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461A -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461A
KR20200062461A KR1020180147676A KR20180147676A KR20200062461A KR 20200062461 A KR20200062461 A KR 20200062461A KR 1020180147676 A KR1020180147676 A KR 1020180147676A KR 20180147676 A KR20180147676 A KR 20180147676A KR 20200062461 A KR20200062461 A KR 2020006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ile flooring
monomer
base lay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614B1 (ko
Inventor
고해승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4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6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Tile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의 한 예로 강화마루는 MDF(Medium Density Fibre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등의 목재 기재 상면에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종이 또는 섬유질 기재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적층한 것으로서, 상기 표면층에 포함되는 수지로 인해 수분을 흡수하여 변색되거나 변형이 되는 성질로 인한 문제점이 있어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이하 'PVC'라 함) 타일 바닥재가 개발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PVC 타일 바닥재에 사용되는 PVC는 가공성을 위해 가소제를 필히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PVC 타일 바닥재는 유연하여 안착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시공 후 바닥의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마루 바닥재에 비해 외관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타일 바닥재 시공 전에 바닥(즉, 콘크리트)에 모르타르(mortar) 조성물을 부어 바닥면을 평탄화시키는 셀프 레벨링(Self-leveling)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였으나, 비용이 비싸 현실적으로 국내 건설환경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 PVC 타일 바닥재는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8831호에 개시되어 있다.
KR 10-2007-0048831 A (공개일: 2007.05.10)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타일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인쇄층; 및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타일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합판하는 단계; 및
상기 합판된 인쇄층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의 일 실시예로서 T&G(Tongue and Groove) 구조를 갖는 완제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바닥재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클릭(Click) 구조를 갖는 완제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PVC 타일 바닥재는 유연하여 안착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반면, 시공 후 바닥의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타일 바닥재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를 해결하고자 연구에 매진한 결과 PVC 타일 바닥재의 물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두께가 가장 두꺼운 베이스층을 하드(hard)하게 제조할 경우,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30); 인쇄층(50); 및 표면처리층(80)을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타일 바닥재(1)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경도(shore D)가 65-88, 70-85 또는 70-80으로,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시공 시 재단성 및/또는 안착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도는 쇼어 D경도계(Shore Durometer D)로 측정할 수 있다.
이하, 각 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층 (30)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타일 바닥재의 가장 두꺼운 층으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층을 하드(hard)하게 하여 타일 바닥재(1)의 경도를 높임으로써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가소화 되지 않은 상태로서, 유리전이온도가 약 80℃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현탁중합으로 만들어진 단독중합체로서 연, 경질 제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700-1800, 또는 750-150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가공성,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비해 유리전이온도가 비교적 높고, 강성이 우수한 수지로 베이스층(30)에 하드(hard)함을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일 예로, 괴상 중합체, 유화 중합체 또는 현탁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일 예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단량체는 일 예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원가가 저렴하면서도 하드(hard)한 성질을 갖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내에 포함되는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30중량%, 18-25중량% 또는 20-24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강성이 저하되어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 개선이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상용성이 좋지 않고, 용융 흐름 속도가 낮아 베이스층의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 MFR)이 40-100g/10min(220℃, 10kg), 50-75g/10min(220℃, 10kg) 또는 55-70g/10min(220℃, 10kg)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캘린더링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닥재의 생산 수율이 낮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공중합체를 중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 내의 용융 흐름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융 흐름 속도는 ISO 1133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90-120℃ 또는 95-1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베이스층(30)의 유리전이온도 상승효과가 미미해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 개선이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어 상기 범위 내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Tg)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300,000g/mol 또는 120,000-200,000g/mole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베이스층에 하드(hard)함을 부여하기 어려워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됨에 따라, 베이스층의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굴곡 강도가 100-180Mpa 또는 105-150Mpa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강성을 가져 베이스층(30)에 하드(hard)함을 부여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굴곡 강도는 ISO 178에 의거하여 20-25℃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라크웰 경도(R scale)가 100-150R 또는 110-140R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강성을 가져 베이스층(30)에 하드(hard)함을 부여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라크웰 경도는 ISO 2039-2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로공액디엔 단량체를 더 포함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충격성 및 강성이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의 일 실시예로 1,3-부타디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는 총 단량체 100중량%에 대해 5-30중량% 또는 5-2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성이 우수하면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를 포함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0-120℃ 또는 105-115℃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베이스층(30)의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위에서 서술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와 공액디엔 단량체를 포함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격강도, 내열성 및 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를 포함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40중량부, 7-30중량부 또는 10-2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베이스층에 하드(hard)함을 부여하기 어려워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됨에 따라, 베이스층의 가공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가격 대비 효율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가소제 및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위에서 기술한 특징을 가진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 인해 종래 수지로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가소제 사용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또는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20중량부, 5-15중량부 또는 5-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베이스층의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베이스층에 하드(hard)함을 부여하기 어려워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미미하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목분, 운모,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격이 저렴한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500중량부, 또는 150-4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가격이 적절하면서 베이스층이 우수한 가공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활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베이스층(30)은 두께가 0.5-5mm 또는 1-3.5mm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제조 비용을 유지하면서도 타일 바닥재(1)의 경도를 높여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유리전이온도가 50℃이상, 구체적으로 50-90℃, 55-90℃ 또는 58-85℃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종래 수지로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제조한 베이스층의 유리전이온도(약 30℃)보다 높아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굴곡강도가 5-20kgf/cm2 또는 9-18kgf/cm2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강도가 높아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790에 의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220mm x 5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200m 떨어진 두 지지대위에 올려 놓는다. 그 후, 100m/min속도로 시편의 중심에 힘을 가해 상기 시편이 파괴될 때의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열변형 온도(HDT)가 40℃이상, 구체적으로 40-90℃, 50-90℃ 또는 55-8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내열성을 가져 이를 포함한 타일 바닥재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변형 온도는 ISO 75-1의 규격에 의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80mm x 1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오일을 포함하는 가열 배스(bath) 내 지지대 상에 상기 시편이 적어도 50mm 깊이의 오일에 침적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시편에 80g의 하중을 가한 5분 후의 시편의 변형 값을 0으로 셋팅한 후, 상기 가열 배스의 온도를 120±10℃/h 의 일정한 속도로 승온시키면 상기 하중 하에서 시편이 처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시편이 0.3mm변형되었을 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경도가 60-90 또는 70-85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경도는 쇼어 D경도계(Shore Durometer D)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치수변화율이 0.01-0.05% 또는 0.01-0.0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베이스층으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치수변화율은 상기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300mm x 15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편을 80℃에서 6시간 동안 체류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상기 시편의 길이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30)은 표면 눌림성이 0.05mm이하 또는 0.04mm이하로, 상기 범위 내에서 복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표면 눌림성의 하한치는 제한하지 않으나 일 예로 0mm이상 또는 0.005mm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 눌림성은 베이스층에 950-1150psi의 압력으로 23-24시간 동안 누른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난 후, 23-24시간 후의 눌린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인쇄층 (50)
본 발명의 인쇄층(50)은 상기 베이스층(30) 상부에 적층되어 타일 바닥재(1)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해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층(30) 상부에 적층 가공(라미네이팅)된 백색시트 또는 유색시트(미도시)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50)이 백색시트 또는 유색시트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색상의 유색시트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층(30) 상에 직접 그라비아(gravure)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색시트는 일 실시예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0-30중량부, 및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의 종류는 위에서 서술한 베이스층(3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소제는 10-30중량부 또는 15-28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는 일 예로 이산화티탄(TiO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색상의 다른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5-30중량부 또는 10-2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층(50)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활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50)은 두께가 0.01-0.5mm 또는 0.05-0.45mm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면처리층 (80)
상기 표면처리층(80)은 타일 바닥재 표면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켜주며,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광경화형 수지를 코팅 후 UV를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80)은 두께가 0.005-0.1mm 또는 0.01-0.05mm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타일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층(50)과 표면처리층(80) 사이에 투명층(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30) 하부에 발란스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는,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층(50)과 표면처리층(80) 사이에 투명층(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30) 하부에 발란스층(20) 및 발포층(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각 층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투명층 (70)
본 발명의 투명층(70)은 하부에 위치한 인쇄층(50)의 인쇄무늬 또는 패턴을 보호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20-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 종류는 위에서 서술한 베이스층(3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50중량부 또는 25-4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층(70)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활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명층(70)은 두께가 0.15-1.5mm, 또는 0.2-1.0mm인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층(50)의 보호함과 아울러, 적절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란스층 (20)
상기 발란스층(20)은 타일 바닥재의 뒤틀림 및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0-40중량부, 충전제 30-8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충전제 종류는 위에서 서술한 베이스층(3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충전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40중량부 또는 15-3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80중량부 또는 40-7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가격이 적절하면서 발란스층이 우수한 가공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란스층(20)은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활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란스층(20)은 두께가 0.1-0.7mm 또는 0.15-0.5mm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타일 바닥재의 뒤틀림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포층 (10)
상기 발포층(10)은 타일 바닥재에 차음성을 부여하고, 수분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는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폼, 방사선 조사 가교된 폴리올레핀 폼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발포층(10)는 두께가 1-10mm 또는 2-7mm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타일 바닥재에 차음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포층(10)는 상기 발란스층(20) 하부에 공지된 핫멜트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는 치수변화율이 0.01-0.05% 또는 0.01-0.0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치수변화율은 타일 바닥재를 길이, 너비, 두께가 300mm x 150mm x 5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편을 80℃에서 6시간동안 체류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상기 시편의 길이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는 표면 눌림성이 0.05mm이하 또는 0.03mm이하로, 상기 범위 내에서 복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표면 눌림성의 하한치는 제한하지 않으나 일 예로 0mm이상 또는 0.005mm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 눌림성은 타일 바닥재에 950-1150psi의 압력으로 23-24시간 동안 누른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난 후, 23-24시간 후의 눌린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합판하는 단계(S3); 및
상기 합판된 인쇄층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베이스층 인쇄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S1)단계는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로, 베이스층 조성물 및 인쇄층 조성물 각각을 압출 성형 또는 캘린더링 성형 등을 사용하여 시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생산성이 우수한 캘린더링 성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 조성물 및 인쇄층 조성물 각각을 140-190℃ 또는 150-180℃에서 혼련하여,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160-180℃ 또는 160-170℃의 온도에서 캘린더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 조성물 및 인쇄층 조성물은 위에서 서술한 베이스층 및 인쇄층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쇄층 조성물은 백색시트의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쇄무늬 또는 패턴은 상기 백색시트에 전사인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이 백색시트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색상의 유색시트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층 상에 직접 그라비아(gravure)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 인쇄층을 합판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위에서 제조한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150-170℃ 또는 160-170℃ 온도에서 열합판하는 단계일 수 있다.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5)
상기 (S5)단계는 상기 합판 공정을 거친 인쇄층의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통상의 광경화형 수지를 코팅하고 UV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가 발란스층 및 투명층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S1)단계에서 발란스층 및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S3)단계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위에서 제조한 발란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합판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가 발포층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S1)단계에서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S3)단계 이후, 상기 발란스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란스층 하부에, 발란스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베이스층 하부에 공지된 핫멜트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를 코팅한 후 상기 발포층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이후의 재단 및 가공 공정에서,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Tongue: 100) 및 홈(Groove: 200)을 포함하는 제혀구조(tongue and groove)에 의한 연결구조로 연이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2개의 삽입부(100)와 2개의 홈(200) 부위를 포함하는 클릭구조(click)에 의한 연결구조로 연이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타일 바닥재 제조
<실시예 1>
(1) 발란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 형성단계
(발란스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2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발란스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160-17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5mm인 발란스층을 형성하였다.
(베이스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베이스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160-17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3.0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AN)을 20중량% 포함하고, 용융 흐름 속도(MFR)가 60g/10min(220℃, 10kg), 유리전이온도(Tg)가 101℃,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0g/mol, 굴곡 강도가 115Mpa(23℃), 라크웰 경도가 124R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를 사용하였다.
(인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LG화학, DOTP) 20중량부, 열안정제 2중량부 및 안료(TiO2) 10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백색시트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160-17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0.45mm인 백색시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백색시트 표면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방법을 통해 인쇄무늬를 형성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투명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LG화학, DOTP) 3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투명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160-17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1.0mm 투명필름을 형성하였다.
(2) 발란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 합판단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발란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적층한 후, 160℃ 온도에서 열합판하였다.
(3) 표면처리층 형성단계
이어서, 상기 투명층 상부에 광경화형 수지를 도포하고, UV를 조사하여 두께가 0.05mm인 표면처리층을 형성하여 두께가 5mm인 실시예 1의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15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 및 공액디엔 단량체의 공중합체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 및 공액디엔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5-35중량%이고, 부타디엔의 함량이 5-30중량%이고, 스티렌의 함량이 40-60중량%를 포함하며 유리전이온도(Tg)가 105℃, 용융 흐름 속도(MFR)가 55g/10min(220℃, 10kg),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0g/mol, 굴곡 강도가 120Mpa(23℃), 라크웰 경도가 130R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100)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LG화학, DOTP) 25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1>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2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참조예 2>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5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참조예 3>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25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참조예 4>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중량%이고, 용융 흐름 속도(MFR)가 30g/10min(220℃, 10kg), 유리전이온도(Tg)가 102℃,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0g/mol, 굴곡 강도가 140Mpa(23℃), 라크웰 경도가 140R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참조예 5>
베이스층 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 수지(LG화학, LS080)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10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0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250중량부 및 열안정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AN)을 10중량% 포함하고, 용융 흐름 속도(MFR)가 70g/10min(220℃, 10kg), 유리전이온도(Tg)가 100℃, 중량평균분자량(Mw)이 130,000g/mol, 굴곡 강도가 100Mpa(23℃), 라크웰 경도가 105R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 실험예 ] 베이스층 및 타일 바닥재의 물성 측정
1. 베이스층 물성
위에서 제조한 베이스층의 유리전이온도, 굴곡강도, 열변형 온도, 가공성, 경도,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1) 유리전이온도 :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 : ASTM D790에 의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220mm x 5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200m 떨어진 두 지지대위에 올려 놓는다. 그 후, 100m/min속도로 시편의 중심에 힘을 가해 상기 시편이 파괴될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3) 열변형 온도: ISO 75-1의 규격에 의거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80mm x 1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오일을 포함하는 가열 배스(bath) 내 지지대 상에 상기 시편이 적어도 50mm 깊이의 오일에 침적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시편에 80g의 하중을 가한 5분 후의 시편의 변형 값을 0으로 셋팅한 후, 상기 가열 배스의 온도를 120±10℃/h 의 일정한 속도로 승온시키면 상기 하중 하에서 시편이 처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시편이 0.3mm변형되었을 때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4) 가공성 : 2본 롤에서의 베이스층 성형 후, 이의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 성형된 베이스층의 표면이 매끄러워 가공성이 우수함, △: 성형된 베이스층의 표면이 다소 매끄럽지 못함, X: 성형된 베이스층의 표면이 우둘투둘하여 가공성이 좋지 못함)
(5) 경도 : 쇼어 D경도계(Shore Durometer 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치수변화율 : 베이스층을 길이, 너비, 두께가 300mm x 150mm x 3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편을 80℃에서 6시간동안 체류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상기 시편의 길이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7) 표면눌림성 : 베이스층에 1000psi의 압력으로 24시간 동안 누른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난 후, 24시간 후의 눌린 깊이를 측정하였다.
2. 타일 바닥재의 물성 측정
위에서 제조한 타일 바닥재의 경도,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 치수변화율 및 표면 눌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1) 경도 : 쇼어 D경도계(Shore Durometer 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바닥의 요철 전사 방지: 상기 타일 바닥재를 바닥에 시공 후, 바닥의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에 전사되는 지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바닥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으로 전사되지 않아 바닥 요철 전사 방지가 우수함, △: 바닥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부분적)으로 전사됨, X: 바닥 요철이 바닥재의 표면(전면)으로 전사되어 바닥 요철 전사 방지가 좋지 못함)
(3) 치수변화율: 상기 타일 바닥재를 길이, 너비, 두께가 300mm x 150mm x 5mm인 시편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편을 80℃에서 6시간동안 체류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상기 시편의 길이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타일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치수변화율은 상기 조건 하에서 0.16%이하이다.
(4) 표면 눌림성 : 상기 타일 바닥재에 1000psi의 압력으로 24시간 동안 누른 후 상기 압력을 제거하고 난 후, 24시간 후의 눌린 깊이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베이스층의 유리전이온도, 굴곡강도, 열변형온도 및 경도가 수지로서 PVC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1의 베이스층에 비해 그 값이 크고,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베이스층을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3의 타일 바닥재의 쇼어 D 경도가 높아 바닥 요철 방지가 우수하면서도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수지로서 PVC 수지를 단독으로 포함한 이용한 비교예 1의 베이스층은 유리전이온도, 굴곡강도, 열변형온도 및 경도가 낮고,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 또한 저하되는 바 상기 베이스층을 포함한 비교예 1의 타일 바닥재는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바닥 요철 전사 방지,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한 참조예 1의 베이스층과 과량의 가소제를 사용한 참조예 3의 베이스층은 실시예 1 내지 3의 베이스층에 비해 유리전이온도, 굴곡강도, 열변형온도 및 경도가 낮고,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 또한 저하되는 바 상기 참조예 1 및 3의 타일 바닥재는 실시예 1 내지 3의 타일 바닥재에 비해 바닥 요철 전사 방지, 치수변화율 및 표면눌림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참조예 1의 베이스층은 가공성 또한 다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한 참조예 2의 베이스층과,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체 내 비닐시안 단량체의 함량이 과량인 참조예 4의 베이스층은 가공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체 내 비닐시안 단량체의 함량이 소량인 참조예 5의 베이스층은 실시예 1 내지 3의 베이스층에 비해 유리전이온도, 굴곡강도, 열변형온도 및 경도가 낮고, 치수변화율 및 표면 눌림성 또한 저하되는 바 이를 포함하는 참조예 5의 타일 바닥재는 실시예 1 내지 3의 타일 바닥재에 비해 바닥 요철 전사 방지, 치수변화율 및 표면 눌림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타일 바닥재
10: 발포층 20: 발란스층
30: 베이스층 50: 인쇄층
70: 투명층 80: 표면처리층
100: 삽입부(Tongue) 200: 홈(Groove)

Claims (20)

  1. 하부에서 상부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인쇄층; 및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것인 타일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비닐시안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타일 바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단량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타일 바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유리전이온도가 50-90℃인 것인 타일 바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굴곡강도(ASTM D790)가 5-20kgf/cm2인 것인 타일 바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열변형 온도(ISO 75-1, HDT)가 40-90℃인 것인 타일 바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경도(shore D)가 60-90인 것인 타일 바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치수변화율(80℃, 6hr)이 0.01-0.05%인 것인 타일 바닥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표면 눌림성(1000psi, 24hr)이 0.05mm이하인 것인 타일 바닥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는 상기 인쇄층과 표면처리층 사이에 투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발란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타일 바닥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는 상기 발란스층 하부에 발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타일 바닥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는 치수변화율(80℃, 6hr)이 0.01-0.05%인 것인 타일 바닥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바닥재는 표면 눌림성(1000psi, 24hr)이 0.05mm이하인 것인 타일 바닥재.
  14.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베이스층; 및 인쇄층;을 합판하는 단계(S3); 및
    상기 합판된 인쇄층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경도(Shore D)가 65-88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베이스층 조성물 및 인쇄층 조성물 각각을 혼련하여,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캘린더링 성형하는 단계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내에 포함되는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30중량%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 MFR)가 40-100g/10min(220℃, 10kg)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90-120℃인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5-40중량부, 가소제 3-20중량부 및 충전제 100-5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47676A 2018-11-26 2018-11-26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76A KR102520614B1 (ko) 2018-11-26 2018-11-26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76A KR102520614B1 (ko) 2018-11-26 2018-11-26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61A true KR20200062461A (ko) 2020-06-04
KR102520614B1 KR102520614B1 (ko) 2023-04-13

Family

ID=7108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76A KR102520614B1 (ko) 2018-11-26 2018-11-26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82A (ko) * 2021-12-23 2023-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70B1 (ko) 2023-11-08 2024-03-11 주식회사 미래소재 강마루 타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572A (ja) * 2001-11-12 2003-07-30 Unitika Glass Fiber Co Ltd 床材用補強部材
KR20060097545A (ko) * 2005-03-11 2006-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졸을 이용한 염화비닐-고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8831A (ko)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KR100798025B1 (ko) * 2007-03-14 2008-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폴리염화비닐계 섬유의 열안정성 향상 방법
KR100805845B1 (ko) * 2006-11-10 2008-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목분 함유 폴리염화비닐계 혼합물을 이용한 건축용내장재의 제조방법
KR2016005219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향족 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093193A (ko) * 2015-01-28 2016-08-0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1690381B1 (ko) * 2014-12-11 2016-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572A (ja) * 2001-11-12 2003-07-30 Unitika Glass Fiber Co Ltd 床材用補強部材
KR20060097545A (ko) * 2005-03-11 2006-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졸을 이용한 염화비닐-고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8831A (ko)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KR100805845B1 (ko) * 2006-11-10 2008-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목분 함유 폴리염화비닐계 혼합물을 이용한 건축용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0798025B1 (ko) * 2007-03-14 2008-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폴리염화비닐계 섬유의 열안정성 향상 방법
KR2016005219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향족 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90381B1 (ko) * 2014-12-11 2016-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KR20160093193A (ko) * 2015-01-28 2016-08-0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82A (ko) * 2021-12-23 2023-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614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473B2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ing and flooring comprising same
RU2729571C2 (ru) Облицовочные панели, изготовленные на заказ посредством цифровой печати на базовой панели
RU2744252C2 (ru) Панель по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и пола
KR20240046624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070048B1 (ko) 바닥장식재
CN117124678A (zh) 防水面板、制造面板的工艺以及由所述工艺获得的面板
US20060032175A1 (en) Floor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520614B1 (ko)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1954184B1 (ko) 개선된 바닥재용 지지층
KR101818292B1 (ko) 폴리비닐부틸알이 첨가된 염화비닐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453889B (zh) 修饰膜
KR102233544B1 (ko)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35826A (ja) 床用化粧材
CA2480592C (en) Multi-layered plastic web or plate having a three-dimensional optical aspect,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20210237406A1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10054094A (ko)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
CN112513149B (zh) 用于奢华乙烯基板以提高硬度和刚度的改性剂
WO2008140183A1 (en) Flooring having transfer-printed layer by dual cure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77793B1 (ko) 표면에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pmma 스킨층을 함유하는 무광 2층 시트
KR20110103808A (ko)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pla 바닥재
KR102342013B1 (ko)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985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WO2020028633A1 (en) Calendered polyvinyl chlorsde/cellulose ester blend film
KR102365699B1 (ko)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