지는 속도와 이송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방사원단은 인장은 물론 연신 됨과 아울러 높은 밀도로 인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사원단이 떨어지는 속도에 비하여 이송 드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회전시킴에 따라 방사원단에 인장과 함께 연신 되면서 조밀한 밀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가진다.
특히,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떨어지는 방사원단은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된 상태에서, 즉 그물망 형태로 겹쳐짐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다. 더욱이 나선형 형태로 여러 겹으로 겹쳐짐에 따라, 즉 적어도 8겹 정도의 복수 겹으로 겹쳐지게 된다.
그로 인해 종래와 같이 불규칙하게 제조되는 나노섬유와 달리, 우수한 통기성은 물론 이물질 제거 성능도 향상되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서 통상적인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압착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 단계(S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한 이송 드럼에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이송 드럼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그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방사원단을 통상적인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압착하여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는 적어도 방사원단이 적어도 8겹 정도가 겹쳐져, 상당히 긴밀하고 조밀한 공극을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액체 여과 필터, 이온만을 통과시키는 전지 분리막, 공기는 투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 방수 기능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도가 높은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나노필터로 압착시 한 쌍의 압착 롤은 공지된 히팅 롤을 적용하여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착 시 압착 롤에 열을 가함에 따라 여러 겹으로 겹쳐진 방사원단이 나노필터로 더욱더 긴밀하게 압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열을 가하여 압착함에 따라 그 겹쳐진 부분은 융착됨에 따라 분리나 떨어지지 않고 긴밀하게 압착된다. 이때, 상기 압착 강도를 조절함에 따라 나노필터의 두께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통상적인 권취 롤에 권취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필터는 최초 작업자가 권취 롤에 선단을 권취시킨 상태로, 상기 권취 롤의 회전으로 인해 나노필터를 당기면서 권취한다. 상기 권취 롤에 나노필터가 소정 직경으로 권취되면 다른 권취 롤로 교체한다.
그에 따라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압착에 의해 나노필터를 형성함으로써, 생산 공정 또한 상당히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제조된 나노필터는 구조적인 특성상, 즉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된 상태에서 그물망 형태로 여러 겹으로 겹쳐짐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져 우수한 통기성을 가지면서 방사원단은 인장은 물론 연신 됨과 아울러 높은 밀도로 인한 높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인 연속 생산장치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나노섬유 방사장치(100)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110)을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1)는 상기 방사원단을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게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통상적인 모터와 동력전달수단 등에 의해 일반적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 드럼(10)과; 상기 이송 드럼(10)을 벗어난 위치에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부(20);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F)를 당기면서 권취하도록 통상적인 모터와 동력전달수단 등에 의해 일반적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권취 롤(3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이송 드럼에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시킴에 따라 방사원단은 인장은 물론 연신 됨과 아울러 높은 밀도로 인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송 드럼의 회전 속도는 나소 섬유 방사장치에서 떨어지는 방사원단의 속도 보다 빠르게 회전된다.
그런 다음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압착부에서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한 후 권취 롤에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생산하고자 하는 나노필터의 생산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압착된 나노필터는 적어도 8겹 정도로 겹쳐짐에 따라 상당히 긴밀하고 조밀한 공극을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액체 여과 필터, 이온만을 통과시키는 전지 분리막, 공기는 투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 방수 기능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도가 높은 조건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필요로 하는 나노필터를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어, 높은 효율성과 함께 생산성도 우수한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이송 드럼(10)에는 외주면에 내부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에어 홀(12)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 드럼의 내부에는 통상적인 컴프레셔 등에서 공급되는 에어 라인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에어 홀을 통하여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이송 드럼의 외주면으로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이 달라붙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된다.
압착부(20)는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방사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착하는 통상적인 한 쌍의 압착 롤(22)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이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 그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압착시킴에 따라 필요로 하는 나노필터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압착 강조를 조절함에 따라 나노필터의 두께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착 롤은 통상적인 히팅 롤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려 겹으로 겹쳐진 방사원단을 압착시 열을 가한 상태로 압착함에 따라 압착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잇따. 또, 그 겹쳐져 압착되는 부분은 가해진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 이격되거나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나노필터 자체가 긴밀하게 압착되어 하나로 일체화된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나노필터로서의 기능을 더욱더 향상시키는 조건은 물론 물품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1 :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10 : 이송 드럼 12 : 에어 홀
20 : 압착부 22 : 압착 롤
30 : 권취 롤
100 : 나노섬유 방사장치
110 : 방사원단

Claims (7)

  1.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사원단을 이송 드럼 상에서 그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서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 단계;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권취 롤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드럼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에어 홀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방사원단이 이송 드럼의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터로 압착시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4. 나노섬유 방사장치에서 정방향의 격자 형태로 방사되어 원추 형태로 떨어지는 방사원단을 나노필터로 연속 생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방사원단을 표면으로 달라붙지 않게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 드럼;
    상기 이송 드럼을 벗어난 위치에 나선형 형태로 겹쳐져 이송되는 방사원단을 압착시켜 나노필터로 형성하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된 나노필터를 당기면서 권취하는 권취 롤;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드럼의 외주면에는 내부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에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나선형 형태로 겹쳐진 방사원단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 롤로 구성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은 히팅 롤인 것을 더 포함하는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KR1020180074456A 2018-06-28 2018-06-28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KR10210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56A KR102108037B1 (ko) 2018-06-28 2018-06-28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56A KR102108037B1 (ko) 2018-06-28 2018-06-28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84A KR20200001684A (ko) 2020-01-07
KR102108037B1 true KR102108037B1 (ko) 2020-05-07

Family

ID=6915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56A KR102108037B1 (ko) 2018-06-28 2018-06-28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5B1 (ko) * 2016-01-18 2018-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 방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33B1 (ko) 2006-09-13 2007-12-27 (주) 아모센스 원심전기방사장치 및 원심전기방사방법
KR101072183B1 (ko) * 2008-07-25 2011-10-10 주식회사 효성 나노웹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나노웹필터
KR101058913B1 (ko) 2009-07-24 2011-08-2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로 제조되는 나노섬유 부직포
WO2012002754A2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기방사된 나노 섬유 웹을 이용한 액체 필터용 필터여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체 필터
KR101589513B1 (ko) 2015-08-12 2016-01-28 엔에프테크 주식회사 하향식 전기방사에 의한 중량이 균일한 나노섬유 제조 장치
KR101806317B1 (ko) 2015-10-29 2017-12-08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8-01-12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5B1 (ko) * 2016-01-18 2018-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 방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84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930B2 (en) Non-fibrous high modulus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tape for ballistic applications
JP5860604B2 (ja) 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
US20120255662A1 (en) Integrated nanofiber filter media
JP5860603B2 (ja) 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
GB1358412A (en) Laminated product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1766492B1 (ko) 꼬여지지 않은 보강된 중공 섬유 막
CN107849753B (zh) 基于纳米纤维的复合假捻纱及其制备方法
JP5792545B2 (ja) バグフィルター用濾材
JPH05193030A (ja) ブレード造形フィラメン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03817B2 (en) Cartridge filter using nanofiber composite fiber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6500366A (ja) 造形フィラメント構造の製造
KR102108037B1 (ko) 나노섬유 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필터 연속 생산방법 및 그 나노필터 연속 생산장치
JP2017197872A (ja) 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860605B2 (ja) 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
EP3798358A1 (en) Papermaking f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83350B2 (ja) 不織布作製装置および不織布作製方法
KR20230085638A (ko) 멜트블로운 섬유 및 나노 섬유가 랜덤하게 혼합된 단일층의 하이브리드 흡음패드를 포함하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저감용 흡음재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흡음재
CN108771911B (zh) 一种复合过滤元件的制备方法及复合过滤元件
JP2004183134A (ja) メルトブロー式不織布用捕集装置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KR101235078B1 (ko) 고강도 복합 나노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
JPH07258933A (ja) 折り重ね延伸テープヤ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894466A (zh) 具有氟聚合物层的工业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586196B1 (ko) 폴리아릴레이트계 단섬유를 이용한 습식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습식 부직포
JP5102685B2 (ja) 円筒状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
JP2688160B2 (ja) 熱可塑性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熱可塑性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