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379B1 -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379B1
KR102103379B1 KR1020170169472A KR20170169472A KR102103379B1 KR 102103379 B1 KR102103379 B1 KR 102103379B1 KR 1020170169472 A KR1020170169472 A KR 1020170169472A KR 20170169472 A KR20170169472 A KR 20170169472A KR 102103379 B1 KR102103379 B1 KR 10210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door
cove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089A (ko
Inventor
이영진
최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08Removabl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08Removable covers
    • F27D2001/1825Means for moving the cover
    • F27D2001/185Means for moving the cover comprising means for tilting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장치로서, 상기 용기와 이격되고,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용기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Door Apparatus,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Container}
본 발명은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용기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은 용선 예비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연속 주조 순으로 진행된다. 전로 정련에서는 순산소를 상취, 저취하여 불순물을 산화 정련하고, 2차 정련에서는 전로 정련시의 산소 취입에 따른 산소 및 산소 산화물을 제거하고 있다.
전로 정련 중에 저취 정련에서는 전로에 용선과 고철을 장입한 후 전로 바닥에 설치된 저취 노즐을 통해서만 가스를 공급하여 용선을 정련한다. 상취 정련에서는 저로의 상부로 가스를 공급하여 용선을 정련한다. 복합취련 정련에서는 용선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해서 가스를 공급하여 용선의 정련이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용선을 용강이라고 한다.
전로 내부에 용선과 고철이 부족하거나, 설비 이상, 및 전후 공정의 조업적인 요인으로 전로 정련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전로 내부의 열기가 노구를 통해 방출되어, 전로에 구비되는 내화물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면, 온도변화에 의한 스폴링 현상으로 내화물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전로 정련을 다시 수행하기 위해 전로 내부의 용선(또는, 용강)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열부가재인 페로실리콘(Fe-Si)이나 흑연을 투입해야 하므로 용강의 제조원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전로의 노구 부위에 슬래그와 용강이 냉각 응고 부착되어 출강 실수율이 저하되거나, 전로 정련시 투입한 부원료의 용해가 지연되어 품질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로 정련이 중지되는 경우, 천정크레인을 이용해 전로의 노구에 커버를 설치하고, 전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였다. 그러나 전로 근처에 커버를 보관할 공간이 없어, 전로에서 30~50m 떨어진 별도의 보관 장소에 커버를 보관하였다. 이에, 천정크레인이 다른 작업을 수행할 경우, 전로의 노구에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정크레인을 이용하더라도 커버를 이동시키고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커버가 설치되기 전까지 전로의 내화물이 냉각되는 문제가 있다. 커버를 전로에서 분리시키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로에서 커버를 분리시켜 다음 조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지연되어 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KR 1997-0033314 U KR 2002-0000338 A
본 발명은 용융금속이 처리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공간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장치로서, 상기 용기와 이격되고,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복수개의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는, 각 바디에 설치되어 각 바디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구동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면이 상기 구동기에 연결되는 지지판;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내화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내화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에 돌출부 및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일 몸체의 삽입부에 다른 몸체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상기 용기를 향하는 부분의 면적의 크기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 면적의 크기 이상이다.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도어의 경사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법으로서, 커버가 설치된 도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도어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과정; 및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커버를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각 바디에 설치되어 각 바디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된 커버를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몸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커버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의 기울어진 각도를 맞추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은 클린하우스의 내부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에, 용기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된다. 이에, 커버가 용기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로 용기의 개구부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용기의 내부공간 온도를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크레인이 없어도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용이하게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를 개폐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정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에 내화물이 구비되는 경우, 용기의 개구부로 열기가 방출되어 내화물이 급격하게 냉각되기 전에, 커버로 용기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이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설비의 수명이 향상되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가 용기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100)는, 용기(50)의 개구부(55)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장치(100)로서, 용기(50)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20), 및 도어(120)에 설치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50)는 전로일 수 있고, 용기(50)가 위치한 공간은 클린하우스의 내부공간일 수 있다.
용기(50)는 용융금속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바닥부와 측벽부가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와 측벽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철피와, 철피 내측에 축조되는 내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부에는 내부공간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배출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된다. 이에, 용기(50) 내에서 용융금속을 처리한 후, 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용기(50)를 경동시키면, 출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닥부에는 공정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저취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공정가스로 산소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50)의 바닥으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에 의해 용기(50) 내 용융금속을 정련할 수 있다.
또한, 용기(50)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개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부(55)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55)는 장입구일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55)를 통해 용기(50)의 내부로 용선이나 고철 등의 장입물이 장입될 수 있다. 용선은 용기(50)의 내부공간에서 정련되고, 불순물이 제거되어 용강이 될 수 있다.
용기(50)는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용기(50)는 경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따라서, 용기(50)의 개구부(55)와 출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55)가 상측을 향하도록 용기(50)가 경동되면, 용기(50) 내부로 장입물을 장입시켜 내부에서 용융금속을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용기가 경동되면, 용기(50) 내부의 용융금속이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개구부(55)가 전방을 향하고 출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용기(50)가 경동되면, 용기(50) 내부에서 용융금속 상부에 부유한 슬래그가 개구부(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클린하우스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5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며, 지면 및 별도의 지지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클린하우스는 용기(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용기(50) 주위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클린하우스는, 용기(50) 내에서 용융금속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열과 비산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클린하우스는 커버(130)가 위치된 방향이 개방될 수 있다. 즉, 클린하우스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도어(120)는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 설치되어 클린하우스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120)는 용기가 위치한 공간(또는, 클린하우스의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용기(50) 내부로 장입물을 장입할 때는, 도어(120)가 클린하우스의 측면을 개방하여,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운반장치(미도시)가 용기(50) 내부로 장입물을 원활하게 장입시킬 수 있다. 용기(50)로 용융금속을 처리할 때는, 도어(120)가 클린하우스의 측면을 막아 열이나 비산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확산되어 주변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120)는 용기(5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도어(120)와 용기(50) 사이에 커버(13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용기(50)의 폭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한 쌍의 바디가 상호 멀어지는 동작에 의해 클린하우스가 오픈되고, 한 쌍의 바디가 가까워지는 동작에 의해 클린하우스가 폐쇄될 수 있다.
도어(120)의 바디는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고, 커버(130)는 용기(5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도어(120)의 바디의 경사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는 제1 플레이트(121), 제2 플레이트(122), 제3 플레이트(123), 구조물(125), 구동휠(124), 및 잠금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2)는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12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122)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플레이트(122)에 의해 바디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2 플레이트(122)의 일단(또는, 하단)은 제1 플레이트(121)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또는, 상단)은 용기(5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2)는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3)는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3)는 하부가 제2 플레이트(12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플레이트(121)와 제3 플레이트(123)는 상하방향 외에 전후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3)는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1), 제2 플레이트(122), 및 제3 플레이트(123)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도어(120)를 형성할 수 있고,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121)와 용기(50) 사이의 이격거리가, 제3 플레이트(123)와 용기(5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1)와 용기(50) 사이에 더 넓은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130)는 제2 플레이트(122)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21)와 용기(50)의 이격공간에 위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
구조물(125)은 제1 플레이트(121), 제2 플레이트(122), 및 제3 플레이트(123)의 전로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125)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의 구조체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구조물(125)은 플레이트들에 무게를 부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 및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휠(124)은 제1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0) 전체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어(120)의 하측에는 레일(160)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160)은 용기(5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동휠(124)은 레일(160)을 상에서 레일(160)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잠금부재(미도시)는 구동휠(124)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잠금부재는 브레이크일 수 있다. 이에, 도어(120)가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측면을 차단한 상태에서 잠금부재를 작동시키면, 도어(120)가 클린하우스의 측면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에 의해 커버(130)에 구비되는 몸체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바디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바디는 경사면을 가지지 않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가 구비되는 개수 및 바디가 이동하는 구조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130)는 용기(50)의 개구부(5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20)에 설치된다. 커버(130)는 제2 플레이트(122)에 지지되어 용기(5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0)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85~89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커버의 경동 각도가 85~89도를 벗어나면, 커버(130)와 용기(50)의 개구부(55) 중심이 맞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커버(130)가 개구부(55) 전체를 커버하지 못해, 개구부(55)의 개방된 부분으로 열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30)와 개구부(55)의 중심을 맞추어 커버(130)가 개구부(55)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130)의 기울어진 각도는 85도 이상 89도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커버(130)가 기울어진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130)는 복수개의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20)의 바디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커버(130)는 도어(120)의 각 바디에 고정 설치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디가 구비되는 경우, 몸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바디가 상호 멀어지는 동작을 하면, 몸체들도 서로 멀어지면서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바디가 가까워지는 동작을 하면, 몸체들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커버(130)의 몸체들은 바디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바디들이 서로 멀어지면 몸체들도 서로 멀어지고, 바디들이 가까워지면 몸체들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커버(130)의 몸체들이 연결되어 용기(50)의 개구부(55)를 덮기 위해서는, 도어(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130)가 용기(50)의 개구부(55)를 덮기 때문에, 용기(5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용기(50)를 향하는 부분의 모양은 용기(50)의 개구부(55)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용기(50)를 향하는 부분의 면적의 크기는, 용기(50)의 개구부(55) 면적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용기(50)를 향하는 부분이, 용기(50)의 개구부(55)에 밀착되어 개구부(55)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몸체는, 구동기(131), 지지판(132), 및 내화부재(133)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는 복수개의 돌기(134)와 케이스(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도어(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몸체에 구비되는 구동기(131), 지지판(132), 내화부재(133), 돌기(134), 및 케이스(13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기(131)는 지지판(132) 및 내화부재(133)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동기(131)는 실린더일 수 있고, 지지판(132) 및 내화부재(133)를 용기(50) 측으로 밀어내거나 도어(120) 측으로 당길 수 있다. 즉, 구동기(131)의 로드 부분이 전후진하는 작동에 의해 지지판(132)과 내화부재(133)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131)는 일단(예를 들어, 본체 부분)이 도어(12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타단(예를 들어, 로드 부분)이 지지판(132)에 연결된다. 이에, 구동기(131)는 지지판(132)을 지지해주면서, 지지판(13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기(13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기(131)가 구비되는 개수가 증가할수록, 지지판(13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구동기(131)가 지지판(132)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구동기 2×2 배열로 배치되어 지지판(13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기(131)가 지지판(132)을 이동시키는 구조, 배치되는 방식,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케이스(135)는 구동기(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135)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박스일 수 있다. 케이스(135)는 도어(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기(131)의 본체 부분은 케이스(135)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구동기(131)의 로드 부분은 케이스(135)를 관통하여 지지판(13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50)에서 발생한 열이나 비산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지지판(132)은 용기(50)의 개구부(55) 형상에서 분할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50)의 개구부(55)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몸체가 구비되는 경우, 지지판(132)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도어(120)에 설치되는 일 몸체(130a)의 지지판(132)과 다른 몸체(130b)의 지지판(132)이 연결되는 경우, 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50)의 개구부(55) 형상과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2)의 도어(120)를 향하는 면은 구동기(131)와 연결되고, 용기(50)를 향하는 면에 내화부재(1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판(132)은 구동기(131)에 의해 용기(50)의 개구부(55)를 향하여 전후진하면서, 내화부재(133)를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지지판(1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돌기(13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지지판(132)의 용기(50)를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돌기(134)는 'I' 또는 'Y'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34)는 스터드핀일 수 있다. 이에, 내화부재(133)가 돌기(134)에 의해 지지판(132)에 고정된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부재(133)는 지지판(13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판(132)을 따라 안정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그러나 돌기(13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내화부재(133)는 용기(50)의 개구부(55)와 접촉할 수 있고, 전후로 이동하면서 용기(50) 개구부(55)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내화부재(133)는 지지판(132)의 용기(50)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내화부재(133)는 지지판(132)의 모양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32)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화부재(133)도 반원 모양으로 지지판(13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일 몸체(130a)의 내화부재(133)와 다른 몸체(130b)의 내화부재(133)가 연결되는 경우, 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50)의 개구부(55) 형상과 동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내화부재(133)는 용기(50)의 개구부(55)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부재(133)가 구동기(131)에 의해 용기(50)의 개구부(55) 측으로 전진하면, 내화부재(133)가 개구부(55)에 밀착되면서 개구부(55)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용기(50) 내부의 열이 개구부(5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내화부재(133)가 구동기(131)에 의해 도어(120) 측으로 후진하면, 내화부재(133)와 용기(50)의 개구부(55) 사이가 멀어져 이격될 수 있고, 용기(50)의 개구부(55)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결된 내화부재(133)들의 용기(50)를 향하는 부분의 면적의 크기는, 용기(50)의 개구부(55) 면적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용기(50)를 향하는 부분이, 용기(50)의 개구부(55)에 밀착되어 개구부(55)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내화부재(133)는 비정형 내화물인 캐스타블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내화부재(133)를 지지판(132)에 설치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내화부재(133)는 내화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50)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견딜 수 있고, 안정적으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덮을 수 있다. 그러나 내화부재(13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와 같이 커버(130)는 일단이 커버(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기(131)와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되어 형성되는 지지바(13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지지바(136)가 일부가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기(131)를 지지해줄 수도 있다. 이에, 도어(120)에 경사면이 구비되지 않아도 지지바(136)가 구동기(131)를 경사진 방향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용기(50)를 수직선에 대해 직각으로 경동시키지 않고, 조금만 경동시켜도 커버(130)와 용기(50)의 개구부(55)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13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커버(130)의 적어도 일부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커버(130)는, 일단이 커버(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기(1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1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지바(136)가 구동기(131)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지지판(132)과 내화부재(1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바(136)의 작동을 제어하여 내화부재(133)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용기(50)의 각도에 맞출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몸체의 지지판(132)과 내화부재(133)에 돌출부 및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어(120)에 설치되는 일 몸체(130a)의 삽입부(A)에, 다른 몸체(130b)의 돌출부(B)가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일 몸체(130a)의 다른 몸체(130b)와 마주보는 부분의 중심부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 형태의 삽입부(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몸체(130b)의 일 몸체(130a)와 마주보는 부분의 중심부에 일 몸체(130a)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일 몸체(130a)와 다른 몸체(130b)가 서로 가까워져 밀착되면, 일 몸체(130a)의 삽입부(A)에 다른 몸체(130b)의 돌출부(B)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일 몸체(130a)와 다른 몸체(130b)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용기(50)의 개구부(55)를 커버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일 몸체(130a)의 다른 몸체(130b)와 마주보는 부분의 상부에는 삽입부(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부(B)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몸체(130b)의 일 몸체(130a)와 마주보는 부분의 상부에는 돌출부(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일 몸체(130a)와 다른 몸체(130b)가 서로 가까워져 밀착되면, 일 몸체(130a)의 삽입부(A)에 다른 몸체(130b)의 돌출부(B)가 삽입될 수 있고, 다른 몸체(130b)의 삽입부(A)에 일 몸체(130a)의 돌출부(B)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일 몸체(130a)와 다른 몸체(130b)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용기(50)의 개구부(55)를 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A)와 돌출부(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50)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20)에,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130)가 설치된다. 이에, 커버(130)가 용기(5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130)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용기(50)의 내부공간 온도를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크레인이 없어도 커버(1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하여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용이하게 용기(50)의 개구부(55)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50)를 개폐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정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용기에 내화물이 구비되는 경우, 용기(50)의 개구부로 열기가 방출되어 내화물이 급격하게 냉각되기 전에, 커버(130)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이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설비의 수명이 향상되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가 용기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법으로서, 커버가 설치된 도어를 마련하는 과정(S110), 도어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과정(S120), 및 도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용기(50)는 전로일 수 있고, 용기(50)가 위치한 공간은 클린하우스의 내부공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30)가 설치된 도어(12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도어(12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커버(130)는 각 바디에 설치되어 각 바디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50) 내부에 원료가 부족하거나, 설비 이상, 및 전후 공정의 조업적인 요인으로 용융금속에 대한 정련 작업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용기(50) 내부의 열기가 개구부를 통해 방출되면, 용기(50)에 구비되는 내화물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의한 스폴링 현상으로 내화물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용기(5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우선, 용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이동시켜, 용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즉, 내부공간에 용기(50)를 수납하는 클린하우스의 개방된 일측을 도어(120)로 폐쇄할 수 있다.
도어(120)의 바디들이 서로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게 되면, 각 바디에 설치된 커버(130)의 몸체들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120)의 각 바디에 설치된 커버(130)의 몸체들이, 바디의 이동방향으로 바디와 함께 이동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커버(130)의 결합된 몸체들이 용기(50)를 마주보는 부분의 형상이, 용기(50)의 개구부(55)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어(120)의 이동방향(또는, 좌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커버를 이동시켜,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0)의 구동기(131)로 지지판(132)과 내화부재(133)를, 용기(50)의 개구부(55)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화부재(133)가 용기(50)의 개구부(55)에 밀착되면서, 용기(50)의 개구부(55)가 차단될 수 있다. 도어(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130)가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5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이중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용기(50)의 내부공간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130)를 이동시켜 개구부(55)에 밀착시키기 전에, 커버(130)와 용기(50)의 개구부(55)의 기울어진 각도를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용기(50)의 개구부가 커버(130)를 향하도록 용기(5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용기(50)는 커버(130)의 기울어진 각도에 맞춰 경동될 수 있다. 또는, 커버(130)가 용기(50)의 개구부(55)를 향하도록 커버(130)를 경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용기(50)의 개구부(55) 중심선과 커버(130)의 중심선이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용기(50)의 개구부(55)와 커버(13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용기(50)의 개구부(55)를 개방하는 방법은,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커버(130)를 도어(120) 측으로 후진시켜, 커버(130)와 용기(50)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용기(50)를 원위치로 경동시킬 수 있고, 작업에 따라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50)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20)에,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130)가 설치된다. 이에, 커버(130)가 용기(5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130)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용기(50)의 내부공간 온도를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종래예 실시예
커버 설치시간 20분 1분
커버 해체시간 20분 1분
커버 설치 전 용기의 내화물 온도 1176℃ 1142℃
커버 설치 후 용기의 내화물 온도 683℃ 802℃
커버 설치 전후의 내화물의 온도 하강량 493℃ 340℃
종래예는 천정크레인을 이용해 노구커버를 이동시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는 경우이고, 실시예는 도어(120)에 설치된 커버(130)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는 경우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예보다 실시예가 커버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시간이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천정크레인을 이용해 노구커버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보다, 도어(120)에 설치된 커버(130)로 신속하게 용기(5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어, 용기(50)의 개구부(55)를 개폐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노구커버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노구커버 설치 전후의 내화물 온도가 493℃나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에서는 커버(130)로 신속하게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하기 때문에, 커버 설치 전후의 내화물 온도가 340℃만 하락하였다. 즉, 실시예가 종래예보다 용기(50)의 내부공간에서 방출시키는 열의 양이 적기 때문에, 내화물의 온도변화 폭이 작아졌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기(50)의 개구부로 열기가 방출되어 내화물이 급격하게 냉각되기 전에, 커버(130)로 용기(50)의 개구부(55)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이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설비의 수명이 향상되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용기 55: 개구부
100: 도어장치 120: 도어
130: 커버 131: 구동기
132: 지지판 133: 내화부재
134: 돌기 135: 케이스

Claims (15)

  1.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장치로서,
    상기 용기와 이격되고,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각도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맞춰질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복수개의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도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각 바디에 설치되어 각 바디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구동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면이 상기 구동기에 연결되는 지지판;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내화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내화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도어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돌출부 및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일 몸체의 삽입부에 다른 몸체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도어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몸체들의 상기 용기를 향하는 부분의 면적의 크기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 면적의 크기 이상인 도어장치.
  8. 삭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도어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도어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도어장치.
  11.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법으로서,
    커버가 설치된 도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도어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과정;
    상기 커버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의 기울어진 각도를 맞추는 과정; 및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커버를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각 바디에 설치되어 각 바디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 설치된 커버를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몸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위치한 공간은 클린하우스의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KR1020170169472A 2017-12-11 2017-12-11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KR10210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72A KR102103379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72A KR102103379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089A KR20190069089A (ko) 2019-06-19
KR102103379B1 true KR102103379B1 (ko) 2020-04-22

Family

ID=6710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472A KR102103379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508B1 (ko) * 2020-05-11 2021-10-28 주식회사 포스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7Y1 (ko) * 2000-04-27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로 순환식 보열장치
CN202470765U (zh) 2012-03-04 2012-10-03 溧阳市科华机械制造有限公司 感应电炉炉盖的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957B1 (ko) 1995-12-23 1998-12-15 배순훈 Cnc선반의 가공드럼용 자동반출장치
KR200195821Y1 (ko) * 1996-12-24 2000-10-02 이구택 전로의 노전 도어장치
KR20020000338A (ko) 2000-06-23 2002-01-05 이구택 전로의 내화물 보열장치
KR100835105B1 (ko) * 2006-11-08 2008-06-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온도 보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7Y1 (ko) * 2000-04-27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로 순환식 보열장치
CN202470765U (zh) 2012-03-04 2012-10-03 溧阳市科华机械制造有限公司 感应电炉炉盖的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089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255B2 (en) Continuous charge preheating, melting, refining and casting
JP5227488B2 (ja) 容器の裏張りを張替える方法
KR20140085506A (ko) 제강 슬래그 환원 처리용 전기로의 슬래그 공급 용기
US6473446B2 (en) Electric furnace for steel making
KR101801504B1 (ko) 원료 운반 버킷, 예열 장치, 용해 설비 및 용해 설비의 조업 방법
EP2857529A1 (en) Method for charging raw material into bell-less blast furnace
KR102103379B1 (ko)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RU2360983C2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RU2495941C2 (ru) Электродуговая печь
KR101330579B1 (ko) 래들의 벽체 구조
LU100535B1 (en) Charging system, in particular for a shaft smelt reduction furnace
RU2133280C1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электрическую печь с шахтой
KR100880455B1 (ko) 용선차 혼선로용 탈착식 커버
JP7215224B2 (ja) アーク式電気炉における排滓方法及び溶融金属の製造方法
KR20130106858A (ko) 재료 재순환 능력을 갖는 용융금속을 생산하기 위한 전기로
US3723631A (en) Skull melting furnace with removable bottom and process for furnace operation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RU2527533C2 (ru) Подвижный плавильный под для металлоплавильной печи
CN205309288U (zh) 一种倾翻式兑铁运输车
CN111235335A (zh) 一种在线修补撇渣器的方法
JPH11257859A (ja) 冷鉄源の溶解方法及び溶解設備
US891256A (en) Smelting-furnace.
KR101207332B1 (ko) 플럭스 용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해 방법
KR20200020131A (ko)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JP7425949B2 (ja) 残湯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