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929B1 - 자동 음식 조리기 - Google Patents

자동 음식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929B1
KR102106929B1 KR1020190177349A KR20190177349A KR102106929B1 KR 102106929 B1 KR102106929 B1 KR 102106929B1 KR 1020190177349 A KR1020190177349 A KR 1020190177349A KR 20190177349 A KR20190177349 A KR 20190177349A KR 102106929 B1 KR102106929 B1 KR 10210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air
shaft
induction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민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친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친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친엑스
Priority to KR102019017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음식 조리기는 하단부 일측면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덕션 설치부재;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 상에 설치되는 인덕션;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의 일측 끝단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인덕션의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냄비 설치부재; 제1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축이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냄비 설치부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에 의해 360도 회전하는 회전냄비; 제2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1 구동장치의 몸체에 연결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축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상기 회전냄비를 상기 인덕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인덕션과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제2 구동장치; 및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상기 제2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음식 조리기{AUTOMATIC FOOD COOKER}
본 발명은 음식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조건 또는 시간으로 음식을 자동 조리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점차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1인 가구는 혼자 식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음식 조리의 간편화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식당의 경우 다량의 음식을 조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음식 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면 경제적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4281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음식의 조리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자동 음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하단부 일측면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덕션 설치부재;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 상에 설치되는 인덕션;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의 일측 끝단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인덕션의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냄비 설치부재; 제1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축이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냄비 설치부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에 의해 360도 회전하는 회전냄비; 제2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1 구동장치의 몸체에 연결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축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상기 회전냄비를 상기 인덕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인덕션과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제2 구동장치; 및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상기 제2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장치 및 상기 회전냄비 사이에 구비되는 냄비 거치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냄비 거치 브라켓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튼 가이드홈, 상기 버튼 가이드홈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축관통구멍, 및 상기 버튼 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제1 축관통구멍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홈을 포함하는 바텀 바디; 상기 버튼 가이드홈보다 긴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몸체부, 상기 슬라이딩몸체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장방형의 제2 축관통구멍, 상기 제2 축관통구멍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구멍, 상기 제2 축관통구멍의 양측에서 상기 제2 축관통구멍 및 각각의 스프링구멍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몸체부의 양측 끝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몸체부의 하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부가 상기 버튼 가이드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텀 바디에 조립되는 릴리즈 버튼; 상기 버튼 가이드홈에 평행한 제1 측벽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축구속단부, 상기 제1 축구속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1 돌기수용홈 및 제2 돌기수용홈, 상기 제1 측벽 반대편의 평행한 제2 측벽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2 스프링홈 및 제3 스프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축구속단부가 상기 제1 축관통구멍과 동축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 상면에 조립되는 제1 냄비구속부재; 상기 버튼 가이드홈에 평행한 제3 측벽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축구속단부, 상기 제2 축구속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3 돌기수용홈 및 제4 돌기수용홈, 상기 제3 측벽 반대편의 평행한 제4 측벽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측벽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4 스프링홈 및 제5 스프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와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바텀 바디 상면에 놓이는 제2 냄비구속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구멍에 수용되어, 상기 릴리즈 버튼을 누르면 수축되고 상기 릴리즈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홈 및 상기 제3 스프링홈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상기 제4 스프링홈 및 상기 제5 스프링홈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3 스프링; 및 상기 바텀 바디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의 넓이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의 넓이의 합보다 큰 넓이를 갖는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 및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에 소통되게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축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 상기 한 쌍의 제2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제3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탑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냄비는 상기 회전냄비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홈이 구비되는 회전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축이 상기 축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축구속단부 및 상기 제2 축구속단부가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냄비가 상기 냄비 거치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의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바텀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장치는 상기 바텀 바디 및 상기 회전냄비를 동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 각각의 힌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션 거치대; 및 상기 인덕션 거치대를 상기 각각의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인덕션 거치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은 양측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상면부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는, 상기 각각의 제1 이동프레임의 하부의 양측 측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각각의 제1 가이드프레임의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덕션 위치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냄비 내에서 조리된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식품이 담긴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식품이 담기 용기를 상기 제1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에 의하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음식의 조리가 용이해지고, 대형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빠르게 다양하거나 다량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냄비의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냄비 거치 브라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 바디가 생략된 냄비 거치 브라켓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냄비의 회전중심축이 냄비 거치 브라켓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냄비가 인덕션에 근접하도록 위치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냄비가 음식 조리 후 조리된 음식을 용기 내로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냄비 거치 브라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 바디가 생략된 냄비 거치 브라켓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냄비의 회전중심축이 냄비 거치 브라켓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는 베이스부재(110), 인덕션 설치부재(120), 인덕션(130), 냄비 설치부재(140), 제1 구동장치(150), 회전냄비(160), 제2 구동장치(17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 제1 연결프레임(112) 및 한 쌍의 지지다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레일(1111) 및 상면부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레일(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112)은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에서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다리(113)는 제1 연결프레임(112)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에서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120)는 하단부 일측면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덕션 설치부재(120)는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 한 쌍의 힌지 브라켓(122), 인덕션 거치대(123), 제1 클램프(124),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25), 제2 클램프(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은 하단부가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 브라켓(122)은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힌지 브라켓(122)은 ㄱ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인덕션 거치대(123)는 각각의 힌지 브라켓(1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클램프(124)에 의해 각각의 힌지 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션 거치대(123)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거치대프레임(1231) 및 거치대프레임(1231)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힌지연결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24)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122) 및 인덕션 거치대(123)의 한 쌍의 힌지연결부(1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덕션 거치대(12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클램프(124)는 각각의 힌지연결부(1232)의 이면에 고정되는 제1 너트부재(1241), 힌지 브라켓(122) 및 힌지연결부(1232)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너트부재(1241)에 나사결합되는 제1 스크류(1242) 및 제1 스크류(124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핸들부(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램프(124)는 제1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너트부재(1241)에 결합되면서 힌지 브라켓(122) 및 힌지연결부(1232)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조여져서 인덕션 거치대(123)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제2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너트부재(1241)로부터 풀리면서 힌지 브라켓(122) 및 힌지연결부(1232)의 밀착상태가 느슨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25)는 각각의 제1 이동프레임(121)의 하부의 양측 측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각각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상기 제1 가이드레일(1111)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슬라이딩부재(125)는 개략적으로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ㄴ자 형상에서 수직한 부분은 제1 이동프레임(121)에 결합되고 수평한 부분은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평한 부분의 안쪽면에는 제1 이동프레임(121)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가이드돌기(1251) 및 제1 가이드돌기(1251)의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고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부의 제1 가이드레일(1111)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돌기(12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프(126)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5)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5)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클램프(126)는 각각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제2 가이드레일(1112) 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2 너트부재(1261), 각각의 슬라이딩부재(125)의 제1 가이드돌기(1251) 상에 안착되어 각각의 제1 가이드돌기(125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플레이트부(1262a)를 갖는 가압부재(1262), 상기 가압플레이트부(1262a)를 관통하여 제2 너트부재(1261)에 나사결합되는 제2 스크류(1263) 및 제2 스크류(1263)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핸들부(1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램프(126)는 제1 방향으로 돌리면 제2 너트부재(1261)에 결합되면서 가압부재(1262)의 가압플레이트부(1262a)가 각각의 슬라이딩부재(125)의 제1 가이드돌기(1251)를 가압하도록 하여 각각의 슬라이딩부재(125)가 고정되도록 하고, 제2 방향으로 돌리면 제2 너트부재(1261)로부터 풀리면서 가압플레이트부(1262a)가 각각의 제1 가이드돌기(1251)를 가압하는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130)은 회전냄비(160)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덕션 거치대(123)의 거치대프레임(1231) 상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 끝단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인덕션(130)의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냄비 설치부재(140)는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41), 하부 프레임(142) 및 상부 프레임(1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41)은 하단부의 일측면이 베이스부재(110)의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42)은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4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43)은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4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150)는 제1 구동축(151)을 포함하고, 제1 구동축(151)이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장치(150)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의 몸체부 일측이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부 프레임(14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냄비(160)는 제1 구동축(151)과 연결되어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150)에 의해 360도 회전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170)는 제2 구동축(17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1 구동장치(150)의 몸체에 연결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회전냄비(160)를 상기 인덕션(130)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인덕션(130)과 멀어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동장치(170)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의 몸체부가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부 프레임(143) 상에 고정되고 제2 구동축(171)이 제1 구동장치(150)의 모터의 몸체에 연결되어 제1 구동장치(1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제2 구동장치(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들, 제1 구동장치(150)의 구동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는 제1 구동장치(150) 및 회전냄비(160) 사이에 구비되는 냄비 거치 브라켓(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냄비 거치 브라켓(190)은 회전냄비(160)의 탈착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냄비 거치 브라켓(190)은 바텀 바디(191), 릴리즈 버튼(192), 제1 냄비구속부재(193), 제2 냄비구속부재(194), 한 쌍의 제1 스프링(195),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한 쌍의 제3 스프링(197), 탑 바디(198)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바디(19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튼 가이드홈(1911),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축관통구멍(1912), 및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 내에서 상기 제1 축관통구멍(1912)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 을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 버튼(192)은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보다 긴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몸체부(1921),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장방형의 제2 축관통구멍(1922),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구멍(1923),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의 양측에서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 및 각각의 스프링구멍(192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1924), 및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양측 끝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하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누름부(19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릴리즈 버튼(192)은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가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텀 바디(19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냄비구속부재(193)는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에 평행한 제1 측벽(193a)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축구속단부(1931),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193a)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1 돌기수용홈(1932) 및 제2 돌기수용홈(1933), 상기 제1 측벽(193a) 반대편의 평행한 제2 측벽(193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193b)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2 스프링홈(1934) 및 제3 스프링홈(19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냄비구속부재(193)는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가 상기 제1 축관통구멍(1912)과 동축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 상면에 조립될 수 있다.
제2 냄비구속부재(194)는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에 평행한 제3 측벽(194a)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축구속단부(1941), 상기 제2 축구속단부(194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벽(194a)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3 돌기수용홈(1942) 및 제4 돌기수용홈(1943), 상기 제3 측벽(194a) 반대편의 평행한 제4 측벽(194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측벽(194b)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4 스프링홈(1945) 및 제5 스프링홈(19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냄비구속부재(194)는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와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 상면에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스프링(195)은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구멍(1923)에 수용되어, 상기 릴리즈 버튼(192)을 누르면 수축되고 상기 릴리즈 버튼(192)의 누름이 해제되면 복원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스프링(196)은 상기 제2 스프링홈(1934) 및 상기 제3 스프링홈(193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은 상기 제4 스프링홈(1945) 및 상기 제5 스프링홈(194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탑 바디(198)는 상기 바텀 바디(19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의 넓이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의 넓이의 합보다 큰 넓이를 갖는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 및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에 소통되게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축삽입구멍(19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탑 바디(198)는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 상기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및 상기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냄비 거치 브라켓(190)의 각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냄비 거치 브라켓(190)은 바텀 바디(191)의 버튼 가이드홈(1911) 내에 릴리즈 버튼(192)이 조립되고, 한 쌍의 제1 스프링(195)은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 및 한 쌍의 스프링구멍(1923) 내에 조립되고, 제1 냄비구속부재(193) 및 제2 냄비구속부재(194)는 릴리즈 버튼(192)의 상부에서 제1 냄비구속부재(193)의 제1 측벽(193a) 및 제2 냄비구속부재(194)의 제3 측벽(194a)이 대응되게 조립되고, 이때 릴리즈 버튼(192)의 한 쌍의 가압돌기(1924)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돌기수용홈(1932) 및 제3 돌기수용홈(1942)과 서로 마주하는 제2 돌기수용홈(1933) 및 제4 돌기수용홈(1943) 내에 각각 수용되고, 한 쌍의 제2 스프링(196)은 제1 냄비구속부재(193)의 제2 스프링홈(1934) 및 제3 스프링홈(1935)에 조립되고,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은 제2 냄비구속부재(194)의 제4 스프링홈(1945) 및 제5 스프링홈(1946)에 조립되고, 탑 바디(198)는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에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 상기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및 상기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의 상면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회전냄비(160)는 회전냄비(16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홈(1611)이 구비되는 회전중심축(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161)이 상기 축삽입구멍(1982)을 통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 및 상기 제2 축구속단부(1941)가 상기 환형홈(16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냄비(160)가 상기 냄비 거치 브라켓(19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장치(150)의 상기 제1 구동축(151)은 상기 바텀 바디(19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장치(150)는 상기 바텀 바디(191) 및 상기 회전냄비(160)를 동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는 제1 컨베이어(201) 및 제2 컨베이어(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201)는 상기 인덕션(130) 위치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냄비(160) 내에서 조리된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160)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식품이 담긴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1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컨베이어(202)는 제1 컨베이어(2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201)로부터 이송되는 식품이 담기 용기를 상기 제1 컨베이어(2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자동 음식 조리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냄비가 인덕션에 근접하도록 위치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냄비가 음식 조리 후 조리된 음식을 용기 내로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식품의 조리전에 회전냄비(16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놓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냄비(160) 내에 조리할 음식의 재료를 넣는다. 조리할 음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인덕션(130)을 통해 가열하여 조리될 수 있는 음식이면 모두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를 통해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구동에 대한 설정을 마치고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1 구동장치(150)가 구동되면 제1 구동축(151)이 회전하여 회전냄비(160) 및 냄비 거치 브라켓(190)이 일방향으로 360도 동시 회전되며, 이와 함께 제2 구동장치(170)가 구동되어 도 7과 같이 회전냄비(160)를 인덕션(130)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회전냄비(160)가 인덕션(130)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냄비(160)의 회전이 지속되며, 회전 시간은 제어부(180)에서 설정된 시간에 의한다.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냄비(160)가 회전된 후 회전냄비(160)의 회전이 멈추면 음식의 조리는 완료되고, 이때 제2 구동장치(170)의 제2 구동축(17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8과 같이 회전냄비(160)를 인덕션(130)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컨베이어(201) 상에 놓인 용기(10)를 향해 회전시키며, 이때 회전냄비(160)는 입구가 용기(10)에 근접하도록 회전하여 회전냄비(160) 내의 조리된 음식이 용기(10)에 담겨질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베이어(201)는 용기(10)를 회전냄비(160)와 멀어지도록 이송할 수 있고, 이때 제2 컨베이어(202)가 제1 컨베이어(201)와 수직하게 놓인 경우 용기(10)는 제1 컨베이어(201)로부터 제2 컨베이어(202) 상으로 이송되고, 제2 컨베이어(202)는 제1 컨베이어(201)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용기(10)를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조리가 완료된 후 회전냄비(160)의 세척을 위해 회전냄비(160)는 냄비 거치 브라켓(19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냄비(160)의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회전냄비(160)의 분리를 위해, 릴리즈 버튼(192)의 한 쌍의 누름부(1925) 중 어느 한 측을 누르면 릴리즈 버튼(192)은 누름 방향으로 바텀 바디(191)의 버튼 가이드홈(191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릴리즈 버튼(192) 상의 한 쌍의 가압돌기(1924)는 제1 냄비구속부재(193) 및 제2 냄비구속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돌기수용홈(1932) 및 제3 돌기수용홈(1942), 서로 마주하는 제2 돌기수용홈(1933) 및 제4 돌기수용홈(1943) 각각의 가운데에서 V자로 경사진 홈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냄비구속부재(193) 및 제2 냄비구속부재(194)를 이격시키며, 이에 따라 회전냄비(160)의 환형홈(1611)에 삽입되어 있던 제1 축구속단부(1931) 및 제2 축구속단부(1941)는 환형홈(1611)으로부터 인출 및 회전중심축(161)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서 회전냄비(16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한 쌍의 제1 스프링(195),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및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은 수축되며, 회전냄비(160)의 분리 후 릴리즈 버튼(192)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수축되었던 한 쌍의 제1 스프링(195)은 복원되면서 릴리즈 버튼(192)을 복귀시키고, 수축되었던 한 쌍의 제2 스프링(196)은 제1 냄비구속부재(193)를 복귀시키고, 수축되었던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은 제2 냄비구속부재(194)를 복귀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를 이용하면 조리를 위한 음식의 재료를 회전냄비(160) 내에 넣은 후 제어부(180)를 통해 음식 조리에 대한 회전냄비(160)의 회전시간 등을 설정해 놓기만 하면 회전냄비(160)가 인덕션(13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회전되면서 가열되어 음식 조리가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음식의 조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 음식 조리기를 다수로 구비하면 한 종류의 음식을 다량으로 조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형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빠르게 다양하거나 다량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냄비(160)가 거치 및 고정되는 냄비 거치 브라켓(190)으로부터 회전냄비(160)를 분리할 때 릴리즈 버튼(192)을 누르기만 하면 쉽게 회전냄비(16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회전냄비(160)의 탈착이 쉽고, 회전냄비(160)의 세척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의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모터의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모터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모터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모터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모터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0.1 몰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식 조리기의 인덕션 설치부재(120) 및 냄비 설치부재(140)는 금속 재질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인덕션 설치부재(120) 및 냄비 설치부재(140)의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이미다졸 20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3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15중량%,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 1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인덕션 설치부재(120) 및 냄비 설치부재(14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며,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표면 도포 재료는 벤즈트리아졸 15중량%,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트리아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제2 구동장치(17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부재 120 : 인덕션 설치부재
130 : 인덕션 140 : 냄비 설치부재
150 : 제1 구동장치 160 : 회전냄비
170 : 제2 구동장치 180 : 제어부
190 : 냄비 거치 브라켓

Claims (6)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10);
    하단부 일측면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덕션 설치부재(120);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120) 상에 설치되는 인덕션(130);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 끝단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인덕션(130)의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냄비 설치부재(140);
    제1 구동축(15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축(151)이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장치(150);
    상기 제1 구동축(151)과 연결되어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150)에 의해 360도 회전하는 회전냄비(160);
    제2 구동축(17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1 구동장치(150)의 몸체에 연결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회전냄비(160)를 상기 인덕션(130)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인덕션(130)과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제2 구동장치(170); 및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제2 구동장치(1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회전냄비(160) 사이에 구비되는 냄비 거치 브라켓(1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냄비 거치 브라켓(19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튼 가이드홈(1911),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축관통구멍(1912), 및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 내에서 상기 제1 축관통구멍(1912)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을 포함하는 바텀 바디(191);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보다 긴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몸체부(1921),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장방형의 제2 축관통구멍(1922),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프링구멍(1923),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의 양측에서 상기 제2 축관통구멍(1922) 및 각각의 스프링구멍(192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1924), 및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양측 끝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의 하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누름부(1925)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부(1921)가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텀 바디(191)에 조립되는 릴리즈 버튼(192);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에 평행한 제1 측벽(193a)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축구속단부(1931),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193a)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1 돌기수용홈(1932) 및 제2 돌기수용홈(1933), 상기 제1 측벽(193a) 반대편의 평행한 제2 측벽(193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193b)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2 스프링홈(1934) 및 제3 스프링홈(193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가 상기 제1 축관통구멍(1912)과 동축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 상면에 조립되는 제1 냄비구속부재(193);
    상기 버튼 가이드홈(1911)에 평행한 제3 측벽(194a)의 가운데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축구속단부(1941), 상기 제2 축구속단부(194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벽(194a)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3 돌기수용홈(1942) 및 제4 돌기수용홈(1943), 상기 제3 측벽(194a) 반대편의 평행한 제4 측벽(194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측벽(194b)으로부터 선형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제4 스프링홈(1945) 및 제5 스프링홈(194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와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 상면에 놓이는 제2 냄비구속부재(194);
    상기 한 쌍의 제1 스프링홈(1913)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구멍(1923)에 수용되어, 상기 릴리즈 버튼(192)을 누르면 수축되고 상기 릴리즈 버튼(192)의 누름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195);
    상기 제2 스프링홈(1934) 및 상기 제3 스프링홈(1935)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상기 제4 스프링홈(1945) 및 상기 제5 스프링홈(1946)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3 스프링(197); 및
    상기 바텀 바디(19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의 넓이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의 넓이의 합보다 큰 넓이를 갖는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 및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에 소통되게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축삽입구멍(1982)을 포함하고, 상기 냄비구속부재 수용공간(1981)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 상기 한 쌍의 제2 스프링(196) 및 상기 한 쌍의 제3 스프링(197)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텀 바디(191)의 상면에 결합되는 탑 바디(198)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냄비(160)는 상기 회전냄비(16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홈(1611)이 구비되는 회전중심축(16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축(161)이 상기 축삽입구멍(1982)을 통해 상기 제1 냄비구속부재(193) 및 상기 제2 냄비구속부재(194)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축구속단부(1931) 및 상기 제2 축구속단부(1941)가 상기 환형홈(16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냄비(160)가 상기 냄비 거치 브라켓(19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150)의 상기 제1 구동축(151)은 상기 바텀 바디(19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장치(150)는 상기 바텀 바디(191) 및 상기 회전냄비(160)를 동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
  2. 삭제
  3.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10);
    하단부 일측면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덕션 설치부재(120);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120) 상에 설치되는 인덕션(130);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 끝단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인덕션(130)의 위치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냄비 설치부재(140);
    제1 구동축(15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축(151)이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동장치(150);
    상기 제1 구동축(151)과 연결되어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장치(150)에 의해 360도 회전하는 회전냄비(160);
    제2 구동축(17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냄비 설치부재(14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상기 제1 구동장치(150)의 몸체에 연결되고,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축(171)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회전냄비(160)를 상기 인덕션(130)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인덕션(130)과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제2 구동장치(170); 및
    상기 제1 구동장치(150) 및 상기 제2 구동장치(1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120)는,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122);
    각각의 힌지 브라켓(122)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션 거치대(123); 및
    상기 인덕션 거치대(123)를 상기 각각의 힌지 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인덕션 거치대(12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램프(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은 양측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레일(1111) 및 상면부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레일(1112)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설치부재(120)는,
    상기 각각의 제1 이동프레임(121)의 하부의 양측 측면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각각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의 상기 제1 가이드레일(1111)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프레임(121)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5);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5)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125)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램프(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130) 위치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냄비(160) 내에서 조리된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160)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식품이 담긴 용기를 상기 회전냄비(1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컨베이어(2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2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2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02)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1)로부터 이송되는 식품이 담기 용기를 상기 제1 컨베이어(2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0190177349A 2019-12-30 2019-12-30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10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49A KR102106929B1 (ko) 2019-12-30 2019-12-30 자동 음식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49A KR102106929B1 (ko) 2019-12-30 2019-12-30 자동 음식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929B1 true KR102106929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49A KR102106929B1 (ko) 2019-12-30 2019-12-30 자동 음식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71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234269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WO2022239565A1 (ja) * 2021-05-14 2022-11-17 TechMagic株式会社 自動調理装置
US20230137572A1 (en) * 2020-05-27 2023-05-04 Seung Hun SHIN Compression type ramen cooker using induction hea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81Y1 (ko) 2002-01-31 2002-05-04 김인석 음식물 자동조리기계
JP2004267519A (ja) *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KR101296375B1 (ko) * 2012-12-18 2013-08-14 표현학 유도가열 로스터
US20170172350A1 (en) * 2015-05-07 2017-06-22 Spyce, Inc. Automated meal produc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170354287A1 (en) * 2014-12-18 2017-12-14 Jian-Wei Chang Automatic stir-fryer
CN209058815U (zh) * 2018-11-05 2019-07-05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自动烹饪设备
US20190329419A1 (en) * 2018-04-30 2019-10-31 Spyce Food Co. Robotic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81Y1 (ko) 2002-01-31 2002-05-04 김인석 음식물 자동조리기계
JP2004267519A (ja) *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KR101296375B1 (ko) * 2012-12-18 2013-08-14 표현학 유도가열 로스터
US20170354287A1 (en) * 2014-12-18 2017-12-14 Jian-Wei Chang Automatic stir-fryer
US20170172350A1 (en) * 2015-05-07 2017-06-22 Spyce, Inc. Automated meal produc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190329419A1 (en) * 2018-04-30 2019-10-31 Spyce Food Co. Robotic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9058815U (zh) * 2018-11-05 2019-07-05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自动烹饪设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7572A1 (en) * 2020-05-27 2023-05-04 Seung Hun SHIN Compression type ramen cooker using induction heater
US11871864B2 (en) * 2020-05-27 2024-01-16 Seung Hun SHIN Compression type ramen cooker using induction heater
KR102234271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KR102234269B1 (ko) * 2021-01-29 2021-03-31 주식회사 키친엑스 자동 음식 조리기
WO2022239565A1 (ja) * 2021-05-14 2022-11-17 TechMagic株式会社 自動調理装置
CN117320596A (zh) * 2021-05-14 2023-12-29 科技魔具股份有限公司 自动烹饪装置
JP7475693B2 (ja) 2021-05-14 2024-04-30 TechMagic株式会社 自動調理装置
US11986131B2 (en) 2021-05-14 2024-05-21 Techmagic Inc. Automated coo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929B1 (ko) 자동 음식 조리기
US5518127A (en) Compact mobile rotisserie preparation workstation
CA2987472A1 (en) Intelligent food cooking machine
US9339131B1 (en) Food shield
US5182438A (en) Food service apparatus and process
US20110081471A1 (en) Cooking Apparatus
CA2751971C (en) Pivoting shelf assembly
JP6389745B2 (ja) 撹拌装置及び炊飯システム
EP1202658B1 (en) Dropping side shelf assembly
US10646075B2 (en) Aluminum foil pan carrier system
EP2744375A1 (en) Plate stacking device
KR102234271B1 (ko) 자동 음식 조리기
MXPA03000863A (es) Aparato para pintar bordes con ruedas de guia horizontal y vertical.
EP1602413A3 (en) Spray booth with hybrid electrical heating
US8733714B1 (en) Rolling trivet apparatus
CN208882434U (zh) 一种彩涂钢板运输装置
US20110084065A1 (en) Slidable Tray Assembly for Microwave Oven
CN110089989B (zh) 洗碗机
KR20170027961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리장치
US20110084067A1 (en) Slidable tray assembly for microwave oven
KR102234269B1 (ko) 자동 음식 조리기
JP2001146571A (ja) 塗料およびその塗装物
US3194148A (en) Rotisserie apparatus
CN220937827U (zh) 一种手柄及烹饪器具
CN214964442U (zh) 一种菜肴全自动蒸、煎、炖系统的菜肴搬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