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77B1 - 잉곳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잉곳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77B1
KR102105177B1 KR1020180088494A KR20180088494A KR102105177B1 KR 102105177 B1 KR102105177 B1 KR 102105177B1 KR 1020180088494 A KR1020180088494 A KR 1020180088494A KR 20180088494 A KR20180088494 A KR 20180088494A KR 102105177 B1 KR102105177 B1 KR 10210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ingot
mold
casting
discharg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69A (ko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세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주기업 filed Critical (주)세주기업
Priority to KR1020180088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복수의 주형 및 이 주형들이 설치되는 주물용컨베이어와, 주물용컨베이어로부터 잉곳을 제공받아 배출하는 배출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을 배출측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더 제공함으로써 잉곳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잉곳 제조장치{ingot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잉곳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잉곳의 제조와 포장 배출이 가능하며, 주조몰드로부터 잉곳의 원활한 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잉곳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곳(ingot)은 금속 또는, 합금을 한번에 녹인 다음 주형에 흘러넣어 일정한 형태로 굳힌 제품을 의미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잉곳을 이용하여 압연이나 단조 등의 가공처리를 하거나 혹은, 용해시킨 후 주조 제품을 성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여 다양한 음료나 음식 보관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캔 용기의 제조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여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알루미늄의 재사용은 알루미늄 폐자재를 용해로에서 용융시킨 다음 주괴 형태의 알루미늄 잉곳으로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성형된 알루미늄 잉곳으로 다양한 알루미늄 제품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알루미늄 잉곳으로의 성형은 컨베이어형 주형을 통해 연속적으로 성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814786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주물용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해 일정 위치를 순환하는 다수의 주형에 순차적으로 용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용탕이 배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주괴형의 잉곳으로 성형되도록 한 후 별도로 제공되는 배출측컨베이어를 통해 순차 적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간의 교차 부위가 상하로 배치되면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주괴형 잉곳이 낙하하면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에 얹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주괴형 잉곳의 낙하에 따른 충격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청각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손상 발생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은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에 냉각 고화된 잉곳이 배출측컨베이어로 배출될 때 상기 주형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써 주형에 용탕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주형으로부터 잉곳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할 뿐 아니라 이렇게 분리 배출되는 잉곳을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물이 필요시되었던 불편함이 있다.
즉, 전술된 종래 기술은 주물용컨베이어에 의한 냉각 고화된 잉곳의 이송 도중 타격을 제공하여 일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격기가 제공되고는 있지만 해당 작업시 잉곳이 주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다면 사실상 배출컨베이어로 낙하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주형에 고착된 상태로 배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된 종래 기술에서는 주형을 분할 형성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형의 분할 구조는 서로의 형합을 위한 또 다른 구조가 있어야 될 뿐 아니라 해당 주형의 분할과 형합이 정확한 시점에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14786호 등록특허 제10-0619133호 등록특허 제10-156466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인 잉곳의 제조와 포장 배출이 가능하며, 주조몰드로부터 잉곳의 원활한 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잉곳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에 따르면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주형; 상기 각 주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 부위는 점차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주물용컨베이어;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적재위치로 이송하는 배출측컨베이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일부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체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잉곳을 받아 배출측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에는 상기 각 잉곳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 중 경사지게 설치된 부위의 양측에는 각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하는 제1타격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에는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는 제2타격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출측컨베이어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됨으로 인해 잉곳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충격 소음에 의한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충격 하중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이루는 안내체인에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각 잉곳의 공급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주물용컨베이어의 경사 부위에 제1타격기를 설치하여 해당 부위를 지나는 잉곳의 양측을 시간 차이를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잉곳의 어느 한 측편을 타격하는 제2타격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잉곳이 주형으로부터 더욱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의 각 컨베이어 간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배출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보조이송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제2타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제2타격기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적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적재장치의 정역 회전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크게 복수의 주형(100) 및 이 주형(100)들이 설치되는 주물용컨베이어(200)와, 주물용컨베이어(200)로부터 잉곳(10)을 제공받아 배출하는 배출측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10)을 배출측컨베이어(300)에 전달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를 더 제공함으로써 잉곳(10)의 배출시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하고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복수의 주형(100)은 용해로(500)에서 생성된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10)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형(100)은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이 주형(100)이 상하가 뒤집힌 상태를 이룰 경우 그 내부에 고화된 잉곳(10)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잉곳이 성형되는 공간)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주형이 뒤집힌 상태의 경우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상기 각 주형(100)을 이송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 공급측에 위치되는 두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잉곳 배출측에 위치되는 두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과, 두 제1체인(230) 및 제1구동모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두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은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단일 구동축(211)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용탕 공급측(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도면상 오른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두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은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단일 구동축(221)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잉곳 배출측(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도면상 왼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체인(230)은 상기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주형(100)의 양단은 상기 두 제1체인(230)에 각각 고정되며, 각 주형(100) 간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240)는 상기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에 동력전달용체인(또는, 벨트)(241)으로써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1구동모터(240)의 구동에 의한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의 회전에 의해 두 제1체인(230)이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 및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을 반복적으로 경유하도록 회전되면서 각 주형(100)들을 각각 연속적이면서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형(100)은 용탕 공급측으로부터 잉곳 배출측으로 이송될 때에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위치된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으로부터 용탕 공급측으로 이송될 때에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위치된 뒤집힌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탕 공급측으로부터 용탕을 공급받은 후 상기 잉곳 배출측으로 점차 이동되면서 상기 용탕을 냉각 고화시키게 되고, 이렇게 고화된 상태의 잉곳(10)은 상기 주형(100)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뒤집히는 위치에 이르게 될 경우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된다.
한편, 상기한 주물용컨베이어(200)는 수평 이동구간(201) 및 경사 이동구간(2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 이동구간(201)은 용탕 공급측 부위로부터 해당 용탕이 냉각되어 고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이동구간(202)은 후술될 배출측컨베이어(300)와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한 구간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구간(201)의 끝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특히,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수평 이동구간(201)에는 냉각기(250)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냉각기(250)를 통한 냉각수의 제공에 의해 상기 주형(100) 내의 용탕은 빠르게 냉각되면서 고화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장치(600)가 위치된 곳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컨베이어이다.
이와 같은 배출측컨베이어(300)는 그의 잉곳 유입측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 위치(적재장치가 위치된 곳)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는 전방측 제2스프라켓(310)과 후방측 제2스프라켓(320), 제2체인(330) 및 제2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끝단에 경사가이드(3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경사가이드(350)는 후술될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가이드(35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200)로부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 잉곳(10)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소음과 충격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경사가이드(350)는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비록 짧은 거리라 하더라도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과의 충격이 일부나마 흡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10)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이송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주물용컨베이어(200)를 따라 이송되는 각 주형(100)이 뒤집혀 해당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그 저부에 위치된 배출측컨베이어(300)로 낙하될 경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와 배출측컨베이어(300) 간의 이격 거리에 따른 높이 차이로 인해 큰 충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격에 따른 충격 소음과 충격 하중을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제공을 통해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와 배출측컨베이어(300) 사이에 위치되며, 특히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내스프라켓(410) 및 안내체인(420)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안내체인(420)의 일부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10)을 받아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즉,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한 주형(100)의 뒤집힘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 주형(100) 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10)을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가 받는 구조가 아니라 주형(100) 내로부터 잉곳(10)이 분리됨과 동시에 이 잉곳(10)을 상기 안내체인(420)이 받쳐주면서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안내스프라켓(410) 중 적어도 어느 한 안내스프라켓(410)은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어느 한 안내스프라켓(410)은 텐션조작바(430)의 동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안내체인(420)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안내체인(420)에는 상기 각 잉곳(10)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421)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각 위치제한돌기(421)의 추가 제공에 의해 각 잉곳(10)이 배출측컨베이어(300)에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잉곳(10)이 이송중 서로 부딪힘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일정 수량씩 순차 배출되지 못하는 배출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잉곳(10)을 배출하는 끝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소음 및 충격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 중 주물용컨베이어(200)에는 복수의 타격기(260,27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각 타격기(260,270)를 이용하여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이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타격기(260,270)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 중 경사 이동구간(20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두 개의 제1타격기(260)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인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에 구비되는 제2타격기(27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제1타격기(260)의 경우 각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첨부된 도 4 참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타격기(270)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 중에서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100) 내에 고화된 잉곳(10)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두 제1타격기(260)의 구조는 주형(100)에 고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잉곳(10)을 시간 차이를 두면서 서로 다른 위치가 연속적으로 타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잉곳(10)과 주형(100) 간의 분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잉곳(10)의 어느 한 부분만 타격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부위라 할지라도 동시에 타격하게 될 경우 이 타격 부위로부터 먼 측의 부위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잉곳(10)의 양측을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잉곳(10)의 전 부위에 대한 정확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2타격기(270)는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해당 주형(100) 내의 잉곳(10)을 재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제1타격기(260)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이 미처 분리되지 않은 경우라도 정확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타격기(27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71)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에 연동되어 동작되면서 주기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제2타격기(270)는 상기 후방측 제1스프라켓(220)의 외면에 설치되는 별도의 회전기어(212)가 이루는 기어잇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271)과, 이 걸림턱(271)의 가압 및 가압 해제 동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잉곳(10)을 타격하는 타격로드(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에 의한 잉곳 제조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용해로(500)에서 폐알루미늄을 용융시킴으로써 만들어진 용탕은 용탕 주입로(510)를 통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용탕 공급측으로 제공되며, 계속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각 주형(100) 내로 상기 용탕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주형(100) 내로 공급된 용탕은 해당 주형(100)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동작에 의해 잉곳 배출측으로 이송되는 도중 냉각기(250)를 거치면서 빠르게 냉각되어 고화된다.
이후, 상기 주형(100) 내의 고화된 잉곳(10)은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경사 이동구간(202)을 지나는 과정에서 두 제1타격기(260)에 의해 양측 부위가 순차적으로 타격되며, 이로써 상기 주형(100)으로부터의 일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잉곳(10)이 내장된 주형(100)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를 이루는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을 지나는 도중 제2타격기(270)에 의한 재차적인 타격이 이루어지면서 주형(100)으로부터 미처 분리되지 못한 잉곳(10)이라도 정확히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주형(100)은 상기 전방측 제1스프라켓(210)을 지나면서 점차 뒤집힘에 따라 상기 주형(100) 내의 잉곳(1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탈되려 하지만,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안내체인(420)이 해당 주형(1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잉곳(10)의 분리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주형(100)이 완전히 뒤집힌 이후 상기 안내체인(420)이 상기 주형(100)으로부터 이격될 때부터 상기 잉곳(10)을 받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잉곳(10)은 상기 안내체인(420)에 구비되는 위치제한돌기(421)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히 배출측컨베이어(300)로 낙하된다.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350)가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400)로부터 낙하되는 잉곳(10)은 상기 경사가이드(350)에 낙하된 후 그 안내를 받아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상면으로 이동된 잉곳(10)은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동작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적재장치(600)로 배출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각 주형(100)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출측컨베이어(300)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배출측컨베이어(300)의 잉곳 공급측에는 경사가이드(350)가 더 구비됨으로 인해 잉곳(10)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충격 소음에 의한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충격 하중에 의한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보조이송컨베이어(400)를 이루는 안내체인(420)에 복수의 위치제한돌기(421)가 추가로 설치됨에 따라 각 잉곳(10)의 공급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제조장치는 주물용컨베이어(200)의 경사 부위에 제1타격기(260)를 설치하여 해당 부위를 지나는 잉곳(10)의 양측을 시간 차이를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타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주형(100)이 뒤집히기 직전에 잉곳(10)의 어느 한 측편을 타격하는 제2타격기(27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잉곳(10)이 주형(100)으로부터 더욱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 끝단을 수평하게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보조이송컨베이어(400)는 최대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200)의 잉곳 배출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보조이송컨베이어(400)에 잉곳(10)이 얹히는 과정에서의 충격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배출측컨베이어(300)로부터 배출되는 잉곳(10)을 제공받아 적재하는 적재장치(600)가 픽업이송부(610)에 의해 공급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픽업이송부(610)는 번갈아가면서 90°씩 정역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층별 잉곳(10)의 적재 방향이 90°씩 교차되도록 하며, 이러한 90°씩의 정역 회전은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실린더(620)를 이용하여 픽업이송부(610)의 상면에 설치된 회전링크(6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정역실린더(620)의 동작에 의한 빠른 방향 전환 및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잉곳 제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 잉곳 100. 주형
200. 주물용컨베이어 201. 수평 이동구간
202. 경사 이동구간 210. 전방측 제1스프라켓
220. 후방측 제1스프라켓 211,221. 구동축
212. 회전기어 230. 제1체인
240. 제1구동모터 241. 동력전달용체인
250. 냉각기 260. 제1타격기
270. 제2타격기 271. 걸림턱
272. 타격로드 300. 배출측컨베이어
310. 전방측 제2스프라켓 320. 후방측 제2스프라켓
330. 제2체인 340. 제2구동모터
350. 경사가이드 400. 보조이송컨베이어
410. 안내스프라켓 420. 안내체인
421. 위치제한돌기 430. 텐션조작바
500. 용해로 510. 용탕주입로
600. 적재장치 610. 픽업이송부
620. 정역실린더 630. 회전링크

Claims (5)

  1. 용탕을 공급받아 특정 형상의 잉곳을 주조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주형; 상기 각 주형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잉곳 배출측 부위는 점차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주물용컨베이어; 끝단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 직하방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적재위치로 이송하는 배출측컨베이어;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와 배출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각 주형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되는 잉곳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는, 복수의 안내스프라켓 및 이 안내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안내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체인의 일부는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을 지나는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받아서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전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각 부위 중 주물용컨베이어의 주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잉곳을 제공받아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측컨베이어를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복수의 안내스프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한 안내스프라켓은 텐션조작바의 동작에 의해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체인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잉곳을 받아 배출측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경사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보조이송컨베이어의 안내체인에는 상기 각 잉곳이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복수의 위치제한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주물용컨베이어 중 경사지게 설치된 부위의 양측에는 각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양측을 서로 시간차이를 가지면서 타격하는 제1타격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주물용컨베이어의 잉곳 배출측에는 주형이 뒤집히기 직전에 상기 주형 내에 고화된 잉곳의 어느 한 측을 재차적으로 타격하는 제2타격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88494A 2018-07-30 2018-07-30 잉곳 제조장치 KR10210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ko) 2018-07-30 2018-07-30 잉곳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ko) 2018-07-30 2018-07-30 잉곳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69A KR20200013369A (ko) 2020-02-07
KR102105177B1 true KR102105177B1 (ko) 2020-04-28

Family

ID=6957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94A KR102105177B1 (ko) 2018-07-30 2018-07-30 잉곳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4132A (zh) * 2022-06-10 2022-10-18 立中四通轻合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华孚锭自动整理系统
KR102638643B1 (ko) * 2023-06-26 2024-02-21 오리진 주식회사 본품 인고트의 적재 및 배출 시스템
CN116900285B (zh) * 2023-09-08 2023-12-15 亿川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一种适应长时高温工况的移动式铸锭辅助脱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277Y1 (ko)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실보스틸 연속 주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738U (ja) * 1991-10-29 1993-05-28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イ インゴツトの製造ライン
KR100491984B1 (ko) * 2002-06-21 2005-05-30 백성기 마늘 선별장치
KR100619133B1 (ko) 2004-08-11 2006-09-19 주식회사 에이엘에프 비철금속 연속주조장치
KR101564661B1 (ko) 2013-01-11 2015-10-30 지케이 주식회사 알루미늄 합금 잉곳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14786B1 (ko) 2017-07-03 2018-01-03 조용철 알루미늄 인고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277Y1 (ko)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실보스틸 연속 주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69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177B1 (ko) 잉곳 제조장치
US2954862A (en) Article loading machine
US9790036B2 (en) Product stand-up device
JP2006335460A (ja)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EP3192754A1 (en) Metal plate conveyor for hot slag
CN217798910U (zh) 一种振动落砂机
JP2003018953A (ja) 鮮魚搬送計量装置
US2530419A (en) Can unscrambler
KR200237277Y1 (ko) 연속 주조기
CN211866582U (zh) 一种铸浇流水线上的金属锭敲击式松脱装置
US1972488A (en) Can arranging machine
US8783442B2 (en) Melting furnace system
US1905477A (en) Brick edging machine
CN204018698U (zh) 一种锡棒自动卸料装置
JP3853281B2 (ja) 粒状スラグの製造装置
CN218706204U (zh) 收料传输机构
KR102462165B1 (ko) 로터리 파우치 포장기용 컵피딩 머신
JPS62156064A (ja) ダイカスト用トリミング装置における製品搬出装置
CN220466640U (zh) 红生铁块运输下线装置
ES2930408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moldes de un transportador de cadena de moldes
CN213293819U (zh) 一种纯净水瓶提升机
JP2676316B2 (ja) 氷の垂直搬送装置
JP3130713B2 (ja) 鍛造設備の払出し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ベヤ
JPH0753451Y2 (ja) 芋類の供給装置
JP2010155660A (ja) 作物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