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981B1 -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 Google Patents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981B1
KR102101981B1 KR1020160130403A KR20160130403A KR102101981B1 KR 102101981 B1 KR102101981 B1 KR 102101981B1 KR 1020160130403 A KR1020160130403 A KR 1020160130403A KR 20160130403 A KR20160130403 A KR 20160130403A KR 102101981 B1 KR102101981 B1 KR 10210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chloride
plasticizer
citric aci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05A (ko
Inventor
손종석
남승백
신지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13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구연산계 에스테르 가소제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종래의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가소화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동등 이상의 가소화 효율을 나타내어, 종래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에 의해 제조되므로, 비대칭구조를 이루어 극성을 부여하여 상용성이 좋고, 가소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친환경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A citric ester plasticizer and a flooring material manufactured by using the plasticizer}
본 발명은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또는 50% 이상의 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혼성 중합체로서,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링 등의 가공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수지이며, 이 같은 가공을 통하여 파이프, 전선, 전기기계제품, 장난감, 필름, 시트, 인조가죽, 타포린, 테이프, 식품 포장재, 의료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들의 소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가소제, 안정제, 충전제, 안료 등 여러가지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다양한 가공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첨가되어 가공성, 유연성, 전기절연성, 점착성 등 여러가지 물성 및 기능을 부여하는 필수 첨가제이다. 가소제의 경우 낮은 휘발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이는 플라스틱 조성물 내로 혼입하는 동안 및 성형 제품의 실제 사용 동안 모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가소제의 대표적인 종류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아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일본, 미국 등의 지역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규정되어 있고, 유럽에는 어린이 용품에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회피하려는 경향이어서, 친환경적인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개발하고자 하고 있다.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Acetyl Tributyl Citrate, ATBC), 트리부틸 시트레이트(Tributyl Citrate, TBC)와 같은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대비 가소화 효율이 떨어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동량으로 대체 사용시에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과량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비해 상용성이 떨어져, 과량 사용시 폴리염화비닐로부터 가소제의 이탈, 즉, 가소제 블리딩(bleeding), 블루밍(blooming) 현상이 발생하여, 가소제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거나, 가소제 노출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가소제이면서도, 기존의 친환경 가소제인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비해 가소화 성능이 우수한 가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4344호는 종래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낮은 가소화 효율을 개선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를 개시하고 있다.
KR 10-2013-0114344 A (공개일 : 2013. 10. 18)
본 발명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가소제이면서도, 종래의 친환경 가소제의 가소화 효율이 낮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소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7567409-pat00001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고, R1, R2, R3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동일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단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종래의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가소화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동등 이상의 가소화 효율을 나타내어, 종래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에 의해 제조되므로, 비대칭구조를 이루어 극성을 부여하여 상용성이 좋고, 가소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친환경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7567409-pat00002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고, R1, R2, R3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동일하지 않다.
상기 화학식 1의 가소제는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을 수 있다.
만약 1종의 알코올만을 사용할 경우 가소제가 대칭구조에 가까우므로, 가소제 효율이 낮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알코올은 C2-C10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1가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C4-C8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n-옥탄올, 2-옥탄올, 6-메틸-2-헵탄올, 4-메틸-3-헵탄올, 2,4,4,-트리메틸펜탄올, 2-프로필펜탄올 및 2-에틸헥산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올을 필수로 사용하는 것이 가소화 효율 및 가소제 블리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의 탄소수가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바닥재의 신율 및 흡유력이 저하되고 경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탄소수가 10개 이하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칩들 또는 상이한 색을 가지는 칩들을 하나의 층으로 열압착하여 성형된 칩층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칩층은 본 발명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들을 열압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본 발명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들과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한 칩들을 혼합한 후 열압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본 발명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5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다.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가소제에 의하여 발현될 수 있는 유연성이나 가공성을 달성할 수 없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바닥재로서 필요한 기계적 물성의 확보가 어렵고, 바닥재 표면으로 가소제가 용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본 발명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의 구체적 조성의 일 실시예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5 내지 100 중량부, 충전제 10 내지 100 중량부, 안료 1-5 중량부, 기타 첨가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밸런스층, 베이스층, 필름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바닥재 상하부의 전반적인 휨(curling)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런스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체적 조성의 일 실시예는,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30 내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대두유(E.S.O) 1 내지 3 중량부,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캘린더 (Calender) 성형, 캐스팅 (Casting)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0.1 내지 0.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바닥재에 볼륨감을 부여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예비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변성올레핀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PU) 중 복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체적 조성의 일 실시예는,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비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300 중량부, 변성 올레핀수지 0.1 내지 200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TPU) 5 내지 100 중량부,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30 내지 85 중량부, 발포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은 보통 열처리를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발포 오븐(oven)을 통해 열처리 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비발포 바닥재의 경우, 발포안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0.3 내지 3.0㎜(발포 전 두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수득되는 바닥재에 다양한 인쇄무늬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층에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를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사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선택적으로, 인쇄무늬가 형성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합지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인쇄를 통해 무늬를 부여해주게 되어, 심미감이 우수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필름층은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중 선택된 하나의 수지와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5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은 0.1 내지 0.7㎜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선택적으로, 바닥재 최상부에 형성된 표면처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바닥재의 표면에 초기 오염방지 기능, 즉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코팅액을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우, 표면처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가할 때, 열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층들, 특히 필름층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경화성 화합물로는 가교반응이 가능한 불포화 결합기 등과 같은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이고,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광경화성 화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에는 상기의 광경화성 화합물과 용매 이외에도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안정제, 레벨링제 등 하드 코팅층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첨가제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연필 경도에 의하여 측정된 표면 경도가 7H 이상인 것으로서, 표면 경도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H 내지 8H 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표면처리층을 구성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광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20 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닥재를 이루고 있는 각 층들은 인쇄층을 제외하고 캘린더링(calendering) 성형, 캐스팅(casting) 성형, 블로우 성형 또는 압출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각각 제조된 복수의 층들은, 먼저 아래로부터 밸런스층, 베이스층을 열압착하여 합지한 후, 필요한 경우 오븐 내에서 발포 성형해준다. 상기 베이스층 상면에 통상의 인쇄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아(gravure), 스크린 또는 전사 인쇄를 통해 무늬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층을 형성하거나 인쇄무늬가 인쇄된 필름 또는 종이를 합지하여 인쇄층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필름층, 바람직하게는 투명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위치시킨 후 열압착하여 합지한다.
복수의 층들이 하나로 합지되고 나면, 이를 냉각시켜 줌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필름층 상면에 코팅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코팅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최종 제품으로서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수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2종 알코올을 사용한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에 구연산 1몰과, 알코올로 n-부탄올 2몰 및 2-에틸헥산올 1몰을, 용매로 톨루엔, 촉매를 투입한 후 가온시켜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미반응된 산은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고, 중화 후에, 수세 및 탈수를 진행하여 구연산 에스테르 가소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이용한 바닥재 시편의 제조>
실시예 2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실시예 1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가소제 50 중량부, 에폭시화대두유(E.S.O) 1 중량부,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3 중량부, 탄산칼슘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Calender) 성형하여 3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소제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DOP(Di-otyl phthalate)를 사용하여 5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의 물성평가>
80℃의 오븐에서 24시간 방치 후 중량 감소를 측정하여 가소제의 내이행성을 측정하면 기존의 프탈레이트 가소제인 DOP(Di-otyl phthalate)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시편의 경우 25g/m2 수준으로 가소제가 이행되었으나, 실시예 2의 시편의 경우 15g/m2으로 가소제의 이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가소제의 함량에서 비교예 1의 시편의 경우 신율이 200~250%이었지만, 실시예 2의 시편의 경우 신율이 300~350%로 나타남으로써 가소화의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종래의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가소화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동등 이상의 가소화 효율을 나타내어, 종래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에 비해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구연산과 2종 또는 3종의 알코올에 의해 제조되므로, 비대칭구조를 이루어 극성을 부여하여 상용성이 좋고, 가소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를 제공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바닥재에 친환경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단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연산과 3종의 알킬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비대칭 구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화학식 1>
    Figure 112020024031286-pat00003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8의 비치환된 알킬이고, R1, R2, R3는 동일하지 않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코올은 C2-C10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코올은 C4-C8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코올은 에탄올, n-부탄올 또는 2-에틸헥산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코올은 2-에틸헥산올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칩들 또는 상이한 색을 가지는 칩들을 열압착하여 형성된 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칩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화학식 1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들과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혼합한 칩들을 혼합한 후 열압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화학식 1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칩들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5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2. 다층 구조의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연산과 3종의 알킬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비대칭 구조의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화학식 1>
    Figure 112020024031286-pat00004

    여기서,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8의 비치환된 알킬이고, R1, R2, R3는 동일하지 않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층은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30 내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대두유(E.S.O) 1 내지 3 중량부,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중합도가 1000 내지 1700인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비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300 중량부, 변성 올레핀수지 0.1 내지 200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TPU) 5 내지 100 중량부,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30 내지 85 중량부, 발포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발포제 2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를 하여 형성되거나 인쇄무늬가 형성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합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5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바닥재는 최상부층에 형성된 표면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KR1020160130403A 2016-10-10 2016-10-10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KR10210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03A KR102101981B1 (ko) 2016-10-10 2016-10-10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03A KR102101981B1 (ko) 2016-10-10 2016-10-10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05A KR20180039305A (ko) 2018-04-18
KR102101981B1 true KR102101981B1 (ko) 2020-04-20

Family

ID=6208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03A KR102101981B1 (ko) 2016-10-10 2016-10-10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453B2 (en) 2019-06-12 2024-03-26 Lg Chem, Lt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1020878A1 (ko) *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US20220227961A1 (en) * 2020-01-15 2022-07-21 Lg Chem, Ltd. Citrate-base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TW202136200A (zh) * 2020-01-15 2021-10-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以檸檬酸酯為底的塑化劑組成物及含彼的樹脂組成物
KR20220019634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462258B1 (ko) * 2021-09-13 2022-11-07 애경케미칼 주식회사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471310B1 (ko) * 2021-10-15 2022-11-29 애경케미칼주식회사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5271A (en) * 1959-06-24 1962-03-13 Miles Lab Mixed esters of citric acid and polymers thereof
KR101460399B1 (ko) 2012-04-09 2014-11-10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가소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제품
KR101895635B1 (ko) * 2013-07-11 2018-09-05 (주)엘지하우시스 친환경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4159A (ko) * 2014-04-28 2015-11-05 (주)엘지하우시스 Pvc 수지를 이용한 벽장재
KR101818292B1 (ko) * 2014-05-16 2018-01-12 (주)엘지하우시스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05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981B1 (ko)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JP6338225B2 (ja) クッション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124678A (zh) 防水面板、制造面板的工艺以及由所述工艺获得的面板
CN109779193A (zh) 用于制备地面覆盖物的刚性面板
KR20160034536A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10788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romatic diesters
KR20160109549A (ko) 난연 바닥장식재와 이의 제조방법
TW201538480A (zh) 含有對苯二甲酸二(2-乙基己基)酯之增塑劑組合物
KR20160045237A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RU2011147152A (ru) Проводя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покрытия п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294343B1 (ko)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922506B2 (ja) 透明樹脂フィルム
WO2019025764A1 (en) FILM FOR FLOOR COVERINGS
JP2001192522A (ja) 床又は壁カバーリング
KR101315338B1 (ko) 데코시트
JP6846175B2 (ja) 加飾用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KR101248743B1 (ko)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81378B1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KR101242387B1 (ko) 장식시트용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식 시트
KR101976530B1 (ko) 우수한 표면 질감을 갖는 데코시트의 제조방법
KR101986684B1 (ko) 표면물성이 우수한 데코시트
KR20160037417A (ko) 복합수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JP6953138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KR20160023306A (ko) 펄 필러 또는 mma칩을 포함하는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WO2020066950A1 (ja) 塩化ビニル樹脂積層シート、塩化ビニル樹脂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