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52B1 -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52B1
KR102107752B1 KR1020190164372A KR20190164372A KR102107752B1 KR 102107752 B1 KR102107752 B1 KR 102107752B1 KR 1020190164372 A KR1020190164372 A KR 1020190164372A KR 20190164372 A KR20190164372 A KR 20190164372A KR 102107752 B1 KR102107752 B1 KR 10210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fire extinguishing
storage container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래
이명걸
함영민
Original Assignee
(주)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스 filed Critical (주)페스
Priority to KR102019016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약제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호스릴을 포함하는 소화전함과, 소화전함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방시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로서,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음성 안내가 전환되는 스위치부; 센서부에서 도어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별 안내하고, 스위치부의 스위칭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단계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성 안내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equipment having voice guidance function}
본 발명은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소화장치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소화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스틸재의 강판을 원통형으로 드로잉하고 양단면을 용접한 다음, 하단부에 받침판을 용접하여 용기를 형성하고 상단부에 별도의 프레스 사출물인 분사구를 설치하여 소화기 몸체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소화기의 몸체에는 보관의 안전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소화기 몸체의 저면에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화기는 화재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실내의 계단, 복도, 사무실, 공장 내부 등에 일정한 간격마다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고, 소화기 몸체의 표면에는 누구든지 소화기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기 사용방법을 글과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소화기와 더불어 건물의 복도 등에는 다수의 옥내 소화전이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다.
이런 소화전에는 소방 호스가 구비되고, 소방 호스는 소화전 내에 S자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개어져 적층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걸이대에 여러 차례로 수직 방향으로 걸어 구비되거나 또는 릴수단에 감겨 구비되기도 한다.
특히, 소화전함의 도어에는 실제 화재시 누구든지 소화전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전의 사용설명서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 화재시는 소화전의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소화전 사용설명서를 정확히 읽고 사용할 수 있는 여유가 없어 허둥대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전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상황 판단이 어렵고, 소화전에 부착된 사용설명서를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지 않아 실제 화재시에는 평소 숙련된 사람 이외에는 누구나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게다가, 시각장애인들이 소화전의 사용설명서를 아예 읽을 수가 없으므로 화재가 발생되어도 소화전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국내 등록특허 제10-0700299호에는, 화재경보기와 램프가 상부에 구성되고 하부에 개폐문으로 호스보관실을 구성한 소화전에 있어서, 호스보관실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성하여 개폐문(90)이 오픈시에 자동으로 소화전 사용요령 알림멘트를 반복하여 알려주도록 알림장치부를 구성하고, 알림장치부는 본체의 양측면에 구성된 고정프레임과, 개폐문의 개폐시 감지하는 작동센서와, 소화전 사용요령이 기입력된 보이스IC와, 기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되 경종연동릴레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소리가 커지게 출력되도록 OP앰프를 포함한 스피커와, 전압조절기가 구성된 전원부로 이루어진 화재시 소화전사용 안내 알림장치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소화전의 개폐문을 누구든지 열게 되면, 소화전 사용요령이 스피커를 통한 음성으로 안내됨으로써 주변 사람들까지도 소화전의 사용요령을 들을 수 있고, 이에 소화전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초기 화재 진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등록특허 제10-0700299호에 개시된 종래의 소화전사용 안내 알림장치는 소화전의 개폐문이 개폐시에 따라 안내 음성이 발생되는데, 종래의 소화전에는 개폐문을 소화전에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킨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만 구성되어 있을 뿐, 개폐문을 개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으므로 개폐문을 여는 과정에서 개폐문이 이의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다시 닫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닫히는 개폐문은 소방 호스에 간섭되어 화재 진압시 여러모로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게다가, 종래의 소화전에서는 화재시 전원 차단에 대비하여 건전지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건전지로 인해 전원 차단시에도 안내 음성이 안정적으로 방송되도록 하고 있으나, 소화전에 비치된 건전지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건전지의 정확한 잔량 확인이 어렵고, 이로 인해 건전지를 주기적으로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잦은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발생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02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전의 도어 개방시 소화전의 사용방법을 교육모드 또는 실화재모드로 음성 안내할 뿐 아니라 도어 개방시 열린 도어를 견고히 지지하여 임의적인 닫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소화전에 구비되는 도어를 개폐시킴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기에 저장하여 화재시 소화전에 비상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인 음성 안내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호스릴을 포함하는 소화전함과, 소화전함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방시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로서,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음성 안내가 전환되는 스위치부; 센서부에서 도어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별 안내하고, 스위치부의 스위칭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단계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성 안내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는, 소화전함에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방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호스릴의 인출을 안내하는 제 1 센서부; 소화전함에서 호스릴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여 호스릴의 인출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을 안내하는 제 2 센서부;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호스릴을 잡은 사람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3 센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화전함과 도어 사이에는 소화전함에서 회전되는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지지수단은 일측 단부가 도어에 고정되어 소화전함에서 개폐되는 도어를 따라 회전 이동되는 연결링크; 연결링크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소화전함에서 직선 이동되는 랙기어; 소화전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소화전함에 구비되고 이동되는 랙기어와 결합되어 랙기어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스톱퍼는 소화전함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블록; 마운팅블록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그 일측이 마운팅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랙기어에 접하는 볼; 마운팅블록에 삽입되어 볼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마운팅블록에 결합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스톱퍼의 볼과 마주하는 랙기어에는 볼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정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피니언기어에는 피니언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구비되고, 발전기에는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소화장치에 비상전원으로 공급하는 축전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에 따르면, 소화전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방시 소화전의 사용방법을 교육모드 또는 실화재모드에 따라 음성으로 안내하여 소화장치의 원활한 사용을 유도할 뿐 아니라 도어 개방시 열린 도어를 견고히 지지하여 도어의 임의적인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 소화전의 점검이나 유지보수시 소화전에 구비되는 도어를 개폐시킴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기에 저장하여 화재시 소화장치에 비상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화재시 주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음성 안내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에 구성되는 음성 안내 기능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에서 소화용기 저장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에 구성되어 열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분리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의 도어 개폐상태를 보인 작동도로서,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도어가 90도 열린 상태의 도면이며, 도 8은 도어가 180도로 완전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및 이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압축 저장돼 있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에 연결되어 화재시 소화약제를 화염으로 분사하는 호스릴(150)을 포함하는 소화전함(110)과, 소화전함(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소화전함(110)을 개폐시키는 도어(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화장치(100)는 도어(170)의 개방시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소화장치(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함(110)에 구비되어 도어(170)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320)와, 소화전함(110)에 구비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음성 안내가 전환되는 스위치부(310)와, 센서부(320)에서 도어(17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사용방법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별 안내하고, 스위치부(310)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사용방법을 단계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성 안내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3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소화장치(100)에는 센서부(320)와 스위치부(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50)가 구비되고, 이 전원부(350)는 상용의 AC전원(AC 220V) 또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입력받아서 소화장치(100)의 회로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원부(350)를 구성하는 배터리는 후술될 발전기(230)에 의해 자가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기(232)로 구비될 수 있고, 이 축전기(232)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화재로 인해 상용의 AC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자가 발전에 의해 충전된 축전기(232) 즉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소화장치(100)에 비상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320)는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의 개폐 즉 도어(17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리미트스위치 또는 리드(REED)센서 및 스위치 또는 MR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320)에서 도어(170)의 열림이 감지되면 이의 감지 신호가 제어부(300)로 입력되고, 센서부(320)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부(300)는 음성출력부(330)를 제어하여,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게 된다.
특히, 센서부(320)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음성 안내는 실제 화재모드시의 안내 음성이 출력되고, 이때의 음성 안내에 대해서는 후술될 제어부(300)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부(310)는 소화전함(110) 또는 도어(170)에 하나 내지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음성 안내를 순차적으로 차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스위치의 스위칭시마다 해당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구성된 스위치부(310)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스위치부(310)로부터의 스위칭 신호가 제어부(300)로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이를 교육모드로 인식하여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310)는 소화장치(100)의 사용방법을 교육하기 위해 음성 안내를 교육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교육하기 위해서는 도어(170)를 열어 소화전함(110) 내에 비치된 호스릴(150)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140)를 노출시킨 상태로 교육해야 하므로 스위치부(310)는 소화전함(110)의 내측면이나 도어(17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위치부(310)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음성 안내는 실제 화재모드시의 안내 메시지와 동일하나, 이 역시도 후술될 제어부(300)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00)는 센서부(320)와 스위치부(3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음성출력부(330)와 후술될 램프부(340)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이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 안내를 2가지 모드로 작동시키되, 센서부(320)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실화재모드로 작동되고, 스위치부(310)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교육모드로 작동된다.
이때, 실화재모드 및 교육모드시에 발생되는 음성 안내는 그 일례로 하기와 같이 안내될 수 있다.
『1) "A는 호스릴의 호스손잡이를 잡고 화염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다"
2) "B는 소화전함에 보관된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용기밸브에서 안전핀을 뽑아 제거한 후 용기밸브의 밸브레버를 힘껏 당긴다"
3) "A는 호스손잡이의 분사관을 단단히 잡고 화염을 향하도록 한 뒤 호스손잡이의 개폐밸브를 천천히 열어준다"
4) "A는 바람을 등진 상태로 분사관을 천천히 흔들며 소화약제가 화염을 완전히 덮도록 방사한다"』
라는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음성 메시지는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될 수 있고, 실화재모드의 경우엔 1)∼4)의 음성 메시지가 모두 출력된 후에는 이의 음성 안내가 반복해서 출력될 수 있고, 교육모드의 경우엔 스위치부(310)의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해당 음성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음성출력부(330)는 보이스아이씨와, 앰프 및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30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는 보이스아이씨로 입력되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보이스아이씨는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선택된 메시지는 앰프부를 거쳐서 증폭되고, 증폭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음성출력부(330)와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를 주는 램프부(34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램프부(340)는 소화장치(100)의 작동시 각각의 상태를 엘이디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엘이디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음성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달리 표시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전술한 제어부(300)에 의한 음성 안내의 일례를 참조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예시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표 1]은 램프부의 작동(엘이디의 점멸상태)을 스텝별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상태
스텝-1 스텝-2 스텝-3
음성출력중 음성출력
완료
음성출력중 음성출력
완료
음성출력중 음성출력
완료
●●● ◑●● ○●● ○◑● ○○● ○○◑ ○○○
표시-1 표시-2 표시-3 표시-4 표시-5 표시-6 표시-7
● : 멸등, ◑ : 점멸등, ○ : 점등
여기서, 스텝-1은 "A는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를 잡고 화염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다"라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에 해당하는 스텝이다.
스텝-2는 "B는 소화전함(110)에 보관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용기밸브(141)에서 안전핀(미도시)을 뽑아 제거한 후 용기밸브(141)의 밸브레버(142)를 힘껏 당긴다"라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에 해당하는 스텝이다.
스텝-3은 "A는 호스손잡이(154)의 분사관(156)을 단단히 잡고 화염을 향하도록 한 뒤 호스손잡이(154)의 개폐밸브(155)를 천천히 열어준다"와, "A는 바람을 등진 상태로 분사관(156)을 천천히 흔들며 소화약제가 화염을 완전히 덮도록 방사한다"라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에 해당하는 스텝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부(340)의 구성을 3개의 엘이디(LED)로 구성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고, 각각의 엘이디는 각 스텝별 음성 메시지가 출력 중일시엔 점멸되며, 각 스텝에 대한 음성 출력이 완료될 시엔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센서부(320)는 제 1 센서부(321)와, 제 2 센서부(322), 제 3 센서부(323)로 나뉘어 세분화되어 구체화될 수도 있다.
즉, 센서부(320)는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170)의 개방시 이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여 호스릴(150)의 인출을 안내하도록 한 제 1 센서부(321)와, 소화전함(110)에서 호스릴(150)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여 호스릴(150)의 인출시 이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개방을 안내하도록 한 제 2 센서부(322)와,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개방시 이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여 호스릴(150)을 잡은 사람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한 제 3 센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센서부(320)를 제 1,2,3 센서부(321)(322)(323)로 세분화하는 경우에는 각 단계별로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 간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실제 화재시엔 소화장치(100)를 기민하게 다뤄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실제 소화 대처 시점과 소화장치(100)에 프로그램된 음성 메시지의 출력 시점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20)를 제 1,2,3 센서부(321)(322)(323)로 세분화하고, 각 센서부(321)(322)(323)가 도어(170)의 개폐 여부, 호스릴(150)의 인출 여부,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제 1,2,3 센서부(321)(322)(323)와 연동하여 제어부(300)에서 현장 상황에 맞는 해당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소화장치(100)의 사용을 안내함으로써 소화장치(100)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분화된 센서부 중 제 1 센서부(321)는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의 개폐 즉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리미트스위치 또는 리드(REED)센서 및 스위치 또는 MR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센서부(321)에서 도어(170)의 열림이 감지되면 이의 감지 신호가 제어부(300)로 입력되어 분석되고, 이에 제어부(300)는 분석 결과에 따라서 음성출력부(330)를 제어하여, "A는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를 잡고 화염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 2 센서부(322)는 호스릴(150)의 인출 즉 풀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호스릴(150)에 구성되는 보빈(151)의 회전축 상에 자석(미도시)을 설치하고 자석이 회전하는 경로 상에 자석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리드센서 또는 MR센서 등을 설치함으로써, 호스릴(150)을 풀 경우 회전축 상의 자석은 회전되고, 리드센서 또는 MR센서는 회전되는 자석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가 다르게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신호는 제어부(300)에서 호스릴(150)의 회전 및 정지 상태로 분석된다.
즉, 제어부(300)에 신호가 교번된 상태(또는 반전된 신호의 흐름)로 입력되면 호스릴(150)의 풀림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고, 신호가 특정 상태에서 고정되면 호스릴(150)의 풀림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신호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데에도 활용된다. 즉, 제어부(300)에 반전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A는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를 잡고 화염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음성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고, 고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B는 소화전함(110)에 보관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용기밸브(141)에서 안전핀을 뽑아 제거한 후 용기밸브(141)의 밸브레버(142)를 힘껏 당긴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음성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된다.
제 3 센서부(323)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에 구비되어 있는 용기밸브(141)의 밸브레버(142)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리미트스위치 또는 리드(REED)센서 및 스위치 또는 MR센서 등을 구비될 수 있으나, 단순하게는 2핀용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밸브레버(142)의 당김 작용시 커넥터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3 센서부(323)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300)에 전송되고,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300)는 용기밸브(141)의 밸브레버(142)가 당겨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음성출력부(330)를 제어하여, "A는 호스손잡이(154)의 분사관(156)을 단단히 잡고 화염을 향하도록 한 뒤 호스손잡이(154)의 개폐밸브(155)를 천천히 열어준다"와, "A는 바람을 등진 상태로 분사관(156)을 천천히 흔들며 소화약제가 화염을 완전히 덮도록 방사한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 1,2,3 센서부(321)(322)(32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맞는 해당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부(330)를 제어한다.
각 센서부(321)(322)(323)의 작동시 제어부(300)에 의해 음성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음성 안내는 다음과 같다.
제 1 센서부(321)로부터 도어(170)의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출력부(330)를 제어하여, "A는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를 잡고 화염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센서부(321)의 신호가 발생한 후, 제 2 센서부(322)로부터 호스릴(150)의 작동 신호(호스릴(150)의 풀림 신호)를 입력받아서 해당 신호가 발생한 후에 정지되면, 호스릴(150)의 풀림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인 "B는 소화전함(110)에 보관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용기밸브(141)에서 안전핀을 뽑아 제거한 후 용기밸브(141)의 밸브레버(142)를 힘껏 당긴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 3 센서부(323)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어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용기밸브(141)에서 밸브레버(142)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A는 호스손잡이(154)의 분사관(156)을 단단히 잡고 화염을 향하도록 한 뒤 호스손잡이(154)의 개폐밸브(155)를 천천히 열어준다. 그리고 A는 바람을 등진 상태로 분사관(156)을 천천히 흔들며 소화약제가 화염을 완전히 덮도록 방사한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1,2,3 센서부(321)(322)(323)와 제어부(300)에 의해 도어(170)의 열림 및 호스릴(150),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음성출력부(330)를 통해 현 상태에 맞는 해당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어 소화장치(100)의 사용을 안내함으로써 소화장치(100)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화장치(1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함(110)과 도어(170)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전함(110)에서 회전되는 도어(170)를 개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200)이 더 포함된다.
먼저, 소화전함(110)은 전면이 개구된 함체로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와 호스릴(150)을 각각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부(111)와 마운팅브라켓(112)이 구비된다.
마운팅브라켓(112)은 그 전,후면과 하면이 개구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화전함(110)의 내측 천장면의 고정되게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112)에는 호스릴(1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비된다.
마운팅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함(110)의 내측면 중앙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중앙부 및 하부의 마운팅부(111) 양측편에는 완만하게 라운드져 함몰된 마운팅홈(111a)이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하의 양 마운팅홈(111a)에 복수의 소화약제 저장용기(140)가 각각 삽입되어 밀착되게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후술될 용기 고정브라켓(130)(131)이 저장용기(140)의 외측면에 접하여 고정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140)는 마운팅홈(111a)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특히, 마운팅홈(111a)은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와 접하는 그 전면이 저장용기(140)의 원주면보다 큰 곡률로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규격화된 저장용기(140) 뿐 아니라 다양한 직경의 저장용기(140)를 모두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마운팅홈(111a)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는 그 중앙부와 하부가 상하의 마운팅홈(111a)에 각각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양 마운팅홈(111a) 사이의 마운팅부(111)에는 스터드볼트(120)가 상하 측에 각각 체결되어 구비되고, 이 스터드볼트(120)에는 복수의 용기 고정브라켓(130)(131)이 각각 끼워져 회전 및 이동이 자유자재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 고정브라켓(130)(131)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 단부는 경사진 경사면(130a)(131a)으로 형성되고, 양 경사면(130a)(131a)은 양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경사면(130a)(131a)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마운팅홈(111a)과 같이 일정한 곡률로서 라운드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양 용기 고정브라켓(130)(131)은 경사면(130a)(131a)이 서로 마주하도록 스터드볼트(120)의 전,후단부에 각각 끼워져 구비되고, 도어(170) 측에 근접하게 구비된 용기 고정브라켓(131)의 외측면에는 후술될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가 끼워지는 홀더(132)가 구비된다. 이 홀더(132)는 그 전면이 개구되고, 이 개구부를 통해 호스릴(150)의 호스손잡이(154)가 끼워져 홀더(132)를 상하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화재시는 언제든지 호스손잡이(154)를 홀더(132)로부터 신속하게 빼내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21"은 스터드볼트(120)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너트가 스터드볼트(120)에 체결되면서 외측의 용기 고정브라켓(131)을 소화약제 저장용기(14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됨으로써 소화약제 저장용기(140)는 마운팅홈(111a)과 양 용기 고정브라켓(130)(131)에 의해 소화전함(11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소화약제 저장용기(140)는 그 내부에 소화약제가 압축 저장되어 있는 원통형 용기로서, 소화전함(110)의 마운팅홈(111a)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상단부에는 저장용기(140)의 입구부를 밀폐시키는 용기밸브(141)가 구비되고, 용기밸브(141)에는 용기밸브(141)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1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밸브레버(142)는 용기밸브(14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용기밸브(141)와 밸브레버(142)에는 용기밸브(141)에서 밸브레버(142)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미도시)이 꽂혀 관통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안전핀을 뽑아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밸브(141)에서 밸브레버(142)를 일방향으로 당겨 회전시켜야만 용기밸브(141)가 개방되면서 저장용기(140) 내에 압축 저장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게 된다.
호스릴(150)은 그 양측면이 소화전함(110)의 마운팅브라켓(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빈(151)과, 보빈(151)의 외주면에 감김되어 구비되었다가 화재시 인출되어 화염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소화호스(153)를 포함한다.
보빈(151)은 소화전함(110)의 마운팅브라켓(112)에 회전축(미도시)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축은 보빈(151)의 양측에 각각 별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각각 마운팅브라켓(1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보빈(151)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자석(미도시)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112)에는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여 자석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리드센서 또는 MR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전축은 중공으로 구비될 수 있고, 회전축의 외측단부에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의 용기밸브(141)와 중공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유연(flexible)한 연결호스(152)가 구비되며, 회전축의 내측단부에는 보빈(151)에 감김된 유연한 소화호스(153)의 일단부가 연결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소화약제 저장용기(140)에 저장된 소화약제는 연결호스(152)와 중공의 회전축을 통해 소화호스(153)로 원활히 공급됨으로써 호스릴(150)의 보빈(151)에서 인출되는 소화호스(153)를 화염으로 가져가 소화약제를 화염에 정확히 분사하여 화염을 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화호스(153)의 선단부에는 호스손잡이(154)가 구비되고, 이 호스손잡이(154)에는 호스손잡이(154)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155)가 볼밸브 구조로 적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호스손잡이(154)는 소화호스(153)보다 내구성 및 내열성이 좋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스손잡이(154)에는 호스손잡이(154)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가 넓게 퍼져 분사될 수 있도록 한 분사관(156)이 구비되고, 이 분사관(156)은 호스손잡이(154) 측에서 선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내경)이 점차 확장되게 구비된다.
한편, 분사관(156) 내에 구비된 호스손잡이(154)의 선단부에는 소화약제가 호스손잡이(154)에서 일정 압력 이상으로 분출되어 분사되도록 한 분사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200)은 소화전함(110)에서 회전된 도어(17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적인 도어(170)의 닫힘을 방지하고자 한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수단(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도어(17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소화전함(110)에서 개폐되는 도어(170)를 따라 회전 이동되는 연결링크(250)와, 연결링크(250)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도어(170)에 의해 소화전함(110)에서 직선 이동되는 랙기어(240)와, 소화전함(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랙기어(240)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20)와, 소화전함(110)에 구비되고 이동되는 랙기어(240)와 결합되어 랙기어(240)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톱퍼(260)를 포함한다.
특히, 연결링크(250)는 그 일측 단부가 도어(170)의 내측면에 힌지브라켓(17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랙기어(2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링크(250)는 도어(170)를 따라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위링크(251)(25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단위링크(251)(2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의 단위링크(251)와 소형의 단위링크(252)로 양분되어 구비될 수 있고, 양 단위링크(251)(252)의 일측편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힌지핀(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아암(251a)(252a)이 구비되며, 힌지아암(251a)(252a)과 이격된 반대편 측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양 단위링크(251)(252)가 원위치로 역회전될 시 면접촉되는 걸림부(251b)(252b)가 구비된다.
따라서, 양 단위링크(251)(252)는 힌지아암(251a)(252a)의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이때 힌지아암(251a)(252a)은 도어(170)가 힌지 결합된 소화전함(110)의 일측면 측으로 위치되고, 걸림부(251b)(252b)는 반대로 소화전함(110)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도어(170)의 회전시 각각의 단위링크(251)(252)가 힌지 결합된 상태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도어(17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양 단위링크(251)(252) 간의 걸림부(251b)(252b)가 이격되어 벌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위링크(251)(252)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링크(250)는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가 180도 이상 열릴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힌지아암(251a)(252a)의 돌출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힌지 결합하면 도어(170)의 개방 각도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링크(250)와 연결되는 랙기어(240)는 그 일측면에는 후술될 피니언기어(220)와 치합되는 기어부(241)가 형성되고, 반대편의 타측면에는 후술될 스톱퍼(260)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랙기어(24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홈(2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지홈(242)은 랙기어(24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도어(17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랙기어(240)를 정지시킴으로써 도어(170)를 개방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는, 연결링크(250)가 연결되는 랙기어(240)의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다수의 정지홈(242)을 랙기어(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게 형성함으로써, 도어(170)를 따라 이동되는 랙기어(240)를 다양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개방되는 도어(170)를 다양한 각도에서 위치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랙기어(240)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20)는 소화전함(110)에 고정되게 구비된 베이스블록(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이스블록(210)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ㄴ"자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이의 수직부는 소화전함(110)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112)에 나사 체결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수직부와 직교하는 수평부의 상면에는 피니언기어(2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220)에는 피니언기어(220)가 회전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230)가 구비되며, 발전기(230)에는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상용 전원의 차단시 소화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232)가 구비된다.
특히, 발전기(230)는 베이스블록(210)에 나사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발전기(230)의 회전축(회전자 또는 회전기)(231)은 피니언기어(220)의 키홈(221)에 키결합되어 피니언기어(220)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170)를 소화전함(110)에서 열고 닫을 때마다 도어(170)에 연결된 연결링크(250)와 랙기어(240)가 왕복 이동되고, 랙기어(240)의 이동에 의해 랙기어(240)에 치합된 피니언기어(220)가 정.역회전되면서 발전기(230)의 회전축(231)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전기(230)에서는 전기에너지가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기(232)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축전기(232)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화재 발생시 소화장치(100)에 비상 전원으로 공급됨으로써 상용 전원의 차단시에도 소화장치(100)의 음성 안내기능을 비롯한 전반적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안내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램프부(340)의 점멸기능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화장치(100)에는 음성 안내기능 및 램프부(340)의 점멸기능을 강제 종료할 수 있는 별도의 정지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소화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위해 소화전함(110)의 도어(170)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음성 안내 및 램프부(340)의 점멸 기능이 작동되므로, 유지보수 시엔 이의 기능들을 작업자가 강제 종료시켜 주위에 야기될 수 있는 혼란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랙기어(24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210)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블록(261)과, 마운팅블록(261)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그 일측이 마운팅블록(26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랙기어(240)의 정지홈(242)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볼(263)과, 마운팅블록(261)에 삽입되어 볼(263)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264)과, 마운팅블록(261)에 결합되어 스프링(264)을 받쳐 지지하는 마감캡(265)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운팅블록(261)은 베이스블록(210)에 나사 체결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팅블록(261)은 그 외측면의 돌출부에 삽입구(262)가 관통 형성되고, 이 삽입구(262)는 후단부(베이스블록(210)의 수직부 측으로 위치된 단부)의 내경보다 선단부(랙기어(240) 측으로 위치한 단부)의 내경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삽입구(262)의 후단부를 통해 볼(263)을 삽입구(262) 내로 용이하게 삽입하여 구비할 수 있고, 삽입구(262)에 삽입된 볼(263)이 선단부를 통해 볼(263)의 일측부만이 삽입구(262) 외측으로 돌출되어 랙기어(240)의 정지홈(242)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264)은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그 양측 단부가 각각 볼(263)과 마감캡(265)에 접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볼(263)은 스프링(264)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삽입구(262)의 선단부 측으로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볼(263)의 일측부가 항상 마운팅블록(26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마감캡(265)은 마운팅블록(261)의 삽입구(262)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마감캡(265)을 삽입구(262)에 체결하거나 풀어냄에 따라 스프링(26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볼(263)에 작용하는 스프링(264)의 탄성력(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스톱퍼(260)의 볼(263)이 랙기어(240)의 정지홈(242)에 삽입되어 걸림될 때마다 소화전함(110)에서 회전되는 도어(170)는 회전된 상태 그대로 위치 고정되어 개방됨으로써 소화전함(110) 내의 호스릴(150)에서 소화호스(153)의 인출시 소화호스(153)와 도어(17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호스(153)를 이용한 일련의 화재 진압 작업 역시도 도어(170)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의 작동관계 중 음성 안내기능에 대해서는 위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도어(170)의 지지수단(200)에 대한 작동관계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평상시 본 발명의 소화장치(100)를 정비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를 회전시켜 열면, 회전되는 도어(170)를 따라 연결링크(250)와 랙기어(240)가 소화전함(110)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출된다. 이때, 연결링크(250)는 다수의 단위링크(251)(252)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므로 도어(170)와 랙기어(240) 사이에서 도어(170)의 열린 각도를 따라 굽어져 회전된다.
그리고, 연결링크(250)에 연결된 랙기어(240)는 소화전함(1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랙기어(240)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치합된 피니언기어(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피니언기어(220)에 키결합된 회전축(231)에 의해 발전기(230)가 작동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전기는 축전기(232)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발전은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를 개폐시키는 회전동작마다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도어(170)를 열고 닫을 때마다 축전기(232)에는 계속해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축전기(232)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화재로 인해 상용 전원의 차단시 비상전원으로 소화장치(100)에 공급됨으로써 음성 안내 및 램프부(340)의 점멸신호 등을 비롯한 소화장치(100)의 전체 기능이 정상 작동된다.
이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작업자는 음성 안내 및 램프부(340)의 점멸신호에 따라 소화장치(100)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화염을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전함(110)에서 도어(170)를 회전시켜 개방시키면, 도어(170)가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결링크(250)가 도어(170)와 같이 회전되면서 소화전함(110) 외측으로 인출되고, 연결링크(250)에 연결된 랙기어(240)는 소화전함(1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인출된다.
이때, 랙기어(240)의 외측면에 접한 스톱퍼(260)의 볼(263)은 마운팅블록(261)의 삽입구(262) 내로 삽입되어 스프링(264)을 최대한 압축시킨 상태가 되고, 랙기어(240)의 정지홈 중 일측의 정지홈(242)이 스톱퍼(260)의 선단부에 위치되면, 스프링(264)의 인장력에 의해 볼(263)의 일측부가 마운팅블록(261)의 삽입구(262) 선단부 측으로 돌출되면서 정지홈(242)에 삽입되어 걸림되며, 이 상태에서 도어(17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도어(170)는 소화전함(110)에서 열린 상태 그대로 위치 고정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 고정되는 도어(170)는 경량이고, 스톱퍼(260)의 볼(263)이 도어(170)에 구비된 랙기어(240)의 정지홈(242)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있으며, 랙기어(240)의 기어부(241)에는 피니언기어(220)가 치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도어(170)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도어(17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도어(170)는 열린 상태 그대로 위치 고정되어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170)의 간섭없이 소화전함(110) 내부의 호스릴(150)에서 소화호스(153)를 신속하게 인출시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소화장치 110 : 소화전함
111 : 마운팅부 111a : 마운팅홈
112 : 마운팅브라켓 120 : 스터드볼트
121 : 고정너트 130,131 : 용기 고정브라켓
130a,131a : 경사면 132 : 홀더
140 : 소화약제 저장용기 141 : 용기밸브
142 : 밸브레버 150 : 호스릴
151 : 보빈 152 : 연결호스
153 : 소화호스 154 : 호스손잡이
155 : 개폐밸브 156 : 분사관
170 : 도어 171 : 힌지브라켓
200 : 지지수단 210 : 베이스블록
220 : 피니언기어 221 : 키홈
230 : 발전기 231 : 회전축
232 : 축전기 240 : 랙기어
241 : 기어부 242 : 정지홈
250 : 연결링크 251,252 : 단위링크
251a,252a : 힌지아암 251b,252b : 걸림부
260 : 스톱퍼 261 : 마운팅블록
262 : 삽입구 263 : 볼
264 : 스프링 265 : 마감캡
300 : 제어부 310 : 스위치부
320,∼,323 : 센서부 330 : 음성출력부
340 : 램프부 350 : 전원부

Claims (5)

  1. 소화약제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호스릴을 포함하는 소화전함과, 소화전함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방시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로서,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부; 소화전함에 구비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음성 안내가 전환되는 스위치부; 센서부에서 도어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별 안내하고, 스위치부의 스위칭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호스릴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단계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성 안내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소화전함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전함에서 회전되는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지지수단은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소화전함에서 이동되는 랙기어; 소화전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소화전함에 구비되고 이동되는 랙기어와 결합되어 랙기어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스톱퍼는 소화전함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블록; 마운팅블록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그 일측이 마운팅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랙기어에 접하는 볼; 마운팅블록에 삽입되어 볼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마운팅블록에 결합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스톱퍼의 볼과 마주하는 랙기어에는 볼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정지홈이 구비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서부는, 소화전함에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방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호스릴의 인출을 안내하는 제 1 센서부;
    소화전함에서 호스릴의 인출 여부를 감지하여 호스릴의 인출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을 안내하는 제 2 센서부;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시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호스릴을 잡은 사람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3 센서부;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수단에는 일측 단부가 도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랙기어에 연결되어 소화전함에서 개폐되는 도어를 따라 회전 이동되는 연결링크가 더 포함되고,
    연결링크는 도어를 따라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위링크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링크는 대형 단위링크와 소형 단위링크가 연속적으로 교번되게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이웃하는 대형 단위링크와 소형 단위링크의 일측편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힌지아암과, 힌지아암과 이격된 외측편에 평면으로 형성되어 양 단위링크가 원위치로 복귀될 시 상호 면접촉되게 구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니언기어에는 피니언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구비되고, 발전기에는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소화장치에 비상전원으로 공급하는 축전기가 구비되는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KR1020190164372A 2019-12-11 2019-12-11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KR10210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72A KR102107752B1 (ko) 2019-12-11 2019-12-11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72A KR102107752B1 (ko) 2019-12-11 2019-12-11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52B1 true KR102107752B1 (ko) 2020-05-07

Family

ID=7073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72A KR102107752B1 (ko) 2019-12-11 2019-12-11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99B1 (ko) 2005-03-03 2007-03-29 서종갑 화재시 소화전사용 안내 알림장치
JP3905414B2 (ja) * 2002-04-26 2007-04-18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栓装置操作方法案内システム
KR20090097328A (ko) * 2008-03-11 2009-09-16 김현기 방화도어용 도어 스토퍼 장치
KR20180001775U (ko) * 2016-12-06 2018-06-15 경기도 화재를 소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사용법을 출력하는 장치
KR20180110373A (ko) * 2017-03-29 2018-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59553A (ko) * 2017-11-23 2019-05-31 (주)핌코리아 캐비넷형 호스릴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5414B2 (ja) * 2002-04-26 2007-04-18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栓装置操作方法案内システム
KR100700299B1 (ko) 2005-03-03 2007-03-29 서종갑 화재시 소화전사용 안내 알림장치
KR20090097328A (ko) * 2008-03-11 2009-09-16 김현기 방화도어용 도어 스토퍼 장치
KR20180001775U (ko) * 2016-12-06 2018-06-15 경기도 화재를 소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사용법을 출력하는 장치
KR20180110373A (ko) * 2017-03-29 2018-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59553A (ko) * 2017-11-23 2019-05-31 (주)핌코리아 캐비넷형 호스릴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JP6708850B2 (ja) 地震時における切換スイッチ自動切断装置
JP2010012032A (ja) Led表示消火栓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866462B1 (ko) 소방호스 릴 구조
KR102107752B1 (ko) 음성 안내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JP2015213420A5 (ko)
US10987529B2 (en) Fire extinguisher
KR200378294Y1 (ko)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20120006308U (ko)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KR200493986Y1 (ko) 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장치
CN210904778U (zh) 一种消防箱
CN201244311Y (zh) 一种用于物流仓储场地的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
KR102501285B1 (ko)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CN109663258A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102278554B1 (ko)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101754383B1 (ko) 공동주택의 소화전과 소방호스 관리장치
CN211835979U (zh) 一种可自动开闭的消防喷淋系统
CN114336313A (zh) 一种自带灭火功能的机电设备
KR10175278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소방호스와 밸브장치
RU2603755C1 (ru)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вого шкаф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21084497U (zh) 一种具有防护结构且便于快速拿取的消防救援设备
CN214512422U (zh) 一种远程监控泄漏不锈钢消火栓箱
CN215609013U (zh) 一种消防工程用智能消防栓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