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22B1 -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22B1
KR102105822B1 KR1020170167919A KR20170167919A KR102105822B1 KR 102105822 B1 KR102105822 B1 KR 102105822B1 KR 1020170167919 A KR1020170167919 A KR 1020170167919A KR 20170167919 A KR20170167919 A KR 20170167919A KR 102105822 B1 KR102105822 B1 KR 10210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ap
acid battery
input power
replenis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985A (ko
Inventor
방문성
Original Assignee
(주)비엠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일렉텍 filed Critical (주)비엠일렉텍
Priority to KR102017016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D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준정전압 정전류 방식의 충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1차측으로 입력된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기; 입력전원과의 선택적 연결을 위해 상기 누설변압기의 1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각각 다른 권선비(N1/N2)를 제공하는 다수의 입력탭; 상기 다수의 입력탭 중에서 선택된 입력탭을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하는 탭절환부;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탭절환부를 제어하여 입력전원에 연결된 입력탭을 다른 입력탭으로 절환하는 급속 보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변압기의 입력탭을 절환하여 일시적으로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급속으로 납축전지를 보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식시간과 같은 짧은 시간 동안에 보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도중에 납축전지 충전을 위해 시간을 허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Battery charger capable of quick charging}
본 발명은 전동지게차,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납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준정전압 정전류 방식의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카트, 청소차, 전동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에는 납축전지가 주로 사용되며, 납축전지용 충전기는 대부분 누설변압기를 이용하는 준정전압 준정전류 방식의 충전기이다.
도 1은 준정전압 준정전류 충전기(10)의 회로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입력전원(Ri,Si,Ti)을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12), 누설변압기(12)의 2차측 출력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4) 등을 포함하며,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4)의 출력단에 납축전지(30)가 연결된다.
한편 누설변압기(12)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인해 누설자속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이상변압기(ideal transformer)에 비하여 매우 큰 누설 리액턴스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누설 리액턴스는 부하 임피던스가 변동해도 2차측 전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2차측 전압을 구형파와 유사한 파형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누설변압기(12)를 이용하면 복잡한 제어회로 없이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4)만 사용해도 준정전압 정전류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충전기, 네온사인, 아크용접기 등에 누설변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납축전지의 충전특성을 예시한 그래프로서, 충전초기에는 100A 이상의 대전류가 공급되다가 납축전지의 전압이 어느 정도 높아지면 전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충전특성을 갖는 납축전지를 준정전압 정전류 충전기(10)로 충전하는 데는 대략 8-10 시간 정도 소요되며, 이보다 빨리 충전하려면 별도의 급속충전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급속충전기는 통상의 충전기보다 훨씬 큰 용량의 누설변압기(12)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납축전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와 제어회로를 탑재해야 하므로 통상의 충전기에 비하여 훨씬 고가이며, 이로 인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준정전압 정전류 방식의 급속충전기가 사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산업현장에서는 납축전지의 충전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성이나 작업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충전시간이 짧은 충전기를 선호하지만 비용 때문에 급속충전기를 구입하지 못하고 통상의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등록특허 제10-1367161호(2014.02.27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준정전압 정전류 충전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누설변압기의 용량을 늘리지 않고도 급속으로 보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1차측으로 입력된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기; 입력전원과의 선택적 연결을 위해 상기 누설변압기의 1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각각 다른 권선비(N1/N2)를 제공하는 다수의 입력탭; 상기 다수의 입력탭 중에서 선택된 입력탭을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하는 탭절환부;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탭절환부를 제어하여 입력전원에 연결된 입력탭을 다른 입력탭으로 절환하는 급속 보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충전기의 상기 급속 보충전 제어부는,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전원에 연결된 입력탭을 권선비(N1/N2)가 더 작은 입력탭으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충전기의 상기 급속 보충전 제어부는,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납축전지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급속 보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충전기의 상기 급속 보충전 제어부는, 급속 보충전을 개시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입력탭을 이전의 입력탭으로 다시 절환하고 보통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충전기는, 대기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급속 보충전 시간을 연장하는 온도보상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1차측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1차측 코일과 입력전원 사이에 설치된 탭절환부; 충전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탭절환부를 제어하여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충전제어부; 대기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시키는 온도보상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변압기의 입력탭을 절환하여 일시적으로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급속으로 납축전지를 보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식시간과 같은 짧은 시간 동안에 보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도중에 납축전지의 충전을 위해 시간을 허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준정전압 정전류 충전기의 구성도
도 2는 준정전압 정전류 충전기의 충전특성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이용한 급속 보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도 3의 회로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1차측으로 입력된 입력전원(Ri,Si,Ti)을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110), 누설변압기(110)의 2차측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20), 누설변압기(110)의 1차측에 설치된 탭절환부(130), 탭절환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일단은 입력전원(Ri,Si,Ti)의 적어도 2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어부(140)에 연결되는 전압검출부(150) 등을 포함한다. 납축전지(30)의 (+)단자와 (-)단자는 각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20)의 (+)출력단자와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급속보충전 명령을 입력하는 급속보충전입력부(160), 디스플레이(170), 발광부(180), 충전이력저장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속보충전 입력부(16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 버튼, 터치메뉴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표시기능 이외에 입력기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80)는 충전기(100)의 각종상태를 나타내는 엘이디, 경광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이력저장부(190)는 충전시기, 방전시기, 충전기간 중 설정된 시점의 전압/전류 정보, 방전기간 중 설정된 시점의 전압/전류 정보, 보통충전횟수, 급속충전횟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누설변압기(110)의 1차측의 각 상의 코일에는 다수의 입력탭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R상 코일에는 2개의 입력탭(R1,R2)이 연결되고, S상 코일에는 2개의 입력탭(S1,S2)이 연결되고, T상 코일에는 2개의 입력탭(T1,T2) 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각 상의 코일마다 2개씩의 입력탭 (R1,R2), (S1,S2), (T1,T2)이 연결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충전기(100a)와 같이 각 상의 코일마다 3개씩의 입력탭이 연결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입력탭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상의 코일마다 다수의 입력탭을 연결하면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되는 입력탭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적절한 권선비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전류량을 일시적으로 늘리기 위하여 입력탭을 다른 입력탭으로 절환한다.
탭절환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전원(Ri,Si,Ti)의 각 상을 R1,S1,T1탭과 R2,S2,T2탭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연결할 수 있다.
탭절환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전원(Ri,Si,Ti)의 각 상을 R1,S1,T1탭에 각각 연결하는 제1 스위치(131)와, 입력전원(Ri,Si,Ti)의 각 상을 R2,S2,T2탭에 각각 연결하는 제2 스위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스위치(131,132)는 각각 마그네틱 스위치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의 코일마다 3개씩의 입력탭이 연결되면, 탭절환부(130)에는 입력탭의 개수와 동일하게 제1 내지 제3 스위치(131,132,1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입력변동감시부(142), 급속보충전제어부(144), 탭절환제어부(1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납축전지(30)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센서, 전해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전해액의 액위를 검출하는 액위센서 등으로부터 납축전지의 전압, 전해액 온도, 액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충전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일체화된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입력변동감시부(142)는 전압검출부(150)를 통해 검출된 입력전원(Ri,Si,Ti)의 전압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여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되는 누설변압기(110)의 입력탭을 적절히 절환한다. 이를 통해 충전기(10)의 출력을 안정화시켜 부족충전이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입력탭 R1,S1,T1 은 입력전압 390V에 대응하는 탭이고, 입력탭 R2,S2,T2는 입력전압 370V 에 대응하는 탭이라고 가정하면, 입력변동감시부(142)는 입력전압이 예를 들어360V 내지 379V 사이에서 검출되면 탭절환제어부(146)를 통해 370V 에 대응하는 R2,S2,T2 탭에 입력전원(Ri,Si,Ti)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변동감시부(142)는 입력전압이 예를 들어 380V 내지400V 사이에서 검출되면 탭절환제어부(146)를 통해390V에 대응하는 R1,S1,T1 탭에 입력전원(Ri,Si,Ti)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변동감시부(142)에서는 상용전압의 실제 변동폭을 고려하여 입력전압을 더 많은 구간으로 세분할 수도 있다. 입력전압 구간이 세분화되면 누설변압기(110)의 1차측의 각 상의 코일에 연결되는 입력탭도 그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전압을 예를 들어 350-369V, 370-389V, 390-410V 등의 3 구간으로 구분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설변압기(110)의 1차측의 R,S,T상의 코일에는 각각 3개씩의 입력탭 (R1,R2,R3), (S1,S2,S3), (T1,T2,T3) 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탭 R1,S1,T1 은 입력전압 400V에 대응하는 탭이고, 입력탭 R2,S2,T2는 입력전압 380V 에 대응하는 탭이고, 입력탭 R3,S3,T3는 입력전압 360V 에 대응하는 탭일 수 있다.
입력변동감시부(142)는 입력전압이 예를 들어350V 내지 369V 사이에서 검출되면 360V 에 대응하는 R3,S3,T3 탭에 입력전원(Ri,Si,Ti)을 연결하고, 370V 내지389V 사이에서 검출되면 380V에 대응하는 R2,S2,T2 탭에 입력전원(Ri,Si,Ti)을 연결하고, 390V 내지410V 사이에서 검출되면 400V에 대응하는 R1,S1,T1 탭에 입력전원(Ri,Si,Ti)을 연결할 수 있다.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급속보충전입력부(160)를 통해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탭절환제어부(146)를 통해 탭절환을 수행하는 한편 급속 보충전 과정 전반을 제어한다.
급속 보충전은 보통 충전에 비하여 단시간에 충전율을 크게 높일 수 있으므로 휴식시간, 점심시간 등의 짧은 시간 동안에 수행하더라도 작업중단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충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예, 전동지게차)의 가동율을 증대시켜 작업효율과 생산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만 급속 보충전을 수행하면 누설변압기(12)와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4)의 다이오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부품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급속 보충전은 납축전지의 발열 등을 감안하여 한 번에 20-30 분 정도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속 보충전은 납축전지의 발열 등을 감안하여 충전율 80% 이하에서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급속 보충전 방법은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탭절환제어부(146)는 입력변동감시부(142)에서 판단한 입력전압의 구간에 대응하여 탭절환부(130)를 제어하여 입력전원(Ri,Si,Ti)이 연결되는 입력탭을 절환한다.
탭절환제어부(146)는 입력전압이 상승한 경우에는 권선비(N1/N2)가 증가하는 입력탭으로 절환하고, 입력전압이 하강한 경우에는 권선비(N1/N2)가 감소하는 입력탭으로 절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전원(Ri,Si,Ti)이 R2,S2,T2 탭에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전압이 다음 구간으로 상승하면 입력전원(Ri,Si,Ti)이 R1,S1,T1탭에 연결되도록 탭절환부(130)의 각 스위치(131,13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탭절환제어부(146)는 급속보충전입력부(160)를 통해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된 입력탭을 더 낮은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입력탭으로 절환할 수 있다. 즉,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권선비(N1/N2)가 더 작은 입력탭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렇게 절환하면 납축전지(30)로 유입되는 충전전류가 약 10-15% 정도 증가하므로 전류증가로 인해 충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전원(Ri,Si,Ti)이 예를 들어 입력전압 390V에 대응하는 R1,S1,T1 탭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예를 들어 입력전압 370V에 대응하는 R2,S2,T2 탭에 입력전원(Ri,Si,Ti)이 연결되도록 절환한다.
도 4와 같이 3개의 입력탭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입력전압380V에 대응하는R2,S2,T2 탭에 연결된 상태에서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전원(Ri,Si,Ti)을 예를 들어 입력전압 360V에 대응하는 R3,S3,T3 탭에 연결할 수 있다.
다만,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더 낮은 전압에 대응하는 입력탭이 없는 경우에는 보통충전을 수행하거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속 보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급속보충전입력부(160)를 통해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먼저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설정값(예, 80%)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예를 들어 80% 이상인 상태에서 급속 보충전을 수행하면 고온 발열로 인해 전해액 증발, 부품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납축전지의 충전율은 전압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납축전지의 전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T11, ST12)
위 단계에서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설정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탭절환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속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된 입력탭을 더 낮은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입력탭으로 절환하여 급속 보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가장 낮은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입력탭이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탭 절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ST13)
위 단계에서 탭절환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탭절환제어부(146)를 통해 입력전원(Ri,Si,Ti)에 연결된 입력탭을 다른 입력탭으로 절환하고 급속 보충전을 개시한다. (ST14)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급속 보충전이 개시되면 설정시간의 경과여부를 감시한다. 급속 보충전을 장시간 수행하면 발열 등으로 인해 충전기(100)의 부품 손상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ST15)
한편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설정시간(예, 20-30분)이 경과하지 않았더라도 납축전지의 충전율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설정값(예, 만충전 전압의 8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굳이 급속 보충전을 계속 수행할 필요가 없고, 급속 보충전을 수행하면 발열에 따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ST16)
위 ST15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하였거나, ST16단계에서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설정값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ST14단계에서 절환된 입력탭을 원래의 입력탭으로 다시 절환하여 급속 보충전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탭절환부(130)를 제어하여 입력전원(Ri,Si,Ti)의 입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ST17)
한편 급속보충전제어부(144)는 위ST12단계에서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설정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ST13단계에서 탭절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급속 보충전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이 단계는 아직 급속 보충전이 개시되기 전이므로 급속 보충전 대신 보통 충전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고, 탭절환부(130)를 제어하여 입력전원(Ri,Si,Ti)의 입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ST18)
위 ST12 및 ST13 단계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 ST15 및 ST16 단계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에 나타낸 충전기(100b)와 같이 제어부(140)는 온도보상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보상제어부(148)는 디지털온도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로부터 대기온도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초로 충전시간을 조절하거나 입력탭을 절환할 수 있다.
실제로 동절기의 경우에는 하절기에 비하여 부족충전 현상이 자주 나타나므로 대기온도가 설정값(예, 섭씨 5도) 이하이면 적절한 보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통충전을 진행할 때 대기온도가 설정값(예, 섭씨 5도) 이하이면, 설정된 총 충전시간(예, 12시간)을 1-2 시간 연장하거나, 탭절환을 한 후 설정시간 동안만 급속 보충전을 잠시 수행하고 다시 원래의 보통 충전 상태로 탭절환을 할 수 있다.
또한 급속 보충전을 진행할 때 대기온도가 설정값(예, 섭씨 5도) 이하이면, 설정된 충전시간(예, 20-30분)을 수 분 정도 연장하거나, 더 많은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입력탭으로 탭절환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입력탭의 개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30: 납축전지 100: 충전기 110: 누설변압기
120: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 130: 탭절환부 131: 제1 스위치
132: 제2 스위치 133: 제3 스위치 140: 제어부
142: 입력변동감시부 144: 급속보충전제어부 146: 탭절환제어부
148: 온도보상제어부 150: 전압검출부 160: 급속보충전입력부
170: 디스플레이 180: 발광부 190: 충전이력저장부

Claims (5)

1차측으로 입력된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된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
상기 누설변압기의 1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입력전원과의 선택적 연결을 위해 각각 다른 권선비(N1/N2)를 제공하는 다수의 입력탭;
상기 다수의 입력탭 중에서 선택된 입력탭을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하는 탭절환부;
상기 입력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상기 탭절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입력탭 중에서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대응하는 입력택을 선택하여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하는 입력변동감시부;
입력부를 통해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제1 설정값 이하이고 입력탭을 절환하면 충전전류가 증가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탭절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입력탭을 제2 입력탭으로 절환하여 급속 보충전을 수행하고, 입력탭 절환 이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납축전지의 충전율이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입력탭을 상기 제1 입력탭으로 다시 절환하는 급속 보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충전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보충전 제어부는 급속 보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전원에 연결된 입력탭을 권선비(N1/N2)가 더 작은 입력탭으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용 충전기
제1항에 있어서,
대기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급속 보충전 시간을 연장하는 온도보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용 충전기
삭제
삭제
KR1020170167919A 2017-12-08 2017-12-08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KR10210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19A KR102105822B1 (ko) 2017-12-08 2017-12-08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19A KR102105822B1 (ko) 2017-12-08 2017-12-08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985A KR20190067985A (ko) 2019-06-18
KR102105822B1 true KR102105822B1 (ko) 2020-04-29

Family

ID=6710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919A KR102105822B1 (ko) 2017-12-08 2017-12-08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374A (ja) * 1999-03-30 2000-10-13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バッテリー充電装置およびその充電制御方法
JP2011140389A (ja) 2010-01-08 2011-07-21 Komatsu Utility Co Ltd 産業車両のバッテリ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11B1 (ko) * 2004-06-19 2007-03-29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누설변압기를 이용한 준정전압방식 충전기
KR100905525B1 (ko) * 2007-08-03 2009-07-01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상용전압 변동 대비 자동 탭 절환 캠 콘택터와 이를포함하는 충전기
KR101387239B1 (ko) * 2012-04-24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KR101367161B1 (ko) 2012-11-27 2014-02-27 주식회사 엘란기어스 정전류-정전압 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급속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374A (ja) * 1999-03-30 2000-10-13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バッテリー充電装置およびその充電制御方法
JP2011140389A (ja) 2010-01-08 2011-07-21 Komatsu Utility Co Ltd 産業車両のバッテリ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985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251B2 (en) Switching circuit, control apparatus, and power generation system
JP5567684B2 (ja) バッテリバランシング回路並びに第1の端子及び第2の端子を有するバッテリの複数のセルに蓄積されたエネルギーのバランシングを行う方法
JP5194004B2 (ja) 電荷均等化装置および方法
RU24484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рядки батарей
CN102624043B (zh) 电感电荷平衡
WO2012049915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
KR102004332B1 (ko) 액티브 밸런싱과 패시브 밸런싱을 동시수행하는 셀 밸런싱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06296013A (ja) ニッケル水素/ニッケルカドミウム電池の直列式自動変速充電器
JP2007181263A (ja) 充電装置
JP2007006650A (ja) 充電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動工具セット
JP2014030299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蓄電池、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2090516A (ja) 切替回路、制御装置および発電システム
KR102105822B1 (ko) 급속 보충전이 가능한 납축전지용 충전기
JP2006166641A (ja) 充電装置
US10916946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7230353B2 (en) Charging circuit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6493172B2 (ja) 電池の接続方法
JP6214577B2 (ja) バランス機能を持つフロート充電用の電源システム
KR100701611B1 (ko) 누설변압기를 이용한 준정전압방식 충전기
JP20141358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802088B1 (ko) 누설 변압기와 scr을 이용하여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JP2002010513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と充電器
US20080278878A1 (en) Electronic Switch for Voltage Stabilization and Power Consumption Minimization
JP2635346B2 (ja) 充電制御装置
JP2008136355A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