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683B1 -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683B1
KR102103683B1 KR1020197024555A KR20197024555A KR102103683B1 KR 102103683 B1 KR102103683 B1 KR 102103683B1 KR 1020197024555 A KR1020197024555 A KR 1020197024555A KR 20197024555 A KR20197024555 A KR 20197024555A KR 102103683 B1 KR102103683 B1 KR 10210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issue
sheet
wef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스케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세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렌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5/0033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면서, 차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초 시트를 제공한다.
제 1 경사(11)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10)과, 제 2 경사(21)을 포함하는 이측 조직(20)과,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을 연결하여 이중직을 형성하는 위사(31)을 구비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방초 시트(1)로서, 제 1 경사(11)은,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이며, 위사(31)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이며,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1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제 1 경사(經絲)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surface side structure)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back side structure)과,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을 연결하여 이중직(二重織)을 형성하는 위사(緯絲)를 구비한 능직 조직(twill weave structure) 또는 주자직 조직(stain weave structure)을 가지는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초 시트는, 토양으로의 빛을 가려서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방초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건물이나 가로수 주위의 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혹은, 과수원이나 채소원 등의 재배 지면에 직접 부설하여 과수나 채소의 생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 방초 시트로서, 비닐 시트나 고무를 입힌 직물 시트 등을 토양 위에 부설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었으나, 비닐 시트나 고무를 입힌 직물 시트에는 투수성이 없고, 빗물 등의 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수목 사이에 부설된 경우에 토양이 건조하여 수목이 말라 죽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방초 시트로서, 투수성의 관점에서 부직포, 직물 등의 원단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조직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방초 시트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의 방초 시트는, 직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투수성을 가지며, 토양의 건조를 억제하면서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층과 이층을 결합시킨 접결부, 및 표층과 이층을 결합시키지 않는 비접결부를 가지는 방초 시트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특허문헌 2의 방초 시트는, 접결부를 점재(點在)시킴으로써, 충분한 차광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후성 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특개 제2004-7314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6/039266호 팜플렛
특허문헌 1의 방초 시트는, 99%의 차광률을 달성하고 있으나(실시예 2를 참조), 시트 아래의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완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차광성의 향상이 더 요구된다.
특허문헌 2의 방초 시트는, 표층과 이층을 가짐으로써 높은 차광성을 실현하고 있으나, 두 층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비접결부가 많아지면, 표층과 이층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므로, 접결부에서 원단이 찢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면서, 차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초 시트의 특징 구성은,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과, 상기 표측 조직과 상기 이측 조직을 연결하여 이중직을 형성하는 위사,
를 구비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방초 시트로서,
상기 제 1 경사는, 흑원착사(spun-dyed black yarn)를 포함하는 연사(twist yarn)이며,
상기 위사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이며,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상기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twill line)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과,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을 연결하여 이중직을 형성하는 위사를 구비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짐으로써,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영역이 없고,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조직, 및 실을 사용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여러 가지 방초 시트를 제작해 본 결과, 경사의 꼬임 방향과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제직시에 경사에 꼬임이 되풀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얻어진 방초 시트에서는, 꼬임이 약간 되풀려짐으로써 경사의 외견상의 굵기가 커지고, 서로 인접하는 경사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 현상을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차광성이 뛰어난 방초 시트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제 1 경사가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이며, 위사가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이며,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방초 시트의 차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측 조직에서, 상기 위사가 표출되는 교착점(交錯點)을 이은 선과 경사 방향이 이루는 사문선 각을 α로 하여, 상기 표측 조직에서의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 각을 β로 하였을 때, 하기 식 (1)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α-β)/α| × 100 ≤ 70 … (1)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 1 경사의 꼬임이 되풀렸을 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의 간극이 확실히 메워지고,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는, 연사 계수가 0.3~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제 1 경사의 연사 계수가 0.3~4인 것에 의하여, 제직시에 꼬임이 적당히 되풀려지기 때문에,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비수축성의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위사가 비수축성의 실인 것에 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이 억제되기 때문에, 양호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커버펙터가 4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커버펙터가 4000 이상인 것에 의하여, 방초 시트가 고밀도 직물이 되어,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단사 사이로 빛이 투과하는 것을 막고,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제 1 경사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굵기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위사가 제 1 경사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굵기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에서 제 1 경사의 위로 뜬 부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의 간극이 메워짐으로써, 차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상기 제 2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올레핀사, 및 폴리아미드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상기 사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강도, 및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측 조직은, 주자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에 따르면, 표측 조직이 주자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에서 제 1 경사의 위로 뜬 부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의 간극이 메워짐으로써, 차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의 특징 구성은,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을 위사로 연결하여 이중직으로 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경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를 사용하며,
상기 위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상기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위사를 상기 표측 조직과 상기 이측 조직 사이에 걸쳐서 짜넣는 것에 있다.
본 구성의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을 위사로 연결하여 이중직으로 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영역이 없고,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의 방초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 1 경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를 사용하고, 위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을 사용하고,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위사를 표측 조직과 이측 조직 사이에 걸쳐서 짜넣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차광성을 향상시킨 방초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초 시트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초 시트의 조직도의 일례이다.
도 3은, 능직 조직으로 제직한 표측 조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초 시트에 있어서 표측 조직을 촬영한 현미경 화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방초 시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초 시트(1)의 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방초 시트(1)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표측 조직(10)의 일부 평면도이며, 도 1의 (c)는, 제 1 경사(11)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방초 시트(1)는, 제 1 경사(11)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10)과, 제 2 경사(21)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20)과,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을 연결하여 경이중직(經二重織)을 형성하는 위사(31)를 구비한다. 경이중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영역이 없고,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면서, 뛰어난 차광성,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방초 시트(1)의 부피 밀도는, 0.30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35g/cm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띠(cogongrass)나 쇠뜨기(Equisetum arvense)는, 옆으로 뻗은 땅속줄기에서 씨눈이 나오기 때문에, 부설 범위가 차광되어 있어도 방초 시트(1)의 밑에서 관통력이 높은 싹이 날 수 있다. 띠나 쇠뜨기의 싹은 딱딱하고 예리하지만, 부피 밀도가 0.30g/cm3 이상이면, 방초 시트(1)가 조밀해지고, 띠나 쇠뜨기의 씨눈이 관통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표측 조직>
도 2는, 방초 시트(1)의 조직도의 일례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여, 도 2에 따르면, 표측 조직(10)을 구성하는 제 1 경사(11)를 홀수 열에서 검게 표시하고, 이측 조직(20)을 구성하는 제 2 경사(21)를 짝수 열에서 검게 표시하고, 위사(31)를 각 열에서 흰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2의 조직도의 홀수 열에서 나타내듯이, 표측 조직(10)은, 제 1 경사(11)와 위사(31)를 사용하여 제직된다. 표측 조직(10)의 직물 조직은, 고밀도 직물을 얻을 수 있는 정칙(正則) 능직 조직 및 그의 변형 조직(이하, 간단히 "능직 조직"이라 칭한다.), 또는 정칙 주자직 조직 및 그의 변형 조직(이하, 간단히 "주자직 조직"이라 칭한다.)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에 의한 차광성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주자직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7매 이상의 주자직 조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표측 조직(10)이 7매 주자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측 조직(10)에서 경사 밀도는, 100~200개/2.5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 밀도는, 50~150개/2.5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밀도, 및 위사 밀도가 이 범위이면, 표측 조직(10)이 조밀해지고, 제 1 경사(11) 및 위사(31) 사이로 빛이 투과하는 것을 대략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경사 밀도가 100개/2.54cm 미만인 경우, 또는 위사 밀도가 50개/2.54cm 미만인 경우, 사 사이의 빛의 투과를 대략 완전히는 억제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 밀도가 200개/2.54cm를 넘는 경우, 또는 위사 밀도가 150개/2.54cm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제 1 경사(11)는, 단사에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이다.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차광성이 향상하여, 시트 아래의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흑원착사는, 염색, 인쇄 등에 의한 색조의 부여와 비교하여 내구성, 내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옥외에 부설되는 방초 시트(1)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1 경사(11)의 섬유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드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강도, 및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제 1 경사(11)의 총섬도(總纖度)는, 77~33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경사(11)의 단사 섬도는, 1.0~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섬도, 및 단사 섬도가 이 범위이면,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이 양호해지고, 시공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11)의 총섬도가 77dtex 미만인 경우, 또는 제 1 경사(11)의 단사 섬도가 1.0dtex 미만인 경우, 방초 시트(1)의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경사(11)의 총섬도가 330dtex를 넘는 경우, 또는 제 1 경사(11)의 단사 섬도가 5.0dtex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도 3은, 능직 조직으로 제직한 표측 조직(10)의 평면도이다.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은, 표측 조직(1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문선 방향"이란, 주자직 조직에서는, 도 1의 (b)에 나타내듯이, 표측 조직(10)을 평면에서 봤을 때, 표측 조직(10)에 위사(31)이 표출되는 교착부(이하, 간단히 "교착부"라 칭한다)의 중심(31a)을, 제직되는 위사(31)의 순서대로 이은 방향이며, 능직 조직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교착부의 중심(31a) 사이를 이은 사문선의 방향이다. "꼬임 방향"이란, 도 1의 (c)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봤을 때, 꼬임이 가해지는 제 1 경사(11)를 구성하는 단사의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꼬임 방향과 사문선 방향이 일치한다 라는 것은, 표측 조직(10)에서 경사 방향에 대하여, 꼬임 방향 및 사문선 방향이 모두 같은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문선 방향이 우상향일 때에 제 1 경사(11)이 제트(Z) 꼬임인 경우, 및 사문선 방향이 좌상향일 때에 제 1 경사(11)가 에스(S) 꼬임인 경우에, 꼬임 방향과 사문선 방향은 일치한다.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1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면, 제직시에 제 1 경사(11)에 꼬임이 되풀려지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얻어지는 방초 시트(1)에서는, 제 1 경사(11)의 꼬임이 약간 되풀려짐으로써 외견상의 굵기가 커지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방초 시트(1)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고, 차광성이 향상된다. 또한, 표측 조직(10)의 직물 조직이 주자직 조직, 특히, 7매 이상의 주자직 조직이면, 표측 조직(10)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에서 서로의 위로 뜬 부분이 접하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간극이 메워짐으로써, 차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경사(11)의 꼬임 수는, 300~500T/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사(11)의 연사 계수는, 0.3~4인 것이 바람직하고, 0.9~2.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사 계수가 0.3~4인 것에 의하여, 제직시에 제 1 경사(11)의 꼬임이 적절하게 되풀려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이 보다 메워지기 쉬워지고,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연사 계수가 0.3 미만이면, 제 1 경사(11)의 꼬임이 되풀려도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메울 수 없고, 연사 계수가 4를 넘으면, 제직시에 제 1 경사(11)의 꼬임이 굳어져 되풀려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차광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방초 시트(1)에 있어서, 차광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측 조직(10)에서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과, 제 1 경사(11)와 위사(31)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문선의 방향이 일치하는 것에 더하여, 양 방향의 편차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식 (1)에 나타내는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상위율(相違率)(%)을, 꼬임 방향과 사문선 방향의 편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한다:
상위율(%) = |(α-β)/α| × 100 … (1)
사문선 각 α는, 도 1의 (b)에 나타내듯이, 표측 조직(10)에서 경사 방향과 사문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로서 표시한다. 꼬임각 β는, 도 1의 (c)에 나타내듯이, 표측 조직(10)에서 경사 방향과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이 이루는 각도로서 표시한다. 사문선 각 α는, 표측 조직(10)에서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사문선 방향이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한다. 꼬임각 β도 마찬가지로, 표측 조직(10)에서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사문선 방향이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한다. 방초 시트(1)는, 이하의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 (3)을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α-β)/α| × 100 ≤ 70 … (2)
|(α-β)/α| × 100 ≤ 60 … (3)
상기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직시에 제 1 경사(11)의 꼬임이 되풀렸을 때, 표측 조직(10)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이 확실히 메워지고, 방초 시트(1)의 차광성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식 (2)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 제직시에 제 1 경사(11)의 꼬임이 되풀렸을 때 차광성 향상이 한정적인 것이 될 우려가 있다.
위사(31)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로 구성되어 있다. 위사(31)가 제 1 경사(11)와 마찬가지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10)의 색조가 전반적으로 동일하게 검어지기 때문에, 방초 시트(1)의 차광성이 향상되고, 시트 아래의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위사(31)의 종류는, 방적사, 가공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수축성의 실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열 고정사(heat setting yar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수축성"이란, 수축률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위사(31)가 비수축성인 것에 의하여, 방초 시트(1)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사(31)로 열 고정사을 사용하는 경우, 120~130℃로 열 고정(heat set)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으로 열 고정을 실시함으로써, 적절한 비수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위사(31)의 섬유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뛰어난 강도, 및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위사(31)의 총섬도는, 77~33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 1 경사(11)의 총섬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총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31)의 총섬도가 제 1 경사(11)의 총섬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총섬도이면, 표측 조직(10)에서의 제 1 경사(11)의 위로 뜬 부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에 의한 차광성의 향상이 보다 효과적인 것이 된다. 위사(31)에 멀티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 위사(31)의 단사 섬도는, 1.0~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31)의 총섬도, 및 단사 섬도가 상기 범위이면,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이 양호한 것이 되고, 시공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사(31)의 총섬도가 77dtex 미만인 경우, 또는 위사(31)의 단사 섬도가 1.0dtex 미만인 경우, 방초 시트(1)의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위사(31)의 총섬도가 330dtex를 넘는 경우, 또는 위사(31)의 단사 섬도가 5.0dtex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가 유연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이측 조직>
도 1의 (a)를 참조하여, 도 2의 조직도에 있어서 짝수 열에 나타내는 이측 조직(20)은, 제 2 경사(21)와 위사(31)를 사용하여 제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측 조직(20)의 직물 조직은,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측 조직(20)에서의 경사 밀도는, 100~200개/2.5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 밀도는, 50~150개/2.5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밀도, 및 위사 밀도가 이 범위이면, 이측 조직(20)이 조밀해지고, 제 2 경사(21) 및 위사(31) 사이로 빛이 투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경사 밀도가 100개/2.54cm 미만인 경우, 또는 위사 밀도가 50개/2.54cm 미만인 경우, 사 사이의 빛의 투과를 억제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 밀도가 200개/2.54cm를 넘는 경우, 또는 위사 밀도가 150개/2.54cm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가 유연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제 2 경사(21)의 종류는, 방적사, 가공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흑원착사, 풀 덜 사(full dull yarn), 세미 덜 사(semi dull yarn) 등의 투광성을 억제한 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경사(21)의 섬유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뛰어난 강도, 및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섬유 소재는, 제 1 경사(11), 제 2 경사(21), 및 위사(31)로 같은 종류의 섬유 소재를 사용하여도, 각각 다른 섬유 소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제 2 경사(21)의 총섬도는, 77~33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경사(21)에 멀티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경사(21)의 단사 섬도는, 1.0~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경사(21)의 총섬도, 및 단사 섬도가 이 범위이면, 방초 시트(1)의 생산성, 유연성이 양호한 것이 되며, 시공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경사(21)의 총섬도가 77dtex 미만인 경우, 또는 제 2 경사(21)의 단사 섬도가 1.0dtex 미만인 경우, 방초 시트(1)의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경사(21)의 총섬도가 330dtex를 넘는 경우, 또는 제 2 경사(21)의 단사 섬도가 5.0dtex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가 유연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방초 시트(1)는, 또한, 이측 조직(20)에 있어서도 표측 조직(10)과 마찬가지로, 제 2 경사(21)로서 단사에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를 사용하고, 제 2 경사(21)의 꼬임 방향과 이측 조직(2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경사(21)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방초 시트(1)의 차광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경사(21)의 꼬임 방향과 이측 조직(2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을 일치시키는 경우, 방초 시트(1)는, 이측 조직(20)에서 경사 방향과 사문선 방향이 이루는 사문선 각 α와, 제 2 경사(21)의 꼬임각 β가, 전술한 식 (2)를 충족할 수 있게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식 (3)을 충족할 수 있게 제직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술한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직시에 제 2 경사(21)의 꼬임이 되풀렸을 때, 이측 조직(20)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경사(21) 사이의 간극이 확실히 메워지고, 방초 시트(1)의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 2 경사(21)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에 의한 차광성의 향상을 더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제 2 경사(21)의 연사 계수가 제 1 경사(11)와 마찬가지로, 0.3~4인 것이 바람직하고, 0.9~2.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측 조직(20)의 직물 조직은, 주자직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7매 이상인 주자직 조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측 조직(20)에서, 제 2 경사(21)의 꼬임 방향과 이측 조직(2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위사(31)의 총섬도는, 제 2 경사(21)의 총섬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총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31)의 총섬도가 제 2 경사(21)의 총섬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총섬도이면, 이측 조직(20)에서 제 2 경사(21)의 위로 뜬 부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제 2 경사(21)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에 의한 차광성의 향상이 보다 효과적인 것이 된다.
제 1 경사(11), 제 2 경사(21), 및 위사(31)에는, 섬유에 내후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내후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내후제 이외에도 난연제, 제초제, 항곰팡이제, 방충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방초 시트(1)는,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고분자 수지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를 부여함으로써, 직물을 구성하는 사의 교착부가 어느 정도 고정되므로, 띠(cogongrass)나 쇠뜨기의 씨눈이 관통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띠나 쇠뜨기의 씨눈이 방초 시트(1)에 닿아도, 경사 및 위사가 움직이는 일이 없으며, 방초 시트(1)의 차광성을 유지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부여량은, 직물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가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의 부여량이 이 범위이면, 교착부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원사가 고분자 수지로 충분히 피복되어, 식물에 대한 방초 시트(1)의 내관통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분자 수지가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고분자 수지의 부여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 식물에 대한 내관통성이 충분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고분자 수지의 부여량이 20중량%를 넘는 경우,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이나, 투수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직물에 부여되는 고분자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나, 아크릴계 수지, 초산 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 내연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특히, JIS K 5600-5-4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연필 경도가 2H~6H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45~75℃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방초 시트(1)의 유연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직물을 구성하는 사를 고정할 수 있으며,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부여 방법으로는, 함침법, 스프레이법, 코팅법, 그라비아 전사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원사를 고분자 수지로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함침법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에는, 산화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내후제, 윤활제, 안료, 충진제, 그 외의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방초 시트의 특성>
[1] 차광률
방초 시트(1)는, JIS L 1055 A 법(커튼의 차광성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시험편을 장착하기 전의 조명도가 100000룩스가 되도록 광원을 조정하여 측정되는 차광률이, 99.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률이 99.99% 이상이면, 방초 시트(1)가 시공된 지면에서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대략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2] 커버펙터
제 1 경사(11), 및 제 2 경사(21)를 합한 경사 밀도를 A(개/2.54cm)로 하고, 위사 밀도를 B(개/2.54cm)로 하며, 제 1 경사(11), 및 제 2 경사(21)의 총섬도의 평균치를 D(dtex)로 하고, 위사(31)의 총섬도를 DB(dtex)로 하였을 때, 하기 식 (4)으로 산출되는 커버펙터(CF)가 4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CF = (A×D 1/2) + (B×D 1/2) … (4)
커버펙터(CF)가 4000 이상이면, 방초 시트(1)가 고밀도 직물이 되어,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단사 사이로 빛이 투과하는 것을 막고,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3] 투수 계수
방초 시트(1)는, JIS A 1218(토양의 투수 시험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투수 계수가 1.0×10-3c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수 계수가 1.0×10-3cm/sec 이상이면, 빗물 등의 물을 신속히 투과하여, 땅 속으로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방초 시트(1)가 시공된 토양의 건조를 막을 수 있다.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방초 시트(1)는, 제 1 경사(11)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10)과, 제 2 경사(21)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20)를 위사(31)로 연결하여 이중직으로 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갖도록,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조직도에 따라서, 위사(31)를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 사이에 걸쳐서 짜넣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 때, 제 1 경사(11)의 원사에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를 사용하되,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1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꼬임을 선택한다.
위사(31)의 원사에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을 사용하되, 제직 전에 120~130℃로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으로 열 고정을 실시함으로써, 적절한 비수축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제직된 방초 시트(1)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직된 본 발명의 방초 시트(1)는,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과,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을 연결하여 이중직을 형성하는 위사(31)를 구비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표측 조직(10)과 이측 조직(20)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찢어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인 제 1 경사(11)와,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인 위사(31)에 의하여 구성된 표측 조직(10)은, 색조가 전반적으로 동일하게 검어지기 때문에, 높은 차광성을 가지게 된다. 게다가, 제 1 경사(11)의 꼬임 방향과 표측 조직(10)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직되는 것에 의하여, 제 1 경사(11)에 꼬임이 되풀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제직된 방초 시트(1)에서는, 꼬임이 약간 되풀림으로써 제 1 경사(11)의 외견상의 굵기가 커지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고, 차광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방초 시트의 차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가지는 방초 시트를 제작하였다(실시예 1~3). 또한, 비교를 위하여, 본 발명과는 다른 방초 시트를 제작하였다(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제 1 경사로서, PET제의 흑원착사를 단사로 한 총섬도가 84dtex/36f인 멀티 필라멘트사(제트(Z) 꼬임, 연사 횟수:400T/m, 열 고정 조건:85℃×40분)을 사용하고, 제 2 경사로서, PET제의 세미 덜 사를 단사로 한 총섬도가 84dtex/36f인 멀티 필라멘트사(에스(S) 꼬임, 연사 횟수:400T/m, 열 고정 조건:85℃×40분)을 사용했다.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는, 모두 연사 계수가 1.2였다. 위사로서, PET제의 흑원착사를 단사로 한 총섬도가 167dtex/36f인 멀티 필라멘트사(열 고정 조건:130℃×40분)을 사용했다. 이들 제 1 경사, 제 2 경사, 및 위사를,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를 합한 경사 밀도 309개/2.54cm, 위사 밀도 100개/2.54cm가 되도록, 표측 조직의 사문선 방향이 우상향이 되는 경이중 7매 주자직 조직으로 제직하여, 실시예 1의 방초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의 방초 시트는, 사문선 각 α가 평균 41°이며, 꼬임각 β가 평균 17°이며,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는 17~32°이며, 전술한 식 (1)로 산출되는 상위율은 58.5(%)이며, 전술한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커버펙터(CF)는, 4124였다.
<실시예 2>
제 1 경사의 꼬임을 에스(S) 꼬임, 제 2 경사의 꼬임을 제트(Z) 꼬임으로 하여, 직물 조직을 표측 조직의 사문선 방향이 좌상향이 되는 경이중 7매 주자직 조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하여, 실시예 2의 방초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의 방초 시트는, 사문선 각 α가 평균 -41°이며, 꼬임각 β가 평균 -17°이며,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는 17~32°이며, 상위율은 58.5(%)이며, 전술한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커버펙터(CF)는, 4124였다.
<실시예 3>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를 합한 경사 밀도 283개/2.54cm, 위사 밀도 106개/2.54cm가 되도록 제직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하여, 실시예 3의 방초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의 방초 시트는, 사문선 각 α가 평균 36°이며, 꼬임각 β가 평균 17°이며,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는 11~28°이며, 상위율은 52.5(%)이며, 전술한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커버펙터(CF)는, 3964였다.
<비교예 1>
직물 조직을 표측 조직의 사문선 방향이 좌상향이 되는 경이중 7매 주자직 조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하여, 비교예 1의 방초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의 방초 시트는, 사문선 각 α가 평균 -38°이며, 꼬임각 β가 평균 13°이며,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는 46~54°이며, 상위율은 134.2(%)이며, 전술한 식 (2)를 충족하지 않았다. 커버펙터(CF)는, 4124였다.
<비교예 2>
제 1 경사의 꼬임을 에스(S) 꼬임, 제 2 경사의 꼬임을 제트(Z) 꼬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하여, 비교예 2의 방초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의 방초 시트는, 사문선 각 α가 평균 38°이며, 꼬임각 β가 평균 -13°이며,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는 46~54°이며, 상위율은 134.2(%)이며, 전술한 식 (2)를 충족하지 않았다. 커버펙터(CF)는, 4124였다.
[차광률의 측정]
실시예 1~3, 비교예 1 및 2의 방초 시트에 대하여, JIS L 1055 A 법(커튼의 차광성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시험편을 장착하기 전의 조명도가 100000 룩스가 되도록 광원을 조정하여 차광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비교예 1 및 2의 방초 시트의 구성, 및 차광성 시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9086079228-pct00001
실시예 1~3의 방초 시트는, 모두 차광률이 99.99%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방초 시트를 사용하여 지면을 피복하면,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대략 완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비교예 1의 방초 시트는, 차광률이 99.98%이며, 비교예 2의 방초 시트는, 차광률이 99.97%이었다.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의 방초 시트를 사용하여 지면을 피복하는 경우, 방초 효과가 확실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일부 식물이 무성하게 될 우려가 있다.
실시예 1의 방초 시트와 비교예 1의 방초 시트는, 사의 사용 방법이 동일하며, 직물 조직도 표측 조직의 사문선 방향이 좌우 반대인 것 이외에는 경사의 뜀수 등도 동일한 것으로 제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광률에 차이가 생긴다. 그 이유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의 표측 조직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촬영하고, 자세히 관찰하였다. 도 4의 (a)는, 실시예 1의 방초 시트에서 표측 조직을 촬영한 현미경 화상이며, 도 4의 (b)는, 비교예 1의 방초 시트에서 표측 조직을 촬영한 현미경 화상이다.
실시예 1의 방초 시트의 표측 조직을 촬영한 도 4의 (a)의 화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에서, 서로의 위로 뜬 부분이 대략 간극 없이 밀착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서, 비교예 1의 방초 시트의 표측 조직을 촬영한 화상에서는, 도 4의 (b)에서 흰색 테두리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 사이에서, 서로의 위로 뜬 부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위로 뜬 상태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경사(11) 사이의 간극의 유무가, 방초 시트의 차광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예>
상기 실시예는, 모두 위사의 열 고정을 130℃로 행한 것이었으나, 열 고정 온도의 저하에 따른 시간 경과 수축성의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참고예로서, 위사의 열 고정 조건을 85℃×40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한 방초 시트를 제작하였다. 참고예의 방초 시트는, 위사에 85℃로 열 고정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사문선 각 α, 꼬임각 β, 사문선 각 α와 꼬임각 β의 각도 차이, 상위율, 및 커버펙터(CF)는, 모두 실시예 1의 방초 시트와 동일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1의 방초 시트, 및 참고예의 방초 시트의 시간 경과 수축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의 방초 시트(열 고정:130℃)는, 참고예의 방초 시트(열 고정:85℃)와 비교하여, 위사 방향의 치수 변화율이 작은 것이었다. 또한, 열 고정 온도를 120℃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살펴본 결과, 참고예의 방초 시트(열 고정:85℃)와 비교하여, 위사 방향의 치수 변화율이 작은 것이었다. 따라서, 위사에 적어도 120℃로 열 고정을 실시하면, 방초 시트의 시간 경과 수축이 억제되고, 양호한 시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본 발명의 방초 시트는, 불필요한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며, 주택 등의 건축물이나 가로수 주위, 과수원이나 채소원 등의 농지, 공사현장, 태양광 발전소, 및 철도나 도로 등의 비탈면 등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1   방초 시트
10  표측 조직
11  제 1 경사
20  이측 조직
21  제 2 경사
31  위사
31a 교착부의 중심
α  사문선 각
β  꼬임각

Claims (9)

  1.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과, 상기 표측 조직과 상기 이측 조직을 연결하여 이중직을 형성하는 위사를 구비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방초 시트로서,
    상기 제 1 경사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이며,
    상기 위사는,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이며,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상기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초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측 조직에 있어서, 상기 위사가 표출되는 교착점을 이은 선과 경사 방향이 이루는 사문선 각을 α로 하고, 상기 표측 조직에서의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각을 β로 했을 때, 하기 식 (1)을 충족시키는 방초 시트:
    |(α-β)/α| × 100 ≤ 70 …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는, 연사 계수가 0.3~4인 방초 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비수축성의 실인 방초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펙터가 4000 이상인 방초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제 1 경사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굵기의 실로 구성되어 있는 방초 시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상기 제 2 경사, 및 상기 위사는 각각,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올레핀사, 및 폴리아미드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방초 시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측 조직은, 주자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방초 시트.
  9. 제 1 경사를 포함하는 표측 조직과, 제 2 경사를 포함하는 이측 조직을 위사로 연결하여 이중직으로 한 능직 조직 또는 주자직 조직을 가지는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경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연사를 사용하고,
    상기 위사로서, 흑원착사를 포함하는 실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경사의 꼬임 방향과, 상기 표측 조직에 나타나는 사문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위사를 상기 표측 조직과 상기 이측 조직 사이에 걸쳐서 짜넣는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97024555A 2019-05-21 2019-05-21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KR102103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20118 WO2020235001A1 (ja) 2019-05-21 2019-05-21 防草シート、及び防草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683B1 true KR102103683B1 (ko) 2020-04-22

Family

ID=6916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555A KR102103683B1 (ko) 2019-05-21 2019-05-21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34190B1 (ko)
KR (1) KR102103683B1 (ko)
CN (1) CN112261870B (ko)
WO (1) WO2020235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4847B2 (ja) 2020-01-31 2024-01-30 セーレン株式会社 防草シート、及び防草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46A (ja) 2002-08-22 2004-03-11 Seiren Co Ltd 防草シート
WO2016039266A1 (ja) 2014-09-12 2016-03-17 セーレン株式会社 防草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84A (ja) * 2000-10-23 2002-05-08 Unitica Fibers Ltd 生分解性防草シート
JP4789840B2 (ja) * 2007-03-27 2011-10-12 Kbセーレン株式会社 農業用防虫ネット
AU2012229597A1 (en) * 2011-03-16 2013-10-03 Nine Ip Limited Reflective ground cover material
CN202559011U (zh) * 2012-04-25 2012-11-28 江苏省纺织研究所有限公司 防辐射遮光面料
WO2014171188A1 (ja) * 2013-04-17 2014-10-23 日東紡績株式会社 膜天井用ガラスクロス及び膜天井
JP6501471B2 (ja) * 2014-09-12 2019-04-17 セーレン株式会社 高耐候防草シート
JP6497950B2 (ja) * 2015-02-02 2019-04-10 セーレン株式会社 土壌被覆シート
US10228515B2 (en) * 2016-05-27 2019-03-1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Woven fabric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46A (ja) 2002-08-22 2004-03-11 Seiren Co Ltd 防草シート
WO2016039266A1 (ja) 2014-09-12 2016-03-17 セーレン株式会社 防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235001A1 (ja) 2021-06-10
JP6634190B1 (ja) 2020-01-22
WO2020235001A1 (ja) 2020-11-26
CN112261870B (zh) 2021-10-22
CN112261870A (zh)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25456A (ja) 被覆用シート
KR102103683B1 (ko) 방초 시트, 및 방초 시트의 제조방법
JP2022553975A (ja) 遮光ネット
JP6683432B2 (ja) 防草シート
KR101778415B1 (ko) 농업용 피복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92100A (ko) 보온 및 차양겸용 차양시트구조
JP6501471B2 (ja) 高耐候防草シート
US20150033622A1 (en) Reflective ground cover material
WO2016039266A1 (ja) 防草シート
JP4457024B2 (ja) マルチ栽培用シート
JP3475610B2 (ja) 陸上ネット
CN210695671U (zh) 一种针刺复合型防草布
JP4090815B2 (ja) 防草シート
JP3826599B2 (ja) 防虫ネット
JP7424847B2 (ja) 防草シート、及び防草シートの製造方法
JP3147033U (ja) 果樹覆いシート
CN113302046B (zh) 遮光幕
KR20100007021U (ko)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JPH09157992A (ja) 農業用シ−ト
JP6472316B2 (ja) 土壌流出防止シート
JP6497950B2 (ja) 土壌被覆シート
JP3190036U (ja) 防草シート及び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設置面敷設シート
JP4015273B2 (ja) 被覆シート
JP2023030968A (ja) 防草シート
JP7049758B2 (ja) ネット状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