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92B1 -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92B1
KR101818292B1 KR1020140059092A KR20140059092A KR101818292B1 KR 101818292 B1 KR101818292 B1 KR 101818292B1 KR 1020140059092 A KR1020140059092 A KR 1020140059092A KR 20140059092 A KR20140059092 A KR 20140059092A KR 101818292 B1 KR101818292 B1 KR 10181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811A (ko
Inventor
손종석
조남용
김한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5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의 일 구성요소인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염화비닐 대신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바닥재의 물성 내지는 특성의 저하 없이 무기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하여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킨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Flooring comprising polyvinylbutyr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재의 일 구성요소인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염화비닐 대신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바닥재의 물성 내지는 특성의 저하 없이 무기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하여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킨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 환경에서의 사용 편의성, 건강 기능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공동 주택 또는 상업용 공간에 사용되는 바닥재(또는 바닥 장식재)의 경량화 및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요구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바닥재는 유리섬유나 광물질, 종이, 모조지 위에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여 가공한 기재층을 기준으로 그 상하부에 발포층 또는 비발포층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공동 주택 및 준상업용 공간에 시공되는 바닥장식재는 내구성, 내오염성, 패션성 등의 단순 기능을 부여하고 있으나, 실제로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의 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점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장식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중심부에 기재함침층(1)이 있고, 기재함침층(1) 위에 차례로 파스텔톤 색상 및 장식 무늬의 비발포칩층(2), 내구성을 부여한 폴리염화비닐 스킨층(3), 내구성 및 오염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층(5)이 있으며, 기재함침층(1) 아래에 제품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층(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은 공극이 큰 유리섬유나 펄프 등을 폴리염화비닐의 졸(sol)에 전면 함침시킨 후, 열압하고 겔화시켜 기재함침층(1)을 제조하고,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CaCO3)을 함유한 5 내지 7 종의 다양한 색상의 폴리염화비닐 칩을 기재함침층(1) 위에 1.0 내지 1.5㎜의 두께로 로타리 스크린 롤을 이용하여 도포한 다음 열을 가하여 비발포칩층(2)을 형성하고, 투명한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스킨층(3)으로 하여 비발포칩층(2) 위에 적층하고, 탄산칼슘으로 충전된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밸런스층(4)으로 하여 기재함침층(1) 아래에 적층하고, 우레탄 아크릴 수지 등을 스킨층(3) 위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표면처리층(5)을 형성하여 바닥장식재를 완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장식재의 경우, 기재함침층(1)을 구성하는 폴리염화비닐지의 특성 상, 비록 상용화된 가소제를 상당량 사용하여 연화시킨다고 하여도 물성의 저하 없이, 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다른 문제가 없는 한, 바닥재의 제조에 있어서 충진재의 함량을 높일수록 기계적 물성이 높아지고 또한 열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등 많은 잇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폴리염화비닐을 기초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 시 충진재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득되는 바닥재의 물성의 저하 없이 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재층 및 이러한 기재층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수득되는 바닥재의 물성의 저하 없이 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재층 및 이러한 기재층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수지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50 내지 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상기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 10 내지 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무기충진재 400 내지 8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DIDP),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utyl benzyl phthalate: BB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n-옥틸 프탈레이트(di-n-octyl phthalate: DNOP);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구연산에스테르 또는 아세틸 구연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에스테르가 1개의 구연산분자와 에틸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헥실 알코올, 옥틸 알코올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어 조합되는 3개 알코올분자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양면들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 모두에 밸런스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인쇄층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콜크밸런스층일 수 있다.
상기 콜크밸런스층은 천연의 콜크를 분쇄한 클크입자들을 접착제로 결합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에 있어서, (1)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2) 인쇄층 준비단계; (3) 표면층 준비단계; 및 (4) 상기 기재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적층하되, 적층 전에 합판 대상인 각 층들을 140 내지 170℃의 범위 이내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합판 시 가압 압력은 3 내지 10㎏f/㎠의 범위 이내로 가압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층을 형성하는 폴리염화비닐에 기재층에 포함되는 무기충진재의 함량을 크게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하여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재의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11), 상기 기재층(11)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12) 및 상기 인쇄층(12)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13)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기재층(11)이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11)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염화비닐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최대로 함유가능한 무기충진재 함량 보다 더 높은 함량의 무기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는 방안을 예의 연구한 결과, 기재층(11)을 구성하는 수지를 폴리염화비닐 단독에서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염화비닐에 비해 더 높은 함량의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는 기재층(11)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폴리비닐부틸알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산촉매(酸觸媒)에 의하여 부탄알로 아세탈화하여 만드는 수지이다. 부틸알 수지라고도 한다. 접착성, 내한성, 내후성(耐候性), 내충격성 등이 뛰어나고, 대부분의 용제(溶劑)에 녹으나,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등 각 수지와 잘 혼합되므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주요 용도는 안전 접합유리의 중간막으로 쓰이고, 금속표면의 방청(防卽)과 도료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표면처리제인 워시프라이머(wash primer)용이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수지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5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 55 내지 65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45 내지 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 58 내지 62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42 내지 38중량%의 범위 이내로 포함하는 것이 무기충진재의 함량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충진재로는 각종의 무기재료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탈크, 규회석, 실리카, 알루미늄, 구리 및 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분말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무기충진재의 사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기충진재로는 바람직하게는 경제적으로 획득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탄산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상기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 10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부의 범위 이내로 포함하는 것이 이러한 기재층(11)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물성의 저하 없이 기재층으로 가공하기에 적절한 가소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은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무기충진재 400 내지 8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70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620 내지 670중량부의 범위 이내로 포함하는 것이 기재층의 물성, 즉 바닥재의 물성의 저하 없이 무기충진재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진재의 함량은 무기충진재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열전도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표면 경도도 올라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구 등의 중량물에 의한 눌림자국을 최소화시켜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기는 하나,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 너무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조 비용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폴리염화비닐과 무기충진재 간에는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폴리염화비닐의 결합력이 약해져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조 비용면에서 불리할 수 있고, 열전도성 및 표면 경도의 면에서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DIDP),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utyl benzyl phthalate: BB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구연산에스테르 또는 아세틸 구연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에스테르가 1개의 구연산분자와 에틸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헥실 알코올, 옥틸 알코올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어 조합되는 3개 알코올분자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가소제, 특히 폴리염화비닐의 가소제로서 공지된 것들은 본 발명에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가소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프탈레이트가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지에 첨가되어 수지의 가공성, 특히 고온에서의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유기물질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가소제들은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들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각 수지들에 대한 상용화된 가소제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DOP(디옥틸 프탈레이트), DOA(디옥틸 아디페이트), TCP(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 등이 있다. DOP는 폴리염화비닐에 쓰이고, DOA는 내한용, TCP는 내연성인 것이 특성이다. 특히 DOP나 DOA는 옥틸기 대신에 다른 기(基)로 바꾼 것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섞임성 및 가소성 외에도 내열성, 내한성, 내연성, 전기적 성질 등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의 제조에는 상기한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에 더해 필요에 따라 내열안정제 등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보조첨가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내열안정제로는 바륨-아연(Ba-Zn)계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첨가제들은 바닥재의 용도 등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외에서의 내후성을 높이기 위한 자외선흡수제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13)은 바닥재의 표층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대개는 투명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표면층(13)에 사용하고, 무기충진재 함량이 높은 폴리염화비닐 기재층(11) 위에 상기 표면층(13)을 적층하여 바닥재가 구성된다. 즉, 종래의 고분자 플라스틱류의 바닥재는 표면에 고열이 가해질 경우, 고열을 전달하지 못하고 축적하여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탄화도 빨리 진행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표면층(13)에 사용하고, 그 위에, 필요에 따라, UV 코팅 처리하여 보호층을 더 형성할 수 있고, 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에 무기충진재 함량을 높여 서 사용함으로써 표면에 부가되는 고열이 빨리 전달, 통과되도록 하여 바닥재의 표면이 고열에도 탄화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우수한 투명성 및 인쇄성을 이용하여 바닥장식재의 무늬를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였다. 달리 상기 표면층(13)과 기재층(11) 사이에 인쇄층(12)이 주로 포함되며, 이 인쇄층(12)에는 바닥재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무늬와 색상이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닥재는 인쇄의 선명성 및 사실감이 높고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의 양면들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 모두에 밸런스층(14)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재층(11)의 상면에 밸런스층(14)이 적층되도록 형성되거나, 달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재층(11)의 하면에 밸런스층(14)이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닥재로서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상기 기재층(11)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밸런스층(14)을 적층하는 구성 또한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밸런스층(14)은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재층(11)과 상기 인쇄층(12)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대칭구조,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인쇄층이나 기재층 등 주로 경질의 층에 대한 대칭구조에 의한 밸런싱 효과를 극대화하는 기능을 하는 층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균형을 유지하고, 리얼리티를 보강하며, 표면 물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휨방지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층(1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층(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런스층은 폴리염화비닐층이나 목분함유 수지층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층은 콜크밸런스층일 수 있다.
상기 콜크밸런스층은 천연의 콜크를 분쇄한 클크입자들을 접착제로 결합시킨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콜크밸런스층은 천연의 콜크나무의 껍질, 즉 콜크층을 벗겨낸 후, 입자 크기를 5 내지 10메쉬(mesh) 정도로 분쇄한 후, 접착제와 함께 혼합하고, 가압, 숙성시킨 후, 슬라이싱(slicing)기를 이용하여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잘라내어 시트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콜크는 수분 함량이 2% 이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분의 함량이 많은 경우, 열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경우, 상기 콜크밸런스층(14)은, 예를 들어, 총 3㎜ 두께의 바닥재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표면층(13)이 0.3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5㎜ 정도가 되고, 인쇄층(12)이 0.05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1㎜ 정도가 되고, 상기 밸런스층(14)이 상기 표면층(13)과 대칭적으로 0.3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5㎜ 정도가 되고, 나머지, 즉 1.4 내지 2.35㎜, 바람직하게는 1.9㎜ 정도가 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의 용도, 구조 및 두께 등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콜크밸런스층은 방음 및 충격 흡수 등의 기능성 측면을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게(약 0.5 내지 2.0㎜ 또는 그 이상)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콜크밸런스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총 두께도 그에 비례하여 더 두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콜크밸런스층은 비중이 일반 무기충진재가 포함된 폴리염화비닐 시트에 비해 1/8 내지 1/10 또는 그 이하로 작기 때문에 제품 중량에 의한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재는 상기한 기본 구성의 층들인 기재층, 인쇄층, 표면층, 밸런스층 및 선택적으로 보호층에 더해, 필요에 따라 별도의 층들, 예를 들면, 입체무늬를 위한 비드층, 부직포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부가의 수지층,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층, 접착층의 접착제의 오염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형층 기타 바닥재의 유통, 보관 동안 바닥재 전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재를 감싸는 보호지층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으로서, 이들 이외에 바닥재의 구현 내지는 유통 내지는 보관을 위하여 요구되는 다른 층들도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에 있어서, (1)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2) 인쇄층 준비단계; (3) 표면층 준비단계; 및 (4) 상기 기재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적층하되, 적층 전에 합판 대상인 각 층들을 140 내지 170℃의 범위 이내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합판 시 가압 압력은 3 내지 10㎏f/㎠의 범위 이내로 가압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한 기재층, 인쇄층 및 표면층,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밸런스층 등 각 층을 준비하고, 이들을 적층, 합판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합판은 적층 전에 합판 대상을 140 내지 170℃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판 시 가압 압력은 3 내지 10㎏f/㎠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기재층, 콜크밸런스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바닥재를 제조하되, 총 3㎜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층 0.5㎜, 인쇄층 0.1㎜, 콜크밸런스층 0.5㎜ 그리고 기재층 1.9㎜로 각각 제조하고, 이들을 합판 전 각 층을 150℃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합판 시 가압 압력을 7㎏f/㎠로 하여 가열가압에 의하여 적층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상기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 60중량%, 폴리비닐부틸알 40중량%로 혼합하여 수득되는 수지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가소제로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중량부를 첨가하고,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 510중량부를 첨가하여 수득되는 것을 사용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재층의 제조에서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 65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재층의 제조에서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 8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의 제조에서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대신 폴리염화비닐 100%를 사용하고,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 5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기재층의 제조에서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대신 폴리염화비닐 100%를 사용하고, 무기충진재로서 탄산칼슘 5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외관 육안검사 및 무기충진재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예 2 모두 적절한 외관을 갖는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음이 육안검사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은 외관이 불량하고, 무기충진재 함량이 너무 높아서 바닥재의 물성이 저하되어 적절한 바닥재를 수득할 수 없음이 육안검사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적 양호한 비교예인 비교예 2에 대비하여 사용된 무기충진재 함량을 비교하여 볼 때, 비교예 2(79중량%)에 비해 실시예 2(84중량%) 및 실시예 3(86중량%)들이 훨씬 무기충진재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열전도성, 화염 전파성 및 연기밀도
상기 비교예 2의 바닥재와 상기 실시예 2의 바닥재를 열전도성 및 화염 전파성 테스트를 진행하여 그 결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2 실시예 2 시험조건
열전도성 0.162W/mK 0.235W/mK QTM-500 열전도 측정기기 활용
화염전파성 0.65W/㎠ 0.95W/㎠ ASTM E648
연기밀도 640% 450% ASTM E662
1: 기재함침층 2: 비발포칩층 3: 스킨층
4: 밸런스층 5: 표면처리층
11: 기재층 12: 인쇄층 13: 표면층
14: 밸런스층

Claims (10)

  1.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과 폴리비닐부틸알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무기충진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로,
    상기 수지조성물이 수지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5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이 상기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무기충진재 510 내지 800중량부를 포함하는 바닥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상기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 10 내지 50중량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DIDP),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utyl benzyl phthalate: BB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n-옥틸 프탈레이트(di-n-octyl phthalate: DNOP);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구연산에스테르 또는 아세틸 구연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에스테르가 1개의 구연산분자와 에틸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헥실 알코올, 옥틸 알코올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어 조합되는 3개 알코올분자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양면들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 모두에 밸런스층이 더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층이 상기 기재층과 상기 인쇄층 사이에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층이 콜크밸런스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밸런스층이 천연의 콜크를 분쇄한 클크입자들을 접착제로 결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0.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에 있어서,
    (1) 폴리염화비닐 50 내지 70중량% 및 폴리비닐부틸알 5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상기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 내지 800중량부의 무기충진재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2) 인쇄층 준비단계;
    (3) 표면층 준비단계; 및
    (4) 상기 기재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적층하되, 적층 전에 합판 대상인 각 층들을 140 내지 170℃의 범위 이내의 온도로 예열한 후, 합판 시 가압 압력은 3 내지 10㎏f/㎠의 범위 이내로 가압하는 적층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59092A 2014-05-16 2014-05-16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92A KR101818292B1 (ko) 2014-05-16 2014-05-16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92A KR101818292B1 (ko) 2014-05-16 2014-05-16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11A KR20150131811A (ko) 2015-11-25
KR101818292B1 true KR101818292B1 (ko) 2018-01-12

Family

ID=5484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92A KR101818292B1 (ko) 2014-05-16 2014-05-16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6044B2 (ja) * 2015-06-12 2018-10-31 東リ株式会社 床材の製造方法及び床材
CN107614586A (zh) * 2015-11-27 2018-01-19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01981B1 (ko) * 2016-10-10 2020-04-20 (주)엘지하우시스 구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바닥재
KR102178161B1 (ko) * 2017-04-19 2020-11-12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KR102448254B1 (ko) 2017-10-26 2022-09-28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바닥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961B2 (ja) * 1990-08-13 2002-01-28 ソリユテ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回収pvbを使用するフローリングの製造
JP2005282306A (ja) 2004-03-31 2005-10-13 Aisin Takaoka Ltd 床材用制振シート及び床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961B2 (ja) * 1990-08-13 2002-01-28 ソリユテ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回収pvbを使用するフローリングの製造
JP2005282306A (ja) 2004-03-31 2005-10-13 Aisin Takaoka Ltd 床材用制振シート及び床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11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1783B1 (en)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818292B1 (ko)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A2793863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panel comprising a powder overlay
EP3126145B1 (en) Composite boards and panels
KR100409016B1 (ko)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892087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panel
KR20190085007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128607B1 (ko)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117124678A (zh) 防水面板、制造面板的工艺以及由所述工艺获得的面板
KR20140053805A (ko) 난연성 라미네이트
EP2828101B1 (en)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panel
US11975510B2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3306449A (zh) 浮雕板及其成型工艺
KR20200062461A (ko)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178487A1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00370308A1 (en) Cellulose based composite planks
KR102176175B1 (ko) 전사 방지용 바닥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0901B1 (ko) 석분과 pvc 혼합층이 적층된 복합 목질바닥재
KR102082521B1 (ko) 펄 필러 또는 mma칩을 포함하는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360B1 (ko) 저휘발성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03987A (ko)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2036B1 (ko) 한지를 이용한 장식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장식재
WO2018213086A1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65085A (ko) 전사 방지용 바닥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6407A (ko)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