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37B1 -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37B1
KR102103937B1 KR1020180126089A KR20180126089A KR102103937B1 KR 102103937 B1 KR102103937 B1 KR 102103937B1 KR 1020180126089 A KR1020180126089 A KR 1020180126089A KR 20180126089 A KR20180126089 A KR 20180126089A KR 102103937 B1 KR102103937 B1 KR 10210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zone
preheating
mode
gas flow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2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는 가열대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가 흘러 들어가는 최종 냉각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대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 및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를 냉각대와 상기 최종 냉각대를 예열하는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구동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HEATING COOLING SECTION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실시예는 연속소둔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소둔로 가열대의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순환시켜 연속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모터, 발전기,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기기에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산 고급전기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급전기강판을 제조할 때에는 내부가 고온(약 950℃ 이상)으로 유지되는 연속소둔로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압력조절기와 온도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대(2)의 온도제어는 가열대 온도조절기(20)에서 온도계(21)로 측정한 가열대(2)의 온도값과 가열대 설정 온도값의 차에 따라 버너(22)를 운전하여 가열대(2)의 온도를 제어한다. 냉각대(3,5)의 온도제어는 각 냉각대 온도조절기(30,50)에서 온도계(31,51)로 측정한 냉각대 온도값과 냉각대 설정 온도값의 차에 따라 전기히터(32,52)를 운전하여 각각의 냉각대(3,5) 온도를 제어한다. 재가열대(4)의 온도제어는 재가열대 온도조절기(40)에서 온도계(41)로 측정한 재가열대(4) 온도값과 재가열대 설정 온도값의 차에 따라 버너(42)를 운전하여 재가열대(4)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연속소둔로의 압력제어는 소둔로 압력조절기(10)에서 압력 발신기(11)로 측정한 압력값과 연속소둔로 설정 압력값의 차에 따라 출력을 발생하게 되고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에서 연속 소둔로에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분위기 가스 유량조절기(60)의 공급유량 설정값과 연속소둔로의 분위기 가스를 배출하는 각 방산밸브(13, 14, 15, 16, 17, 18)의 개도를 설정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배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속소둔로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가 되어 압력 조절기(10)의 출력이 증가하게 되면 분위기가스 유량조절기(60)의 설정값을 늘리고 방산밸브(13, 14, 15, 16, 17, 18)를 닫게 되며 연속 소둔로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압력조절기(10)의 출력이 감소하게 되면 분위기가스 유량조절기(60)의 설정값을 줄이고 방산밸브(13, 14, 15, 16, 17, 18)를 열어 연속소둔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소둔로 내부 분위기 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속소둔로 내부 분위기가스의 흐름(100)을 보면 연속소둔로의 압력제어 과정에서 가열대의 고온의 분위기가스가 가열대 방산밸브(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는 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속소둔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연속소둔로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기위한 분위기 조성 과정에서 일정량 이상의 분위기가스를 공급하게 되고 연속소둔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열대에서 가열된 고온의 분위기가스 대부분이 가열대 방산밸브(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많다.
또한 연속소둔로 냉각대의 경우 냉각대 예열을 위해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하는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설비 구축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530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18337호
실시예는, 연속 소둔로 가열대의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순환시켜 연속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는, 가열대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가 흘러 들어가는 최종 냉각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대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 및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를 냉각대와 상기 최종 냉각대를 예열하는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연결 구동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위기 가스의 공급에 따라 내부의 압력 제어를 위한 압력 조절기; 및 상기 압력 조절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스트립을 소둔처리하는 운영 모드에서 구동되는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는 상기 압력 조절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가열대의 하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냉각대와 재가열대의 하부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 및 상기 최종 냉각대의 하부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는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예열모드 방산밸브는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의 두 접점이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1 모드선택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상기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2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 및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이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3 모드선택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4 모드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3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는 상기 냉각대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값 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4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가 연결되고,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는 상기 최종 냉각대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값 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대의 상부로 공급된 분위기 가스는 상기 가열대, 냉각대, 재가열대를 거쳐 상기 최종 냉각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대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가열대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를 구비하고, 예열 모드로 구동될 때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예열모드 방산밸브를 구동시켜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가 냉각대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각대 예열에 사용되는 별도의 예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가열대에서 버려지는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연속소둔로 밖으로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냉각대를 예열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대에서 가열된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냉각대로 순환시켜 냉각대를 예열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예열 장치 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위기 가스의 폐열 회수를 통한 에너지 및 탄소 배출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압력조절기와 온도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배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소둔로 내부 분위기 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압력조절기와 온도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배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각대의 온도 출력에 따른 유량 설정값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연속소둔로 내부 분위기 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가열대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가열대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를 구비하고, 예열 모드로 구동될 때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예열모드 방산밸브를 구동시켜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가 냉각대로 순환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압력조절기와 온도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소둔로는 가열대(2), 냉각대(3), 재가열대(4), 최종 냉각대(5), 소둔로 압력조절기(10),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 예열모드 방산밸브(19), 가열대 온도조절기(20), 냉각대 온도조절기(30), 재가열대 온도조절기(40),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50),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60),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70-1), 제3 모드선택 스위치(70-2),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80-1), 제4 모드선택 스위치(8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소둔로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트립의 내부 응력이나 결정 조직을 조정하기 위해 일정 온도와 분위기에서 스트립을 열처리한 후 서냉시킨다. 연속소둔로는 2개의 모드 즉, 운영 모드와 예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운영 모드에서는 연속소둔로의 예열이 완료되고 스트립을 소둔처리하는 정상 조업을 수행하는데, 이때, 가열대는 스트립을 소둔온도까지 가열하고 냉각대는 스트립을 재결정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역할을 하고, 예열 모드에서는 연속소둔로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로 냉각대의 예열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연속소둔로를 예열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 예열모드 방산밸브(19),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를 구성한다.
가열대(2)의 분위기 가스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냉각대(3, 5)로 보내기 위해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는 가열대(2)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예열모드 방산밸브(19)는 최종 냉각대(5)의 끝단에 설치되어, 가열대(2)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를 통해 공급된 상온의 분위기가스는 가열대 내 버너(22)의 열원으로 가열되고 충분히 가열된 분위기 가스는 냉각대(3, 5)로 흘러 들어가고, 최종 냉각대(5)로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19)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 가스는 가열대(2)에서 냉각대(3, 5)로 흐르게 된다.
이때, 가열대(2)의 상부로 공급된 연속소둔로 내의 분위기 가스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는 분위기 가스의 공급량과 배출량의 비율을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는 소둔로 압력조절기(10)의 출력에 따라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을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에 설정하고 연속소둔로의 상부에 설치된 방산밸브(13, 14, 15, 16, 17, 18, 19)의 개도를 설정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배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의 출력배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압력조절기(10)의 출력이 상승하면, 방상밸브는 예열대 방산밸브(13), 가열대 방산밸브(14), 재가열대 방산밸브(17)이 먼저 닫히고, 압력조절기(10)의 출력이 계속 상승하면 1차 냉각대 방산밸브(15), 2차 냉각대 방산밸브(16), 최종 냉각대 방산밸브(18), 예열모드 방산밸브(19)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
이때,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의 설정값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압력조절기(10)의 출력이 감소하면 위의 내용과 역순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소둔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가열대(2)에서 가열된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냉각대(3,5)로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는 입력단이 소둔로 압력조절기(10)의 출력단에 연결되되, 운영 모드에서 구동되는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와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는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일단의 두 접점이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와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와 예열모드 방산밸브(19)에 연결된다.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는 예열 모드에서 접점 a로 스위칭되어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1)에 연결되고, 운영 모드에서 접점 b로 스위칭되어 압력제어 출력배분기(1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는 입력단이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에 연결되고,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에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60)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는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일단이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에 연결되고, 타단의 2 접점이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와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60) 각각에 연결된다.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는 예열 모드에서 접점 a로 스위칭되어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에 연결되고, 운영 모드에서 접점 b로 스위칭되어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순환된 고온의 분위기 가스로 냉각대가 예열 목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냉각대(3, 5)의 온도에 따라 상온의 분위기 가스를 각각의 냉각대(3, 5)에 공급하여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희석시켜 냉각대(3, 5)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한다.
이를 위해,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70-1)과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80-1)을 구성한다.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70-1)는 냉각대 온도조절기(30)에서 온도계(31)로 측정한 온도값과 냉각대(3)의 설정 온도값 간의 차이에 따른 출력값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출력값을 기초로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의 유량값 즉,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는 입력단이 제3 모드선택 스위치(70-2)에 연결된다. 제3 모드선택 스위치(70-2)는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일단이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의 2 접점이 냉각대 온도조절기출력 변환기(70-1)와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 각각에 연결된다.
제3 모드선택 스위치(70-2)는 예열 모드에서 접점 a로 스위칭되어 냉각대 온도조절기출력 변환기(70-1)에 연결되고, 운영 모드에서 접점 b로 스위칭되어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에 연결될 수 있다.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80-1)는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50)에서 온도계(51)로 측정한 온도값과 최종냉각대(5)의 설정 온도값 간의 차이에 따른 출력값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출력값을 기초로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의 유량값 즉,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는 입력단이 제4 모드선택 스위치(80-2)에 연결된다. 제4 모드선택 스위치(80-2)는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일단이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의 2 접점이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출력 변환기(80-1)와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 각각에 연결된다.
제4 모드선택 스위치(80-2)는 예열 모드에서 접점 a로 스위칭되어 냉각대 온도조절기출력 변환기(80-1)에 연결되고, 운영 모드에서 접점 b로 스위칭되어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각대의 온도 출력에 따른 유량 설정값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값보다 낮아 냉각대 온도조절기(30)와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50)의 출력값이 상승하면,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70-1)와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80-1)을 통해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와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의 설정된 유량값을 줄인다.
반대로,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값보다 높아 냉각대 온도조절기(30)와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50)의 출력값이 하강하면,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70-1)와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80-1)을 통해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70)와 최종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80)의 설정된 유량값을 늘린다.
이렇게 냉각대(3, 5)를 통해 공급되는 상온의 분위기 가스량의 증감으로 나타나는 연속소둔로 압력 변화는 연속소둔로 압력 조절기(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연속소둔로 내부 분위기 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예열 모드에서, 제1 모드선택 스위치(12-2), 제2 모드선택 스위치(60-2), 제3 모드선택 스위치(70-2), 제4 모드선택 스위치(80-2)가 접점 a로 스위칭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60-1)는 가열대(2)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고, 가열대(2)에서 가열된 고온의 분위기 가스가 냉각대(3), 재가열대(4)를 거쳐 최종 냉각대(5)로 흘러 들어가고 예열모드 방산밸브(19)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냉각대(3)의 온도에 따라 냉각대(3)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대 온도조절기(70)의 유량값을 설정하고, 최종냉각대(5)의 온도에 따라 최종 냉각대(5)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80)의 유량값을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가열대
3: 냉각대
4: 재가열대
5: 최종 냉각대
10: 소둔로 압력조절기
12: 압력제어 출력배분기
12-1: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
12-2: 제1 모드선택 스위치
19: 예열모드 방산밸브
20: 가열대 온도조절기
30: 냉각대 온도조절기
40: 재가열대 온도조절기
50: 최종냉각대 온도조절기
60: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
60-1: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60-2: 제2 모드선택 스위치
70: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
70-1: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
70-2: 제3 모드선택 스위치
80: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
80-1: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
80-2: 제4 모드선택 스위치

Claims (11)

  1. 가열대의 상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가열대에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가 흘러 들어가는 최종 냉각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대로부터 흘러 들어온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 및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예열모드 방산밸브,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를 냉각대와 상기 최종 냉각대를 예열하는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연결 구동시키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위기 가스의 공급에 따라 내부의 압력 제어를 위한 압력 조절기; 및
    상기 압력 조절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스트립을 소둔처리하는 운영 모드에서 구동되는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는 상기 압력 조절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병렬로 연결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대의 하부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
    상기 냉각대와 재가열대의 하부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 및
    상기 최종 냉각대의 하부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는,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와 병렬로 연결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모드 방산밸브는,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의 두 접점이 상기 예열모드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와 상기 압력제어 출력배분기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1 모드선택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예열모드 가스유량 조절기와 상기 가열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2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 및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일단이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3 모드선택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에 연결되고, 타단의 두 접점이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제1 모드선택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제4 모드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3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는 상기 냉각대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값 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4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와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가 연결되고,
    상기 최종 냉각대 온도조절기 출력변환기는 상기 최종 냉각대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값 간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최종 냉각대 가스유량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의 유량값을 설정하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대의 상부로 공급된 분위기 가스는 상기 가열대, 냉각대, 재가열대를 거쳐 상기 최종 냉각대로 흘러 들어가는, 연속 소둔로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KR1020180126089A 2018-10-22 2018-10-22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KR10210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89A KR102103937B1 (ko) 2018-10-22 2018-10-22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89A KR102103937B1 (ko) 2018-10-22 2018-10-22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937B1 true KR102103937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089A KR102103937B1 (ko) 2018-10-22 2018-10-22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6333A (ja) * 1987-10-08 1989-04-14 Nkk Corp ガス循環装置を備えた連続焼鈍炉
KR20050017553A (ko) * 2003-08-14 2005-02-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가열대 롤러의 냉각장치
KR100775306B1 (ko) 2001-12-19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분위기 온도 및 개별부위 냉각이 가능한 강판 연속소둔로냉각장치
KR20150039029A (ko)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로압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6333A (ja) * 1987-10-08 1989-04-14 Nkk Corp ガス循環装置を備えた連続焼鈍炉
KR100775306B1 (ko) 2001-12-19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분위기 온도 및 개별부위 냉각이 가능한 강판 연속소둔로냉각장치
KR20050017553A (ko) * 2003-08-14 2005-02-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가열대 롤러의 냉각장치
KR100518337B1 (ko) 2003-08-14 2005-10-04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가열대 롤러의 냉각장치
KR20150039029A (ko)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로압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3102B2 (ja) 工業炉及びその熱利用方法
CN104769137A (zh) 批式退火热处理设备和使用该设备制造钢板的方法
KR102103937B1 (ko) 연속소둔로의 냉각대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
CN112097537A (zh) 一种基于斜坡信号的烘炉温度自动控制方法
JPS61276938A (ja) 流動層中での鋼材の熱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5226157A (ja) 連続焼鈍炉の炉温制御方法および炉温制御装置
US2849221A (en) Heat treating furnace
KR101828700B1 (ko) 소둔로 장치
CN100397021C (zh) 改善炉子温度分布的方法
JP7102387B2 (ja) 炉の上流で流体を予熱することを含むバッチ炉の運転方法
JP2013518986A (ja) 鋼線を熱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220088377A (ko) 복사관의 배가스 재순환 장치
US3816901A (en) Hod of converting a fuel burning batch annealing furnace to a gas plasma heat source type
US4174097A (en) Furnace for bright annealing of copper
CN104498071B (zh) 油页岩干馏炼油中蓄热间歇加热炉的加热方法
CN113528780A (zh) 一种用于控制热处理炉冷却速度的方法
JP2021113620A (ja) 風呂装置
KR101239587B1 (ko) 금속 스트립 연속 열처리 설비
CN114847765B (zh) 一种烹饪设备的温度控制方法、装置及烹饪设备
KR101187534B1 (ko) 성장로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379985A (ja) 電気炉の温度制御方法
KR20010011972A (ko) 로 압력 유지용 질화수소 가스 공급장치 및 방법
JP4110584B2 (ja) 金属帯の連続熱処理装置
JPS5855534A (ja) 冷延コイル焼鈍方法および装置
JP3208836B2 (ja) 熱処理炉の始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