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360B1 -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360B1
KR102102360B1 KR1020190064892A KR20190064892A KR102102360B1 KR 102102360 B1 KR102102360 B1 KR 102102360B1 KR 1020190064892 A KR1020190064892 A KR 1020190064892A KR 20190064892 A KR20190064892 A KR 20190064892A KR 102102360 B1 KR102102360 B1 KR 10210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onnecting member
solar cells
cell modu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권
김봉재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360B1/ko
Priority to CN202020969149.1U priority patent/CN212323016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2Bases or plates or solder therefor
    • H01L23/4924Bases or plates or solder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12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or composi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과 정션 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무연 솔더 조성물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태양전지들의 접속부와 솔더 접합되고, 제2 연결부재는, 무연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단부가 정션 박스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융착되는, 태양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본 개시(disclosure)의 기술적 사상은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한 개의 태양전지는 대략 수 와트(W) 내외의 작은 전력을 생산하므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태양전지들이 복수의 스트링(string)으로 배열되는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한다. 그리고, 복수의 태양전지들에서 생성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분기 장치, 예컨대, 정션박스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시, 복수의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유연(有鉛) 솔더 기반의 솔더 접합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납(Pb)의 비교적 우수한 전도성과 부착력, 낮은 공정 비용 등에 기인한다. 또한, 리본 등을 통해 복수의 태양전지들과 정션 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에도 솔더 접합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납의 장점과 함께 작업이 용이하고, 외력으로 인한 태양전지 모듈의 파손 방지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솔더를 이루는 주 성분인 납의 유해성으로 인해 납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어, 그 대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루는 각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시, 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요소들간의 접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aspect)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과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무연 솔더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태양전지들의 접속부와 솔더 접합되고(solder-jointed),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무연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단부가 상기 정션 박스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융착된다(welded).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을 둘러싸되, 무연 솔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솔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 은(Ag)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접속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부를 향해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연 물질은, 1000ppm 이하의 납 성분을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기 단자와 융착되지 않는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기 단자와 융착되지 않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전지들은, 단위 태양전지들가 두 개로 분할된 하프 셀 형태의 태양전지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과 정션 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솔더 접합되는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정션 박스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융착되는 제2 접합 부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을 둘러싸고, 무연 솔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솔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 은(Ag)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의 상기 태양전지들은,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접속부와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무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합 부분의 폭은, 상기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제2 접합 부분 사이의 연장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합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제2 접합 부분 사이의 연장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전지들은, 단위 태양전지가 두 개로 분할된 하프 셀 형태의 태양전지들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모듈을 이루는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시, 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요소들간의 접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과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주요 요소들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JA1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6 및 도 7은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JA2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JA3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과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XV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4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5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주요 요소들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첨부한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 용어는 언급된 부재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과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10)은, 태양전지 패널(100), 태양전지 패널(100)의 태양전지(110)들에서 생성된 전력을 수집하는 정션박스(200), 및 태양전지 패널(100)을 수납하는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패널(100)은, 복수의 태양전지(110)들, 태양전지(1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20), 태양전지(110)들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막(140-1)과 하부 보호막(14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패널(100)은, 태양전지(110)들의 상면, 예를 들어, 수광면 쪽의 상부 보호막(140-1) 위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150), 및 태양전지(110)들의 하면, 예를 들어, 수광면 반대 쪽의 하부 보호막(140-2)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시트(back sheet)(1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시트(160)는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태양전지(110)들을 보호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시트(160)는 태양전지 패널(100)의 후면에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태양전지(110)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후면 시트(160)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후면 시트(160)는 수분과 산소 침투를 방지하는 층,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층, 절연 특성을 갖는 층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10)들이 양면 수광형(Bifacial) 태양전지인 경우, 후면 시트(160)는 투명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시트(160)는 유리(glass)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유리는, 후술되는 투명 부재(150)와 유사하게 투과율이 높고 파손 방지 기능이 우수한 강화 유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 부재와 투명 부재(150)가 유리로 이루어져, 태양전지 패널(100)이 G2G(glass to glass)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보호막(140-1)과 하부 보호막(140-2)은, 태양전지(11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태양전지(110)들과 일체화될 수 있다. 상부 보호막(140-1)과 하부 보호막(140-2)은, 습기 침투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태양전지(110)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상부 보호막(140-1)과 하부 보호막(140-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체화된 상부 보호막(140-1)과 하부 보호막(140-2)을 보호막(140)으로 칭할 수 있다.
보호막(140) 위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150)는 투과율이 높고 파손 방지 기능이 우수한 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투명 부재(150)는 빛의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측면 또는 보호막(140)과 접하는 하면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10)이 수상 태양광 발전 모듈인 경우, 투명 부재(150)는 방습성이 우수한 폴리머 물질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등의 물질에 의해 보호막(140)에 접착될 수 있다.
태양전지(110)들은, 제1 반도체층(111), 제1 반도체층(111) 상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112), 제2 반도체층(112)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전극(113), 제1 전극(113)이 위치하지 않는 제2 반도체층(112) 위에 위치하는 반사방지층(114), 제1 반도체층(111)의 수광면 반대측에 위치하는 패시베이션층(115-1) 및 캡핑층(115-2), 패시베이션층(115-1) 및 캡핑층(115-2)에 의해 둘러싸이는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 및 캡핑층(115-2)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전극(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층(111)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층(111)은, 상기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층(111)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의 상면을 텍스처된 표면(textured surface)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1 반도체층(111)은 텍스처링(texturing) 처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의 표면이 텍스처된 표면으로 형성되면, 제1 반도체층(111)의 수광면에서 빛 반사도가 감소하고, 빛의 흡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12)은 상기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112)은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1 반도체층(111)이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반도체층(112)이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113)들은 제2 반도체층(112) 위에 위치되며 제2 반도체층(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113)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113)들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도전성 물질 이외의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113)들은 제2 반도체층(112) 상에서 복수의 제1 전극(113)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접속부(도시 생략, 도 4의 CP 참조)들로 수집된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속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속부들은 패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속부들은 후술되는 제1 연결부재(120)들과 접속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전극(113)들로부터 전달되는 전하를 제1 연결부재(120)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12) 상에서 복수의 제1 전극(113)들과 상기 상부 접속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는 반사방지층(114)이 위치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114)은 태양전지(110)들로 입사되는 빛의 반사도를 줄이고 특정한 파장 영역의 선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방지층(114)은,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 및 실리콘 산질화막(SiO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의 하부에는 패시베이션층(115-1), 캡핑층(115-2) 및 이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이 위치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5-1) 및 캡핑층(115-2)은 수광면의 반대면, 다시 말해, 제1 반도체층(111)의 하면으로 유출되는 빛을 제1 반도체층(111)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된 빛은 제1 반도체층(111)에 흡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전지(110)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시베이션층(115-1)은 산화 알루미늄막(Al2O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핑층(115-2)은 실리콘 질화막(SiNx)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시베이션층(115-1)은 실리콘 산화막(SiO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핑층(115-2)은 실리콘 산질화막(Si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시베이션층(115-1) 및 캡핑층(115-2)은 다양한 유전체막들 중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은 하부의 제2 전극(117)과 제1 반도체층(111)의 접촉 저항을 줄여 태양전지(110)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은,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은 제2 전극(117)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17)은 캡핑층(115-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반도체층(111) 쪽으로 이동하는 전하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전극(117)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니켈(Ni),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전극(117)은 앞서 예시한 도전성 물질 이외의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17)과 동일한 면에는 상기 상부 접속부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접속부(도시 생략)들이 위치할 수 있고, 제2 전극(117)에 의해 수집된 전하는 상기 하부 접속부들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접속부들도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드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접속부들도 후술되는 제1 연결부재(120)들과 접속되어 제2 전극(117)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하를 제1 연결부재(120)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태양전지(110)들의 일 실시예로 PERC(Passivated Emitter and Rear Cell) 형 태양전지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예를 들면, 태양전지(110)들은 후면 전계(Back Surface Field, BSF) 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110)들의 제1 반도체층(111)과 제2 전극(117) 사이에는 제1 반도체층(111)의 후면을 전부 덮는 BSF가 개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BSF는 제1 반도체층(111)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이 제1 반도체층(111)보다 고농도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태양전지(110)들은 PERL(Passivated Emitter and Rear Locally diffused) 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110)들은,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 상부에 국부 BSF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태양전지(110)들은 PERT(Passivated Emitter and Rear Totally diffused) 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110)들은, PERL 형 태양전지와 달리, 제1 반도체층(111) 하부에 복수의 국부 콘택(116)들을 노출시키되 패시베이션층(115-1)을 덮는 BSF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태양전지(110)들은 TOPCon (Tunnel Oxide Passivated Contact) 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111)들은, 제1 반도체층(111)과 제2 전극(117) 사이에 터널 옥사이드층, 다결정 실리콘, 실리콘 질화막이 적층된 후면 패시베이션 구조체가 개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태양전지(110)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면 수광형이 아닌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110)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일 p-n 접합형이 아닌 다중 p-n 접합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110)들은 박막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110)들은 다양한 형태, 종류의 태양전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III 영역을 확대한 도면인 도 3을 더 참조하여, 태양전지 모듈(10)의 주요 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태양전지 모듈(10)의 태양전지 패널(100)은 태양전지(110)들이 위치하는 제1 영역(A1)과 태양전지(110)들이 위치하지 않는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에서는 태양전지(110)들이 복수의 스트링(string) 형태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은 태양전지(110)들이 Y1 방향으로부터 Y2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최소의 직렬군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10)은 6개의 스트링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X1 방향으로부터 X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이라 한다.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 각각에 배열된 태양전지(110)들은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중 대응하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링(S1)을 예로 들어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스트링(S1)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태양전지(110)들 중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는 인접한 태양전지와 제1 연결부재(12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은 버스바(bus)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이 4 버스바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은 6 버스바, 12 버스바로 구현될 수 도 있다.
도 3의 JA1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인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태양전지(110)와 제1 연결부재(120-1)의 연결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제1 스트링(S1) 내에서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110)의 상부 접속부(BP)와 제1 연결부재(120-1)가 연결되는 구조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연결부재(120-1)와 인접한 태양전지의 하부 접속부 사이의 연결 구조는 태양전지(110)의 상부 접속부(BP)와 제1 연결부재(120-1) 사이의 연결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접속부(CP)와 제1 연결부재(120-1)는 솔더링 공정에 의해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1)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층(121)과, 코어층(121)을 둘러싸되 무연(無鉛) 솔더 조성물로 이루어진 솔더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물질은, 구리(Cu), 니켈(Ni), 은(Ag), 알루미늄(Al), 주석(Sn), 아연(Zn), 인듐(In), 티타늄(Ti), 금(A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 은(Ag), 구리(Cu), 비스무트(Bi), 니켈(N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은(Ag)-구리(Cu) 합금, Sn-Cu 합금 및 Sn-Ag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96.5wt.%의 Sn, 3wt.%의 Ag, 0.05wt.% Cu를 포함하는 Sn-Ag-Cu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도전성 물질들, 무연 솔더 조성물은 앞서 예시한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기에,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솔더링 공정의 수행 결과, 솔더층(123)이 상부 접속부(CP)를 향해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솔더 필렛을 형성하게 되고, 코어층(121)과 상부 접속부(CP)가 상기 솔더 필렛을 매개로 접합된다.
이때, 솔더층(123)에 의한 솔더 필렛은 상부 접속부(CP)의 상면을 일부만 덮을 수 있고, 상부 접속부(CP)의 측면은 덮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20-1)는, 상부 접속부(CP) 상에서 X1-X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솔더링 공정의 수행 전의 폭인 제1 폭(w1) 보다 크되, 상부 접속부(BP)의 제3 폭(w3) 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연결부재(120-1)의 단면이 원형인 와이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120-1)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재(120-1)와 태양전지(110)는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무연 솔더 조성물 기반의 솔더층(1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형태를 예시하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접속부(CP')는, 제1 연결부재(120-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연결부재(12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GR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GR1)은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수용홈(GR1)의 내측벽은, 솔더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연결부재(120-1)의 솔더층(123)에 대하여 댐(dam)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솔더링 공정의 수행 과정에서 솔더층(123)이 수용홈(GR1)의 내측벽 사이에서만 필렛을 집중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20-1)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제1 연결부재(120-1)의 제2 폭(w2) 보다 작은 크기의 제4 폭(w4)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부 접속부(CP')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부 접속부(BP)의 제3 폭(w3) 보다 작은 크기의 제5 폭(w5)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홈(GR1)을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120-1)와 상부 접속부(CP')를 솔더링하는 경우, 상부 접속부(CP')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고비용의 은(Ag)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접속부(CP')의 재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재료비 절감 효과는 제1 연결부재(120-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커진다. 그리고 상부 접속부(CP')로 인한 쉐이딩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태양전지 모듈(10)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GR1) 내부에서 솔더 필렛이 집중 형성됨에 따라 솔더층(123)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쇼트, 크랙 등의 불량이 감소될 수 있어, 제1 연결부재(120-1)와 태양전지(110)의 접합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 연결부재(120-1)가 리본 대비 폭이 작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커진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수용홈(GR1)의 형상을 내측벽이 태양전지(110)의 상면에 수직하고 저면이 태양전지(110)의 상면에 수평한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용홈(GR1)은 내측벽과 저면이 라운드진 형상, 내측벽이 테이퍼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의 상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은 각각 제2 영역(A2)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들(130-1, 130-2, 130-3, 130-4) 중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스트링(S1)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20-1)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13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스트링(S2, S3)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들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120-2, 120-3)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130-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및 제5 스트링(S4, S5)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20-4)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130-3)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스트링(S6)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들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20-6)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130-4)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스트링(S1, S2)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 제3 및 제4 스트링(S3, S4)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 제5 및 제6 스트링(S5, S6)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2 연결부재들(130-1, 130-2, 130-3, 130-4)은 태양전지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위치하며, 각각의 양 단부들 중 하나인 제1 단부(이하, 제1 접합 부분이라 칭함)는 제1 연결부재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중 대응하는 제1 연결부재들과 연결되며, 다른 하나인 제2 단부(이하, 제2 접합 부분이라 칭함)는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정션박스(200)의 단자(210)들 중 대응하는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3의 JA2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인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제2 연결부재(130-1)와 제1 연결부재(120-1) 사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의 JA3 영역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인 도 10 내지 도 13을 더 참조하여 제2 연결부재(130-1)와 정션박스(200)의 단자(210-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및 도 9에서는 제1 스트링(S1)의 상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120-1)와 제2 연결부재(130-1)가 연결되는 구조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제2 연결부재(130-1)와 정션박스(200)의 단자들(210-1 내지 210-4) 중 단자(210-1)가 연결되는 구조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른 제1 연결부재들(120-2 내지 120-6)과 다른 제2 연결부재들(130-2 내지 130-4) 사이의 연결 구조, 다른 제2 연결부재들(130-2 내지 130-4)과 다른 단자들(210-2 내지 210-3) 사이의 연결구조는, 도 8 내지 도 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130-1)의 제1 접합 부분(JP1)은 제1 연결부재(120-1)와 솔더링 공정에 의해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1)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층(121)과 무연 솔더 조성물로 이루어진 솔더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0-1)는 무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연 물질은, 납 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연 물질은,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납을 대략 1000ppm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솔더링 공정의 수행 결과, 솔더층(123)이 제1 접합 부분(JP1)을 향해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솔더 필렛을 형성하게 되고, 코어층(121)과 제1 접합 부분(JP1)이 상기 솔더 필렛을 매개로 접합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 부분(JP1)이, X1-X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솔더링 공정의 수행 전의 제1 연결부재(120-1)의 제1 폭(w1) 보다 큰 제6 폭(w6)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합 부분(JP1)과 제1 연결부재(120-1)가 각각 납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물질 기반의 솔더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연결부재(130-1)는 제1 접합 부분(JP1)에서 제1 연결부재(120-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연결부재(12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 의해 제2 연결부재(130-1)과 제1 연결부재(120-1)의 솔더 접합 시 솔더층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불량이 감소될 수 있어, 제1 접합 부분(JP1)과 제1 연결부재(120-1)의 접합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제1 연결부재(120-1)가 리본 대비 폭이 작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더 커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130-1)의 제2 접합 부분(JP2)은 단자(210-1)와 융착(welding) 공정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융착 공정은, 레이저 융착, 초음파 융착 등 다양한 융착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융착 공정의 수행 결과, 제2 접합 부분(JP2)은 제2 연결부재(130-1)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물성을 갖도록 개질될 수 있다. 국부적인 가열로 인해 용융, 재응고가 일어나면서 제2 접합 부분(CP2)이 개질되는 것이다.
제2 접합 부분(CP2)은, Y1-Y2 방향을 기준으로 폭이 제2 연결부재(130-1)의 제7 폭(w7) 보다 작은 제9 폭(w9)을 갖게 되고, X1-X2 방향을 기준으로 폭이 단자(210)의 제8 폭(w8) 보다 작은 제10 폭(w10)을 갖게 된다.
일반적인 태양전지 모듈들에서는 리드선, 납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리본 등을 정션 박스의 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주로 솔더링을 이용하고 있다.
반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2 연결부재(130-1)와 정션박스(200)의 단자(21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융착 공정을 이용하므로, 각 요소들간의 모든 연결 구조가 무연화된 태양전지 모듈(10)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솔더링 공정 대비 융착 공정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제2 연결부재(130-1)와 정션박스(200) 사이의 접합 신뢰성도 개선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형태를 예시하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130-1')는 융착 시 요구되는 최소 선폭을 고려하고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접합 부분(JP2') 측이 제2 연결부재(130-1')의 다른 부분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130-1')의 다른 부분은, 융착되지 않는 부분으로 제1 접합 부분(JP1)과 제2 접합 부분(JP2') 사이의 연장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130-1')는, Y1-Y2 방향을 기준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제2 연결부재(130-1)의 제7 폭(w7)보다 큰 제11 폭(w1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합 부분(JP2')도, Y1-Y2 방향을 기준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제2 접합 부분(JP2)의 제9 폭(w9) 보다 큰 제12 폭(w12), 및/또는 X1-X2 방향을 기준으로 제10 폭(w10)보다 큰 제13 폭(w13)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30-1')는 제2 연결부재(130-1')의 열 투과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2 접합 부분(JP2') 측이 제2 연결부재(130-1')의 다른 부분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130-1')는, 제2 접합 부분(JP2') 측에서 Z1-Z2 방향을 기준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제2 연결부재(130-1)의 제1 두께(d1) 보다 작은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태양전지 모듈(10)의 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 내의 태양전지(110)들에서 발생된 전력이 정션박스(200)에 수집될 수 있다.
정션박스(200)는 단자들(210-1 내지 210-4) 사이에 3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들(BD1 내지 BD3)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들(BD1 내지 BD3)은 제1 내지 제6 스트링(S1 내지 S6)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류 전달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정션박스(200)는 외부 단자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들(C1, C2)을 통해 이웃하는 태양전지 모듈들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태양전지(110)들 상호 간의 인터커넥션 시 무연 솔더 조성물 기반의 솔더링 공정을 이용하고, 나아가 태양전지(110)들과 정션박스(200)의 인터커넥션 시 무연 물질 기반의 융착 공정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요소들간의 접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과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XV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 도 14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에서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부재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되는 부재를 나타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인 태양전지(410)들, 각 요소들간의 연결관계, 정션박스(500)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20)은, 태양전지 패널(400), 태양전지 패널(400)의 태양전지(410)들에서 생성된 전력을 수집하는 정션박스(500), 태양전지 패널(400)을 수납하는 프레임(60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패널(400)의 태양전지(410)들은 단위 태양전지(USC)를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분들로 분할하여 형성한 분할 태양전지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410)들은 단위 태양전지(USC)를 반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분할된 태양전지들일 수 있다. 상기 단위 태양전지(USC)는 대략 156.75mm × 156.75mm 크기의 단일 태양전지 일 수 있다. 또는 대략 161.7mm × 161.7mm 크기의 단일 태양전지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된 태양전지들은 하프 셀, 하프 컷 셀로 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단위 태양전지(USC)를 분할하여 형성되는 상기 분할 태양전지들의 개수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할 태양전지들은, 하나의 단위 태양전지로부터 세 개 이상 획득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4의 XVI 영역을 확대한 도면인 도 16을 더 참조하여, 태양전지 모듈(20)의 주요 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태양전지 모듈(20)의 태양전지 패널(400)은 태양전지(410)들이 위치하는 제1 영역(A1)과 태양전지(410)들이 위치하지 않는 제2 영역(A2), 제3 영역(A3)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은 태양전지 패널(400) 중간의 제3 영역(A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상부 영역(A1-U)과 하부 영역(A1-L)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영역(A1-U)에서는 태양전지(410)들이 6개의 스트링들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X1 방향으로부터 X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6 상부 스트링(US1 내지 US6)이라 한다.
제1 내지 제6 상부 스트링들(US1 내지 US6) 각각에 배열된 태양전지(410)들은 제1 연결부재(420)들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410)들과 제1 연결부재(420)들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연 솔더 조성물을 기반으로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상부 스트링들(US1 내지 US6)의 하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은 제3 영역(A3)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들 중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20)들과 제2 연결부재들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연 솔더 조성물을 기반으로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스트링(US1)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420-1)들은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상부 스트링(US2)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420-2)들은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2)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상부 스트링(US3)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4 및 제5 상부 스트링들(US4, US5)의 하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도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고, 제6 상부 스트링(US6) 하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도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상부 스트링(US1, US2)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및 제4 상부 스트링(US3, US4)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고, 제5 및 제6 상부 스트링(US5, US6)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6 상부 스트링(US1 내지 US6)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영역(A1-L)에서도 태양전지(410)들이 6개의 스트링들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X1 방향으로부터 X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스트링들을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6 하부 스트링(LS1 내지 LS6)이라 한다.
제1 내지 제6 하부 스트링들(LS1 내지 LS6) 각각에 배열된 태양전지(410)들은 제1 연결부재(420)들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410)들과 제1 연결부재(420)들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연 솔더 조성물을 기반으로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하부 스트링들(LS1 내지 LS6)의 상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420)들은 제3 영역(A3)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들 중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20)들과 제2 연결부재들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연 솔더 조성물을 기반으로 솔더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스트링(LS1)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420-3)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 스트링(LS2)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420-4)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2)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하부 스트링(LS3) 상부 쪽에서 최상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재(43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4 및 제5 하부 스트링들(LS4, LS5)의 상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도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고, 제6 하부 스트링(LS6) 하부 쪽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들도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하부 스트링(LS1, LS2)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및 제4 하부 스트링(LS3, LS4)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고, 제5 및 제6 하부 스트링(LS5, LS6) 하부 쪽에서 최하단의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들은 각각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6 하부 스트링(LS1 내지 LS6)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3 영역(A3)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재들(430-1, 430-2) 각각의 양 단부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연결부재들(420-1 내지 420-4) 중 대응하는 제1 연결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들(430-1, 430-2) 각각의 양 단부들 중 다른 하나는 제3 영역(A3)에 위치하는 정션박스(500)의 제1 부분(500-1)의 단자들(510-1, 510-2) 중 대응하는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와 유사하게 다른 제2 연결부재들도 일단부가 제1 연결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가 정션박스(500)의 제2, 제3 부분(500-2, 500-3)의 단자들 중 대응하는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부재들과 정션박스의 단자들 간의 접합에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태양전지 모듈(20)의 요소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제1 내지 제6 상부 스트링(US1 내지 US6) 내의 태양전지(410)들과 제1 내지 제6 하부 스트링(LS1 내지 LS6) 내의 태양전지(410)들에서 발생된 전력이 정션박스(500)에 수집될 수 있다.
정션박스(500)는 외부 단자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들(C3, C4)을 통해 이웃하는 태양전지 모듈들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분할 태양전지들로 이루어진 태양전지(410)들 상호 간의 인터커넥션 시에도 무연 솔더 조성물 기반의 솔더링 공정을 이용하고, 나아가 태양전지(410)들과 정션박스(500)의 인터커넥션 시 융착 공정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전류 전송 시 저항 손실 감소로 인해 출력이 개선될 수 있고, 또 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요소들간의 접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들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20: 태양전지 모듈
100, 400: 태양전지 패널
200, 500: 정션박스
300, 600: 프레임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을 둘러싸고 무연 솔더 조성물로 이루어진 솔더층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과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무연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코어층이 상기 솔더층을 매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태양전지들의 접속부와 접합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제1 단부가 상기 정션 박스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접합되되 개질되고,
    상기 제1 단부는, 폭이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기 단자와 접합되지 않는 부분의 폭보다 크거나, 두께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기 단자와 접합되지 않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태양전지 모듈.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 은(Ag) 또는 구리(Cu)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접속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솔더층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태양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물질은, 1000ppm 이하의 납 성분을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제2 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솔더층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코어층과 접합되는, 태양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들은, 단위 태양전지가 두개로 분할된 하프 셀 형태의 태양전지들인, 태양전지 모듈.
  12.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을 둘러싸고 무연 솔더 조성물로 이루어진 솔더층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및
    무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과 정션 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솔더층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코어층과 접합되는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제1 접합 부분과 상이한 물성을 갖도록 개질되며 상기 정션 박스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접합되는 제2 접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 부분은, 폭이 상기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제2 접합 부분 사이의 연장 부분의 폭보다 크거나, 두께가 상기 제1 접합 부분과 상기 제2 접합 부분사이의 연장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태양전지 모듈.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솔더 조성물은, 주석(Sn), 은(Ag) 또는 구리(Cu)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의 상기 태양전지들은,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코어층이 상기 솔더층을 매개로 상기 접속부와 접합되는, 태양전지 모듈.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내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들은, 단위 태양전지가 두개로 분할된 하프 셀 형태의 태양전지들인, 태양전지 모듈.
KR1020190064892A 2019-05-31 2019-05-31 태양전지 모듈 KR10210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892A KR102102360B1 (ko) 2019-05-31 2019-05-31 태양전지 모듈
CN202020969149.1U CN212323016U (zh) 2019-05-31 2020-06-01 太阳能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892A KR102102360B1 (ko) 2019-05-31 2019-05-31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360B1 true KR102102360B1 (ko) 2020-04-21

Family

ID=7045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892A KR102102360B1 (ko) 2019-05-31 2019-05-31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2360B1 (ko)
CN (1) CN21232301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23B1 (ko) * 2021-12-31 2023-01-05 김한상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세로 배치형 직렬 결선방법
KR102485925B1 (ko) * 2021-12-31 2023-01-05 김한상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가로 배치형 직렬 결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6092A (zh) 2022-10-26 2023-01-03 上海晶科绿能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及其制造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04B1 (ko) * 2010-08-17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70121588A (ko) * 2016-04-25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80090510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KR20190001946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산코코리아 태양전지 셀 연결부재,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용융점이 조절 가능한 Sn-Bi-Ag계 무연 솔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04B1 (ko) * 2010-08-17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70121588A (ko) * 2016-04-25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80090510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KR20190001946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산코코리아 태양전지 셀 연결부재,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용융점이 조절 가능한 Sn-Bi-Ag계 무연 솔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923B1 (ko) * 2021-12-31 2023-01-05 김한상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세로 배치형 직렬 결선방법
KR102485925B1 (ko) * 2021-12-31 2023-01-05 김한상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가로 배치형 직렬 결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323016U (zh)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296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3300124B1 (en) Solar cell module
KR102102360B1 (ko) 태양전지 모듈
JP6050285B2 (ja) 太陽電池
JP201400738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リボン結合体
EP2854181A1 (en) Solar cell
KR101871274B1 (ko)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JP503615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77851A (ja) 太陽電池素子
KR101612955B1 (ko)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EP2141747B1 (en) Solar cell module
JP478107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WO2020071083A1 (ja) 太陽電池デバイ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10045246A (ko) 태양 전지 셀 및 이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JPWO202005413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94232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3012263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101788169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태양 전지
CN210272382U (zh) 一种电池片及电池组件
KR102000063B1 (ko) 태양 전지 모듈
JP4210124B2 (ja) 太陽電池素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3287203A (zh) 太阳能电池板
KR102005570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40040348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5568B1 (ko) 태양 전지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