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434B1 -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434B1
KR102106434B1 KR1020160179501A KR20160179501A KR102106434B1 KR 102106434 B1 KR102106434 B1 KR 102106434B1 KR 1020160179501 A KR1020160179501 A KR 1020160179501A KR 20160179501 A KR20160179501 A KR 20160179501A KR 102106434 B1 KR102106434 B1 KR 10210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hot
melt adhesive
adhesive resin
dicyclopen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314A (ko
Inventor
변도현
성필제
윤경준
장영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43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54 priority patent/WO2018124578A1/ko
Priority to TW106144587A priority patent/TWI659081B/zh
Publication of KR2018007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5/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2201/6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향상된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SBS 수지와 방향족 성분이 첨가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 후, 비균질계 촉매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SBS 수지내의 폴리부타디엔 블록(polybutadiene block)의 이중결합 제거를 통해 핫멜트의 열안정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HOT-MELT ADHESIVE RESIN COMPOSIION}
본 발명은 향상된 열안정성을 가지는 SBS계 핫멜트 조성물 제조를 위한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수지는 점착부여제로써 베이스 폴리머(base polymer)와 혼합하여 점착제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에 따라서, 사용되는 석유수지의 종류가 달라지는데, 이중에서 SBS 수지의 경우 베이스 폴리머와의 상용성을 위해 방향족이 첨가된 석유수지를 사용한다.
방향족이 첨가된 석유수지에는 베이스 폴리머와의 상용성을 위해, 일정 함량의 잔류 방향족 성분이 존재해야 하는데, 석유수지의 색상을 개선하고(Yellow to white) 적절한 잔류 방향족을 유지하면서 수소첨가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부분수소첨가 반응(이하 부분수첨)이라고 한다.
그런데, 기존 방법에서는 핫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부분수첨된 점착부여수지를 SBS와 균일하게 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핫멜트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SBS는 고분자 사슬 내에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블록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열안정성이 다소 열세이기 때문에 배합시 변색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보다 핫멜트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수지의 변색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핫멜트용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매 하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공중합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블렌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비균질계 촉매 반응 조건하에, 상기 수지 혼합물에 대하여 수소첨가 반응을 수행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는 스티렌이 30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에서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파라-메틸 스티렌, 인덴, 메틸인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10:90 내지 90:10 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SBS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블렌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hydrocarbon solven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수지 혼합물의 농도는 5~20 중량%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autoclave batch reactor), 루프 벤츄리 반응기(loop venturi reactor), 또는 비균질계 촉매가 충진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 bed reactor)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균질계 촉매는 귀금속 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반응온도 120~200℃, 반응압력 25~100bar, 원료유량 10~50ml/min, 및 수소유량 1~5 NLPM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1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불용분 생성량이 10% 이하인 핫멜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계산식 1]
불용분 생성량(%) = (A/B)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열산화 후의 핫멜트를 톨루엔에 녹여 준비한 10중량% 용액에 대해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불용분(g)을 나타내고,
B는 톨루엔에 녹이기 전의 전체 핫멜트 양(g)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SBS 수지와 방향족 성분이 첨가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 후, 비균질계 촉매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SBS 수지내의 폴리부타디엔 블록(polybutadiene block)의 이중결합 제거를 통해 핫멜트의 열안정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고분자간 가교(cross-linking)를 억제하기 위해 낮은 반응온도 및 압력을 적용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에 따라 부분수첨된 점착부여수지를 SBS와 배합하는 핫멜트 제조 공정을 별도로 도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 단순화 및 공정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핫멜트에 대한 열산화 후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180℃, 24hr에서 열산화 후의 관능적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핫멜트용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용매 하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공중합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블렌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비균질계 촉매 반응 조건하에, 상기 수지 혼합물에 대하여 수소첨가 반응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부분수첨된 점착부여수지를 SBS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핫멜트를 제조하였으나, SBS 내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블록의 이중결합에 의해 열안정성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방법은 SBS계 핫멜트 조성물의 열안정성 향상을 위한 수첨 공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기존에는 배합시 수지 변색 문제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방향족이 첨가된 석유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SBS 수지를 일정량 혼합한 후에, 비균질계 수첨 촉매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기존 대비 핫멜트의 열안정성과 시간에 따른 색상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공정에 의해, SBS 수지 내의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블록의 이중결합을 제거하여 열안정성이 향상된 핫멜트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향족이 첨가된 석유수지와 SBS 수지가 배합된 상태로 수첨이 진행되기 때문에, 수첨 반응 후 별도의 핫멜트 제조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족 성분이 첨가된 석유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나타내며, 이러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는 디시클로펜타디엔을 단량체로 하여 다른 공단량체와 함께 중합된 수지이며, 점착부여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단계는, 용매 하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공중합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블렌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 혼합물을 제조시, 상온에서 각 성분을 혼합후 간단한 교반을 통해 진행될 수 있는 바, 그 조건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SBS 수지는 스티렌이 30 내지 50 중량% 포함되어 있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에서 방향족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일 수 있고, 이러한 단량체의 일 례를 들면, 스티렌(styrene), 알파-메틸 스티렌(α-methyl styrene, AMS), 또는 파라-메틸 스티렌(p-methyl styrene) 등의 스티렌 유도체 (styrene derivative)와 인덴(indene), 또는 메틸인덴(methyl indene) 등의 인덴 유도체 (indene derivativ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에서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85:15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조건은 용매 하에 210 내지 270℃의 온도, 1 내지 40bar에서 10 내지 120분 동안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노난, 데칸,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에서 잔류 방향족 성분은 전체 수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잔류 방향족 성분은 1H NMR 분석 결과 계산된 중합수지 내 방향족(aromatic)의 %수치를 의미한다. 또한, 스티렌 첨가량의 약 60중량%가 잔류 방향족 성분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DCPD와 스티렌의 첨가 비율이 70:30인 경우, 상기 비율로 중합한 중합수지 내의 1H NMR 분석을 통해 확인한 잔류 방향족 성분은 18중량%이다. 또한,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고, 분자량 분포(PDI, Mw/Mn)가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SBS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블렌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물질은 25:75 내지 75:25의 중량비로 블렌딩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hydrocarbon solven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수지 혼합물의 농도는 5~20 중량%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지 혼합물의 농도는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농도가 5 중량% 미만이면 수지 혼합물의 생산량이 낮아서 비용적인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수지 혼합물이 용매에 용해 되지 않아 상온에서 원료의 수소첨가반응을 위한 연속투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제2단계는 비균질계 촉매 반응 조건하에, 상기 수지 혼합물에 대하여 수소첨가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부타디엔 블록의 이중결합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핫멜트의 열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간 가교를 억제하기 위해 낮은 반응온도 및 압력을 적용해야 하는 바, 후술하는 특정 조건에서 수소 첨가 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autoclave batch reactor), 루프 벤츄리 반응기(loop venturi reactor), 또는 비균질계 촉매가 충진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 bed reactor)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비균질계 촉매가 충진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 bed reactor)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리클 베드 반응기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고체 촉매로 이루어진 충전층이 구비된 복수의 다관형 촉매 반응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클 베드 반응기는 하향류 촉매 반응기로서, 촉매 프로세스에서 액체 또는 혼합상 액체/기체 또는 액체/증기 혼합물로 이루어진 원료 유체가 상기 충전층으로 유입되고, 충전층을 통과하면서 후술하는 수소 첨가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충전층의 양이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트리클 베드 반응기의 용적에 대하여 80 내지 100%의 비율로 촉매 충전층을 채워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는 유체 분배 장치가 설치되어 원료 유체를 복수의 관형 촉매 반응기로 분배 및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클 베드 반응기에 충진지는 상기 비균질계 촉매는 귀금속 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금속 촉매 중에서도 Pd가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균질계 촉매의 농도는 0.3 내지 0.5중량%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반응 온도 범위를 특정하게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반응 온도 범위에 따라 압력과 원료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반응온도 120~200℃, 반응압력 25~100bar, 원료유량 10~50ml/min, 및 수소유량 1~5 NLPM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료는,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첨가 반응 조건에서 반응온도가 120℃ 미만이면 수소첨가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200℃를 초과하면 분자간 가교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접착 수지 조성물은, 핫멜트 제조에 사용되어 열안정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 변화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수지 조성물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1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불용분 생성량이 10% 이하인 핫멜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계산식 1]
불용분 생성량(%) = (A/B)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열산화 후의 핫멜트를 톨루엔에 녹여 준비한 10중량% 용액에 대해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불용분(g)을 나타내고,
B는 톨루엔에 녹이기 전의 전체 핫멜트 양(g)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SBS 수지와 함께 점착부여수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비균질계 촉매 반응을 실시하므로, SBS수지 내의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블록의 이중결합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지는 핫멜트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접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대로 핫멜트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등이 있지만, 그 종류와 함량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을 이용하여 공중합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DCPD) 수지를 SBS 수지와 2.28: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사이클로헥산에 용해시켰다(13.4중량%). 이때,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과 스티렌을 70:30의 중량비율로 중합한 것을 사용하였다(상기 중합수지의 잔류 방향족 성분량은 18%이며, 잔류 방향족 성분은 1H NMR 분석 결과 계산된 중합수지 내 aromatic 함량%를 의미한다).
이후, 0.5% Pd 촉매가 충진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 bed reactor)에서 반응온도 150℃, 반응압력 50bar, 원료 유량 30ml/min, 수소 유량 4NLPM 조건으로 수소첨가 반응을 실시하였다.
수소첨가 반응 후, 점착부여수지 중량 대비 0.8phr의 산화방지제(IRGANOX 1010) 첨가한 뒤 150℃, 1mbar에서 1시간동안 건조하여 3g의 핫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기존에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한 부분수첨된 점착부여수지를 SBS 수지와 2.28: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사이클로헥산에 용해시켰다(13.4중량%).
그리고, 점착부여수지 중량 대비 0.8phr의 산화방지제(IRGANOX 1010)을 첨가한 뒤 150℃, 1mbar에서 1시간동안 건조하여 3g의 핫멜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한 1H NMR 분석 및 열안정성(180℃, 24hr)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핫멜트에 대한 열산화 후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180℃, 24hr에서 열산화 후의 관능적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1H NMR1 ) YI index2) 불용분 생성량3)
DCPD
수지내
Aromatic double bond
DCPD
수지내 Aliphatic double bond
수지 내
C-C bond
실시예1 4.27 1.76 93.98 52.7 9.1
비교예1 17.79 10.11 72.10 54.8 38.0
주)
1) 0.025g의 시료를 1ml CDCl3에 용해한 뒤 1H NMR 측정
2) 열산화 후의 시료를 톨루엔에 10wt%로 용해한 뒤(원심분리 실시하여 불용분 제거) 10mm cuvette으로 측정(YI E313)
3) 다음 식과 같이 불용분 생성량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1]
불용분 생성량(%) = (A/B)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열산화 후의 핫멜트를 톨루엔에 녹여 준비한 10중량% 용액에 대해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불용분(g)을 나타내고,
B는 톨루엔에 녹이기 전의 전체 핫멜트 양(g)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보면, YI index 측정 결과 각각, 실시예1 52.7, 비교예1 54.8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YI index 측정 전 분리한 진한 색상의 불용분의 양이 비교예1은 38.0%이고, 실시예1은 9.1%이다. 본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불용분 생성량을 약 29 %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교예1의 열산화 후의 색상은 다량의 불용분에 기인한 것이며, 이는 폴리부타디엔 블록의 이중결합에 의해 고분자간 가교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비율로 SBS 수지와 방향족이 첨가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블렌딩 후 비균질계 촉매 하에 수첨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SBS 수지 내 이중결합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분자간 가교 결합을 억제하여 불용분의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용매 하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공중합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를 블렌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비균질계 촉매 반응 조건하에, 상기 수지 혼합물에 대하여 수소첨가 반응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의 수지 혼합물의 농도는 5 내지 20중량%인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수지는 스티렌이 30 내지 50 중량% 포함되어 있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에서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파라-메틸 스티렌, 인덴, 메틸인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방향족 단량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것인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SBS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는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블렌딩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hydrocarbon solven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autoclave batch reactor), 루프 벤츄리 반응기(loop venturi reactor), 또는 비균질계 촉매가 충진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 bed reactor)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균질계 촉매는 귀금속 촉매인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제2단계의 수소첨가 반응은, 반응온도 120~200℃, 반응압력 25~100bar, 원료유량 10~50ml/min, 및 수소유량 1~5 NLPM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10중량% 톨루엔 용액에서의 불용분 생성량이 10% 이하인 핫멜트의 제조에 적용되는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계산식 1]
    불용분 생성량(%) = (A/B)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열산화 후의 핫멜트를 톨루엔에 녹여 준비한 10중량% 용액에 대해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불용분(g)을 나타내고,
    B는 톨루엔에 녹이기 전의 전체 핫멜트 양(g)을 나타낸다)
KR1020160179501A 2016-12-26 2016-12-26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0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01A KR102106434B1 (ko) 2016-12-26 2016-12-26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17/014954 WO2018124578A1 (ko) 2016-12-26 2017-12-18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TW106144587A TWI659081B (zh) 2016-12-26 2017-12-19 熱熔粘合樹脂組合物的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01A KR102106434B1 (ko) 2016-12-26 2016-12-26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314A KR20180075314A (ko) 2018-07-04
KR102106434B1 true KR102106434B1 (ko) 2020-05-04

Family

ID=6271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501A KR102106434B1 (ko) 2016-12-26 2016-12-26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06434B1 (ko)
TW (1) TWI659081B (ko)
WO (1) WO2018124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523A1 (en) 2007-06-01 2013-11-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lends of Co-Precipitated Hydrogenated Ethylene-Dicyclopentadiene and Elastomeric Polymers to Provide Impact Modified Structural Polyolefi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793A (en) * 1990-02-22 1992-12-15 Exxon Chemical Patents Inc. Hydrogenated resins, adhesive formulation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resins
KR100366972B1 (ko) * 2000-03-07 2003-01-09 코오롱유화주식회사 점·접착제용 공중합 석유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39120A1 (en) * 2011-04-08 2012-10-11 Bostik, Inc. Poly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ntaining a solid plasticiz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523A1 (en) 2007-06-01 2013-11-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lends of Co-Precipitated Hydrogenated Ethylene-Dicyclopentadiene and Elastomeric Polymers to Provide Impact Modified Structural Polyolef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314A (ko) 2018-07-04
TWI659081B (zh) 2019-05-11
WO2018124578A1 (ko) 2018-07-05
TW201829695A (zh)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3306B (zh) 用于高性能轮胎的官能化树脂
KR100241052B1 (ko)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87000B1 (ko)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
KR20190114716A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EP0316857B1 (en) Amine containing initiator system for anionic polymerization
US5047484A (en) Tapered block copolymers
KR20060050770A (ko) 시스-1,4-폴리뷰타다이엔의 합성
KR20210088515A (ko) 석유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06434B1 (ko) 핫멜트 접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143057B1 (en) Branched broad mwd conjugated diene polymer
KR102476622B1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US5071920A (en) Tapered block copolymers
CN113817102B (zh) 一种苯乙烯类热塑性弹性体的制备方法
Ding et al. Perfectly AB‐alternating copolymers via alternating diene metathesis polymerization: one‐step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TWI432470B (zh) 改質的高順式共軛二烯聚合物及其製造方法
JP5123461B2 (ja) 貯蔵安定性に優れる脂肪族−芳香族共重合石油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26387A (ko) 좁은 분자량 분포를 지니는 고 스타이렌 고 비닐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JP7248677B2 (ja) ルテニウム錯体触媒を使用してニトリルゴム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ITMI20011901A1 (it) Copolimeri random butadiene-isoprene struttura trans-1,4
KR102253387B1 (ko) 석유수지의 제조방법
KR20140087203A (ko) 석유수지 및 그 제조방법
EP3312202B1 (en) Method for hydrogenating polymer and hydrogenated polymer thereof
KR101673036B1 (ko) 불규칙 비닐 아렌-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부분 수소화 공정
KR20160117045A (ko) 석유 수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핫멜트용 조성물
KR102281089B1 (ko) 석유수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